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고려고등학교 | 광주경신여자고등학교 | ◈ 광주공업고등학교 | |||
▣ 광주과학고등학교 | 광주동신고등학교 | 광주동신여자고등학교 | |||
광주숭일고등학교 | ▣ 광주예술고등학교 | ◈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 |||
⊙ 광주제일고등학교 | ▣ 광주체육고등학교 | 국제고등학교 | |||
◈ 금파공업고등학교 | 금호고등학교 | <colbgcolor=#ffcbcb,#340000> 금호중앙여자고등학교 | |||
문정여자고등학교 | 빛고을고등학교 | 살레시오고등학교 | |||
서강고등학교 |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 ◈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4b20e> 고등학교 | 광주동신고등학교 | 광주동신여자고등학교 |
중학교 | 광주동신중학교 | 광주동신여자중학교 |
|
광주동신여자고등학교 光州東新女子高等學校 Gwangju Dongshin Girls' High School | |
개교일 | 1970년 |
교훈 | 진리탐구(眞理探究), 정서순화(情緒醇化), 개아완성(個我完成) |
교목 | 향나무: 희망, 봉사, 강직 |
교화 | 철쭉: 의지, 절개, 지혜 |
교색 | 녹색: 전진, 평화, 침착 |
성별 | 여자고등학교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운영형태 | 사립 |
학교법인 | 동강학원 |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50 (풍향동) |
링크 | |
[clearfix]
1. 개요
광주광역시 북구 풍향동 에 위치한 사립 여자고등학교이다. 학교법인 동강학원 산하의 동강대학교, 광주동신고등학교, 광주동신중학교, 광주동신여자중학교와 붙어있다. 흔히 동신여고라 줄여 부른다.2. 학교 연혁
- 1966년 4월 23일: 학교법인 동강학원 설립인가
- 1969년 11월 22일: 광주동신여자종합고등학교 설립 인가 (12학급)
- 1970년 3월 5일: 제1회 입학식 (247명)
- 1970년 6월 5일: 초대 서병렬 교장 취임
- 1973년 9월 28일: 광주동신여자고등학교로 학칙 변경인가
- 1978년 6월 30일: 생활관 준공 (지하 1층, 지상 3층, 연건평 508평)
- 1999년 11월 2일: 단체 급식소 개소
- 2023년 1월 9일: 제51회 졸업식 (221명, 졸업생 누계 24,534명)
- 2023년 3월 2일: 제54회 입학식 (261명)
- 2024년 3월 1일: 제17대 오현수 교장 취임
자세한 연혁은 학교 공식홈페이지 참조.
3. 교훈 및 상징
3.1. 교가
같은 동강학원 소속인 광주동신중학교, 광주동신여자중학교, 광주동신고등학교와 교가가 같다. 학교 이름만 바꿔 부르면 된다.
4. 출신 인물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
- 동강대후문 정류장: 운림35, 일곡28, 봉선27,마을버스 788
- 동강대/동신고 정류장: 매월06, 지원15, 송정19, 일곡38, 문흥39, 송암47, 운림54, 문흥80, 용봉83, 석곡87, 두암181, 충효187, 160, 311, 322, 담양운수 광주 착발노선들
- 서방시장 정류장: 용전184, 419
6. 여담
- 동신고와는 동강대학교 대학매점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다. 그래서인지 대학매점을 만남의 광장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모양. 다만 흔히 생각하는 남고와 여고간의 로맨스 그런 거 없다. 대학본관이 사이에 있는 남고와는 달리 여고 구조상 급식 먹고 후식 먹으러 가기 좋게 급식실 바로 옆에 있어서 대학매점에는 보통 여고생들이 많다.
그치만 등교길에 동신고생과 동신여고생이 같이 등교하는 게 많이 보인다 - 후문이 말바우시장과 가까워서 근처에 먹을거리가 많다고 한다. 대신 정문 쪽에는 교복집들밖에 없다.
- 정문이든 후문이든 학교 건물까지 오는 오르막길이 장난이 아니다. 걸음이 느린 사람들은 10분도 걸리며, 등산하는 느낌까지 든다. 동강대 구조 상 가장 안쪽에 있는 건물이 동신고라면, 가장 위쪽에 있는 건물이 동신여고 건물이다. 그래서인지 등교길에 오르막이 엄청 많은 편.
동신여고 내의 계단도 많아 종아리에 알이 안 배길 수가 없다. - 주변에 벚꽃나무와 목련이 많다. 3월 말에서 4월 초에는 여느 꽃 축제 부럽지 않을 정도로 꽃이 만개한다. 그래서 사진 찍으러 오는 동신여고생들
과 사진 찍을 겸 여고생 보러 가는 소수(?)의 동신고생들이 많다. 그리고 민간인들도 많이 오기도 한다. 아예 벚꽃이 만개한 날 하루에 한 교시를 잡아 반끼리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해준다. - 교복치마가 길다. 학교에서 꽤 엄하게 잡는 편.
- 급식실, 음악실, 미술실을 갈 때 슬리퍼를 신으면 안 되고 운동화로 갈아신도록 되어있었지만 최근 급식실을 제외한 이동 수업은 슬리퍼가 허용되었다.
- 급식실이 작다. 입학식 날에 급식실을 처음 들어가면 혼돈의 카오스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1학년이 급식을 제일 늦게 먹도록 되어있는데 밥을 거의 마셔야 한다.
- 야자는 10시에 끝나는데 야자가 끝나고 버스를 탈 때 사람이 미어 터진다
[1] 사실상 최근 동강학원 통틀어서 제일 유명한 졸업생이다. 그래서인지 동신고에도 3학년 교무실 문에 혜린 사인이 붙여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