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릉역 | ||
시종착 | 서부선 (미개통)[1]] | 관악산 방면화 정 -.- ㎞ → |
대곡 방면대 곡 ← 4.2 ㎞ | 교외선 무궁화호 (미개통)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Wolleung | |
한자 | 元陵 | |
중국어 | ||
일본어 | [ruby(元陵, ruby=ウォンルン)] | |
주소 |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로 130 (舊 성사동 539, 성사1동)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문산역 관리 / 코레일 서울본부) | ||
운영 기관 | ||
교외선 | | |
서부선 | 서부도시철도주식회사 | |
개업일 | ||
교외선 개업일 | 1961년 7월 10일 2023년 말[3] | |
철도거리표 | ||
능곡 방면대 정 ← 2.9 ㎞ | 교외선 원 릉 | 의정부 방면삼 릉 2.1 ㎞ → |
元陵驛 / Wolleung Station
[clearfix]
1. 개요
역명판
교외선의 철도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로 130(舊 성사동 539번지)에 위치해 있다.
삼릉 방면으로 본 원릉역의 승강장. 1면 2선이다
2. 역사
| | |
역사 전경 | 원릉역 간판 |
| | |
원릉역의 도로명주소 | 원릉역 창문&환풍기 |
|
원릉역의 출입문은 이렇게 개방되어 있다 |
3. 역 정보
1961년 배치간이역으로 개업하였으며, 3년 뒤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1984년 무인역이 되었고, 동년에 을종승차권대매소로 지정하여 하술할 '최초의 여성 역장' 강소득 씨가 취임하게 되었다. 이름만 들으면 근처에 '원릉'이라는 왕릉이 있을 것 같지만 '원당'과 '능곡'에서 한 글자씩 따서 지어진 이름이다. 지금 행정구역으로 따지면 상당히 멀지만, 이 역을 지을 때까지만 해도 고양시청(당시 고양군청) 정도밖에 없는 미개발 지역이어서 이름이 이런 식으로 붙었다. 진짜 왕릉인 원릉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 김씨의 왕릉으로 구리시 동구릉 경내에 있다.(한자도 원릉역과 동일하게 元陵이다.) 원릉(원능)이라는 이름은 지명으로도 쓰였는데 대표적으로 지금은 일산동구 중산동으로 이동한 일산복음병원의 초기명칭이 원능복음병원이었다.[4] | |
여담으로 원릉역은 한국철도사에서 특이한 이력을 하나 갖고 있는데, 바로 '한국 최초의 여성 역장' 타이틀이다. 정확히는 일반적인 역장처럼 역에 관련된 시설 업무를 정식으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대매소를 운영하는 강소득 할머니[8]를 역장으로 임명한 것이었지만.# #
이 역에서 인근 군부대로 들어가는 전용 지선이 있었지만 2016년 철거하였다.
3.1. 승강장
|
원릉역의 삼릉역 방향 플랫폼 [9] |
삼릉 ↑ | ||||
ㅣ[10] | ㅣ | ㅣ | [11] | |
대정 ↓ |
교외선 | 여객영업중지 |
3.2. 연계 버스 교통
원릉역(19116, 19117) | |
버스 종류 | 노선 |
간선버스 | 771 |
좌석버스 | 85 |
일반형버스 | 82 |
마을버스 | 016 |
직행버스 | 1082, 9600 |
시외버스 | 3700 |
3.3. 선로
|
원릉역의 신호기[12] |
4. 역 주변 정보
| |
인근에 성사리[13] 건널목이 있다. |
교외선의 역 중에서는 수요를 가장 많이 점칠 수 있는 역. 중심지에서는 조금 벗어나 있지만 고양시청 소재지가 있는 시가지 끝자락에 역이 위치하고 있는데다 주변에 아파트 단지 등 인구밀도도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 교외선 역이 있는 동네 중에서 시발역(능곡 - 의정부)을 제외하고 이렇게 발전한 곳이 없다. 때문에 다음 레일플러스에는 능곡역이나 대곡역을 기점으로 하여 이 역까지 셔틀열차를 운행하자는 주장이 간간히 나온다.
교외선이 복선 전철화 계획이 잡혀 있는데, 이 계획에 따르면 이 원릉역을 "고양시청역"으로 개명하고 약간 더 고양시청 쪽으로 이설할 모양이다. 다만 교외선 복선 전철화가 언제 될지는 불투명한데다, 고양시청쪽은 고가철교로 되어 있고 단선 철교 양 옆이 도로라 이설하기 애매한 면이 있다.[14] 현재는 서울 경전철 서부선 (고양시청-새절)의 종착역으로 기획되어 있으며, 개통에 발맞춰 교외선 구간에 대곡역 방면으로 연결되는 트램을 운행할 계획이라고 한다. 교외선 재개통안에서 이름 변경 계획은 없는데 서부선 계획안은 고양시청역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기흥역처럼 한쪽으로 통일할 듯 싶다.
5. 대중매체에서
독립영화 파수꾼에서 주인공 학생들이 야구를 하며 노는 장소로 자주 등장한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00389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철도 | | 행신 |
| 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지축 | ||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화전 · | ||
| | ||
| | ||
| | ||
| | ||
도로 | 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선 · 평택파주선 · 인천국제공항선 | |
국도 | 1(통일로) · 39(호국로) · 77(자유로) | ||
지방도 | 78 · 98 · 356 · 357(제2자유로) · 359 · 363 · 367 | ||
버스 | 고양종합터미널 · 화정터미널 · | ||
고양BRT · 고양시의 버스 목록 · 고양시의 마을버스 | |||
공유자전거 | | ||
공유킥보드 | 킥고잉 · BEAM · Lime · SWING · 씽씽 · 지쿠터 · 킥고잉 | ||
경기도의 교통 | |||
[1] 2021년 6월 1일 부로 사업 종료 |
[1] 2028년 개통 예[2] 고양시에서 벽제역이나 관산동에 추가 정차를 요구 중이다.[3] 여객열차 재개업 예정. 현재까지는 정차역 변경 계획이 없기 때문에, 그대로 영업을 재개할 확률이 높다.[4] 현재의 리스쇼핑 부근의 원당연세병원이 원능복음병원 건물이었다.[5] 이때는 공식적으로 접근 금지가 아니여서 이런 것.[6] 2021년 현재 막아놓고 있지만 2024년 운행을 재개하면 막아놓은 철책 등은 다 철거하고 역사도 새로 신축해야 할것이다. 그냥 승강장에는 들어가게 뚫려있는 부분이 있다막아버리자! 무임승차 금지![7] 하지만 지하보도 나가자마자 바로 왼쪽으로 틀어서 음식점 주차장을 통과하면 바로 앞이다. 이럴꺼면 콘크리트 벽 왜 만들었냐?[8] 1924년 출생으로, 1985년부터 여객 취급이 중지될 때까지 원릉역의 역장을 맡아왔었으며, 칠순의 나이에 역무를 혼자 보며 3만 원 정도의 수고비만 받았다고 한다.[9] 최근에 원릉역 지붕(석면)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다. 발암물질이기 때문에 철거한 것으로 추정된다.[10] 화물홈으로 보이는 구조물과 공간이 있으며, 선로가 구내에서 끊긴다.[11] 포장되어 있지 않으며, 화물홈으로 추정된다.[12] 주택가 방향으로 돌아가 있는데, 장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고장 또는 폐지된 경우에는 열차가 볼 수 없도록 방향을 돌려놓도록 되어 있다.[13] 현재는 성사동으로 바뀌었다.[14] 나름대로 고양시청에서 벽제를 가는 주요 도로인데 만일 역사 건설 등을 위해 차선 한개를 희생하면 전형적인 시골의 왕복 2차선도로가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