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9:26:56

오송생명과학단지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국가산업단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 -0.5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colbgcolor=#FFFFFF,#1F2023> 서울디지털산업단지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대구국가산업단지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주안국가산업단지 · 남동인더스파크 · 부평국가산업단지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주첨단과학국가산업단지 · 빛그린국가산업단지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대덕연구개발특구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온산국가산업단지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반월국가산업단지 · 시화국가산업단지 · 아산국가산업단지 · 포승국가산업단지 · 파주출판문화정보국가산업단지 · 파주탄현중소기업전용국가산업단지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보은국가산업단지 · 오송생명과학단지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고정국가산업단지 · 대죽기원비축산업단지 · 석문국가산업단지 · 아산국가산업단지 ·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군산국가산업단지 · 새만금국가산업단지 · 전주탄소소재국가산업단지 · 익산국가산업단지 · 국가식품클러스터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여수국가산업단지 · 광양국가산업단지 · 대불국가산업단지 · 삼일자원비축단지 · 빛그린국가산업단지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구미국가산업단지 · 포항국가산업단지 · 포항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 월성전원국가산업단지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안정국가산업단지 · 옥포국가산업단지 · 죽도국가산업단지 · 지세포자원비축단지 · 진해국가산업단지 · 창원국가산업단지 · 마산자유무역지역 · 항공국가산업단지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북평국가산업단지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

파일:청주시 CI.svg 청주시의 도시 구조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도심 성안길 인근
부도심 가경동
(가경터미널 인근, 강서동)
복대동
(청주 지웰시티)
지역중심 율량동 산남동 용암동 사창동
(충북대중문)
주요 택지지구 율량2지구 산남3지구 분평지구 성화지구 가경1~4지구 용암1·2지구 동남지구 강서지구 하복대
<colcolor=#373a3c> 주요 산업단지 청주일반산단 오창1·2·3과학산업단지 오송1·2·3생명과학산업단지 청주테크노폴리스 청주넥스트폴리스 청주에어로폴리스
읍면 상권 오창읍 오송읍 내수읍 옥산면 강내면 미원면 문의면
}}}}}}}}} ||

1. 개요2. 상세
2.1. 배경2.2. 과정
3. 주요 시설
3.1. 입주기업3.2. 입주기관3.3. 주거시설
3.3.1. 오송생명과학단지3.3.2. 오송제2생명과학단지3.3.3. 오송제3생명과학단지
3.4. 교육시설3.5. 편의시설
4. 교통
4.1. 철도4.2. 고속도로4.3. 시내도로4.4. 버스
4.4.1. 일반, 급행4.4.2. 공영
5. 생활환경

1. 개요

하늘에서 내려다 본 오송생명과학단지

OSONG BIOVALLEY
五松生命科學團地

오송생명과학단지지원센터 홈페이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건설중인 생명과학단지. 오송역세권개발사업도 인근에 별도로 추진중이다.
파일:8CGbQPN.jpg
파일:erwerwerwerwe.jpg
오송제1생명단지의 조감도와 구획도[1]
파일:sub01_img01_04_02.gif
파일:e9ur9wefjsdfisdf9isdf.png
오송제2생명단지 조감도와 구획도
파일:오송제3국가산단.png
오송제3생명단지 구획도

2. 상세

2.1. 배경

경부고속선 오송역을 유치한 이후 해당 지역의 개발을 둘러싼 여러 가지 말이 오갔다. 이에 당시 정부는 오송에 생명과학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오송생명과학단지는 이미 1995년 당시부터 정부가 생명과학단지로 조성하겠다는 이야기가 나왔고, 1997년에 식약청 등 보건의료 관련 정부기관들이 입지하는 생명과학 관련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즉 오송생명과학단지는 이미 참여정부신 행정수도 사업 시행 전에 이미 계획된 국가기관 지방이전 사업이며 또 참여정부혁신도시 사업 당시 롤모델로 언급되기도 했다.

다만 신 행정수도 이전 추진 당시 개발중이던 오송도 신 행정수도 관련 입지로 언급되기도 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는 토지보상금 문제로 오송·오창지역 대신 지금의 금강 인근(연기군, 공주시 지역)에 조성되었다. 그런 와중에 충청북도청원군은 이후 논란의 시발점이 된 호남고속선 오송분기를 따냄과 동시에 생명과학단지와 별개로 이 일대를 개발하기 위한 계획에 착수하여 오송역 역세권개발사업을 구상하게 된다.

2.2. 과정

2015년 8월 제1생명과학단지가 조성되어 바이오, 제약기업들이 오송생명과학단지 내에 공장이나 본사를 지어 옮긴 상태이다. 또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등 보건의료 분야 6대 국책기관이 혁신도시 계획의 일환으로 이전해오게 되었다.

2021년 현재 오송1·2생명과학단지에는 153개 기업이 입주하였고, 첨단의료복합단지에는 132개 연구·지원시설이 자리잡고 있다. 또한 2030년 준공 예정인 제3생명과학단지에는 250여개의 기업들이 입주 의향을 밝히고 있다. 오송 3생명과학산업단지는 6.75㎢ 규모로 지어지며, 총사업비 3조3천910억 원이 투입된다.

K-뷰티를 선도할 핵심 시설인 화장품산업단지도 들어선다. 화장품산단은 오송읍 일원 0.794㎢에 2천667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조성될 예정이며, 바이오·화장품 산업단지는 중소바이오벤처기업, K-뷰티 산업, MICE 산업을 대표하게 된다.

한편, 충청북도청에서는 제2생명과학단지 부지에 컨벤션센터청주OSCO를 건립하여 2024년 준공 예정이다.

오송제1생명과학단지라고 표시된 부분은 구 만수리 지역으로, 2010년부터 개발이 진행되어 택지개발이 대부분 완료된 상태이다. 다만 역세권의 발달 미비로 공실률이 높은 편이다. 아파트, 종합상권, 빌라 및 오피스텔 등이 구역별로 분산되어 있으며 각급학교도 있다. 권역 북단에 식약처를 위시로 한 국책기관이 밀집되어 있다.

오송제2생명과학단지라고 표시된 부분은 구 봉산리 지역으로, 2014년 말 기존 거주민의 이주가 사실상 완료되었다. 기초공사 진행 중. 참고로 단지 부지가 곡선으로 깎여져 보이는데, 충북선에서 경부고속선으로 가는 인입선이 있기 때문이다. 이 인입선은 KTX 개통 수년 전 완성되었다.

3. 주요 시설

3.1. 입주기업

대웅제약, 코미팜, 메디톡스, LG생명과학, 휴온스, SK바이오랜드, HK이노엔 등이 오송생명과학단지 내에 공장을 차리고 영업중이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참고.

에어로케이항공도 여기에 본사가 있다.

3.2. 입주기관

3.3. 주거시설

3.3.1. 오송생명과학단지

<rowcolor=#000> 블럭 단지명 세대수 입주 건설사
1BL 청원오송 휴먼시아 1단지 1,118세대 2008년 9월 (주)신일
2BL 오송 경남아너스빌[4] 468세대 2009년 7월 경남건설
3BL 오송 상록 롯데캐슬 671세대 2010년 9월 롯데건설
5BL 모아미래도 400세대 2010년 11월 모아건설
6BL 오송 호반베르디움 634세대 2010년 8월 호반건설
7BL 오송 대원칸타빌 304세대 2011년 3월 대원건설
8BL 오송 힐데스하임 402세대 2010년 10월 원건설

3.3.2. 오송제2생명과학단지

<rowcolor=#000> 블럭 단지명 세대수 입주 건설사
1BL KTX오송역 대광로제비앙 1,516세대 2023년 6월 대광건영
2BL 오송역 파라곤 센트럴시티 2,415세대 2023년 6월 동양건설산업 | 라인건설
3BL 오송역 파라곤 센트럴시티 2차 1,673세대 2024년 4월(예정)
4BL 오송역 파라곤 센트럴시티 3차 1,754세대 2024년 10월(예정)
5BL 오송제2생명과학단지 제일풍경채 545세대 2023년 7월 제일건설
6BL 오송역 동아라이크텐 970세대 2020년 5월 SM동아건설산업
7BL 오송역 서한이다음 노블리스 1,113세대 2025년 7월(예정) 서한건설
8BL 오송2차 대광로제비앙 그랜드센텀 1,615세대 2024년 3월(예정) 대광건영

3.3.3. 오송제3생명과학단지

3.4. 교육시설

  • 오송만수초등학교
  • 오송2초등학교 (가칭, 2025년 3월 개교 예정)
  • 오송3초등학교 (가칭, 2025년 9월 개교 예정)
  • 오송중학교
  • 오송2중학교 (가칭, 2025년 3월 개교 예정)
  • 오송고등학교
  • 오송2고등학교 (가칭, 2028년 3월 개교 예정)

3.5. 편의시설

  • 오송종합사회복지관
  • 청주시립오송도서관

4. 교통

4.1. 철도

바로 남쪽에 경부고속선, 충북선, 호남고속선이 만나는 오송역이 위치해 있다. 이에 따라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에 오송생명과학단지로 출퇴근하는 일정 인구까지 더해져 오송역 이용객 상승에 이바지했다.[5]

4.2.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청주IC가 제일 가깝다. 추후 세종포천고속도로 오송지선이 지어진다.

4.3. 시내도로

4.4. 버스

  • 일반버스의 경우 단지를 도는 방법이 모두 다르니 주의를 요한다.
  • 행선판에서의 약칭은 국책기관.

4.4.1. 일반, 급행

4.4.2. 공영

5. 생활환경

개발 10년을 향해 가는데 아직도 갈 길이 멀다. 분명히 역 북쪽에 위치한 초역세권인데, 역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생명과학단지와 별로 연관성이 없다. 덕분에 상권발달이 극히 부진한 상태. 2013년 전후로 상권이 고착되어 오송프라자와 그 주변, 오송역 접경지역, 연제못 접경지역 등 드문드문 소비상권이 조성된 것 외에는 진척이 없다. 참고로 저 연제못은 상당히 크다. 호수 안에 휴먼시아 1, 2단지와 롯데캐슬단지가 다 들어갈 정도.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는 데크 건너편에는 경부고속철 본선이 지나며 그 건너편 숲에 철도시설공단이 숨어있다.

식약처와 그 주변기관들이 2010년부터 터잡았지만 건물낭비라는 비판이 있을 정도로 필요 이상으로 거대하게 지은 탓에 단지의 크기에 비해서 직장인 유동인구도 적다. 한편 각급학교가 신설되고 산학융합단지가 만들어져 대학교 캠퍼스와 연구시설이 입주한 관계로 젊은층 유동인구는 생각외로 있는 편이다. 충북대학교 오송캠퍼스, 청주대학교 오송캠퍼스, 충북도립대학교 오송캠퍼스, 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혁신경영 프로그램#이 있으며, 연세대학교의료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의생명공학연구원, 충북대학교병원 오송임상시험센터 등이 있다.

외부로 나가는 도로교통은 남쪽(세종, 청주)으로만 큼직큼직하게 잘 나있고 동서축은 부진한 편. 서쪽으로 가면 조치원읍이고, 옥산면 너머 동쪽에는 오창읍이 있는데 둘 다 오송읍보다 훨씬 크다.

배달음식 등도 착착 들어오고 있다. 바로 옆 강내면도 나름대로 인구도 웬만한 시골 읍내 정도는 되고 야식의 천국 한국교원대학교가 있어 배달음식이 성업 중인데, 그래서 강내면 업체가 생명단지로도 배달을 해주거나 생명단지 업체가 강내면으로 배달을 해주는 경우가 많다. 강내 상인회와 오송 상인회끼리 연합도 맺고 공동으로 안내책자를 만들어 뿌리고 있다.


[1] '질병관리본부'라고 표기되어 있는 건물이 현 질병관리청 건물이다.[2] 보건복지부는 정부세종청사에 입주해 있다.[3] 본래 질병관리본부였지만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사태로 인해 2020년 9월 질병관리청으로 승격되었다. 청주는 얼떨결에 청이 자리한 지방자치단체가 되었다. 현재 부나 청이 자리한 자치단체는 서울, 인천, 과천, 대전, 세종, 전주, 군산, 청주 뿐이다.[4] 원래는 '오송마을 휴먼시아 2단지'였으나 2021년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부동산 투기 사건의 여파로 현재 단지명으로 변경되었다.[5] 실제로 오송역은 매년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다. 2016년 500만 명을 돌파한 후 2017년 658만4천381명, 2018년 764만9천473명, 2019년 862만2천455명, 2020년 622만6천95명, 2021년 727만9천814명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