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답역 | ||
성수 방면 용 답 ← 1.0 ㎞ | 2호선 ''' 성수지선 '''(211-2) | 신설동 방면 용 두 0.9 ㎞ → |
역명 표기 | ||
2호선 | 신답 Sindap 新踏 / 新踏 / [ruby(新踏, ruby=シンダプ)] | |
주소 | ||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232 (용답동 129-2) | ||
소속 영업사업소 | ||
2호선 | 종로영업사업소 신답역 | |
운영 기관 | ||
2호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2호선 | 1980년 10월 31일 | |
역사 구조 | ||
지상 1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211-2번.[1]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232 (용답동 129-2)에 소재.2. 역 정보
역 안내도 |
신답역 외부 |
대합실 |
개통 초기에는 벽돌로 된 역사 건물과 나무 기둥의 승강장만 있는 매우 간단한 형태로 되어 있었으나 2003년 10월 31일 서울지하철공사 신답별관을 지으면서 역사를 새하얗게 리모델링하였다.
1981년의 공원 관련 기사[2] |
신설동 방면 승강장에 공원화가 조성되어 있는 모습 |
신설동역 방향 승강장은 바로타 구조이고, 성수역 방향 승강장과 외부는 별도의 육교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과거에는 남위례역처럼 이 육교에 개찰구가 있어서 반대편 횡단이 불가했다.
화장실 거울에서 서울교통공사의 구 사명인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사명을 볼 수 있었지만 현재는 흰색 스티커로 덧붙였다. 또한 이 거울 아래에는 CJ제일제당(백설) 조미료 옛 광고가 남아있다.
1호선과 2호선 성수지선을 담당하는 서울교통공사 신답승무사업소가 이 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기관사 및 차장들이 근무에 투입될 때 반드시 경유해야 하는 곳이다. 1호선은 신설동역에서, 2호선은 성수역에서 승무교대를 하는데 둘 다 편승이 필수이다.
용답역과 더불어 역사 곳곳에 서울역, 청량리역, 소요산역의 1호선 역명이 적힌 표지판들이 많이 보인다.[3]
2호선 역 중에서 용두역과 함께 홍성헌 성우의 발빠짐 주의 안내방송이 나오는 둘뿐인 역이다.
3. 역 주변 정보
- 신답역에서 남남동쪽으로 430m 떨어진 지점에 지하로 수도권 전철 5호선이 지나가지만 서로 환승이 되지 않는다. 성수지선과 5호선 교차점인 신답역 일대에 5호선 역을 지어 달라는 주민들의 요구가 5호선 계획 확정 당시에 있었지만, 신답역 일대(마장로, 용답길)에 5호선 역을 두면 이미 건설이 확정된 마장역 및 답십리역과 역간 거리가 매우 가까워서 마장역, 답십리역에 대한 위치 조정이 필요하고, 청계천 통과 때문에 역을 짓기 난감하여 반려되었다.
3.1. 출구 정보
신답역 출구 정보 | |
1 | 답십리1동주민센터 답십리우체국 답십리래미안위브아파트 청계힐스테이트아파트·동대문구육아종합지원센터 청계한신휴플러스아파트 신답초등학교·신답극동아파트 답십리역 신답사거리 마장2교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84d><bgcolor=#00a84d> 연도 || ||<bgcolor=#00a84d>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18,829명 | |||
1995년 | 18,255명 | ||||
1996년 | 11,152명 | ||||
1997년 | 8,171명 | ||||
1998년 | 7,109명 | ||||
1999년 | 자료없음 | ||||
2000년 | 6,110명 | 비고 | |||
2001년 | 5,889명 | ||||
2002년 | 5,719명 | ||||
2003년 | 5,484명 | ||||
2004년 | 5,900명 | ||||
2005년 | 5,494명 | ||||
2006년 | 4,854명 | ||||
2007년 | 4,487명 | ||||
2008년 | 4,130명 | ||||
2009년 | 3,619명 | }}}}}}}}} | |||
2010년 | 3,393명 | ||||
2011년 | 3,373명 | ||||
2012년 | 3,186명 | ||||
2013년 | 2,961명 | ||||
2014년 | 2,952명 | ||||
2015년 | 2,900명 | ||||
2016년 | 2,919명 | ||||
2017년 | 2,949명 | ||||
2018년 | 3,203명 | ||||
2019년 | 3,476명 | ||||
2020년 | 2,770명 | ||||
2021년 | 2,865명 | ||||
2022년 | 3,189명 | ||||
2023년 | 3,349명 | ||||
2024년 | 3,325명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4] |
5호선 개통 전에는 서울 도심으로 가기 위해 신설동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여 가는 경로밖에 없어서 이용객 수가 1만명대 안팎이었으나, 1995년 인근에 5호선이 개통하면서 배차 간격이 훨씬 짧으며 더 편리한 5호선으로 승객이 유출되어 이용객이 급감했다. 주로 답십리역으로 유출되고, 마장역으로도 유출된다. 즉, 답십리역은 이 역과 용답역의 수요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2000년과 2017년을 비교하면 수요가 절반 이상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2004년 지하철-버스 환승할인제도가 시행되었는데, 2004년을 기점으로 이용객이 감소하기 시작해 2006년에 5천 명, 2009년에 4천 명, 2013년엔 3천 명 선으로 붕괴되었다. 그러나 2018년에는 다시 3천 명 선을 회복하였다.
5. 승강장
<rowcolor=#FFF> 2호선 성수지선 승강장 |
용두 ↑ | |||
하 | ㅣ | ㅣ | 상 |
↓ 용답 |
상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 용두·신설동 방면 |
하 | 용답·성수 방면 |
6. 연계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답역(04217) ||
간선 | |
지선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답역(06159) ||
간선 | |
지선 | |
마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용답휴식공원(04267) ||
간선 | |
지선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용답휴식공원(04268) ||
간선 | |
지선 |
7. 기타
- 2호선의 온전한 지상역 중 유일하게 고가역이 아니다.
8. 둘러보기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84d> | 시청 - 을지로입구 -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신당 - 상왕십리 - 한양대 - 뚝섬 - 성수 - 건대입구 - 구의 - 강변 - 잠실나루 - 잠실 - 잠실새내 - 종합운동장 -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 - 교대 - 서초 - 방배 - 사당 - 낙성대 - 서울대입구 - 봉천 - 신림 - 신대방 - 구로디지털단지 - 대림 - 신도림 - 문래 - 영등포구청 - 당산 - 합정 - 신촌(지하) - 이대 - 아현 - 충정로 - |
성수 - 용답 - 신답 - 용두 - | ||
신도림 - 도림천 -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