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7-13 14:57:13

도미네이션즈/추가 정보/주요 전당(도자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도미네이션즈/추가 정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도미네이션즈/건물 및 병력/기타(뮤지엄)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width=330><tablebordercolor=#a3cca2> 파일:도미네이션즈 로고 영어_2.png Dominations
추가 정보
}}}
파일:도미네이션즈 커버.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병력
병력
전술성 병력
지상(레귤러)
유물
주요 전당
무기 장갑
보석 도자기
월드워 전당
전쟁 무기 전쟁 장갑 전쟁 장비
기타
싱글 플레이어 캠페인 이벤트 자원 생산량 증가 이벤트 할인 이벤트
}}}}}}}}} ||


1. 유럽
1.1. 단지
1.1.1. 할슈타트 단지1.1.2. 브렌누스의 할슈타트 단지
1.2. 꽃병 (그리스)
1.2.1. 크라테르 항아리1.2.2. 플라토의 꽃병
1.3. 히터
1.3.1. 아우텝사 히터1.3.2. 마이케나스의 히터
1.4. 저그
1.4.1. 바르트만 저그1.4.2. 발렌슈타인의 바르트만 저그
2. 아시아
2.1. 꽃병 (중국)
2.1.1. 명 왕조 꽃병2.1.2. 영락제의 꽃병
2.2. 주전자
3. 아프리카
3.1. 도자기
3.1.1. 바밀레케 도자기
3.2. 조롱박
3.2.1. 누페의 조롱박3.2.2. 초에데 왕의 조롱박
4. 아메리카
4.1. 개
4.1.1. 춤추는 4.1.2. 아카마피츠틀리의 춤추는 개
4.2. 꽃병
4.2.1. 틀라로크 꽃병4.2.2. 이츠코아틀의 틀라로크 꽃병

1. 유럽

Europe

1.1. 단지

Pot

1.1.1. 할슈타트 단지

Hallstatt Pot
기원 전 1200년-450년 즈음 후기 청동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에 켈트족 최초로 여겨지는 할슈타트 문화가 중서부 유럽 전역을 휩쓸었습니다. 그 이름은 당시 묘지가 발견된 오스트리아의 마을에서 유래합니다. 할슈타트 엘리트 계층은 언덕 위에 살면서 소금을 교역하며 번영했습니다. 후에 정치적으로 통일되지는 못했으나 광범위한 켈트 문화를 퍼트린 발전된 라텐 민족이 이들의 뒤를 이었습니다.
Considered the first Celts, the Hallstatt culture stretched across Central and Western Europe in the late Bronze and early Iron Age, roughly 1200-450 BCE. Its name derives from an Austrian town containing rich burial sites from the period. Hallstatt elites lived in hillforts and prospered by trading salt. They were succeeded by the advanced La Tene people, another politically disunified but extensive Celtic culture.

1.1.2. 브렌누스의 할슈타트 단지

Brennus' Hallstatt Pot
브렌누스는 기원 전 390년에 로마를 약탈한 갈리아 부족인 세노네스족의 수장이었습니다. 그는 알리아 강에서 로마군을 너무 쉽게 이겼기 때문에 함정일 것이라고 의심했습니다. 그가 병사들의 전리품을 측정하는데 있어 가짜 추를 사용하고 있다고 병사들이 불평하자, 그는 자신의 검을 저울에 던지며, '비통함은 패배자의 몫!'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원 전 1200년-450년 즈음 후기 청동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에 켈트족 최초로 여겨지는 할슈타트 문화가 중서부 유럽 전역을 휩쓸었습니다. 그 이름은 당시 묘지가 발견된 오스트리아의 마을에서 유래합니다. 할슈타트 엘리트 계층은 언덕 위에 살면서 소금을 교역하며 번영했습니다. 후에 정치적으로 통일되지는 못했으나 광범위한 켈트 문화를 퍼트린 발전된 라텐 민족이 이들의 뒤를 이었습니다.
Brennus was the chief of the Senones, a Gallic tribe who sacked Rome in 390 BCE. He had defeated the Romans so easily at the Allia River that he suspected a trap. When they complained he was using false weights to measure out their tribute, he threw his sword on the scales and said, 'Woe to the conquered!'

Considered the first Celts, the Hallstatt culture stretched across Central and Western Europe in the late Bronze and early Iron Age, roughly 1200-450 BCE. Its name derives from an Austrian town containing rich burial sites from the period. Hallstatt elites lived in hillforts and prospered by trading salt. They were succeeded by the advanced La Tene people, another politically disunified but extensive Celtic culture.

1.2. 꽃병 (그리스)

Vase (Greek)

1.2.1. 크라테르 항아리

Krater Vase
이 항아리는 심포지아로 불린 그리스 귀족 파티에서 많은 양의 음료를 섞기 위한 거대한 항아리이었습니다. 직접 들어서 음료를 마시기에는 너무 무거웠기 때문에 하인들이 작은 주전자에 따라 채우기 위한 통으로 사용됐습니다. 이렇게 파티 이외에도 신성한 의식을 위한 신주를 보관하는 데에 사용되었습니다.
The krater was an enormous vase for mixing beverages in large quantities at classical Greek aristocratic parties called symposia. It was too heavy to lift and drink from directly, so it was used more like a cask from which servants would fill smaller pitchers. In addition to its social use, the krater could also hold libations for sacred ceremonies.

1.2.2. 플라토의 꽃병

Plato's Vase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인 플라토는 위대한 고대 그리스의 3대 철학자를 잇는 중간 고리입니다. 대화로 기록된 플라토의 사상은 대부분의 서양 과학과 신학 체계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그는 정치학, 윤리학, 현실 등에 대한 글을 남겼습니다.

이 항아리는 심포지아로 불린 그리스 귀족 파티에서 많은 양의 음료를 섞기 위한 거대한 항아리이었습니다. 직접 들어서 음료를 마시기에는 너무 무거웠기 때문에 하인들이 작은 주전자에 따라 채우기 위한 통으로 사용됐습니다. 이렇게 파티 이외에도 신성한 의식을 위한 신주를 보관하는 데에 사용되었습니다.
As Socrates' student and Aristotle's teacher, Plato was the central link between the three greatest ancient Greek philosophers. Platonic thought, recorded in his dialogues, has formed the foundation for much of Western science and theology. He wrote about politics, ethics, the nature of reality, and more.

The krater was an enormous vase for mixing beverages in large quantities at classical Greek aristocratic parties called symposia. It was too heavy to lift and drink from directly, so it was used more like a cask from which servants would fill smaller pitchers. In addition to its social use, the krater could also hold libations for sacred ceremonies.

1.3. 히터

Heater

1.3.1. 아우텝사 히터

Authepsa Heater
로마인들은 물을 뜨겁게 유지하기 위해 아우텝사라 불리는 그릇을 사용했습니다. 이것이 현대적으로 계승되어 사모바르가 되었고, 러시아 등지에서 차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유럽에서 차는 대항해 시대 이후에나 알려졌기 때문에, 대신 로마인들은 뜨거운 물과 칼다 또는 칼리다라고 불린 향료를 섞어서 즐겼습니다.
Romans employed a vessel called the authepsa to keep water hot. One modern descendant is the samovar, which is used for making tea in Russia and elsewhere. As tea was not known in Europe until the Age of Exploration, Romans instead enjoyed a mixture of hot water and spices known as calda or calida.

1.3.2. 마이케나스의 히터

Maecenas' Heater
가이우스 마이케나스는 아마도 아우구스투스의 가장 가까운 조언자이었을 겁니다. 그의 뛰어난 정치력이 제국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그는 베르질리우스와 호라티우스 같은 젊은 시인을 후원한 것으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아이네이스라는 프로젝트에서 보여 주듯이, 그는 후배들이 황제와 로마 제국을 찬양하도록 격려했습니다.

로마인들은 물을 뜨겁게 유지하기 위해 아우텝사라 불리는 그릇을 사용했습니다. 이것이 현대적으로 계승되어 사모바르가 되었고, 러시아 등지에서 차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유럽에서 차는 대항해 시대 이후에나 알려졌기 때문에, 대신 로마인들은 뜨거운 물과 칼다 또는 칼리다라고 불린 향료를 섞어서 즐겼습니다.
Gaius Maecenas was perhaps Augustus' closest adviser. While his excellent statesmanship was critical to the empire, Maecenas is best remembered for his patronage of young poets like Virgil and Horace. He encouraged his proteges to glorify the emperor and the Roman state, a project exemplified by the Aeneid.

Romans employed a vessel called the authepsa to keep water hot. One modern descendant is the samovar, which is used for making tea in Russia and elsewhere. As tea was not known in Europe until the Age of Exploration, Romans instead enjoyed a mixture of hot water and spices known as calda or calida.

1.4. 저그

Jug

1.4.1. 바르트만 저그

Bartmann Jug
수염 있는 남자라는 뜻의 바르트만 저그는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라인 지방에서 제작된 독일의 석기입니다. 그 이름에서처럼 수염난 얼굴, 아칸서스 잎, 로마 동전처럼 생긴 타원형 메달 모양이 박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폭넓은 인기로 이 단지는 값진 수출품이 되었습니다. 영국부터 미국, 호주까지 전 세계의 시장으로 선적되었습니다.
The Bartmann or 'bearded man' jug was a type of German stoneware manufactured in the Rhineland from the 16th to the 18th century. Characteristic features include the namesake bearded face, acanthus leaves, and circular medallions resembling Roman coins. Their wide popularity made the jugs a valuable export product. They were shipped to markets all over the world, from England to America and Australia.

1.4.2. 발렌슈타인의 바르트만 저그

Wallenstein's Bartmann Jug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은 30년 전쟁 중 신성로마제국의 부대를 이끈 보헤미아 (체코)의 귀족이었습니다. 성공적인 이력 덕에 포메른의 공작[1]으로 불리게 되면서 그는 혼자 힘으로 평화를 위한 협상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밀실의 이중 거래로 그는 결국 암살 당하게 됩니다.

수염 있는 남자라는 뜻의 바르트만 저그는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라인 지방에서 제작된 독일의 석기입니다. 그 이름에서처럼 수염난 얼굴, 아칸서스 잎, 로마 동전처럼 생긴 타원형 메달 모양이 박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폭넓은 인기로 이 단지는 값진 수출품이 되었습니다. 영국부터 미국, 호주까지 전 세계의 시장으로 선적되었습니다.
Albrecht von Wallenstein was a Bohemian (Czech) noble who commanded the armies of the Holy Roman Empire in the Thirty Years War. For his successes he was named Duke of Pomerania, which led him to begin negotiating for peace in his own right. This backroom double-dealing soon led to his assassination.

The Bartmann or 'bearded man' jug was a type of German stoneware manufactured in the Rhineland from the 16th to the 18th century. Characteristic features include the namesake bearded face, acanthus leaves, and circular medallions resembling Roman coins. Their wide popularity made the jugs a valuable export product. They were shipped to markets all over the world, from England to America and Australia.

2. 아시아

Asia

2.1. 꽃병 (중국)

Vase (China)

2.1.1. 명 왕조 꽃병

Ming Vase
중국은 수 세기 동안 도자기를 생산했지만, 명 왕조의 외부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바탕으로 중동에서 새로운 기법, 디자인, 소재를 수입하게 됐습니다. 특히 징더전의 남동쪽 마을에서 도자기 산업이 번영했습니다. 이 새로운 청화자기 기법은 유럽에서 특히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제 명 왕조의 꽃병은 고급 취향의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Though China had been producing porcelain for centuries, Ming curiosity in the outside world led to the importation of new techniques, designs, and materials from the Middle East. The ceramics industry flourished, especially in the southeastern town of Jingdezhen. The new blue and white style later became extraordinarily popular in Europe. Now, the Ming vase is an iconic archetype of taste and luxury.

2.1.2. 영락제의 꽃병

The Yongle Emperor's Vase
영락제 덕분에 명 왕조는 전성기를 구가했습니다. 그는 베이징에 자금성을 건설했고 수도를 난징에서 베이징으로 옮겼습니다. 그의 감독 하에서 영곡탑이 설계되었고, 기념비적인 영락대전이 완성되었으며, 정화 제독이 유명한 보물 원정을 시작했습니다.

중국은 수 세기 동안 도자기를 생산했지만, 명 왕조의 외부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바탕으로 중동에서 새로운 기법, 디자인, 소재를 수입하게 됐습니다. 특히 징더전의 남동쪽 마을에서 도자기 산업이 번영했습니다. 이 새로운 청화자기 기법은 유럽에서 특히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제 명 왕조의 꽃병은 고급 취향의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The Yongle Emperor brought Ming China to its zenith. He built the Forbidden City in Beijing and moved the capital there from Nanjing. Under his oversight, the Porcelain Tower was designed, the monumental Yongle Encyclopedia was completed, and the admiral Zheng He began his famous treasure voyages.

Though China had been producing porcelain for centuries, Ming curiosity in the outside world led to the importation of new techniques, designs, and materials from the Middle East. The ceramics industry flourished, especially in the southeastern town of Jingdezhen. The new blue and white style later became extraordinarily popular in Europe. Now, the Ming vase is an iconic archetype of taste and luxury.

2.2. 주전자

2.2.1. 청자 모양 주전자

Celadon Dragon Pitcher
청자는 중국에서 처음 생산되었지만, 고려 왕조 시대에 한국의 장인들이 이를 완벽하게 발전시켰습니다. 빛나는 자기에 적용한 정교한 상감 기법이 대표적인 혁신 기술이었습니다. 초기 조선 왕조 시대에는 새로운 자기 기법이 개발되었는데 우아한 백자와 실용적으로 진화된 분청자기입니다.
The green pottery known as celadon was first produced in China, but it was perfected by Korean artisan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ir major innovation was the technique of engraving elaborate inlays below the glaze. The early Joseon Dynasty saw the development of new ceramic styles in Korea: elegant white porcelain and a practical evolution of celadon known as buncheong ware.

2.2.2. 태조 왕건의 주전자

Taejo of Goryeo's Pitcher
신라의 붕괴 이후 왕건은 고려를 세우며 한반도를 재통일했습니다. 왕건은 불교, 유교, 한국 토착 신앙의 힘을 바탕으로 거의 500년간 지속된 안정적인 왕조를 세웠습니다. 그의 사후에 '위대한 건국인'이라는 뜻의 태조라는 이름이 부여되었습니다.

청자는 중국에서 처음 생산되었지만, 고려 왕조 시대에 한국의 장인들이 이를 완벽하게 발전시켰습니다. 빛나는 자기에 적용한 정교한 상감 기법이 대표적인 혁신 기술이었습니다. 초기 조선 왕조 시대에는 새로운 자기 기법이 개발되었는데 우아한 백자와 실용적으로 진화된 분청자기입니다.
After the collapse of Silla, Wang Geon reunified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new state of Goryeo. Drawing from Buddhism, Confucianism, and indigenous Korean religion, he started a stable dynasty that lasted for nearly five centuries. He was given the posthumous name Taejo, meaning 'Great Founder.'

The green pottery known as celadon was first produced in China, but it was perfected by Korean artisan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ir major innovation was the technique of engraving elaborate inlays below the glaze. The early Joseon Dynasty saw the development of new ceramic styles in Korea: elegant white porcelain and a practical evolution of celadon known as buncheong ware.

3. 아프리카

Africa

3.1. 도자기

Pottery

3.1.1. 바밀레케 도자기

Bamileke Pottery
카메룬의 바밀레케족은 주로 농부였으며, 주식으로 참마, 옥수수, 땅콩을 재배했습니다. 남자들은 경작지 개간을 돕고 여성들이 주로 농작물 심기와 수확을 담당했습니다. 폭넓은 교역망 덕분에 바밀레케족은 이러한 유물 같은 도자기를 많이 제작하고 판매했습니다.
The Bamileke people of Cameroon are mainly farmers, choosing to grow yams, maize, and peanuts as staple crops. Men help clear the land, but women are mainly responsible for the planting and harvesting. Their homeland has extensive trading networks and the Bamileke people create and sell pottery much like this artifact.

3.2. 조롱박

Gourd

3.2.1. 누페의 조롱박

Nupe Gourd
누페족은 나이지리아 중부 및 북부에서 거주합니다. 이들은 다양한 도자기를 만들고, 기구나 담는 그릇 용도로 조롱박을 색칠해 사용했습니다. 누페족은 자신이 속한 가문을 보여 주거나 영적인 보호를 받기 위해 피부 난절법을 사용했습니다. 부족원들의 일부 흉터는 철저히 장식용입니다.
The Nupe people are located in central and northern Nigeria. They create a lot of pottery and also use and paint calabash gourds that act as utensils or containers. Nupe people practice scarification to display the family they belong to or for spiritual protection. Some of the tribal scars are purely for adornment.

3.2.2. 초에데 왕의 조롱박

King Tsadoe's Gourd
전설에 따르면 초에데 왕이 누페 왕국을 건립했습니다. 초에데는 누페 여성과 이웃 부족인 이갈라 왕의 아들이었습니다. 이갈라 가문에 바쳐져 아버지에게 인정을 받기 전까지 그는 어머니와 함께 살았습니다. 그의 아버지가 그를 이갈라 가문에 입적시켜 그를 왕으로 임명했습니다. 초에데는 곧 아버지가 가장 좋아하는 아들이 되었고 아버지 사후에 왕국을 계승할 위치에 있었으나, 이복형에게 배신을 당하게 됩니다. 그는 다시 고향으로 도망쳐와야 했었고, 이 곳에서 15세기에 누페 왕국을 건립했습니다.

누페족은 나이지리아 중부 및 북부에서 거주합니다. 이들은 다양한 도자기를 만들고, 기구나 담는 그릇 용도로 조롱박을 색칠해 사용했습니다. 누페족은 자신이 속한 가문을 보여 주거나 영적인 보호를 받기 위해 피부 난절법을 사용했습니다. 부족원들의 일부 흉터는 철저히 장식용입니다.
The Kingdom of Nupe was founded by King Tsoede, according to legend. Tsoede was the son of a Nupe woman and the king of a neighboring tribe, the Igala. After his birth, he was left to live with his mother until he was tributed to an Igala household, where he was recognized by his father. His father brought him into his household and elevated him to a prince. Tsoede soon became his father’s favorite and was in line to inherit the kingdom after his father’s death, but was betrayed by his half-brothers. He had to flee back to his homeland, where he established the Kingdom of Nupe in the 15th century.

The Nupe people are located in central and northern Nigeria. They create a lot of pottery and also use and paint calabash gourds that act as utensils or containers. Nupe people practice scarification to display the family they belong to or for spiritual protection. Some of the tribal scars are purely for adornment.

4. 아메리카

America

4.1.

Dog

4.1.1. 춤추는

Dancing Dog
아즈텍 부족에게 개는 굉장히 중요한 의미가 있었습니다. 아즈텍의 신인 소로틀은 매일 밤 지하 세계를 여행하며 태양을 보호해주고 이끌어 주는 유령 개로 묘사 됐습니다. 아즈텍 부족은 개를 기르며 종교 의식, 사냥개, 식량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했습니다. 귀족을 사후 세계로 안내하도록 개들은 종종 귀족과 함께 묻혔습니다.
Dogs hold a great significance to the Aztec people. The Aztec god Xolotl was depicted as a monstrous dog who would protect and guide the sun as it journeyed through the underworld each night. Dogs were domesticated by the Aztec people and were used in many common activities such as religious rituals, as hunting dogs, and as a food source. Dogs were often buried alongside nobles so they might help guide them into the afterlife.

4.1.2. 아카마피츠틀리의 춤추는 개

Acamapichtli's Dancing Dog
아카마피츠틀리는 아즈텍 왕국의 최초의 통치자이었습니다.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14세기 멕시코의 다른 지역 출신의 귀족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멕시코 원로들이 자신의 통치자로 임명할 사람들을 찾고 있을 때 아카마피츠틀리가 후보가 되었습니다. 아카마피츠틀리는 20세의 나이에 최초의 틀라토아니로 임명되었고, 죽을 때까지 29년간 통치했습니다.

아즈텍 부족에게 개는 굉장히 중요한 의미가 있었습니다. 아즈텍의 신인 소로틀은 매일 밤 지하 세계를 여행하며 태양을 보호해주고 이끌어 주는 유령 개로 묘사 됐습니다. 아즈텍 부족은 개를 기르며 종교 의식, 사냥개, 식량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했습니다. 귀족을 사후 세계로 안내하도록 개들은 종종 귀족과 함께 묻혔습니다.
Acamapichtli was the first ruler of the Aztec Empire. Both his father and mother were nobility from different regions of 14th century Mexico. This made Acamapichtli an excellent candidate when the Mexica elders were searching for someone to appoint as their ruler. Acamapichtli was appointed as the first Tlatoani at the age of 20, and ruled for 19 years until his death.

Dogs hold a great significance to the Aztec people. The Aztec god Xolotl was depicted as a monstrous dog who would protect and guide the sun as it journeyed through the underworld each night. Dogs were domesticated by the Aztec people and were used in many common activities such as religious rituals, as hunting dogs, and as a food source. Dogs were often buried alongside nobles so they might help guide them into the afterlife.

4.2. 꽃병

Vessel

4.2.1. 틀라로크 꽃병

Tlaloc Vessel
틀라로크는 아즈텍의 비와 비옥함의 신입니다. 틀라로크는 아즈텍 부족의 가장 중요한 신 중 하나로 아즈텍 수도의 주요 사원인 템플로 마요르의 절반이 이 신에게 봉헌되었습니다. 이 신을 달래서 도시에 행운이 깃들도록 틀라로크를 묘사하는 조각상, 마스크, 물을 운반하는 선박이 이 사원 아래에 묻혀져 있습니다.
Tlaloc was an Aztec god of rain and agricultural fertility. Tlaloc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ities of the Aztec people and had half of the Templo Mayor, the main temple in the Aztec capital city, dedicated to his worship. Statues, masks, and water carrying vessels, all depicting Tlaloc, were buried beneath the temple to appease him and bring good fortune to the city.

4.2.2. 이츠코아틀의 틀라로크 꽃병

Itzcoatl's Tlaloc Vessel
이츠코아틀은 아즈텍 왕국의 4번째 통치자입니다. 재임 기간동안 그는 자신의 본고장인 테노치티틀란와 다른 두 개 부족 간에 아즈텍 삼중 동맹을 맺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그는 나머지 영토도 빠르게 장악했습니다. 이츠코아틀은 주로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그의 사후에 수 세대간 지속된 공식 종교 및 정부 위계를 세운 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틀라로크는 아즈텍의 비와 비옥함의 신입니다. 틀라로크는 아즈텍 부족의 가장 중요한 신 중 하나로 아즈텍 수도의 주요 사원인 템플로 마요르의 절반이 이 신에게 봉헌되었습니다. 이 신을 달래서 도시에 행운이 깃들도록 틀라로크를 묘사하는 조각상, 마스크, 물을 운반하는 선박이 이 사원 아래에 묻혀져 있습니다.
Itzcoatl was the fourth ruler of the Aztec Empire. During his reign he forged the Aztec Triple Alliance between his home city of Tenochtitlan and two other tribal cities, although he quickly assumed control over the other territories. Itzcoatl is remembered primarily for expanding this empire’s territory and for helping to establish a formalized religious and governmental hierarchy that lasted for generations after his passing.

Tlaloc was an Aztec god of rain and agricultural fertility. Tlaloc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ities of the Aztec people and had half of the Templo Mayor, the main temple in the Aztec capital city, dedicated to his worship. Statues, masks, and water carrying vessels, all depicting Tlaloc, were buried beneath the temple to appease him and bring good fortune to the city.

[1] 실제 역사에서는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귀스트로 공작 자리를 빼앗아 메클렌부르크 공작으로 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