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16:37:35

롤러운전기능사

{{{+2 {{{#FFFFFF 건설기계운전 분야 자격증}}}}}}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146. 건설기계운전 기능사 굴착기운전기능사 기중기운전기능사 로더운전기능사
롤러운전기능사 불도저운전기능사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천공기운전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
국가전문자격 운전면허 1종 대형

건설기계 관련 자격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146. 건설기계운전 기능사 굴착기운전기능사
기중기운전기능사
로더운전기능사
롤러운전기능사
불도저운전기능사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천공기운전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기능사 건설기계정비기능사
타워크레인설치·해체기능사
산업기사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기능장 건설기계정비기능장
기술사 건설기계기술사
국가전문자격 운전면허 1종 대형
}}}}}}}}} ||

롤러운전기능사
롤러運轉技能士
Craftsman Road Roller Operator
<colbgcolor=#aabfdd,#465b79> 중분류 146. 건설기계운전
관련부처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1. 개요2. 취득 절차
2.1. 필기2.2. 실기
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건설기계롤러를 조종하기 위해 취득해야 하는 기능사 자격증. 국토교통부의 위탁을 받아 한국산업인력공단이 담당한다.

2. 취득 절차

시험종류 합격기준 제한시간 비고
<colbgcolor=#aabfdd,#465b79> 필기 60 / 100점 60분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실기 6분 작업형

2.1. 필기

건설기계조종사면허 필기 문제는 대부분 비슷비슷하다. 건설기계 분야나 기중기에 대해서 문제가 많이 나온다. 롤러운전기능사 필기 출제기준에 나오는 것만 공부하면 통과할 수 있다.[1]

2.2. 실기

F자 모양 코스에서 진행되며 제한시간은 6분. 주의사항으로는 절대 제자리에 멈춘 상태에서 핸들을 돌리면 안 된다.[2] 제자리에서 핸들을 돌리면 다짐 표면이 롤러를 따라 파이기 때문에 그 즉시 실격당한다.
1. 롤러를 운전해 직진하여 맨 끝 다짐장으로 이동한다.

2. 우측으로 90도 회전해 다짐장에 진입한 후 앞뒤로 3번 전/후진해서 총 3회 다짐을 실시한다.[3]

3. 3회 다짐이 끝난 후 90도 우선회 후진을 한 뒤, 다시 전진으로 우측 90도 회전해 T자 주차장에 진입한 후 검지선을 터치한다.

5. 90도 우선회 후진을 해서 출발장소로 돌아오면 시험은 종료된다.

3. 여담

2016년까지는 굴착기운전기능사[4], 불도저운전기능사, 로더운전기능사,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기중기운전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천공기운전기능사 간의 상호간 필기면제가 있어서 이 중 하나를 취득하면 2년 이내에 나머지 다른 중장비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다면 실기만 치르고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었다. 그런데 건설기계 분야 기능사 자격 중에서는 롤러운전기능사와 아스팔트피니셔운전기능사는 그 당시에 필기 상호면제 대상이 아니었고, 이 둘 사이에서만 상호간 필기면제가 시행되었다.

예전에는 아스팔트피니셔운전기능사,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가 따로 존재하였으나, 수요감소로 인하여 2016년 이후로 자격검정이 시행되지 않았고 2017년 고용노동부 개정령을 통해 현재는 롤러운전기능사로 통합되었다.

4. 관련 문서



[1] 필기는 합격률이 58%로 준수한 편이지만 실기에서 많이 떨어진다. 실기 공식이 바뀌어 난이도가 상승했다.[2] 흔히 현장에서 '모도시'라 부르는 행위.[3] 다짐 간격은 약 30cm 정도 겹치게 전/후진 하면 된다.[4] 당시에는 굴삭기기능사 라는 이름으로 시행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