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09:26:46

대한민국의 명망가 정당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
,
,
,

대한민국의 정당 분류
정부수립 이전
민주당계 정당
보수정당
(초기, 군정기, 민자당계)
극좌 | 진보 | 중도 | 중도보수 | 극우


1. 개요

대한민국의 명망가 정당(名望家政黨, Honoratiorenpartei)을 분류한 문서.

이념이 아닌 명망가 1명, 그 중에서도 대권 주자급 유력 정치인 1인[1]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정당이다. 유력 정치인 덕택에 대통령 선거국회의원 선거 등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낼 가능성이 있지만, 이와 같은 특수성 탓에 사실상 유력 정치인의 정치적 운명에 정당의 수명이 달려 있다는 한계가 크다.

명망가 본인이 당을 이끄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몇몇 군소정당들은 본인들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기 위해 명망가 정당을 표방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고건 전 총리를 지지한다며 창당한 한국의미래를준비하는당반기문 대망론의 바람을 타고 창당한 친반통일당 등이 있다. 결국, 이런 명망가의 이름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정당들은 당사자의 참여와 지지도 얻지 못하고 사라졌다.[2]

2. 목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역대 명망가 정당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정당 중심 인물 존속 기간 비고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정주영 1992 ~ 1994


[[신정치개혁당|
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
박찬종 1992 ~ 1994


[[국민신당(1997년)|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인제 1997 ~ 1998


[[한국미래연합|
파일:한국미래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박근혜 2002


파일:하나로국민연합 흰색 글씨.svg
이한동 2002 ~ 2004

[[국민통합21|
파일:국민통합21 흰색 로고타입.svg
]]
정몽준 2002 ~ 2004


파일:한미준_흰색.png
고건 2006 [3]


파일:국민연대 글자.svg
이수성 2007 ~ 2009


파일:창조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문국현 2007 ~ 2012


[[미래희망연대|
파일:친박연대 흰색 로고타입.svg
]]
박근혜 2008 ~ 2012 [4]

파일:친반국민희망.png
반기문 2016 ~ 2017 [5]


[[국민대통합당(2017년)|
파일:국민대통합당_글자.png
]]
장성민 2017 ~ 2018


[[늘푸른한국당|
파일:늘푸른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재오 2017 ~ 2018


[[국민의당(2020년)|
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
안철수 2020 ~ 2022

파일:새로운물결 흰색 로고타입.svg
김동연 2021 ~ 2022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이준석 2024 ~ 현재 [6]

파일:새미래민주당 흰색 워드마크.svg
이낙연 2024 ~ 현재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국 2024 ~ 현재
}}}}}} ||

2.1. 과거의 정당

2.1.1.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로고.svg

2.1.2. 신정치개혁당

파일:신정치개혁당 로고.svg
  • 신정치개혁당 (1992 ~ 1994)
    • 박찬종이 14대 총선을 앞두고 창당한 정당.
    • 통일국민당과 신민당으로 신설 합당.

2.1.3. 국민신당

파일:국민신당 로고.svg

2.1.4. 한국미래연합

파일:한국미래연합 로고.svg
  • 한국미래연합 (2002)
    • 한나라당박근혜이회창과의 갈등으로 인해 당을 탈당하고 창당한 정당.
    • 당시 자유민주연합, 정몽준, 이인제와의 '제3지대 연대'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무산.
    • 3회 지방선거 참패 이후 박근혜가 한나라당으로 복당하며 자진 해산.

2.1.5. 하나로국민연합

파일:하나로국민연합 로고.svg

2.1.6. 국민통합21

파일:국민통합21 로고2.svg

2.1.7. 한국의미래를준비하는당

  • 고건의 지지자들이 창당한 당. 그러나 정작 고건의 선긋기로 인해 구심점이 없어짐.

2.1.8. 화합과 도약을 위한 국민연대

파일:화합과 도약을 위한 국민연대 로고.svg

2.1.9. 창조한국당

파일:창조한국당 로고.svg

2.1.10. 친박연대

  • 친박연대 (2008 ~ 2012)
    • 18대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친박계 인사들이 창당한 정당.
    • 18대 총선에서 14석 획득, 원내 제4당 등극.
    • 19대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에 흡수 합당.

2.1.11. 친반국민희망연합

2.1.12. 국민대통합당(2017년)

2.1.13. 늘푸른한국당

  • 이재오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창당한 정당, 훗날 자유한국당에 흡수 합당 됨.

2.1.14. 국민의당(2020년)

파일:국민의당 로고_가로.svg

2.1.15. 새로운물결

파일:새로운물결 로고.svg

2.2. 현재

2.2.1. 개혁신당

파일:개혁신당 로고.svg

2.2.2. 새미래민주당

파일:새미래민주당 정식 로고.svg

2.2.3. 조국혁신당

파일:조국혁신당 로고.svg
  • 조국혁신당 (2024 ~ )
    • 22대 총선을 앞두고 조국이 창당한 정당.
    • 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12석 획득, 원내 제3당 등극.
    • 2024년 12월 12일, 조국 대표 의원직 상실[11].

3. 기타

  • '1인 정당'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명망가 정당은 중심 인물의 이름값과 대권후보로서의 체급이 중요하지만, 1인 정당은 중심 인물의 이름값과 상관없이 말 그대로 1인 위주로 운영하는 정당이기 때문.[12]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4대 대선
<nopad> 국민당 <nopad> 신정당 <nopad> 새한국
친정주영 박찬종계 민정계
15대 총선 ~ 15대 대선
<nopad> 민주 <nopad> 자민련
<nopad> 잔류파 <nopad> 이기택계 박찬종계 국민계 청구동계 민정계
15대 대선 ~ 16대 총선
<nopad> 민주 <nopad> 국민 <nopad> 자민련
통추 이기택계 이인제계 청구동계 민정계
16대 총선 ~ 16대 대선
<nopad> 민국 <nopad> 자민련
민주계 동교동계 박찬종계 청구동계 민정계
16대 대선 ~ 새천년민주당 분당
<nopad> 국민통합 <nopad> 자민련
후단협 정몽준계 이인제계 청구동계 민정계
새천년민주당 분당 ~ 17대 대선
<nopad> 중도민주 <nopad> 자민련
김한길계 동교동계 이인제계 청구동계 민정계
17대 대선
<nopad> 창조당 <nopad> 민주 <nopad> 무소속 <nopad> 중심당
친문국현 동교동계 비노 이인제계 이회창계 심대평계
18대 총선
<nopad> 창조당 <nopad> 선진당
친문국현 이인제계 이회창계 심대평계
18대 대선
친안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국민모임 민주당 국민회의 통합신당 구민주계 신민당 손학규계 김한길계 친안
국민의당 창당
<nopad> 민주 <nopad> 국민
김민석계 정동영계 천정배계 박지원계 손학규계 박주선계 김한길계 친안
19대 대선
<nopad> 국민 <nopad> 바른
호남계 김한길계 손학규계 친안 친이 친유 친무 소장파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
<nopad> 민평당 <nopad> 바른미래
정동영계 박지원계 호남계 손학규계 친안 친이 친유 친무 소장파
바른미래당 분당
<nopad> 민평당 <nopad> 대안 <nopad> 바른미래 <nopad> 새보수
정동영계 박지원계 호남계 손학규계 친안 친유 소장파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nopad> 민생 <nopad> 시대전환 <nopad> 국민
민평계 대안계 바른미래계 조정훈계 친안
제20대 대통령 선거
<nopad> 새물결 <nopad> 민생 <nopad> 시대전환 <nopad> 국민
친김동연 민평계 대안계 바른미래계 조정훈계 친안
제3지대론
<nopad> 민생 <nopad> 새미래 <nopad> 무소속 <nopad> 새선택 <nopad> 희망 <nopad> 개혁
호남계 친낙 대안모임 원상 세권력 금태섭계 양향자계 친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nopad> 조국 <nopad> 새미래 <nopad> 개혁
조국계 호남계 이낙연계 대안모임 민주계 세권력 금태섭계 양향자계 친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nopad> 조국 <nopad> 새민주 <nopad> 개혁
조국계 호남계 이낙연계 비이재명 민주계 친준 비준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기후민생 · 새민주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정당) }}}}}}}}}}}}


[1] 유명 정치인은 물론이고, 정주영, 문국현, 안철수 같은 기업인이나, 조국 같은 학자 출신 관료의 사례도 있다.[2] 반면 친박연대의 경우, 박근혜 본인의 참여가 없었지만, 박근혜의 지지를 얻어내는 데 성공했고, 이 영향인지 몰라도 선거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3] 고건 본인이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4] 친박계 인사들이 창당했으며, 정작 박근혜 본인은 친박연대에 소속된 적이 없다. 물론 입당만 안 했을 뿐, 한나라당 소속임에도 친박연대 인사들에게 "살아서 돌아오시라"라는 격려를 했다.[5] 반기문 본인이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6] 정당 성격상 빅 텐트 정당에 가깝지만, 대중적 인지도가 있는 인사는 사실상 이준석 한 명 뿐이기 때문에 '이준석 정당'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7] 이후 대선 국면에서 새천년민주당노무현 후보와 단일화.[8] 이후 대선 국면에서 사실상 대통합민주신당정동영 후보를 지지하고 중도 사퇴.[9] 이후 대선 국면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후보와 단일화.[10] 지역구 1석, 비례대표 2석.[11] 자녀 입시 비리 관련 유죄 확정 판결.[12] 예시로, 가나코리아는 류승구 대표의 1인 정당이라고 할 수 있지만 명망가 정당이라고 보기 힘들다. 인지도나 정치적 체급에서 '명망가'라고 부르기 힘들기 때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6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