{{{#!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4998,#49aaff><tablealign=center> | 고양시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3300[통]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 | 종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현대백화점) | ||
종점행 | 첫차 | 04:20 | 기점행 | 첫차 | 05:20 |
막차 | 22:50 | 막차 | 23:50 | ||
배차간격 | 1일 6회 | ||||
운수사명 | 명성운수 | 인가대수 | 3대[1] | ||
노선 | 대화동(명성운수 본사) - 대화중학교·종합운동장 - 대화역 - 백병원 - 문촌마을6·7단지·쌍용아파트·기산아파트 - 강선마을 - 일산동구청 - 강촌마을8단지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대곡역 - 무원마을·단독주택단지 - (→ 행신역 →) - 소만마을6·7 - 가라뫼·소만마을1단지 - 서정마을 - 항공대학교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모래내시장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앞 → 연세로·스타광장 →/← 연희동대우아파트 ← 동교동삼거리연희동방면 ←) - 현대백화점 |
2. 개요
명성운수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1990년대 중반 77번 좌석버스로 부터 파생된 77-2번 좌석버스가 전신이다.
- 2000년 5월경에 호수공원 경유에서 일산동구청(당시 일산구청)으로 변경되었다.
- 2001년 5월 2일 일반좌석버스에서 시내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되고, 이후 노선이 문촌마을 19단지에서 대화역.일산백병원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2009년 11월 1일 고양시 버스번호 개편에 의해 72번으로 번호가 바뀌었다.
- 행신역 바로 앞은 아니지만 행신역에서 약간 북쪽으로 다니다 보니, 이 노선도 예전에는 KTX가 도착하는 시간에 맞춰서 행신역 경유 노선을 운행했었다. 그러나 11번의 행신역 연장과 더불어 97번이 개통되면서 이 두 노선으로 행신역 연계 기능을 넘기고, 행신역 경유 노선은 폐지되었다. 다만 여전히 무원마을.단독주택단지 정류장이나 무원마을2.3단지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5분 정도를 걸어가면 행신역이 나오기에 간접 연계가 된다.
- 2017년 2월 중순경에 1대가 감차되어 11번으로 갔다.
- 2018년 2월 26일부터 신촌 방향은 행신역을 다시 경유한다.
- 2020년 일자미상으로 첫차수요 감소로 평일/휴일 첫차를 나누며 운행한다.
- 2021년 1월 12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유지되어 21시 이후 수요가 없자 1대로 1일 6회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22년 5월 23일에 기종점은 동일하나 중앙로 직통으로 운행하는 75번이 분리신설되었다.
- 2022년 7월 18일부터 8월 20일까지 하수관로 공사로 인해 기존 '화전역앞 ~ 화전동행정복지센터'(화랑로 경유) 대신 항공대입구(중) 정류장(중앙로 경유)으로 우회운행한다.
4. 특징
- 크게 보면 대화고교 - 연대정문 구간은 같은 회사에서 운행하는 1000번 버스와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시내 일반버스인만큼 고양시 구간에서 4번[2]에 걸쳐서 중앙로를 벗어나서 아파트 단지 안쪽까지 들어갔다 나오고, 경유지 단락에서 생략된 수많은 정류장에 정차한다. 문촌, 강선, 강촌마을, 그리고 샘터, 무원마을 주민들은 바로 집 앞에서 신촌가는 버스를 탈 수 있게 된 것이다. 한 마디로 많이 돌아서 간다. 경유지 단락을 보면 알겠지만 그래도 서울에 진입하여 연희IC 이후 구간을 제외하면 수색로-성산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한다.
- 이 노선 역시 경의선 개통 이후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고 한다. 하지만 본사 바로 건너편에 대화고등학교가 생기면서, 등하교 시간에는 꽉꽉 채워서 콩나물수송을 했다. 차가 1대로 줄어들은 지금은 75번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
- 인가상으로 서울 방향 소만마을(중) 정류장은 무정차로, 실제로 신촌역 방면은 가라뫼.소만마을1단지 정류장에서 내려 중앙차로 정류장으로 걸어가야 한다. 여기서 중앙차로 정류장을 경유하게 되면 가라뫼사거리에서 튀어나온 72번이
안 그래도 평시에도 통행량 많은4개 차로를 횡단해야 하기 때문. 다만 대화동 방면의 경우 소만마을(중) 정류장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다.
- 여담으로 고양ㆍ파주시에서 신촌 회차하는 버스들 중에 첫차가 가장 빠른편이라... 이 노선 첫차에 목숨걸고 타는 승객이 있기에 존재한다. 다른 노선들은 신촌 회차하는 첫차가 늦기 때문.
- 배차가 상당히 긴 편이어서 그런지 기사들이 과속 없이 유유자적 하게 운전하는 편이다.
- 하이마트사거리를 지나가지만, 하이마트사거리 정류소는 무정차 통과한다.
- 코로나 전에도 배차간격이 좋은 편에 속하지는 않았지만, 52시간제 시행이후 인력난과 코로나19로 인한 수요감소가 겹치면서 배차간격이 하루 6회라는 농어촌버스 수준으로 매우 크게 벌어졌다. 이용 시 버스위치정보를 확인하고 못 기다리겠다 싶으면 다른 노선을 이용하자.[3]
-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4.1. 시간표
72번 운행시간표 (수정일 기준) 경기버스정보시스템 참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횟수 | 대화동 | 신촌 |
1 | 04:20 | 05:30 | |
2 | 09:30 | 도착 후 회차 | |
3 | 12:50 | ||
4 | 16:10 | ||
5 | 19:20 | ||
6 | 22:50 | 23:50 |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홍대입구역[A]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정발산역, 백석역, 대곡역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 행신역[5], 화전역,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A]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