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순환ㆍ간선ㆍ지선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295d1> 권역순환 | |
내수·북이 증평 | ||
남일·미원 낭성·가덕 보은 | ||
남일·문의 | ||
남이·부강 신탄진 | ||
오송·강내 조치원 | ||
옥산 | ||
오창·병천 진천 | ||
시내 | ||
시내외곽 | ||
한시운행 | ||
노란색: 순환노선 / 파란색: 간선노선 / 초록색: 지선노선 시에서 발표한 공식적인 노선표기 색상은 없으며 단순 노선유형 구분을 위해 임의로 카카오버스에서 쓰이는 색상을 사용하여 표기하였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청주콜버스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0c342><colcolor=#fff><rowcolor=#fff> 권역 | 청주콜버스 | 전일 고정노선 |
1권역 | 내수읍·북이면 | ||
2권역 | 낭성면·미원면 | ||
3권역 | 가덕면·문의면 | ||
4권역 | 현도면 | ||
남이면 | |||
5권역 | 강내면 | ||
오송읍 | |||
6권역 | 옥산면 | ||
7권역 | 오창읍 |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우진1차고지)[승하차불가]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봉산리(송산공원)[2]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2:03(평일) 21:54(휴일) | 막차 | 22:21 | ||
평일배차 | 16~41분 (1일 35~36회) | 휴일배차 | 16~53분 (1일 31~33회) | ||
운수사명 | 우진교통 | 인가대수 | 10대[주말감차] | ||
노선 | 우진1차고지[승하차불가] - 시티프라디움아파트 - 대원칸타빌더테라스1단지 - 동남힐데스하임아파트 - 동남우미린풀하우스아파트 - 중흥S클래스아파트 정문/센트럴자이2게이트 - 분평휴먼시아2단지아파트/분평우체국 - 청주남중학교 - 한솔초등학교 - 수곡중학교 - 계룡리슈빌아파트 - KBS - 가경주공2단지/서청주새마을금고 - 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충청대학교 - 오송역6/오송역5 - 오송삼거리 - 바이오폴리스A17지구 - 점촌어린이공원 - 오송역동아라이크텐아파트 - 노바렉스 - 송산공원 |
2. 개요
청주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우진1차고지에서 출발해, 오송에 위치한 송산공원까지 운행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64.2km[5]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23년 12월 청주 시내버스 개편에 의해 2023년 12월 9일에 신설됐다.
- 2023년 6월, 2023년 12월 청주 시내버스 개편 자료 초안에 동남지구와 시내권 남부 지역에서 오송역까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500번대 노선 신설과 함께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오송역까지 가는 것으로 계획안이 나왔다.
- 2023년 11월 2일, 노선번호는 503번으로 부여되었으며, 1차 수정안에서 센트럴자이2게이트(하행) 구간을 820번과 맞바꾸면서 센트럴자이2게이트(하행) 경유 대신 센트럴자이아파트.단재초등학교/평촌교~방서하트리움아파트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23년 11월 20일, 노선개편 의견 추가 접수 이후에 오송역에서 오송역북문~오송역파라곤센트럴시티1차아파트~오송역동아라이크텐아파트~송산공원까지 운행 구간 연장 및 최종 확정되었다.[6]
- 2023년 12월 4일, 최종안에서 1차 수정안 때 변경되었던 센트럴자이아파트.단재초등학교/평촌교~방서하트리움아파트 경유는 취소되고 센트럴자이2게이트(하행) 경유로 환원되었다.
- 2023년 12월 30일부로 기점이 동부종점에서 우진1차고지[승하차불가]로 변경되었고, '오송역 - 오송역북문 - 오송역파라곤센트럴시티1차아파트 - 오송역동아라이크텐아파트' 구간이 '오송역 - 오송삼거리 - 바이오폴리스A17지구 - 점촌어린이공원 - 오송역동아라이크텐아파트'로 변경되었다. 종점지 송산공원은 유턴 회차 대신 오송생명12로를 통해 편도 회차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동남지구와 가경동 남부, 성화동, 산남동, 분평동 등 시내권 남부 지역에서의 오송역 접근 개선을 위해 신설된 노선이다. 이로서 오송역 개업 후 13년만에 가경동 남부~분평동 라인에서 오송역을 직통으로 잇는 노선이 생기게 되었다.
- 개통 이틀만에 혼잡도 최상을 찍는 기염을 토했다. 신규택지지구인 방서동과 동남지구, 주거밀집지구인 분평동, 수곡동, 산남동, 공무원의 출퇴근이 빈번한 성화동(한국전력, 농협은행, LH충북본부 등) 등 각지에서의 오송역 방면 수요가 상당한 듯 하다. 특히 전국에서 모이는 청주교대도 경유하기 때문에 오송역과 남부권 수요가 상당히 늘어났다. 최근에는 오송바이오폴리스(오송2산단)의 거주민 증가로 오송2산단 수요까지 많이 늘어나면서 아침, 저녁 시간대는 혼잡도가 높게 찍고 있어 증차를 원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 기점인 우진1차고지 정류장에서는 승차할 수 없다. 실질적인 기점은 시티프라디움아파트 정류장이다. 우진1차고지 방향으로 시티프리다움아파트(정류장 번호 2684) 정류장에서도 승차가 불가능하니 주의해야 한다.[8]
- 이 노선이 개통될 때 폐선된 835번과 시내 구간이 유사한데, 이는 503번이 해당 구간을 대체하기 때문이다.
- 오송바이오폴리스(오송2산단)에서 청주 시내권으로 나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노선이 1개 밖에 없다 보니 배차간격이 좋지 않고 본 노선이 가지 않는 곳에 가려면 오송역 등지에서 타 노선과 환승을 해야 하는 데다 본 노선 자체도 오송2산단을 한 바퀴를 도는 노선 굴곡[9]이 있기에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어 이용객들은 증차 및 타 노선의 오송2산단 연장 요구 등의 불편의 목소리가 증가하고 있다. 관련 기사
4.1. 시간표
청주 버스 503번 시간표 2024년 8월 10일 기준 / 출처 | |||||
{{{#!folding [ 평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tablebgcolor=#ffffff,#1f2023> 우진1차고지 출발 | 송산공원 출발 | |||
30 50 | 05시 | 40 | |||
20 55 | 06시 | 20 50 | |||
20 40 | 07시 | 15 35 55 | |||
00 35 | 08시 | 30 | |||
05 45 | 09시 | 05 40 | |||
15 45 | 10시 | 00 25 | |||
15 45 | 11시 | 00 20 50 | |||
15 40 | 12시 | 25 55 | |||
05 35 55 | 13시 | 25 55 | |||
25 | 14시 | 25 50 | |||
00 30 | 15시 | 15 45 | |||
00 28 56 | 16시 | 05 35 | |||
24 52 | 17시 | 10 40 | |||
20 48 | 18시 | 25 53 | |||
18 48 | 19시 | 21 49 | |||
18 53 | 20시 | 17 40 | |||
28 | 21시 | 03 28 53 | |||
03 | 22시 | 21 |
{{{#!folding [ 휴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우진1차고지 출발 | 송산공원 출발 | |||
30 50 | 05시 | 40 | |||
20 | 06시 | 20 50 | |||
08 40 | 07시 | 15 35 55 | |||
00 35 | 08시 | 30 | |||
05 45 | 09시 | 28 | |||
15 45 | 10시 | 00 25 | |||
15 | 11시 | 00 20 50 | |||
00 40 | 12시 | 25 55 | |||
05 35 55 | 13시 | 25 | |||
25 | 14시 | 10 50 | |||
00 30 | 15시 | 15 45 | |||
00 42 | 16시 | 05 35 | |||
24 52 | 17시 | 10 40 | |||
20 48 | 18시 | 25 | |||
18 48 | 19시 | 07 49 | |||
18 53 | 20시 | 17 40 | |||
54 | 21시 | 03 28 53 | |||
22시 | 21 |
4.2. 노선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송산공원 4032 | |||||
노바렉스 2757 | ↓ | ← | ↑ | 노바렉스 2755[10] | ||
종점 | ||||||
이상 회차 구간 | ||||||
동아전기.한국전기공사협회 2187 | 동아전기.한국전기공사협회 2185 | |||||
오송역동아라이크텐아파트 2191 | ↓ | ↑ | 오송역동아라이크텐아파트 2189 | |||
바이오폴리스B7지구 2751 | 바이오폴리스B7지구 2753 | |||||
바이오폴리스B8지구 2747 | ↓ | ↑ | 바이오폴리스B8지구 2749 | |||
점촌어린이공원 2743 | 점촌어린이공원 2745 | |||||
바이오폴리스A17지구 2181 | ↓ | ↑ | 바이오폴리스A17지구 2183 | |||
오송역파라곤센트럴시티1차아파트 2761 | 바이오폴리스B2지구 2759 | |||||
오송파라곤센트럴시티3차아파트 4293 | ↓ | ↑ | 오송파라곤센트럴시티3차아파트 4294 | |||
오송진흥아파트 3218 | 오송진흥아파트 3217 | |||||
오송삼거리 3216 | ↓ | ↑ | 오송삼거리 3215 | |||
오송역5 1447 | 오송역6 1458 | |||||
궁평2리 3315 | ↓ | ↑ | 궁평2리 3314 | |||
궁평1리 3313 | 궁평1리 3312 | |||||
탑연삼거리 3309 | ↓ | ↑ | 탑연삼거리 3308 | |||
월곡초등학교 3306 | 월곡초등학교 3307 | |||||
월곡리.충청대학교 3303 | ↓ | ↑ | 충청대학교 3305 | |||
월곡.상월곡 3301 | 월곡리 3302 | |||||
석소 2411 | ↓ | ↑ | 석소 2412 | |||
충렬사 2407 | 충렬사 2408 | |||||
휴암동.푸르미환경공원 2405 | ↓ | ↑ | 휴암동.푸르미환경공원 2406 | |||
대한적십자사 2403 | 대한적십자사 2404 | |||||
주봉 2401 | ↓ | ↑ | 주봉 2402 | |||
비하대광로제비앙아파트 1172 | 비하대광로제비앙아파트 1171 | |||||
강서1동행정복지센터 2027 | ↓ | ↑ | 강서1동행정복지센터 2028 | |||
고속버스터미널 2109 | ||||||
시외버스터미널 2055 | ↓ | ↑ | 고속.시외버스터미널 2056 | |||
서부소방서.가경터미널시장 2064 | ||||||
세원가경골아파트 2063 | ↓ | ↑ | 가경대원아파트 2062 | |||
충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고등학교 2065 | 가경삼일원앙아파트 2066 | |||||
서경중학교.서경초등학교 2067 | ↓ | ↑ | 서원고등학교 2068 | |||
서청주새마을금고 2069 | 가경주공2단지아파트 2070 | |||||
모태안여성병원 2079 | ↓ | ↑ | 모태안여성병원 2078 | |||
성화동.한전 2077 | ||||||
성화휴먼시아4단지아파트 2075 | ↓ | ↑ | 서남교회 2076 | |||
KBS 2073 | KBS 2074 | |||||
KBS 2019 | ↓ | ↑ | KBS 4071 | |||
성화주공2단지아파트 2017 | 구룡산휴먼시아3단지아파트 2018 | |||||
산남중학교 1714 | ↓ | ↑ | 산남중학교 1713 | |||
계룡리슈빌아파트 1687 | 계룡리슈빌아파트 1688 | |||||
현진에버빌아파트 1707 | ↓ | ↑ | 현진에버빌아파트.청주교육지원청 1708 | |||
수곡중학교 1703 | 수곡중학교 1702 | |||||
수곡2동행정복지센터 1697 | ↓ | ↑ | 수곡2동행정복지센터.두꺼비시장 1696 | |||
한솔초등학교 1695 | 한솔초등학교 1694 | |||||
산남주공아파트 1693 | ↓ | ↑ | 수곡1동행정복지센터 1692 | |||
청렴연수원.기적의도서관 1691 | 청렴연수원.기적의도서관 1690 | |||||
청주교육대학교 1632 | ↓ | ↑ | 청주남중학교 1633 | |||
청주남중학교 1634 | 수곡우체국 1635 | |||||
분평현대대우아파트 1642 | ↓ | ↑ | 분평1단지뜨란채아파트 1643 | |||
분평우체국 1640 | 분평휴먼시아2단지아파트 1641 | |||||
원마루시장 1766 | ↓ | ↑ | 원마루시장 1705 | |||
분평휴먼시아5단지아파트 1706 | 분평휴먼시아5단지아파트 1163 | |||||
↓ | ↑ | 중흥S클래스아파트서측 1859 | ||||
센트럴자이2게이트 2806 | 중흥S클래스아파트 정문 4091 | |||||
호반써밋브룩사이드아파트 3995 | ↓ | ↑ | 호반써밋브룩사이드아파트 3994 | |||
동남우미린풀하우스아파트 2587 | 동남우미린풀하우스아파트 2585 | |||||
월운6교 2589 | ↓ | ↑ | 월운6교 2609 | |||
월운4교 2591 | 월운4교 2607 | |||||
동남힐데스하임아파트 2593 | ↓ | ↑ | 동남힐데스하임아파트 2605 | |||
초롱꽃유치원 2595 | 초롱꽃유치원 2603 | |||||
동남파밀리에아파트 2758 | ↓ | ↑ | 동남파밀리에아파트 2464 | |||
동남파라곤아파트 2436 | 동남파라곤아파트 2482 | |||||
대원칸타빌더테라스2단지 2618 | ↓ | ↑ | 대성베르힐1단지 2528 | |||
대원칸타빌더테라스1단지 2580 | 대원칸타빌더테라스1단지 2710 | |||||
시티프라디움아파트 2684 | ↓ | ↑ | 시티프라디움아파트 2764 | |||
우진1차고지 4043 · 4042 |
4.3. 일 평균 승차량
- 출처: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
연도 | 일 평균 승차량 | 전년 대비 변동폭 | |||
2023년 | 2010.0 |
5. 연계 철도역
일반 철도역: 오송역(KTX, SRT, 무궁화호)
[승하차불가] 우진1차고지 정류장에서는 승차할 수 없다. 실질적인 기점은 시티프라디움아파트 정류장이다. 이와 비슷한 곳으로는 미평동차고지가 있다.[2] 2024년 1월 이후부터는 종점을 송산공원에서 노바렉스로 변경하면서 청주시 버스정보시스템과 버스 정류장에는 종점이 노바렉스로 기재되어있으나 이와 상관없이 기존대로 송산공원까지 운행한다.[주말감차] 주말 9대 운행[승하차불가] [5] 2023년 12월 9일 기준[6] 이 구간은 515-2번이 폐지된 구간을 점촌어린이공원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대체하는 목적도 있다.[승하차불가] [8] 해당 정류장까지 하차하는 승객이 없으면 정류장 통과 이전에 다른 길로 진입해 차고지로 바로 간다.[9] 노선 개통 초기에는 연제리지하차도를 통해 오송역북문에서 오송2산단으로 진입했으나 오송생명8로 구간 중 점촌어린이공원으로 직진하지 않고 중간에 오송역파라곤센트럴시티1차아파트로 꺾고 다시 바이오폴리스B8지구로 합류하는 굴곡만 있었지만 점촌어린이공원만 정차하지 않는다는 반발과 502번이 오송삼거리~오송2리/오송3리를 지나가는 경로에 반발이 거세지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송역파라곤센트럴시티1차아파트와 점촌어린이공원 수요 및 오송삼거리 정차를 503번이 대체하게 되어 연제리지하차도 대신 바이오폴리스지하차도로 가도록 조정하면서 오송2산단내 경로가 'ㅁ'자 순환으로 변경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려면 추가 간선 노선 신설이나 다른 노선이 필요하다.[10] 2024년 1월 이후부터는 청주시 버스정보시스템과 버스 정류장에 종점이 노바렉스로 기재되어있지만 2023년 12월 9일 노선 개통일부터 기존대로 송산공원 (정류장 번호 4032) 까지 운행하며 이후에 오송생명12로를 통해 노바렉스 (정류장 번호 2757) 정류장으로 편도 회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