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2 11:21:06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

녹산공단에서 넘어옴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국가산업단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 -0.5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colbgcolor=#FFFFFF,#1F2023> 서울디지털산업단지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대구국가산업단지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주안국가산업단지 · 남동인더스파크 · 부평국가산업단지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주첨단과학국가산업단지 · 빛그린국가산업단지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대덕연구개발특구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온산국가산업단지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스마트국가산업단지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반월국가산업단지 · 시화국가산업단지 · 아산국가산업단지 · 포승국가산업단지 · 파주출판문화정보국가산업단지 · 파주탄현중소기업전용국가산업단지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북평국가산업단지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보은국가산업단지 · 오송생명과학단지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고정국가산업단지 · 대죽기원비축산업단지 · 석문국가산업단지 · 아산국가산업단지 ·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군산국가산업단지 · 새만금국가산업단지 · 전주탄소소재국가산업단지 · 익산국가산업단지 · 국가식품클러스터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여수국가산업단지 · 광양국가산업단지 · 대불국가산업단지 · 삼일자원비축단지 · 빛그린국가산업단지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구미국가산업단지 · 포항철강산업단지 · 포항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 월성전원국가산업단지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밀양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 · 안정국가산업단지 · 옥포국가산업단지 · 죽도국가산업단지 · 지세포자원비축단지 · 진해국가산업단지 · 창원국가산업단지 · 마산자유무역지역 · 항공국가산업단지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


1. 개요2. 상세3. 교통
3.1. 도로3.2. 철도3.3. 해운3.4. 항공

1. 개요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위치한 국가산업단지. 흔히 알려진 약칭은 녹산공단이다.

총 면적 697만 2천 ㎡로, 남동임해공업지역의 핵심 부품 공급기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 상세

1990년에 착공해 2001년까지 조성되었으며, 원래 산업단지 부지는 바다였으나 이를 매립해 조성하였다. 이후 인근에 부산신항이 만들어지면서 제조업 단지뿐만 아니라 항만배후단지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산업단지 인근의 울산광역시, 경남 창원시 진해구, 거제시 등지에 위치한 조선소와 연계된 조선기자재 업체가 대거 입주해 있으며, 조선기자재 업체의 밀집도가 매우 높아 이 곳이 없으면 조선소에서 배를 못 만들 정도라고 한다. 그 외에도 삼성전기 부산사업장, 농심 부산공장, 대한제강 등이 입주해있다.[1]

단지 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있고, 이름에도 명지가 들어가 있으나, 의외로 단지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부지가 아니다. 그래도 인근에 경제자유구역 대부분이 위치해 있어 산업적으로 연계되어 대규모 공업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을 넓은 의미의 녹산공단 조성 사업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

조성된지 오래되어 전반적으로 시설이 노후화되어 있으나, 2021년 산단대개조 사업과 스마트그린산단 사업에 동시에 선정되고 인근에 가덕도신공항, 진해신항 등 교통시설이 확충되면서 첨단부품산업단지로 변모하고 있다.

약 27,000여 명의 노동자가 이곳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약 9,000여 명이 기계 관련 업종에, 5,000여 명이 전기전자 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다. [2]

3. 교통

3.1. 도로

단지 내를 르노삼성대로가 동서로, 가락대로가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연결된 고속도로는 없으나 인근에 남해고속도로제3지선 진해IC,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가락IC가 있으며, 중앙고속도로지선이 산단 북쪽 부산신항역까지 지어져 고속도로와 연결될 예정이다.

진해와 진해대로로 이어져있으며, 2022년 석동~소사간 도로가 개통하여 진해까지 20분대로 접근 가능하다. 거제도와는 가덕대교거가대교로 연결되어 있다.

가락대로의 정체를 해결하기 위해 가덕대교 북쪽에서 송정육교사거리까지 고가도로를 건설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11번 국도 참고

3.2. 철도

단지를 부산신항선이 관통하고 있으며 인근에 부산신항역이 위치해있다. 가덕도신공항에 맞춰 부산신항에 여객열차가 다닐 예정이고, 르노삼성대로하단녹산선이 지어질 예정이다.

3.3. 해운

인근에 부산신항이 위치해있다.

3.4. 항공

같은 강서구 내에 김해국제공항이 있고, 인근 가덕도에 가덕도신공항이 건설될 예정이다.

[1]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이 인근에 있어 이 곳도 녹산공단이라고 부르지만, 의외로 해당 공장은 국가산단 구역이 아니다.[2] 24.2 주요국가산업단지 산업동향, 한국산업단지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