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9:09:16

리무루루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리무루루가 사용하는 기술의 커맨드}}}에 대한 내용은 [[리무루루/커맨드 리스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리무루루/커맨드 리스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리무루루/커맨드 리스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리무루루가 사용하는 기술의 커맨드: }}}[[리무루루/커맨드 리스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리무루루/커맨드 리스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리무루루/커맨드 리스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라이트노벨 '전생했더니 슬라임이 된 건에 대하여'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리무루 템페스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리무루 템페스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리무루 템페스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라이트노벨 '전생했더니 슬라임이 된 건에 대하여'의 등장인물: }}}[[리무루 템페스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리무루 템페스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리무루 템페스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SAMURAI SHODOWN|
파일:ss2019logo.png
출전 캐릭터
]]


1. 개요

나는야 힘낼 거야.
카무이의 전사인 나코루루의 여동생. 쾌활하고 장난기 많은 성격이며, 좋아하는 언니와 마을에서 보내는 매일을 즐기고 있다. 얼음의 정령 '콘루'와 함께 행동하고 있으며, 리무루루와 콘루가 호흡을 맞춘 움직임은 가끔씩 언니도 넘어서는 수준이다. 아직 어린아이에 불과하다고 무시하지 말지어다. 그의 순진한 얼음 공격은 그 어떤 거대한 적이라도 얼음으로 바꾸어버린다.
SAMURAI SHODOWN 캐릭터 소개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의 여주인공 나코루루의 동생. 처음 등장 작품은 사무라이 스피리츠 2편으로, 나코루루 스테이지 배경에 에 안긴 채로 등장한다. 이것 때문에 당시 차기작에 얘가 등장하면 나코루루가 매를 데리고 나와서 싸우듯이 이쪽은 곰을 데리고 나와서 싸우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다고 한다. 물론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그 이후로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나코루루와 함께 시리즈의 간판 캐릭터.

2. 프로필

리무루루
リムルル
Rimururu
파일:Chara17.png
출신지 아이누모시리 카무이코탄(アイヌモシリ カムイコタン)
탄생일 안에이(安永) 3년(1774년) 7월 6일 저녁무렵
혈액형 B형
신장 4척 8촌(약 145cm)(진,제로,센,2019)/5척(약 151~2cm)(잔쿠로,아마쿠사,시혼,아수라참마전,창홍)
체중 말하지 않음
쓰리 사이즈 2척 3촌 / 1척 6촌 / 2척 7촌(잔쿠로 ~ 아수라)
2척 2촌 / 1척 5촌 / 2척 4촌(제로)
연령 14세(잔쿠로)[1]
15세(아마쿠사 강림, )
16세(시혼, 아수라)
12세(제로, 제로S)
17세()
13세(SS2019)
좋아하는 것 감, 얼음, 할아버지, 할머니, 단 것
싫어하는 것 고추, 아마쿠사, 매운 것
소중한 것 언니에게 받은 목걸이
특기 정령의 소리를 듣는 것(취미이면서 특기?)
취미 정령의 소리를 듣는 것
컴플렉스 어린애 취급 당하는 것
존경하는 인물 언니
좋아하는 타입 언니
검의 길에 대해 나도 언니처럼 강해지고 싶어!
인생의 목적 언제까지고 좋아하는 언니와 행복하게 사는 것
유파 시칸나카무이류 도무술(シカンナカムイ流 刀舞術)
무기 하하크루(ハハクル)
캐치프레이즈 맑디맑은 얼음의 정령(汚れなき氷の精)
별명 히로인이 될 뻔했던 소녀[2], 리무, 림룰, 좀비루루[3], 나코루루 빠순이
성우 치바 레이코[4](하오마루 지옥변)
사쿠라이 토모(잔쿠로 무쌍검)[5]
마츠모토 메구미[6](무사도열전[7], 아마쿠사 강림)
카미타니 케이코[8](시혼, 아수라(OVA 포함), 선물(OVA 포함), 검객이문록)
나바타메 히토미(제로, 제로S, 육번승부 천검전, , 그랑블루 판타지)[9]
쿠기미야 리에(천검전[10])
오오노 유우코(사무라이 쇼다운 M, 킹오파 올스타, SAMURAI SHODOWN)
카토 에미리(파치슬롯 사무라이 스피리츠 혼)

첫 등장한 잔쿠로 무쌍검에서 원래 시나리오상 히로인은 나코루루가 아니라 리무루루였다. 리무루루를 자세히 보면 나코루루를 기반으로 만든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3편과 4편에서는 나코루루의 헤드 스왑이었고, 잔쿠로 무쌍검 당시 수라와 나찰 간 표정이 달라지는 나코루루의 기믹을 이어받았으며[11], 이후에도 (2D 버전 기준) 나코루루와 다운 자세를 공유한다.[12] 그러나 이는 당시 수많은 팬들을 거느리던 나코루루 팬들을 자극하여 여러 항의문을 불러왔고, 내부 사정[13]까지 꼬인 결과 게임이 완성되기 직전에 프리퀄 체제로 급변경되었다고 한다.

언니에게 힘이 되고자 싸운다는 것이 바로 히로인화가 무산된 후 새로 부여된 설정이다. 하하크루라는 메노코마키리를 들고, 얼음의 정령인 콘루와 협동하며 싸운다. 초기 기획이 2대 히로인이였기 때문에 처음에는 로리 캐릭터와 거리가 좀 있었으나, 나나세 아오이를 비롯한 여러 동인을 거치면서 그렇게 되었다. 검객이문록 소생하는 창홍의 칼날에서는 봉인된 상태로 등장한다. 콘루가 작중의 보스인 오보로의 빛의 무녀를 없애려는 계획으로부터 리무루루를 보호하기 위해 얼음으로 감싸고 있고, 그동안 나이도 전혀 먹지 않았기 때문에, 냉동좀비라는 별명이 있다. 열성팬들은 이 '좀비'라는 별명에 격하게 반응하니 그들 앞에서는 사용에 주의. 애초에 이런 기준이면 한 번이라도 콜드슬립한 매체 캐릭터들은 예외없이 좀비로 간주되는 어처구니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농담은 농담으로만.

위의 프로필에서 알 수 있듯이 언니를 매우 좋아하기 때문인지, 동인지 등에서는 백합관계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걸 의식한 것 때문인지는 몰라도 갑자기 사무라이 스피리츠 제로에서 '나코루루와 친자매 사이가 아니다'라는 괴상한 설정이 생겨서 팬들에게 꽤나 충격을 주었다.[14][15]스토리상으로는 별 관련이 없으나, 히사메 시즈마루와 잘 어울리는 한쌍이라고 생각해서인지, 동인에서는 시즈마루와 리무루루가 커플링으로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16] 실제 게임 내에서는 별로 그런 분위기는 없고, 다만 네오지오 포켓용 '정상결전 최강 파이터즈 SNK VS CAPCOM'에서 리무루루가 시즈마루에 대해 이야기하는 장면이 있긴 하다. 뭐 그것도 '굉장히 어두운 애였어. 요즘은 통 보이질 않네'라고 말하는 정도. 통 보이지 않았던건 전적으로 SNK의 기술력 부족 때문이었지만.

설정상 아이누족이기 때문에 나코루루와 같이 기술 이름 모두 아이누어로 되어있다.

언니의 힘이 되기 위해 싸우려고 노력하는데, 실제로 그다지 도움이 된 적은 없다. 오히려 스토리상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거나 민폐를 끼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웃는 얼굴로 사람을 도륙하는 패러디마저 존재한다.[17] 무사도열전 드라마 CD에서는 맘대로 카무이코탄에 나와서 우시와카히메한테 된통당하고 조종까지 당해 나코루루를 포함한 주인공들에게 엄청난 민폐를 끼쳤다. 리무루루 자신도 인식은 하는지, 아수라참마전 OVA에서는 하오마루에게 고민을 털어놓을 정도. 이런 이미지가 보편적인 이유는 리무루루가 제대로 활약을 보이는건 드라마cd가 대부분이었고 이런 드라마cd는 인지도가 낮은 시혼 3부작 시절때 가장 리무루루를 푸쉬해 주었기 때문에 본편만 즐긴 유저에겐 민폐 캐릭터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 인게임에서 푸쉬를 제대로 받은건 창홍의 검 하나일듯. 드라마cd에선 나코루루 구출의 일등공신이 되거나, 나코루루를 대신해 시키의 검에 베이는 등 나름대로의 활약을 보여주지만 드라마cd인지도가...[18]하필이면 가장 푸쉬받은 시점이 팬들이 거들떠도 보지않는 폴리사무 인데다 그 중에서도 마이너한 드라마cd이기 때문에 활약상은 묻히고 인게임상 드러난 민폐 행적만 부각된 안타까운 캐릭터.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이외 작품에서는 시스터 퀘스트 모바일판 콜라보[19] 같이 사무라이 스피리츠와 콜라보레이션을 하는 게임을 제외하고는 외부 출장 경력이 2회뿐이다. 해당되는 게임은 그랑블루 판타지와 KOF 올스타. 여러 곳에 진출하며 KOF 올스타에는 KOF 소속으로 출장하는 자기 언니와는 정반대.[20] 심지어 NBC에서도 안 나와서 나코루루가 전용 더블 어설트를 못 들고 왔다.[21] 나코루루가 섬 이후 8년간의 공백을 뚫고 KOF XIV에 출장하고 라쇼진 미즈키버스에 탑승한 만큼, 마스코트 캐릭터였고 인기도 제법 있는 리무루루는 하오마루(주인공) 다음으로 KOF 출전 가능성이 있는 사무라이 스피리츠 진영의 캐릭터다.

(현재 시점으로) KOF XIV 이후 이야기를 다룬 쿠크리의 중2병 폭발 결과물SNK 히로인즈 Tag Team Frenzy에서 직접 등장을 하지 않은 대신, 셸미와 나코루루로 팀을 짤 경우 셸미를 통해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그런데 그 언급이라는 것이 나코루루 보고 리무루루인 줄 알았다고 한다(...). 버스의 소멸 이후 KOF 세계의 어딘가에서 셸미와 만난 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코루루와 마찬가지로 게임에서 신나게 웃으며 베어넘기는 모습 때문에 오해가 많지만 나코루루와 마찬가지로 엄연히 비살상주의 캐릭터다. 게임 내 대사도 싸움을 놀이로 인식하는 등 가벼운 분위기고, 승리대사도 "분명 용서해 주겠지 콘루?"같이 죄책감에 겨워하는 대사나, "있지,있지, 이런 데서 자면 감기걸린다?"같은 상대를 걱정하는 태도를 보인다. 게다가 드라마CD에서의 모습을 보면 평소엔 나서도 주위에서 못 싸우게 말리는 등, 비전투요원 취급이다. 즉 인게임에서 보이는 모습은 게임적 허용에 가깝고, 실제 성품은 천진난만하고 장난꾸러기지만 사람을 상처입히기 싫어하고 의젓한 면도 있는 마음씨 따뜻한 아이.[22] 따지고 보면 시혼 이전에는 인게임 참전 자체가 아예 if인 서비스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SNK캐릭터 앨범 리무루루편에 수록된 미니 드라마에 의하면 제로에서 변경되기 전 리무루루의 과거 서사의 편린을 엿볼 수 있는데, 여기서 구SNK시절의 리무루루가 제로, 2019 시점을 어떻게 보냈는지가 살짝 나온다.
12세 시절 봄(제로): 무녀 수련생으로 아버지가 멀쩡히 살아있고, 무녀수행을 땡땡이 치다가 마마하하에게 걸리는 모습으로 나온다. 훗날 그녀는 이때 더 열심히 수행하였으면 하고 후회했다.

13세 시절 여름(2019): 주위에서 나코루루만 편애한다며 가출을 한 적이 있으나, 시크루의 설득과 협박에 굴복해서.[23]몇 시간 안 되어 마을로 돌아갔고, 엄청 혼났다고 한다. 심통이 나 있었기에 억지로라도 울음을 참고자 했지만 자길 찾느라 상처투성이가 된 나코루루를 보고 결국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14세 시절 가을(초대~진): 아버지가 죽고, 나코루루가 여행을 떠나 카무이코탄에서 홀로 지내며 나코루루를 걱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면서 강해지고 싶다고 언니처럼 싸우고 싶다고 생각하지만 시크루는 리무루루가 발목만 잡을 거라면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리무루루는 이게 그저 아무리 노력해도 언니에겐 못 미칠 것이라고 여겨지는 듯 보였으나 사실 시크루는 리무루루까지 무녀로서 싸움에 나서는걸 걱정한 것이었고, 불과 수 개월이 지나고 진 시점에서 마마하하가 나코루루의 머리장식과 보도 치치우시만을 가지고 카무이코탄에 돌아오게 된다.

15세 시절 겨울(진 이후~시혼 직전): 나코루루는 돌아왔지만[24] 다시는 그런 슬픔을 겪지않기위해 수행에 매진하는 시점이다. 어설프게 우픈 오프를 구사하며 아직도 콘루의 힘을 다 끌어내지 못한다며 이럴줄 알았으면 진작에 열심히 수행할걸 하고 후회하기도 하지만 곧 떨쳐내고 더 힘내겠다며 웃으며 일어난다. 그리고 콘루 논노를 외치며 거대한 얼음 꽃을 만들어 내면서 미니드라마 4부작은 끝이난다.

설정변경 전 후를 포함하여 나코루루 못지않게 상당히 기구한 운명의 캐릭터다. 설정변경 전만 해도 나코루루와 함께 어릴적부터 어머니를 잃고, 14살 무렵 아버지까지 잃고, 가장 좋아하는 언니까지 떠나보냈고, 언니가 돌아왔나 싶더니 자연 속에서 살아가길 택해서 떨어져서 지내야 했다. 그것도 모자라 20년간 봉인까지 당해 또 언니와 생이별 해야만 했다. 마지막엔 다시 재회하긴 하지만. 하지만 이렇게 끝난줄 알았는데, SNK가 시리즈를 리부트하면서 과거 시점에서도 참전시키기 위해 12살때 이미 검을 들었다는 설정으로 변경되었고, 아버지 죽음이 더 빨리 앞당겨진데다, 주워온 아이 설정[25]으로 변경되어 가족을 잃는 경험만 2배로 늘었다. 나코루루와 관계성이 부정당한건 덤. 이쯤되면 이런 일들을 겪고도 여전히 밝은 성격인게 대단할 정도.

2.1. BGM

  • 테마곡
    • 마음의 거울

      잔쿠로 무쌍검 AST 버전


      제로 AST 버전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는 물론 대전액션게임 BGM 전체에서도 손가락에 꼽히는 명곡이다. 2ch에서 주기적으로 게임 BGM 순위 투표를 하는 스레가 있는데, 격투게임 BGM 한정으로 진행한 투표에서 2위를 했다.# 1위는 FFS의 테마곡 중 하나인 기스에게 간장. 좋은 곡인것과는 별개로 리무루루의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곡은 아닌데, 본래 리무루루가 나코루루를 대신해 참전할 예정이었음을 감안하면 언니를 잃은 슬픔을 극복하고 싸움에 나선 그녀의 결의가 돋보이는 곡으로 작곡되었으나, 나코루루를 재참전 시키면서 이야기가 프리퀄로 흘러갔기에 곡의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게 되었으나, 그냥 그대로 쓰였다고 볼 수 있다. 아니면 어머니, 아버지에 이어 머잖아 언니마저 떠나보낼 리무루루의 비극적인 운명을 암시한 곡일수도 있고.
  • 눈꽃(紗雪)&눈(雪)
    시혼과 아수라참마전에서 사용했던 테마곡. 나코루루가 돌아온 이후 시점이라 비극적이고, 애절한 톤의 마음의 거울과는 달리 시혼부터 확립된 리무루루의 캐릭터성에 맞게 가볍고 신나는 동화적인 분위기지만 약간의 애절함도 담긴 곡이다. 2019년 버전 테마곡도 이쪽을 베이스로 만들어진 느낌. 외전 그 사람으로부터의 선물에서도 이쪽이 리무루루의 테마곡으로 쓰였다.아침산책할때 듣기 좋다.
  • 보컬
    • 넘치는 마음 ~얼음의 요정~(あふれる想い ~氷の妖精~)


      사쿠라이 토모 노래. 발랄한 리무루루의 느낌을 잘 살린 곡이다. 사무라이 스피리츠 잔쿠로 무쌍검의 어레인지 사운드 트랙 수록곡이다.
  • 미소로 있을게(笑顔でいるよ)
상술한 눈꽃 어레인지의 보컬 버젼이다,그리고 후술하겠지만 나코루루를 추억하는 곡이자, 앞으로 언니 없이도 웃는 얼굴로 힘내겠다는 리무루루의 결의가 돋보이는 곡이다. ~하지만 나코루루가 돌아와서 그냥 결의로만 끝났다.~
  • 코코로오 츠나이데(心をつないで)

    이코마 하루미 × 카미타니 케이코 듀엣곡. 나코루루의 테마곡 '자연의 연회'와 리무루루의 테마곡 '눈꽃'을 합쳐 어레인지 한 것으로 서정적인 음율과 비극적인 자매의 운명 때문에 사무라이 스피리츠 관련 보컬 곡중에선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명곡으로 평가된다. 내용은 옛 추억을 떠올리며 서로 재회할 것을 다짐하는 곡이다. 아래 제로 스토리의 설정붕괴에 정면으로 반박하는 노래로, 나코루루,리무루루가 같은 어머니와 아버지를 둔 것으로 묘사된다.

3. 리무루루의 기술

리무루루의 기술은 대부분 아이누어 단어를 여러 개 붙인 것을 이름으로 쓰고 있으며, 각 기술명의 해석은 사무라이 스피리츠 잔쿠로 무쌍검 공략집에 기재된 구나 형태의 해석이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이누어는 포합어로써 구를 만들려면 단어 앞뒤에 비자립 형태소가 들어가야 하므로 단어를 죽 나열해놓는다고 해서 구나 형태로 번역할 수는 없으며, 이렇게 단어만 죽 늘여서 쓰는 것은 문법적으로도 잘못되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뜻에 대해서는 기울임체로, 아이누어의 정확한 직역은 밑줄로 표기한다.

리무루루의 아이누어 기술명의 공식 표기는 대부분 가타카나인데, 일부 작품에서는 일본어 가나를 기준으로 표기하고, 다른 작품에서는 아이누어 표기에 쓰는 가나를 기준으로 표기한다. 아이누어 가나 표기법에는 일본어에는 없는 발음을 나타내기 위해 일본어 가나에는 없는 문자들이 있으므로, 일본어 가나를 기준으로 발음하는 경우 정확한 아이누어 발음과는 약간 동떨어지게 된다. 여기서는 일본어 기준 가나 표기에 대해서는 기울임체로, 아이누어 가나를 반영한 표기와 발음은 밑줄로 표기한다.

리무루루의 기술명의 문법적 오류 가능성과 아이누어 직역에 대해서는 아래의 자료와 블로그를 참고하였다.

3.1. 기본기

  • 근접 B
    리치는 절망적이지만, 캔슬이 되므로 콘루 논노와 조합할 수 있다. 배후돌기와 조합하여 가불을 노려봄직도 하다.
  • 근접 C
    2히트. 1타째에 1도트, 2타째에 나머지 데미지가 모두 들어간다. 필드에서 쓸 경우, 거리가 애매하면 2타를 헛치는 경우가 있으니 조심할 것.
  • 원거리 C
    가장 리치가 긴 기본기. 밀기·당기기 후 100% 연결된다. 단, 나코루루의 경우 한 발짝 앞으로 간 후 쓸 것.
  • 앉아 C
    1히트에 소다운. 리치가 짧고 발동도 별로 빠르지 않으니, 갈포드의 앉아 C처럼 쓸 수 있으리란 헛된 꿈은 버려라. 구석에서 상대방의 기폭이 예상될 때 데미지 확보용으로 구석 밀기·당기기 후 근접 C 대신에 쓴다. 소다운이므로, 경우에 따라선 소다운공격 추가타도 가능.
  • 앉아 D
    견제용. 리무루루의 하단 기본기는 이것 말고는 모두 폐기물이다. 발공격인 주제에 하단 기본기 중 리치가 가장 길다. 리무루루의 리치가 얼마나 답이 없는지 알 수 있는 부분.
  • 대시 B
    손바닥으로 쳐낸다. 발동이 느려 조금은 답답하지만, CD로 강제연결이 되기 때문에 꼭 써야 하는 기본기다. 대부분의 콤보가 CD로 시작되는 리무루루에게는 핵심인 기본기. 이를 통해 필드에서 밀기·당기기 후 모든 캐릭터에게 CD 연결이 가능하다.
    참고로, 이 기본기는 CD처럼 상대방은 피격 시 항상 정면으로 서있게 된다.
  • 대시 C
    원거리 C와 비교하면 위력이 정말 처참하지만, 상대방의 빈틈을 노릴 땐 이것만한 게 없다. 어차피 상대방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울며 겨자먹기로 이걸 써야 한다.
  • 대시 D
    2히트 후 백스텝. 이렇게만 보면 치고빠지기에 쓸만할 것 같지만, 다운도 안 되며 백스텝때문에 딜캣을 당하는 핵폐기물이다.
    그러나 맨손일 때는 1히트에 상대방 소다운이라는 매우 적절한 기본기가 되고, 정면히트 시 대다운 공격 추가타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야말로 생명줄이 된다. 무기가 있을 때에도 이랬다면 약캐 소리는 안 들 었을 것이다.

3.2. 특수기

  • 루프시 카무이 웨이산페콜 - 얼리는 신의 장난(ルプシ カムイ ウェイサンペコル) - 얼리다-신-나쁜 마음을 품다(ルプ カムィ ウェイサンペコ, 루푸스 카뮈 웨이산페코르)
    대시 후 몸을 날려서 공격한다. 앞으로 넘어지는 것과 뒤로 자빠지는 것으로 나뉜다. 칼을 놓은 상태에서만 발동한다. 어째선지 쿠로코우지 유메지는 리무루루의 기술을 이걸로 사용한다.
  • 루프시 카무이 웨이산페콜-루얀페 - 얼리는 신의 장난-폭풍(ルプシ カムイ ウェイサンペコル ルヤンペ) - 얼리다-신-나쁜 마음을 품다-폭풍(ルプ カムィ ウェイサンペコ ルヤンペ, 루푸스 카뮈 웨이산페코르 루얀페)
    분노 상태에서 루프시 카무이 웨이산페콜을 사용시에 자동으로 사용된다. 몸을 날리는 건 똑같지만 굴러가기 때문에 다단 히트 판정이 나온다.
  • 기습공격
    천검전에서만 등장하는 특수기이며 BC를 눌러 사용하던 중단공격을 특수기화 한 것이다.
  • 도발
    리무루루의 도발은 다운 공격 판정이 있으며 데미지도 있다. 무의경지 콘루논노 공중콤보를 먹인 후 막타로 쓰면 리얼철권을 볼 수 있다.
  • 대다운 공격
    아마쿠사 강림부터 생긴 공격으로, 하오마루와 함께 최강의 데미지를 자랑한다. 거기다가 콘루 논노나 앉아 차기에서 확정타로 나가므로 리무루루의 뎀딜을 맡아준다. 다만 안타깝게도 판정이 좁고 판정시간도 어마어마하게 짧아 하오마루처럼 마음 놓고 쓰지는 못하기 때문에, 캐릭터마다 발동 타이밍을 익혀둬야 한다. 대부분의 캐릭터는 그럭저럭 상식적인 타이밍에 쓰면 되지만, 갈포드・한조・아마쿠사・잔쿠로의 경우 조금 늦게 써줄 것. 특히 뒤의 둘의 타이밍이 상당히 빡빡하다.
    제로에서는 공격판정범위와 데미지가 대폭 하향먹었으며, 그것 때문인지 제로스페셜에서는 다시 아마쿠사강림 때처럼 넓은 추격판정과 데미지로 돌아왔다.

3.3. 필살기

  • 루프시 크아레 - 얼리는 화살(ルプシ クアレ) - 얼리다-화살(ルプ クアリ, 루푸스 쿠아리)
    리무루루의 장풍. 다른 장풍 류 필살기들과 날아가는 궤도가 다를 뿐더러 버튼마다 공격지점이 다르다. 완만한 포물선 궤도로 얼음을 날리는데 A는 지면에서, B는 그보다 약간 위에서, C는 공중에서 히트한다. 아마쿠사 강림에서부터 '니시'와 '토이토이'로 갈라진다.
  • 루프시 쿠아레-니시 - 얼리는 화살-하늘(ルプシ クアレ ニシ), 얼리다-화살-하늘(ルプ クアリ ニ, 루푸스 쿠아리 니스)
    아마쿠사 강림에서부터 등장한 수라 전용 기술. 루프시 크아레처럼 포물선 궤도를 그리며 나간다.날아가는 도중에는 공격판정이 없으며 A는 바로 앞, B는 그보다 조금 멀리, C는 거의 화면 끝까지 가서 히트한다. 제로에서부터는 약, 중베기로 사용시에만 이 기술이 나간다.
  • 루프시 쿠아레-토이토이 - 얼리는 화살-땅(ルプシ クアレ トィトィ), 얼리다-화살-땅(ルプ クアリ トィトィ, 루푸스 쿠아리 토이토이)
    파일:attachment/rimururu_toitoi.gif
    아마쿠사 강림에서부터 등장한 나찰 전용 기술. 루프시 크아레와 달리 지면을 따라 날리는 장풍으로, 사용하는 버튼에 따라 속도가 달라진다. '니시'에 비하면 발동 속도가 굉장히 느리다. 제로에서부터는 강베기로 사용시에만 이 기술이 나가며, 속도는 A발동 시 속도와 같다.
    발동이 더럽게 느리기 때문에[26] 다른 캐릭터들의 장풍처럼 쓰기는 힘들다. 대신 수라와는 달리 CD → B 토이토이 연계가 가능하므로, 구석에서 이용할 경우 CD 13연참 → CD → B 토이토이 → CD → B 토이토이 → 대시 B → CD-B-B-C → C 루푸시 툼[27] → 대다운 공격이라는 정신 나간 콤보도 가능하다.[28][29]
  • 콘루 멤 - 얼음 샘(コンル メム), 얼음-샘(コンル メ, 콘루 멤)
    자신의 앞에 얼음 연못을 만든다. 하단 판정으로, 피격 시 데미지는 없으나 잠시 경직 상태가 된다. 하지만 성능이 별로라서 막을 사람은 다 막는다. 상대방이 점프할 때 착지 지점에 깔면 되겠지? 하는 생각에 깔아둬도, 바로 앉아서 막는다. 대신 걸렸다 하면 콤보 한 세트는 따 놓은 당상. 다운 시 깔아두기용으로 쓰는 편으로 우월한 판정의 중단공격과 조합하여 가드를 흐뜨릴 수 있다. 시혼과 아수라 참마전에서는 나찰 전용으로 바뀌었으며 그냥 데미지를 주면서 예전처럼 깔아 둘 수 없고 다운 시키는 평범한 하단기로 바뀌었다.
  • 콘루 논노 - 얼음 꽃(コンル ノンノ), 얼음-꽃(コンル ノンノ, 콘루 논노)
    대공기. 리무루루의 상징과도 같은 기술. 연꽃 모양의 얼음을 날려 수직으로 띄운다. 아마쿠사 강림에서는 분노 시 3개를 동시에 띄우며, 그만큼 데미지도 상승한다.
    공중에서 히트할 경우 눈곱 만큼의 데미지 밖에 안 되지만, 반드시 추가타로 들어가는 대다운공격의 절륜한 데미지로 커버가 된다. 공중 끝까지 판정이 올라가는 특성상 탐탐의 점C 등 타 캐릭터들의 악랄한 점프공격에 확실히 대처할 수 있다는 것도 포인트. 다만 띄우기 콤보에는 연결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개 근B나 CD-B-B에서 바로 연결한다.
  • 카무이 시투키 - 신의 거울(カムイ シトゥキ), 신-거울(カムィ トゥキ, 카뮈 스투키)[30]
    장풍기를 반사하는 기능이 있지만 기술 시전이 끝날 때 거울에서 얼음창을 소환하여 상대방을 날려버리는 공격이 나간다. 상대방이 기본기를 시전했을 때 히트시킬 경우, 상대방은 일정 시간동안 경직된다. 시혼과 아수라 참마전에서는 나찰 전용 기술로 바뀌었다.
    잔쿠로 무쌍검 당시 때에는 그냥 조금 떨어진 거리에서 얼음 거울만 만들어냈는데 이 거울에 맞으면 스턴 상태가 된다. 다만 단독으로는 판정도 늦게 나오고 영 구리구리해서 장풍반사나 콤보용으로만 썼다. 아마쿠사 강림 이후 위의 설명처럼 변경되었고 이후 그대로 유지되었다.
  • 콘루 시랄 - 얼음 바위(コンル シラル) - 얼음-바위(コンル シラ, 콘루 시라르)
    얼음을 공중에 소환하여 그 위에 앉는다. 다시 점프를 누르면 얼음이 떨어지며, 자신은 지면에 안착한다(떨어진 얼음은 중단판정). 너무 오래 앉아있거나 앉아있을 때 상대가 얼음에 맞으면 그대로 중심을 잃고, 자신은 추락하여 다운상태가 된다.[31] 특히 무기가 없을 때 추락하면 쓸데없이 누워있는 시간이 길어지는 탓에 빈틈이 대단하다. 무기를 떨군 상태라면 신중하게 사용해야 할 기술. 백스텝이나 BC 중단공격 캔슬로 초저공 콘루 시랄을 만들 수 있는데 기상 싸움에서 요긴하게 쓰인다. 3D버전에서는 서 있기도 한다. 처음 등장한 잔쿠로 무쌍검에서는 공통 기술이었으나 아마쿠사 강림에서는 수라 전용이 되었고 아수라 참마전에서는 다시 공통기술이 되었다. 네오지오 포켓판 1에서는 수라 전용이고 2에서는 나찰 전용.
  • 루푸시 툼 -얼리는 힘(ルプシ トゥム) - 얼리다-힘(ルプ トゥ, 루푸스 툼)
    파일:attachment/tum_c.gif
    그림은 상단 발동 모션.
    잔쿠로 무쌍검에서부터 등장한 나찰 전용 기술. 하단과 상단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단 같은 경우 2타가 대공판정이 있어서 대공용으로 사용한다. 아마쿠사 강림에서 부터는 수라의 콘루 논노와 같은 커맨드로 바뀌며 뱀술사처럼 하단(약베기) · 중단(중베기) · 상단(강베기)으로 나뉜다. 제로에서 부터 수라와 나찰이 합쳐지면서 삭제되었다가 천하제일검객전에서 콘루 멤의 커맨드로 부활하였다. 이때는 하단이 강베기버튼이고 상단이 약베기 버튼이 되었다.
    하단)
    견제용. 노멀 시 기습적으로, 또 상대방 피격 후 딜레이를 노려서 쓸만하다. 분노 후 근접해서 사용할 경우, 다단히트 + 다운판정에 대다운 공격이 가능하다. 다만 노멀과 달리 히트 후 경직이 전혀 없다는 게 흠.
    맨손일 경우 위력이 상승하며, 당기기 후 대시 손 → 루푸시 툼 하단 → 대시 손 → 루푸시 툼 하단…이라는 무한 콤보가 가능하다.[32] 다만 노멀 시에만 가능하다.
    중단)
    견제용. 하단에 비해 빈틈이 적으며, 리치도 약간 길다. 상대방이 강베기를 내미는 순간에 쓰면 카운터로 쏠쏠하게 먹히며(다만 사거리가 짧아서 노리긴 힘들다), 대시하는 상대를 쳐내기에도 하단과 함께 나쁘지 않다. 노멀 시 다단히트가 되나, 발동도 느려지고 히트 후 경직도 사라진다.
    상단)
    대공용으로 있는 것 같으나, 판정 거리가 너무 짧은 데다가 전방에는 판정이 전혀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단독으로도 쓸 수 없어 실제로는 거의 못 쓸 물건이다. 대신 콘루 논노와는 달리 어디서든 확실하게 띄우기 콤보와 연결되기 때문에 콤보용으로 쓰며, 이후 대다운 공격으로 마무리하는 게 기본이다.
    분노 시에는 판정이 대폭 증가하고, 전방에도 판정이 생기기 때문에 비로소 진짜 대공기가 된다. 더군다나 후딜도 적기 때문에 단발성으로 지르기도 괜찮다. 나찰 리무루루의 분노 필요성이 높은 이유 중 하나. 다만 하단이 텅텅 비는데다가 무적시간이 전혀 없어, 상대방이 공격하면 얼음은 얼음대로 나가고 자신은 처맞고 있는 속터지는 상황이 자주 일어난다. 더군다나 왠지 모르게 얼음이 리무루루와 같이 뒤로 물러나기 때문에 상대방은 맞지도 않는다.
    이미 기폭발을 해서 다시는 분노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면, 앞서 설명한 대로 그저 콤보 전용기술이 된다. 대공은 확신이 서면 점C로, 쫄린다 싶으면 제발 맞아달라는 기분으로 점D를 내밀자.
    3D 사무라이 버전에서 통상기로 상대를 얼리는 버프를 일정시간 주는 기술. 대신 월화의 검사 1에 나왔던 카에데처럼 지속시 체력 감소라는 페널티가 붙는다. 훗날, 어느 모 철부지도 모션이 비슷한 특수기로 쓴다 카더라(...)
  • 우픈 오프 - 눈보라의 창(ウプン オプ) - 눈보라-창(ウプン オ, 우푼 옵)
    2D버전에서는 나찰 전용. 3D버전에서는 수라 전용. 2D버전에서 가드대미지가 좀 높았다. 딜레이도 엄청나고 무엇보다도 CD 콤보 입력 시 삑사리로 나가는 경우가 많다. 리무루루는 CD 리치가 특히 짧아서 빠른 입력이 살 길인데, 나찰은 조금만 잘못해도 이게 나가다 보니 더욱 난감하다.
  • 루푸시 테크 눔-야크 - 얼리는 주먹-깨기(ルプシ テク ヌム ヤク) - 얼리다-주먹-깨지다(ルプ, 루푸스 텍눔 야크)
    잔쿠로 무쌍검에서만 등장한 수라전용 커맨드 잡기. 상대방을 얼린 후 화면 끝까지 밀어내 깨뜨린다.
  • 루푸시 테크 눔-치우 - 얼리는 주먹-차기(ルプシ テク ヌム チィゥ) - 얼리다-주먹-찌르다(ルプ チウ, 루푸스 텍눔 치우)
    잔쿠로 무쌍검에서만 등장한 나찰전용 커맨드 잡기. 상대방을 얼린 후 발차기를 하여 깨뜨린다.

3.4. 무기 날리기 필살기

  • 루프시 카무이 에무시 - 얼리는 신의 칼(ルプシ カムイ エムシ) - 얼리다-신-칼(ルプ カムィ エム, 루푸스 카뮈 에무스)
    잔쿠로 무쌍검에 등장하는 무기 날리기 필살기. 공중에서 얼음의 결정을 날린 후 결정 자체가 상대를 얼린다. 커맨드가 좀 많이 복잡했던 기술. 공중에서 떠서 사용하는 기술이면서도 지상에서만 발동이 가능하며 공중 발동이 안된다.
  • 루프시 카무이 에무시-니시 - 얼리는 신의 칼-하늘(ルプシ カムイ エムシ ニシ) - 얼리다-신-칼-하늘(ルプ カムィ エム, 루푸스 카뮈 에무스 니스)
    아마쿠사 강림, 아수라 참마전에서 수라 전용으로 등장. 제자리에서 거대한 얼음을 날리는데, 포물선 궤도로 날린다. 아마쿠사 강림에서 성능은 쓰레기 중의 쓰레기로, 콤보 연결도 안 될뿐더러 발동 또한 느려 엄청 막기 쉬우며(예측대공용으로나 쓸 정도), 당연히 난이도 레벨 1 CPU도 안 맞아준다. 그냥 봉인기. 시혼과 아수라 참마전에서는 얼음을 생성할 때도 타격 판정이 있어서 대공기로도 쓸 수 있으며 시혼에서는 앉아 강베기, 아수라 참마전에서는 CD연계기로 띄운 후 연속기로 넣어 줄 수 있게 바뀌어서 쓸만해으며 얼음 자체의 타격과 버튼 지속으로 딜레이 사용이 가능한 특성이 있는데, 이것을 다른 공격과 부딪쳐서 성능을 시험해 보는 동영상이 유튜브에 있기도 하다.
  • 루프시 카무이 에무시-토이토이 - 얼리는 신의 칼-땅(ルプシ カムイ エムシ トィトィ) - 얼리다-신-칼-하늘(ルプ カムィ エム トィトィ, 루푸스 카뮈 에무스 토이토이)
    아마쿠사 강림 나찰, 제로, 제로 스페셜의 무기 날리기 필살기. 위의 '니시'와 달리, 제자리에서 바로 거대한 얼음을 만든 후 화면 끝까지 밀어낸다. 발동이 빠른 편인데다가, 얼음의 크기 때문에 대공용으로도 쓸 수 있고 무엇보다도 띄우기 콤보 밎 구석에서 당기기→근B에서 간단히 연결된다. 구석 히트 시 추가로 대다운 공격까지 가능한 기술. 2히트짜리 기술로, 얼음이 앞에 나타날 때 한 번, 화면 끝까지 밀어낼 때 한 번이다. 근접 시 전자를 가드당할 경우, 상대방에게 얄짤없이 당한다. 전자만 가드해도 상대방이 공격할 틈이 널널하기 때문. 천하제일 검객전에서는 콘루 스투 포로가 무기날리기 필살기가 되면서 비오의로 변경되었다.
  • 루얀페 콘루 노치우 - ''폭풍 얼음 별(ルヤンペ コンル ノチゥ) - 폭풍-얼음-별(ルヤンペ コンル ノチゥ, 루얀페 콘루 노치우)
    아수라 참마전에 등장하는 나찰용 비오의. 3D 버전에서는 얼음 결정 네 다섯발 정도를 아테나의 크리스탈 슛의 포즈를 취하며 모으다가 딜레이를 줘서 날리는 기술이며, 횡이동으로 어느 정도는 피해진다. 네오지오 포켓 버전에서는얼음 결정을 쏜 다음 더 큰 것을 날려서 상대를 벽에 부딪치게 한다. 가드 대미지 KO를 노리기에 좋다.
  • 콘루 스투 포로 - 거대한 얼음 곤봉(コンル ストゥ ポロ) - 얼음-곤봉-크다(コンル ストゥ ポロ, 콘루 수투 포로)[33]
    거대한 얼음 망치를 만들어 찍는다. 아수라 참마전에서는 나찰의 루푸시 툼 발동 시켜놓은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한 가드불능 기술, 제로 스페셜에서는 절명 오의, 천하제일 검객전에서는 무기 파괴 필살기.
  • 포로 콘루 투르세레 - (ポロ コンル トゥルセレ) - 크다-얼음-떨어뜨리다(ポロ コンル トゥセレ, 포로 콘루 투르세레)
    2019년 SAMURAI SHODOWN의 비오의.

4. 시리즈별 모습

러시 캐릭터인 자기 언니와 달리, 자신과 함께있는 콘루와 함께 싸우면서 공중에 일정시간이 지나면 떨어지는 얼음덩어리를 설치하거나 바닥에 얼음을 깔거나 하며 상대를 압박하는 니가와형 깔아두기 캐릭터다. 크기가 작고 속도가 매우 출중하여 깔아둔 기술에 상대가 당하면 바로 달려와서 베기를 먹일 수 있다. 특이하게도 무기를 떨어뜨려야 쓸 수 있는 타격기가 있으며 데미지는 약하지만 발동이 매우 빠르고 연속으로도 들어가기 때문에 가끔 기습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4.1. 진 사무라이 스피리츠 하오마루 지옥변

파일:kamuikotan.gif

최초 배경캐릭터로 등장한 2편에선 그다지 개성없는 단발머리 소녀로만 나왔다. 이때 리무루루의 가장 큰 특징으론 빨간 리본이 있다. 아주 드물지만 픽시브 등을 찾아보면 이 버전 리무루루의 팬도 있는 듯.

4.2. 사무라이 스피리츠 잔쿠로 무쌍검

파일:rimu-shodown3.jpg

사무라이 스피리츠 잔쿠로 무쌍검 에서 처음 나왔을 때는 중상캐정도로 인식되었고 나중에 가서야 사기 캐릭터로 재조명받았지만 게임이 밸런스 문제로 망했고 4편이 빨리 나온 관계로 강캐 이미지가 적다.

물론 게임이 막장인만큼 리무루루 역시 무한 스턴 콤보를 보유하고 있다. 수라 한정으로 상대를 뒤잡기로 밀쳐낸 뒤 근접중베기 → 콘르 멤 → 점프 강베기 → 카무이 시투키...

4.3. 사무라이 스피리츠 아마쿠사 강림

파일:rimu-shodown4.jpg

전작보다 대폭 약화. 오로지 도망다니면서 짧은 리치로 상대를 야금야금 데미지를 주어야 되고, 상성도 전 캐릭 중 절반 이상되는, 약캐로 몰락하였다. 수라는 콘루 논노로 대공을 책임지고, 또 콘루 시랄로 도망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나찰은 그마저도 없어서 오히려 어떻게든 러시를 나가야 한다. 무한콤보가 있기는 한데 난이도가 높다. 때문에 리무루루를 쓰면 백이면 백 수라만 고른다. 아니, 애당초 리무루루 플레이어가 거의 없다. 언니는 동 작품에서 1군급 사기캐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언니의 떨리는 하얀 어깨를 푸른 달빛이 비추고 있었어요. 그 광경은 제 뇌리에 새겨져 떨어져나가질 않았고, 그리고...전 깨달았어요. 나는 언니를 지탱하는 존재가 되어야만 한다고. 분명 그걸 위해서 태어난 거였던 거라고...그러니까......


시크루, 언니가 여행을 떠났어. 난 강해질거야 지금은 아직 무리일지라도 언젠간 언니를 지킬 수 있도록. 지켜봐줘 시크루.

얼음의 정령이여 내 소중한 사람이 지금부터 무시무시한 적에게 맞설거야. 그러니까 부탁할게 힘을 빌려줘. 모든 사악한 것을 얼려버릴 만큼의 힘을...!

내 이름은 리무루루! 카무이의 무녀이자 전사 리무루루!

(아마쿠사 강림 드라마cd 달빛 中)

드라마Cd인 달빛에서는 초대 사무라이 스피리츠 스토리 개시 직전 나코루루가17살 리무루루가 14살이던 시점으로. 아버지의 부고로 슬픔에 빠졌을때 언니인 나코루루가 의연한 태도를 보이자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슬프지도 않냐면서 언니따윈 싫다고 화를 내고 집을 뛰쳐나간다. 하지만 나코루루가 목욕재계를 하면서 홀로 억눌러왔던 슬픔을 터뜨리는걸 숨어서 보게되면서 나코루루의 진심을 알게되고 자신은 분명 언니를 지탱해야 할 존재로 그걸 위해 태어났을거라고 독백하며 얼음의 정령 콘루를 불러 모든 악을 정화할 힘을 달라고 하며 각성한다.
이때 이전까진 평범한 아이처럼 お姉ちゃん이라고 칭하던 나코루루에 대한 호칭을 姉様로 바꾸게 되며 결의를 다진다.

4.4. 진설 사무라이 스피리츠 무사도열전

진설 사무라이 스피리츠 무사도열전의 사이드 스토리에서는 함께 싸우겠다며 따라나서는걸 만류하는 나코루루에게 삐쳐서 시크루에게 "언니보다 먼저 항구에 데려다 줘. 안 그럼 언니 돌아올 때까지 밥 안준다?" 고 반 협박을 해서 먼저 항구에 도착하지만 촌장의 통행증도, 돈도 없어서 안절부절 하다가[34] 쿠로코와 정령 콘루의 도움으로 밀항을 하게 된다. 참고로 요화통곡의 장에서 파티에 있을때 그린헬편을 진행하면 강에서 목욕하는 CG가 나온다.

전반적인 성능은 공격용으로는 못 쓰는 대신, 보조용으로는 최상급의 성능을 낸다. 적들은 행동불가 상태로 만들고 자기 팀원들은 회복시켜주고 보조면에서는 혼자 다 한다고 볼 수 있을 정도.

4.5. 시혼 사무라이 스피리츠


파일:1000067744.jpg

작품 자체가 흑역사지만 역대 리무루루가 입은 복장중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복장인지라 이후의 시리즈에 등장하는 리무루루의 복장은 시혼 시절의 복장을 베이스로 입고 나온다.(아수라참마전은 나찰만, 이후 시리즈엔 시혼 시절 복장에 어레인지, 섬은 시혼 시절 그대로, 2019 리부트판은 아예 폴리사무 3부작 요소를 전부 넣은 완전체.)
특이한 문양의 목걸이를 걸고 나오는데 이는 나코루루에게 선물받은 것이라고 한다.

리무루루로 엔딩을 보면 일본판 한정으로, 엔딩에서 다른 캐릭터들이 평소의 글씨체로써 본인의 엔딩 내용들이 나오지만, 리무루루는 말 그대로 편지 처럼 자신의 글씨로 적어놓은 엔딩 내용이 나온다. 그 후 크레딧을 다 보면 나오는 캐릭터별 사인에는 '안녕~' 이라고 적은 글씨와 함께 본인의 웃는 얼굴을 그려놓은 모습이 나온다. 내용을 보면 고향에 계신 할머니에게 보내는 모양.

드라마cd B루트에서는 상당히 대활약 하는데 부활한 나코루루의 위기를 감지한 마마하하가 날아가자 언니가 어딘가에 있음을 짐작하고 홀로 카무이코탄을 뛰쳐나왔다. 하지만 중간에 돈이 바닥나게 되어 음식점에서 당고를~20개나~ 훔쳐먹다 걸리게 되고 마침 그 자리에 있던 하오마루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하고 밥을 얻어먹는다.[35]이후 하오마루의 도움을 받아 나코루루를 수색하게 되고
이후 행적이 A루트와 B루트로 갈린다.

A루트: 간다라에 흡수된 나코루루를 하오마루가 억지로 꺼내서 구출. 다만 영력을 지나치게 빼앗겨 나코루루는 언제 깨아날지 모르는 혼수상태가 되고 리무루루는 곧 깨어날 거라고 희망을 갖는다.

B루트: 간다라에 흡수된 나코루루를 리무루루가 무녀의 힘으로 공명하여 접촉. 간다라와 함께 자신을 베라고 희생을 자처하는 나코루루를 설득하게되고, 하오마루의 일섬으로 나코루루를 구출하게 된다. 이후 나코루루에게 어엿한 무녀로 인정받고 함께 여정을 떠나게 된다.

여담으로 이 드라마cd에서 잠깐 나오는 회상에선 아버지가 살아있는 무녀 수련생 시절때도 나코루루에 대한 호칭은 姉様로 고정이다. 훗날 나온 제로시점에서도 그렇게 부르는걸 보면 매체별로 오락가락하던 호칭을 확실하게 통일하고자 한 느낌이다.

4.6. 아수라참마전 사무라이 스피리츠 2

파일:rimu-sp32.jpg파일:rimu-sp.jpg
아수라참마전 수라 아수라참마전 나찰

3D 시절엔 웬 반바지로 바뀌었다.[36] 특히 아수라 참마전에는 타 캐릭터들이 그렇듯 수라/나찰에 따라 완전히 외형이 갈렸는데, 나찰은 전작 시혼 버전의 어레인지다. 콘루의 색깔이 분홍색인 것은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그에 비해 수라 버전은 반대로 굉장히 소녀틱하게 바뀌었는데 2편에서 배경캐릭터로 나왔을 때의 모습을 바탕으로 디자인한 것이라고 한다. 이 수라 버전 리무루루도 팬층이 많았으며, 특히 나나세 아오이가 이 수라 리무루루를 굉장히 선호했다.[37] 수라의 경우는 얼음을 이용한 장풍기라던가, 기존 2D의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나찰의 경우는 상대를 얼리면서 직접 공격으로 파고들고 트릭키한 움직임을 하는 전술로 바뀌었다. 이 작품부터 나코루루와 리무루루는 절단에서 보호받지 못하게 되었다. 절단시 허리 약간 위 쪽이 절단된다.

수라와 나찰 공통으로 데굴데굴! 이라는 사용시 리무루루가 구르며 이후 입력한 버튼에 따라 상황에 맞는 추가타를 사용하는 기술과 앉아있는 상대방을 잡고 너머로 뛰어넘어버리는 기술이 생겼으며, 커맨드 잡기도 생겼다. 수라는 상대방의 손을 붙잡고 빙글빙글 돌리다가 발을 걸어 넘어트리며, 뒤에서 잡았을 경우 상대방을 잡고 달리다가 지쳤는지 멈추면서 상대를 날려보낸다. 나찰은 잡은 상대의 손목을 손으로 내려치며 '아팠냐?' 라고 말하며, 뒤에서 잡았을 경우 상대방의 무릎 뒤쪽에 니킥을 먹이고는 앞으로 세게 밀어버리며 날려버린다.

수라는 66D와 44D로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길게 넘어가는 점프를 할 수 있다.
나찰은 AD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안돼~(いけてな~い) 라며 포즈를 취하는 도발이 있으며, 연속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연속 사용시 리무루루의 웃는 소리가 대신 나온다.

아수라참마전에서는 CD-B-B-B 후 수라는 콘루논노, 나찰은 카무이 시투키 후 추가 연속기 데미지 화력도 넉넉한 편. 수라나 나찰이나 상당한 강캐이다.

여담이지만 수라 리무루루는 승리 포즈가 목에 걸려있는 오카리나를 꺼내서 부는건데, 그걸로 연주하는 곡이 3,아수라참마전 때의 자신의 테마곡 초반 부분이랑, 나코루루의 아수라참마전 테마곡 초반 부분이다. 나코루루의 테마곡을 연주하다가 "어레?"라고 하는건 덤.

게임 엔딩에서는 괴제유가 봉인에 큰 활약을 펼치게 된다. 옛날과 다르게 리무루루가 성장했다는걸 반영한 듯 하며 나코루루도 과거와 다르게 성장한 리무루루를 인정하게 된다.

스탭 롤에서는 수라 리무루루는 나찰 리무루루랑 함께 포즈를 잡고 서 있는 모습이 나오지만, 나찰 리무루루가 나오고 나서는 수라 리무루루에게 헤드락과 동시에 꿀밤을 쥐어박고 있다.

드라마cd 1~4편 까지 하오마루,나코루루와 함께 주연으로 등장한다. 1편 부터 하오마루와 언니와 함께 괴제 유가를 쓰러트리는 대활약을 펼치고[38] 두 사람과 함께 카무이코탄으로 돌아가던 중 객잔에서 기억을 잃은 시키와 만나게 된다. 이후 별 비중이 없다가. 시키의 기억이 돌아오고 하오마루를 습격하면서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는데 나코루루가 두 사람을 말리다가 말려들자 나코루루를 지키려들다 시키의 검에 베여 중상을 입는다.[39]이후 하오마루에 의해 의사에게 보내지고 일주일 뒤 어느정도 부상이 회복되고 하오마루에 업힌채로 카무이코탄에 돌아간다.

드라마cd 번외편 리무루루의 모험에선 또 돈이 없었는지 오랫동안 밥을 못 먹다가 산중에 쓰러지게 되었는데, 지나가던 하오마루의 도움으로 다시 밥을 얻어먹게 되나... 했으나, 이번엔 하오마루도 지갑을 잃어버려 진퇴양난에 빠지고 하오마루가 대놓고 먹튀를 제안하자 대자연의 무녀가 먹튀할 순 없다며 반발한다. 거기에 때마침 자리에 있던 겐쥬로까지 자기도 돈이 없다며 셋이서 각자 다른 방향으로 튀자고 제안하는데. 그때 시키가 객잔에 난입하게 되고 3명은 일제히 시키를 습격하여 돈을 빼앗아 음식값을 내고 튀게 된다. 하오마루 습격하려다 졸지에 지갑을 털린 시키는 얼빠진목소리로 "...하아?"하며 객잔에 남고, 리무루루는 "다음에 카무이코탄에 오시면 식사대접할게요... 그럼...잘있어요!"하고 튀는게 압권.

4.7. 검객이문록 소생하는 창홍의 칼날

파일:rimururu-warriorsrage.jpg

플레이어블로 등장하지 않고, 스토리에서만 등장. 검객이문록의 리무루루는 나찰 버전을 계승했지만 키타센리 특유의 부드러운 그림체 덕분에 굉장히 귀엽게 나왔다. 복장은 시혼 시절의 복장을 또 다시 어레인지 하였다.

게임 안에서는 나코루루가 오보로한테 봉인당하여 또다른 빛의 무녀를 노리던걸 정령이던 콘루가 알아차리고 리무루루를 냉동시켜서 그녀를 봉인하고 있었다. 하지만 계속 되는 오보로의 위협을 느낀 나코루루는 정령화를 하여 플레이어 한테 도움을 요청하게된다. 그들을 인도하여 "또 한명의 빛의 무녀를 구해달라"고 하는데 그 무녀가 리무루루.

나코루루가 몸의 한계치가 와서 더이상 움직이지 못한다며 리무루루를 플레이어가 구해주도록 부탁을 한다. 그리고 20여년만에 콘루의 봉인이 풀려 빛의 무녀로서 리무루루는 부활한다.

정령화된 나코루루는 플레어들중 "하오마루", "미코토"와의 대화 도중이 크게 달랐다. 하오마루는 오랜 세월동안 함께 해온 동료 였기 때문에 "20년 만이네.." 라는 대사와 "부탁해 하오마루씨.." 라는 대사를 하며 친근하게 대화를 했었고. 리무루루를 구해달라는 말을 하였다. 미코토쪽은 리무루루에 대한 설명 보다는 "미코토 자신의 부모님과 안에 있는 어둠의 인격에 대해서를 설명하며 크게 슬퍼한다." 그러나 플레이어 캐릭터가 미코토나 쿠키 토마일경우 리무루루는 아예 등장하지 않는다. 작중 오보로와 한패인 그들이 리텐쿄를 싸돌아다녀 나코루루와 리무루루를 봉인하는 결계의 영향이 커진 탓으로 추측된다. 결계가 아니더라도 그들이 굳이 빛의 무녀인 나코루루와 리무루루를 해방해줄리가 없기도 하고.[40][41]
그후 플레이어가 오보로의 하수인들을 처리후 빛의 무녀를 구해주게 되는데 리무루루는 뭔가 따뜻한 기운을 느끼며 나코루루가 가까이에 있다는걸 알아채고 나코루루와 같이 대자연의 정화를 하게된다.

파일:1000067067.png

엔딩에선 나코루루의 정령체는 소멸하고 본래 육체로 돌아가 깨어나는데 리무루루가 언니를 찾아가는 장면으로 마무리되는데, 이것이 과거 시점인지 본편 엔딩 이후인지 팬들 사이에선 의견이 분분했다.[42]


파일:1000067071.png

하지만 정령체가 분리될때 나코루루의 육신은 그대로 남았었고, 그 장소는 엔딩에도 등장한 나무 아래였으므로 자매는 결국 재회를 이루었다고 보는게 맞을듯.

게다가 나코루루는 타숀마오 라는 캐릭터 엔딩에 하오마루와 정령 나코루루가 대화를 하며 배웅하는 장면으로 생존이 확인되었다. 리무루루가 급하게 나코루루를 만나기 위해 뛰어오다가 타숀마오와 충돌하는 장면이 있다. 아마 코코로오 츠나이데 엔딩은 이 다음 이야기 인듯?

창홍검의 엔딩 부분에서 리무루루가 빛의 무녀로써 정식으로 이어 받는건 아마 원래 진사쇼 에서 나코루루가 리타이어후 KOF에 출전 하고 리무루루가 나코루루의 자리를 이어받아 무녀가 되는 것이 원래 SNK의 계획이었는데 알다시피 그당시 나코루루는 KOF에 정식 출전을 못하고 있었고.. 팬들의 나코루루 사망으로 인한 문제성도 있어 사쇼를 과거로 계속 돌리며 나코루루를 출전 시켜왔고 리무루루는 사쇼3 잔쿠로무쌍검 에서 히로인이 바뀌게 되던게 무산되었던 일이 있었다. 그걸 기억하고 창홍의 검을 통해서 이루어낸 것으로 보인다.

게임에서 1승을 거둘 때마다 교환권이 1개씩 쌓이며, 교환권을 1개씩 사용해서 리무루루의 어느 쪽 손에 콘루가 들어있는지를 맞추는 야바위 짓을 1판씩 할 수 있게 되는데 초대 사무라이 스피리츠 부터 검객이문록 까지의 사무라이 스피리츠 캐릭터들의 일러스트를 뽑는 보너스 게임격이다. 문제는 꽝도 존재 하며 동일한 일러스트도 들어가져 있어서 리무루루의 "어래? 이미 있는거네 미안." 이라는 소리를 자주 듣게 되고 이쪽으로 분노하는 팬이 있었다고 카더라.

드라마cd에서는 리무루루의 성우인 카미타니 케이코가 내레이션을 맡았지만, 정작 본인은 봉인된 채 정령화된 나코루루와 대화를 나누는 부분이나, 린카를 보고 리무루루를 떠올린 하오마루의 회상속에서만 짧게 등장한다.

4.8. 사무라이 스피리츠 제로

파일:rimu-z.jpg
검객이문록과 마찬가지로 시혼 시절의 복장을 어레인지 하였다. 제로부터는 2편 이전이라는 시간대 설정 덕분에 더 어려진 모습으로 등장하며, 이 모습으로 천하제일검객전까지 이어진다. 전반적으로 선머슴화가 더욱 진행된 게 특징. 의상은 검객이문록의 의상을 조금 수정한 차림으로바뀌었다. 전란의 사무라이 킹덤 x 사무라이 스피리츠 콜라보에서는 이 일러를 사용한다. 일러와 도트는 귀여워 진 편.

문제는 아마쿠사 강림에서 약캐였는데 제로에서는 더 약화되었다. 아마쿠사 강림 시절의 단점이 여전히 해결이 되지 않아서 결국 바사라와 더불어 또 최약캐 당첨. 더 심각한 건 그나마 희망이였던 아마쿠사 강림때 있던 무한콤보도 시스템의 변화로 짤려버렸으니 이젠 더 못 해먹을 정도...

스토리는 기존 설정을 완전 뒤집어 엎었다. 우선 나코루루와 리무루루의 출전을 위해 아버지의 사망 시점이 2년이나 앞당겨졌고, 가장 논란의 주워온 아이 설정이 추가되었다. 기존 드라마Cd나 캐릭터 송으로 쌓아온 서사가 모조리 부정된 셈. 그냥 잔쿠로무쌍검부터 창홍의 검 까지의 구SNK의 리무루루와는 전혀 별개의 패러렐 월드 리무루루라 보는게 속 편하다. 갈색 눈을 가졌던 기존 리무루루와는 달리 청안으로 변경된 것도 그렇고.

4.9. 사무라이 스피리츠 제로 스페셜

파일:rimururu-special.jpg

아마쿠사 강림과 제로에서 너무 약해진 게 문제가 되었는 지 전반적으로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다.

언니인 나코루루와 동급의 평준캐로 상향돼서 쓸만해졌다.

동체 절단연출이 역대급으로 변태적인데
절단발생시 한 줄기 눈물을 흘리고, 상반신 절반이 사라지면 쓰러진 부분에 조금이지만 가슴이 그대로 노출된다.
이 시점 리무루루는 겨우 12살인걸 잊어선 안 된다.

4.10. 사무라이 스피리츠 천하제일검객전

파일:rimururu-samurai-shodown-6-tenka-artwork.jpg

제로 스페셜 때의 성능 향상도 미미했는지 또 상향시켰다.
천검에서는 성우 버프와 더불어 캐릭 자체도 강화되면서 강캐는 못되도 중강캐 성능. 약화된 점이 있다면 대다운 공격의 삭제로 짜잘한 데미지가 약화 된 것 정도. CD-B-B-C후 콘루논노, 무기 날리기의 데미지나 CD 연계기 후 깔아두기 패턴도 강하므로 천 스리피츠를 추천. 교체된 성우진중 평가가 제일 좋은 편.

4.11. 사무라이 스피리츠 센

파일:rimururu-sen.jpg[43]
아이누 제일의 건강소녀
(사무라이 스피리츠 센 리무루루 캐치 프라이즈)
아이누의 무녀 리무루루는 어느 날 갑자기 정령들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게 되었다.
지금까지 너무도 당연했던 것을 할 수 없게 되었다는 사실에, 리무루루는 불안한 마음이 들었다.
"어떡해... 이런 나로선 모두의 곁에 있을 수 없어..."
사랑하는 언니 나코루루에게 불필요한 걱정을 안기고 싶지 않았던 리무루루는 결의를 다졌다.
"내 스스로 원인을 찾아내서 어떻게든 해결해야해!"
"언제까지고 언니에게만 의존할 수 없어!"
"괜찮아, 힘낸다면 분명 원래대로 돌아올거야!"
그렇게 마음속으로 거듭 되뇌이며 리무루루는 홀로 여정길에 올랐다.

(사무라이 스피리츠 센 리무루루 인트로)


눈을 감고 정령들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귀를 기울여
언니가 말해줬어

"우리는 점점 생각하게 될 거야. 옳은 일을 한다고 생각하는게 아니라, 무엇이 어째서 올바른 것인가 라고 생각하게끔 말이지... 이렇게 무의식이 의식으로 변환될 때 나 또한 정령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게 된 때가 있었어." 라고...

언니는 반드시 괜찮아질 거라고 말해줬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마음속에서 불안한 마음이 커져가...

'만약 이대로 무녀의 힘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힘차게 고개를 저었어

"그렇지 않아!"

정령들의 목소리는 처음부터... 맞아, 쭉 이전부터 들려오고 있었어

어째서? 친구니까
어째서? 날 필요로 해줬으니까
하지만, 그건 내가 아이누의 무녀라서가 아니었어
그리고 그건 나도 마찬가지야
특별한게 아니야 친구로서 너무도 당연한 일...

"그러니까, 반드시 괜찮을거야...!"

그렇게 생각한 순간, 들려오기 시작하는 목소리, 목소리, 목소리

사람의 그런 것이 아닌, 그럼에도 확실히 그 의미를 가진 목소리들
기뻐서, 너무 기뻐서 이 기분을 그 사람에게 제일 먼저 전하고 싶어

"언니이이이이이이!!"

(사무라이 스피리츠 센 리무루루 엔딩)



스토리는 정령과의 연결이 갑자기 단절되어서 그 원인을 찾기 위해 떠나고, 마침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자 다시 정령들의 목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하고, 이를 언니 나코루루에게 기쁜 마음으로 알리는 스토리이다.[44]



센에서는 예전 3D 시리즈였던 시혼과 아수라참마전의 나찰 복장으로 되돌아갔고, 갈색 눈도 돌아왔다. 거기에 창홍의 검의 20년 봉인 설정을 벗고, 1791년에 17살의 모습으로 등장했다. 제로에 이어 확실히 패러럴 월드 개념을 도입한 듯? 하지만 문제는 센의 잔혹한 정도가..... 이때문에 아마쿠사 강림부터 루루자매에게 쌓여왔던 안티유저나 료나유저들에게 목 잘리고[45], 허리잘리고, 손목이 날아다닌다. 한 료나유저는 유투브에 3분내내 리무루루가 참수당하는 동영상까지 올렸다.[46] 거기에 한 술 더떠서 아예 리무루루가 100번 목잘리는 영상까지 나왔다. 그런 와중에 이번작에는 쿠로코도 안 보인다. 그나마 쿠로코 생명보험(?)이라도 있어서 스토리상에서는 무사한 상태로 끝나니 다행. 게임에서 썰릴 때마다 명복을 빌어주기로 하자.

센의 리무루루는 정령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기에 콘루없이 싸워야 해서 기존 얼음기술 대부분이 봉인되었고, 무녀의 힘으로 약하게나마 얼음의 기운을 사용하여 기껏해야 얼음 송곳이나 작은 얼음기둥을 형성하는 정도밖에 못 한다. 대신 검을 휘두를때마다 미약하게나마 냉기 이펙트가 붙는 것이 특징. 단 엔딩때 정령의 목소리를 되찾기에 만약 센 이후의 리무루루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콘루를 대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2019년 신작은 13세 시절 과거로 가버리는 바람에...


파일:리무루루 - 도발.gif
여담이지만 도발 포즈가 기존 시리즈와는 달리 엉덩이를 때리며 여기야, 여기~ 라고 외친다(...).귀엽다 참고로 섬에서는 캐릭터 불문하고 도발 도중에 피격시 카운터가 나기 때문에 저렇게 도발할때, 가로베기나 세로베기를 먹여주면 꽤나 아프게 박힌다(...).

키가 작아서 목이 잘리면 얼굴이 체력바에 가려지는 다른 캐릭터들보다 잘보인다. 대신이라고 하기는 뭐하지만 목이 굴러갈때는 다른 캐릭터들보다 비춰지는 면적이 작아서 리본만 보인다. 이건 언니인 나코루루도 마찬가지. 그리고 기본 스탠딩이 납도 상태이므로 목이 잘리거나 손목이 잘릴때는 다른 캐릭터들처럼 무기를 놓치는 연출없이 빈 손으로 죽는다.
일섬 피격시 대사는 '언...니..' 이다.

모델링에 통합되어서도 있겠지만 리무루루가 참수되어 쓰러져도 목걸이는 벗겨지거나 하지 않고 그대로 걸려있다. 몸 전체가 들썩일 정도로 강한 충격을 받는데도. 리무루루의 소중한 물건이 언니에게 받은 목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짠한 부분.

나코루루와 특수 인트로가 있는데 나코루루가 집에 돌아가자고 하자 아직 돌아갈 수 없다며 거절한다. 스토리 모드시 절단 불가능한 캐릭터는 나코루루, 스즈히메. 근데 스즈히메는 리무루루를 잘만 썰어버린다(...). 문제는 특수 인트로만 있지 특수 승리대사는 없기 때문에 PVP에서는 집에 가자해서 싫다고 했더니 동생 목을 날려버리고 대자연의 벌 운운하는 나코루루나, 언니를 죽여버리고 기뻐날뛰는 리무루루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SNK가 직접 만든 게임에서 나바타메 히토미의 리무루루 연기는 이 시리즈를 마지막으로 들을 수 없게 되었다. 이후 사무라이 쇼다운 M부터는 오오노 유우코로 변경되었다.

사무라이 쇼다운 센으로 리무루루를 중점적으로 대량의 료나영상을 만든 유투브 채널이 있다.[47]~악마냐~

파일:p_chara05_20240309_042848.jpg
여담으로 이 때의 리무루루의 신장은 제로와 마찬가지로 4척8촌으로 현대 단위로 환산하면 145cm에 해당하는데, 이는 5척으로 표기되는 참홍랑~창홍 까지의 신장인 151cm보다 더 낮은 수치이므로 나이를 먹었는데 오히려 키가 더 작아졌다는 설정오류가 있다(...)
다만 인게임으로 들어가면 나코루루와 9cm차이라고 보기 힘든 부분이 있는데 사실 이건 나코루루쪽이 모델링 미스라고 보는게 맞다. 기본 뼈대가 리무루루가 기준인지. 나코루루는 프로필상 스즈히메와 3cm차이밖에 안 나면서 정수리가 스즈히메 코에 걸치는 오류를 보여주는데. 정작 리무루루와 비교하면 145대 157로 꽤 납득되는 차이를 보여주기 때문.SNK일 똑바로 안하냐


프로필엔 특기가 여전히 정령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라고 나오지만, 정작 이 작품에선 정령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아 가출하는게 스토리 발단이므로 특기를 전혀 발휘할 수 없는 상태다. 다행히 엔딩 시점에선 되찾았으니 앞으로도 특기로 내세울 수 있을지도?

4.12. 킹 오브 파이터 올스타


50만원짜리 스트라이커

사무라이 스피리츠 아마쿠사 강림 콜라보에서 등장. 하오마루와 같이 1차 픽업으로 나왔다.

자속성에 방어형으로 나왔으며, 전체적인 성능은 약간 아쉬운 수준이다. 상대를 일시적으로 행동불능시키는 빙결을 능동적으로 걸 수 있고 방어형답게 어린 외모에도 불구하고방어력과 체력도 우수하지만 (가장 중요한) 공격력이 좀 떨어져서 할로윈 쿨라에게 밀린다. 단 토너먼트에서는 모두가 90렙 스탯에서 시작하기에 이 때부터 리무루루의 방어력이 진가를 발휘하는데, 황속성의 콤보를 1세트로 맞아도 큰 대미지 없이 버텨가며 역공을 가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할로윈 쿨라가 첫 공격 시동을 막았는데 기회를 놓치면 공격형의 단점인 두부살 문제 때문에 1개 콤보에 40% 가까이 깎이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성능과는 별개로 언니인 나코루루와의 궁합은 최상급. 서로 간의 스트라이커 효과가 가히 사기적에다가 리무루루 자체의 스트라이커 공격[48]도 준수해서 나코루루의 스트라이커로 주로 기용된다. 저기 취소선이 바로 그 말(...)..

다만 리무루루는 콜라보 캐릭터라 타임어택에는 스트라이커로 조차 참여할 수 없다는 약점이 있다.

그러나 점점 갈수록 평가가 상승하는 중인데, 초기때는 하오마루등에 밀려서 묻혔지만 코어에 있는 빙결상태의 적에게 스킬데미지 증가로 인해 방캐답지 않게 상당한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이 빙결스킬데미지 증가가 쿨라같은 다른 빙결가능 캐릭터와도 호환이 가능해서 특히 할로윈 쿨라와 상성이 몹시 좋다.
빙결을 거는 3스킬 루프시 크아레도 얼핏보면 엉뚱한 방향으로 날라가는 거 같아도 상대에게 유도해서 날라가며, 땅에 떨어져서 만들어진 얼음꽃은 생각보다 판정지속시간이 굉장히 길어서 회피로 피하려는 상대를 엿먹이며 접근조차 할 수 없게 만들수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모든 스킬의 판정이 사기적으로 넓고 길다. 1스킬 콘루 논노는 개시시 사용하면 상대가 뒤로 가거나 구르지 않는 한 히트할 정도고 유지시간도 길며 2스킬 콘루 멤은 원판과 다르게 깔아두기가 가능한데다 카무이 시투키가 바로 연계되어서 실질적으로 크리저리드의 티폰레이지급 사정거리와 유지 시간을 자랑한다. 코어필살기만 니시가 아니고 토이토이였으면 완벽했는데.. 이건 발렌타인 쿨라가 들고 갔다

여기에 방어력의 40%만큼 공격력을 증가시켜주는 쿨라바캉스셋트, 카야셋트, 미빅세트를 이용하면 자체 방어력이 좋은 덕분에 공방이 굉장히 증가하며, 여기에 빙결능력을 지니고 있고 방캐의 공격력을 60% 증가시켜는 리더 스킬의 소유자 이상한 나라의 유리와 조합하면 딜탱을 모두 다하는 고성능 방캐로 탈바꿈한다. 오히려 초기의 할로윈 쿨라나 나코루루보다 더 좋다는 평도 있을 정도이다.

이러한 재발견으로 에픽 에피소드 1 거짓된 시련의 쿠사나기 사이슈를 잡는데 상당히 좋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4.13. SAMURAI SHODOWN


E3 2019에서 트레일러 영상 공개와 함께 DLC 캐릭터로 참전이 확정됐다. 추가는 2019년 8월.

모델링을 자세히 보면 알겠지만, 전형적인 2D 시절의 스프라이트 반전 형태 같으면서도 왼쪽 허벅지에 묶은 끈은 1P, 2P위치에서도 그대로다. 스트리트 파이터 V의 찰리 내쉬, UNIB의 힐데의 선례를 생각해보면 된다.

디자인이 또 변경되었는데, 캐릭터 디자인 자체는 호평이지만 역시나 인게임 모델의 얼굴은 SNK답게 그다지 예쁘게 뽑히지 않았다. 특히 승리 화면 표정은 굉장히 깬다. 또한 지금까지의 리무루루는 천연덕스러운 말괄량이 이미지였는데 본작에선 좀 부자연스럽게 인위적인 느낌이 나는 귀척이 심해서 부담스러운 팬들도 있는 모양이다. 또한 시간대상 제로로부터 단 1년밖에 지나지 않은 시간대인데 지나치게 성장한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복장은 제로에서 또 어레인지 되어 이번엔 거의 창홍의 검 시절과 비슷해졌고, 거기에 세부적인 장식과 망토가 추가된 정도이다. 그리고 머리 스타일은 아수라참마전 수라 시절을 반영하면서도 양 옆으로 나비날개 모양으로 맨 마탄푸시는 그대로 유지했다. 즉 폴리사무 3부작 디자인이 한꺼번에 응집된 모습.


스토리는 고향에 다양한 이변이 일어나 나코루루를 쫓아 마을을 떠난다는 이야기. 라이벌 파트는 당연하게도 나코루루다.


기존보다 삭제된 기술이 많은 다른 캐릭터들과 달리 대부분의 기술을 갖고 있다. 하단 깔아두기로 심리전에 큰 역할을 했던 콘루 멤이 사라진 것은 뼈아프지만, 좀 더 활용이 쉬운 루푸시 툼이 부활했다.

본작에서 성능은 현재 레이샹과 같이 최약체. 구석 셋업이 매우 강력하지만 상대를 구석으로 밀어내기 위한 기본기가 받쳐주지 못한다.

새로 변경된 시스템빨도 잘 못받는 편이다. 특히 다운 공격 자체가 삭제되면서 리무루루 콤보에서 강력한 마무리를 담당했던 대다운 공격을 더 이상 할 수 없게 되어 과거의 콘루논노 국민콤보가 더 이상 이전만큼 딜을 못 낸다.

1.30 패치로 기본기와 기술들의 피해량이 증가하고 대시 약이 캔슬되게 변하는 등 다양한 버프를 받았다. 문제는 잘 쓰이지 않는 기본기거나 큰 의미가 없어서 크게 실감은 안난다. 그나마 데미지가 따끔하고 상대가 셋업을 모르면 할 만하지만 기본기의 문제와 설치형 장풍의 고질적 문제로 약캐인 상태다.

5. 기타

3~4까지는 나코루루와 붉은색/파란색이 반전된 복장에 머리에는 두건을 하고 있었다. 짧은 머리란 것 외엔, 랄프 존스 - 클락 스틸, 매츄어 - 바이스의 경우처럼 나코루루의 팔레트 스왑 수준이다.

왠지 잔쿠로 무쌍검에서는 전문 성우였으나 아마쿠사 강림과 3D 시리즈에서는 연예인이 담당했고 제로부터 다시 전문 성우가 담당하도록 되돌아왔다. 성우의 영향 탓인지, 아니면 언니의 등장여부 탓인지 시리즈가 진행될수록 정신연령이 어려지고 있다.[49] 제로 때야 과거 시점을 다뤘기 때문에 12살인 상태로 나왔으니 봐줄 순 있다. 언니를 찾으러 다니면서 사람을 도륙하는 초딩으로 밖에 안 보이게 되는게 문제이긴 하지만 말이다. 게다가 천하제일검객전에서는 검 들고 싸우는 장소에서 "에헤헤~ 놀자~" 하는 대사를 읊고 있다. 게다가 천검전의 성우는 쿠기미야 리에.

인기가 많은데다 원래 언니의 자리를 계승(?)하려다가 좌절된 것에 대한 보상인지, 3과 4편 시혼에서는 신체 절단 등을 당하지 않는 '보호대상'이 되었다. 대신 이러한 대접이 모든 여성 및 어린아이에게 해당되지는 않았다. 어른인 샤를롯트나 소년인 시즈마루는 잘만 잘린다. 어쨌든 4편까지 가서는 리무루루와 싸울 때 단말오의 커맨드를 넣을 기회 자체를 없애버렸다.[50] 하지만 아수라참마전부터 이 보호가 사라지고 다른 캐릭터들처럼 몸이 이리저리 잘리게 되었다. 특히 제로 스페셜에서의 리무루루는 나코루루처럼 단말마가 두개다. 다만 일반 절단시에도 나오는 등 널널한 조건을 가진 나코루루의 두번째 단말마와는 달리 리무루루의 두번째 단말마는 잔인성이 특히 높은 쿠비키리 바사라의 옥문과 쿠사레게도의 게도의 만찬, 둘과는 달리 잔인성은 그렇게 크지 않지만 그 언니에게 찔려 죽는 연출인 나코루루의 투르세 산페 키크 무츠베. 이렇게 3개의 절명오의에만 나오며 다른 캐릭터들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매우 끔찍한 비명을 지르며 죽게 된다. 보는 사람이 다 마음이 아파지거나 불쾌해질 정도. 게다가 지상에서 절단 당한다거나 할 때 한 줄기 눈물도 흘린다. 사무라이 스피리츠 캐릭터들에게 쿠로코 생명보험(?)이 있다해도 너무한 수준. 제작사인 유키 엔터프라이즈가 3, 4편의 보호정책에 뭔가 불만을 심하게 갖고 있었던 게 틀림없다. 하지만 히사메 시즈마루의 경우도 3, 4편에서의 사망 피니시가 유난히 잔혹한데도 수정하지 않은 걸 보면 그저 단순히 변태 집단인 걸지도 모르겠다.
센에서는 캐릭터가 절단될 경우 단말마도 없이 죽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반대로 선 채로 일반KO시 비명을 지르는데 다른 캐릭터들과는 비교도 안 되는 처절한 비명을 지르면서 쓰러진다. 심지어 자기보다 어린 스즈히메보다 처절하다.

여담이지만 프로필에 써있는 것처럼 "어린 아이 취급 받는것" 자체를 싫어한다. 사무라이 스피리츠 OVA 아수라 참마전에서 하오마루가 나코루루가 집에 돌아오지 않았다는걸 알게되면서 찾아 나설려고 할때 리무루루가 자신이 가겠다고 말한다. 이때 하오마루는 "시끄러워 꼬마는 조용히 하고 있어!"라고 말하자 하오마루를 괴력(!?)으로 넘어뜨린후 "꼬마라고 부르지마!!"라고 울분을 토한다.정작 SNK는 창홍 이후로는 기껏 늘려놓은 키까지 진 시절로 되돌려 아예 로리로 만들어버렸다.

파일:35살 리무루루.jpg
코믹스판 창홍의 검 2권에서 일이 다 끝난 후 요시노 린카에게 나이로 디스를 당하기도 한다

또한 창홍의 칼날 엔딩에서 하오마루의 말에 따르면 리무루루는 봉인이 풀리고 하오마루의 외모를 보고 첫마디가 "상당히 고생을 많이 하셨네요." 라며 세월이 많이 흘러 나이가 들어버린 하오마루의 얼굴을 무심코 이야기를 하는데. 하오마루도 그 말을 듣고 약간은 충격이었는지 "그 녀석은 옛날과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어." 라며 평했다. 하오마루에게 말을 전달 받은 나코루루는 "훗 그 아이 답네요." 라며 평한다.

사무라이 스피리츠 OL에서는 갈포드 or 마지키나 미나[51]의 히로인 역할로 시작부터 합류하며 게임 시스템 소개도 담당한다. 리무루루 옆에 나코루루가 없는데, 리무루루의 여행 목적이 나코루루를 찾는 것이다. 

위에 린카에게 나이로 디스 당하는 짤방에서 35세로 나오는데, 이는 20년전 봉인되어서 20년전 외견이 그대로 적용되서이다. 여담으로 35세는 오류로 리무루루가 봉인된 연령은 아수라참마전 이후인 16세다.

파일:Rimu_NakoADV.jpg
외전 게임인 나코루루 ~그 사람으로부터의 선물~의 모습

이후 더 킹 오브 파이터즈 15에서 사무라이 팀이 참전하면서 리무루루랑 비슷한 쿨라 다이아몬드를 상대로 하오마루랑 나코루루가 승리할 경우 간접적으로 언급한다.


나코루루와 함께 설정이 오락가락 하는 캐릭터로. 언니라는 호칭도 게임이나 드라마cd마다 차이가 있는 부분이 있고[52], 드라마cd나 캐릭터송에선 나코루루와 혈연임이 암시되나 제로 엔딩에선 부정되는 등 여러모로 SNK태도에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아버지가 죽고 나코루루가 본격적인 무녀가 되자 얼음의 정령을 각성시켜 본격적으로 싸울 각오에 임한게 14살 시절인데, 제로나 신작(2019)에선 12살 시점에 아버지가 죽고 12살, 13살인데도 콘루를 잘만 쓴다. 첫 등장한 진 사무라이 스피리츠 때는 15살 시점에서도 비전투요원으로 하하크루도 없이 치치우시를 물려받는다. 그냥 다 패러렐 월드라 보는게 편할듯.


[1] 쿨라 다이아몬드와 (설정상) 동갑이다. 마침 쿨라도 얼음을 다루는 게 포인트다. 또 같이 등장한 히사메 시즈마루와도 동갑이다.[2] 아래 소개 항목, 나코루루 KOF 95 항목 참조. 이 별명은 야부키 신고의 별명을 참고하여 만들었다.[3] 검객이문록 소생하는 창홍의 칼날 한정. 파생형으로 냉동좀비가 있다.[4] 레이저디스크판 나코루루 엔딩에서.[5] 최초의 공식 리무루루 성우. 활발한 소녀다운 평범한 연기톤이었다. 아랑전설 극장판에서 스리아 고우다마스도 맡았다. 2025년 8월 13일 향년 53세로 세상을 떠나면서 역대 리무루루 성우들 중 첫 사망자가 되었다.[6] 松本恵. 원래 전문 성우가 아니라 탤런트. 이 때의 리무루루는 씩씩한 목소리가 돋보였다. 쿠니키다 역의 마츠모토 메구미(松元恵)와는 동명이인이며 이 때 당시 아역 한우. 現 마츠모토 리오. 걸즈 아일랜드라는 잡지에서는 직접 코스프레도 했다.[7] 드라마 CD는 히카미 쿄코.[8] 마츠모토 메구미와 마찬가지로 성우가 아닌 연예인이며, 아마쿠사 강림 시절을 베이스로 씩씩하고 어린아이다운 면모가 돋보이지만, 때로는 소녀다운 여린이미지도 잘 살린 리무루루의 캐릭터성을 제대로 확립해준 성우이다. 하지만 시혼시리즈가 인지도도 그렇고 처참히 실패한 것도 있어 시혼시리즈 존재도 모르는 팬들에겐 거의 없는거나 다름없이 느껴지는 성우, 난감하게도 이 시기가 리무루루가 가장 푸쉬를 받은시점이라. OVA나 드라마 CD, 캐릭터송까지, 각종 타 매체 작품에 자주 등장해서 게임 외적으로 덕질까지다보면 오히려 이쪽이 표준 아닌가 싶을 정도로 카미타니판 목소리만 들린다. 그 명곡 마음을 이어서도 이 성우가 나코루루 성우와 함께 부른거다. 네오지오 포켓 카드파이터즈 1에서 이코마 하루미, 노나카 마사히로와 같이 CPU로 등장한 적이 있다.[9] 나바타메 히토미의 성우 활동중 게임으로서의 첫 작이며 아래에 항목에 있는 쿠기미야 못지 않게 리무루루 성우 중에서 평가는 좋은 편이며 특히나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중 가장 히트를 친 제로 스페셜에서 자주접하는 성우이므로, 원래 리무루루 성우하면 십중팔구 이 성우가 나온다. 제로가 더 과거 시점의 리부트작이라 카미타니 케이코와는 반대로 잔쿠로무쌍검 당시의 소녀스러운 연기에 씩씩함이 가미된 어린아이스런 연기톤을 보여주었다. 육번승부에 수록된 천검전에서는 예전 성우로 되돌리는 옵션이 나바타메에 맞춰져있으며 섬, 그랑블루 판타지까지는 나바타메가 유지되었다. 이렇게 리무루루 전담 성우가 되면서 이후에도 유지 될 줄 알았으나 사무라이 쇼다운 M, 킹오파 올스타에서는 오오노 유우코로 교체 되었다. 여담으로 이 성우가 담당했을 시기 한창 사무라이 스피리츠가 고어 노선(제로 스페셜, 센)을 타고 있어서 가장 험한 꼴을 많이 본 리무루루 성우이기도 하다.[10] 성우가 대거 교체된 천검전 성우진중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11] 나코루루가 등장했던 1편과 2편에는 수라 - 나찰 시스템이 없어서 1P - 2P 시스템이 이를 대신했다.[12] 참고로 이 다운 자세는 아사미야 아테나에게서 가져왔으며, 나코루루와 리무루루가 다운 자세를 공유하지 않게 된 때는 KOF 올스타와 SAMURAI SHODOWN 때부터다.[13] KOF 95에 하오마루, 나코루루, 갈포드로 사무라이 팀을 구성해서 넣으려고 했으나, 무기 시스템 등 여러 요인과 짧은 제작기간 때문에 무산되었다.[14] 이는 엄연한 설정붕괴 혹은 변경으로 과거 아마쿠사 강림 드라마CD에서 리무루루는 자기는 언니를 지탱하기 위해서 태어난 것이라는 대사를 하는데. 만약 주워왔다는 설정이라면 절대 나올수 없는 대사다. 자매가 될 지도 아닐지도 모르는 소녀를 지탱하기 위해 태어났다는 건 운명론적인 대사로 부적절하기 때문.[15] 단 어차피 제로 스토리 자체가 아마쿠사 강림 드라마CD 설정과 매우 위배된다. 아버지는 나코루루가 17세 리무루루가 14세인 해 죽었다는 설정인데, 제로에선 그보다 2년 전 시점에 사망하기 때문.[16] 잔쿠로무쌍검 홍보용 공식 일러스트 중에도 둘이 같이 그려진 게 많았다. 공식으로도 어느 정도는 밀어준 셈이며, 나코루루가 KOF 95에 갔다면 성사되었을 계획이 주인공 시즈마루에 히로인 리무루루였음을 암시해준다.[17] 민폐를 패러디 소재로 사용하면 이렇게 된다. 부족한 실력을 패러디로 삼으면 그 결과는... 상상에 맡기겠다.[18] 오히려 아수라 참마전 미디어 믹스에선 나코루루가 시키를 감싸고 돌다 민폐짓을 저지른다.[19] 주인공이 모두 자매다. 그래서 루루자매도 출전할 수 있는 것.[20]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가 늦어도 1995년까지 KOF 세계관에 편입하는 계획이 틀어져서 생긴 결과로, 전체를 따져봐도 외부출장 캐릭터는 이미 정해져 있다고 봐도 된다. DOM 시리즈와 카메오 출장을 제외하고 나코루루는 5회 이상, 하오마루3 정도, 겐쥬로시키는 같은 작품으로 2, 아수라는 단 1번, 어스퀘이크1번으로 총 5명만 바깥 땅(?)을 밟았다. 이는 용호의 권 시리즈의 9명의 절반을 약간 넘고, 아랑전설의 20명의 1/4. 게다가 용호의 권과 아랑전설의 경우는 KOF 출장 캐릭터만 계산한 수치라서 다른 것까지 포함하면 더 초라해진다...[21] 사실, 더블 어설트는 원작 게임의 주인공급과 메인 라이벌급 조합(하오마루&겐쥬로, 쿄&이오리, 카에데&모리야, 료&로버트, 테리&락, 한조&코타로 등) 태그팀에게만 주어진 팬 서비스 시스템이기 때문에 굳이 리무루루가 나코루루와 함께 나왔다고 쳐도 둘은 사쇼의 주인공 캐릭터나 메인 라이벌 캐릭터가 아니기에 탑재할 수가 없다. 이는 나코루루의 높은 인기를 감안해도 마찬가지.[22] 애초에 인게임 자체가 극도의 게임적 허용만을 다루기 때문에 게임과 설정상의 모습은 완전히 분리해서 볼 필요가 있다. 당장 하오마루만 해도 설정은 살인을 꺼리고 정의감 넘치고 호탕한 성격이다. 그런 캐릭터가 남녀노소 안 가리고 두동강 내는거 부터가 이미 판타지인 셈. 하물며 루루자매는 아예 무기부터가 단도이기 때문에 이걸로 사람 두동강내는거 부터가 말이 안 된다. 게임은 게임으로만 받아들이자.[23] 처음엔 오늘 저녁은 리무루루가 좋아하는 거라고 돌아가라고 회유하지만 조금 솔깃하기만 하더니 끝까지 듣질않자 혼자 가라며 외면해버리는 바람에 리무루루는 집에 돌아갈 수 밖에 없었다.[24] "언니가 죽은 줄 알았을때" 라는 과거형을 쓰는 것으로 보아 나코루루는 진에서 희생하고 얼마 안 있어 돌아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25] 이 설정은 SNK입장에서도 어지간히 병크였는지 이후 언급도 되질않고, 팬들의 질문에도 묵묵부답이다. 이후 프로필에도 한 번도 의동생,의자매 언급 없이 그냥 나코루루의 여동생으로만 표기되고. 팬들에게는 흑역사 취급되는 설정.[26] 날리려는 동작을 보고 상대방이 공격하는 것도 가능하다.[27] 무기날리기 필살기로 대체 가능[28] 노멀 시, 하오마루 기준으로 절반 약간 넘게 닳는다.[29] 능력만 된다면, CD → B 토이토이 → CD → B 토이토이 → 대시 B → CD → B 토이토이…로 무한도 가능하다.[30] 스투키(stuki)에 거울이라는 의미가 있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스투키'는 목걸이, 액세서리 등의 의미로 쓰이고, 거울은 일본어에서 유래한 カンカミ(kankami)라 한다.[31] 단 잔쿠로 무쌍검 제외[32] 구석에서 시작할 경우 루푸시 툼 → 대시 손 순서로 하면 된다.[33] 수투(sutu)는 아이누 전통의 곤봉으로 조선시대 곤장처럼 법을 어긴 사람을 태형으로 처벌할 때 쓰는 것이었다. 일본의 아이누 학계에서는 제재봉(制裁棒)이라고 번역한다.[34] 이때 선원이 "어? 나코루루 맞죠?" 라고 물어보며 "응", "아니야" 두 가지의 선택지가 나오는데 "응" 이라고 대답하면 선원이 "당신때문에 출항이 늦어졌어! 라고 말하며 배에 태워서 출항해버린다. 막 출항하는 도중에 도착한 나코루루는 결국 에도에 가지 못하고 그 동안에 아마쿠사가 완전히 부활해서 도쿠가와 막부를 멸망시키고 일본은 마도에 떨어졌다는 황당한 스토리를 볼 수 있다.[35] 이 빈털터리 기믹은 아수라참마전 개그 드라마cd와 아수라참마전 OVA 드라마cd까지 이어진다.돈 좀 넉넉히 챙기고 다녀라...[36] 시혼 버전은 반바지 복장에서 컬러와 기술이 달라진 형태다.[37] 그래서인지 나나세 아오이가 캐릭터 원안을 담당한 OVA에서도 리무루루는 수라 버전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인기는 시혼 버전과 아수라참마전 나찰 복장에 못 미치는지 이후에는 아수라참마전 수라버전이 등장하지 못하고 시혼 버전과 아수라참마전 나찰 복장으로만 등장한다.[38] 나코루루는 안느 무츠베, 리무루루는 우픈 오프로 유가의 결계를 부쉈고, 하오마루가 그대로 달려들어 유가를 베었다.[39] 이 일로 충격을 받은 나코루루는 그 분노로 평소엔 그토록 구하고자 했던 시키와 정면으로 맞서며, 그 순간 만큼은 대자연을 위해서도, 시키의 마음을 구해내기 위해서가 아닌 그저 언니로서 여동생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싸우겠다며 시키와 싸운다. 이때 대자연을 위해 싸우는게 아니라며 치치우시를 들지 않는데, 정황상 리무루루의 검 하하크루로 싸운 모양.[40] 서브 컨텐츠인 리무루루가 진행하는 캐리어 모드에서 미코토나 쿠키 토우마를 고르면 흥! 당해버려라!라고 한다.[41] 나코루루는 등장하긴 하는데, 미코토와 쿠키 토마를 어떻게든 설득(미코토에게는 자신의 어둠에 지지말라, 토마에게는 올바른 검의 길에 나아가 달라)하려고 했지만 결국 오보로의 봉인이 강해져서 리무루루를 해방해 달라는 말조차 못하고 퇴장한다. 이후부터 미코토와 토마가 리무루루를 만나는 이벤트도 없는걸 보아 나코루루가 말해주지 못해서 넘겼거나, 잊어버렸을 수 도 있다.[42] 이건 게임을 제대로 안 했거나, 오프닝을 스킵했거나, 전해들은 걸로 아는척 한 거거나일 확률이 높다. 오프닝에서 나코루루는 정령체로 분리되며 본래 육신이 나무아래 잠들고, 리무루루와 재회하는 장면은 그 나무 아래이기 때문.[43] 역대 리무루루 복장 중에 평가가 좋고 가장 잘 알려진 복장으로 3D 시리즈인 시혼과 아수라참마전 나찰의 복장도 이것이다. 이후 이 복장이 검객이문록, 제로에서 어레인지해서 등장.[44] 다만 이건 본인 스토리모드일 경우이고, 나코루루 스토리에선 중간에 잡혔는지 나코루루가 고르바를 쓰러트린 뒤에야 해방되어 울면서 안긴다. 타케치요,진베의 스토리에선 붙잡힌 히로인 역할인 스즈히메와 같은 포지션.[45] 고통스러워하는 표정이 그대로 보이는 데다가 심지어 절단면도 나름 자세해서 목뼈가 보이는등 여러모로 잔인하다.[46] 악랄하게도 나코루루로 4번이나 동생의 목을 자른다.[47] 다른 캐릭터의 영상이 올라올 때도 있지만 주 피폭대상은 리무루루이며 대부분의 영상이 다양한 방법으로 참수되는 리무루루를 다루고있다.[48] 맞은 적의 공격을 강제캔슬시키며 빙결 상태이상을 건다. 지뢰처럼 깔아놓는게 가능하며, 다운된 상대도 강제 기상시켜버리고, 슈퍼아머도 무시하고 빙결시키는 악랄한 스킬이다.[49] 사무라이 쇼다운 센은 예외. 사무라이 쇼다운 센에서는 전작들과는 다르게 엄청나게 성장한 모습으로 나온다. 드라코와 고르바를 상대할 때 모습을 보면 전작들의 모습과는 완전히 딴판. 게다가 스토리도 언니인 나코루루와도 정반대인 게 여태까지의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에서의 리무루루 스토리는 언니를 찾으러 다니는 게 주된 스토리지만 사무라이 쇼다운 센에서는 반대로 나코루루가 리무루루를 찾으러 나서는 것이다.[50] 타 캐릭터의 경우 플레이어가 CPU 전을 할 때 CPU에게 패배하는 경우에만 단말오의 방지를 받는데, 나코루루와 리무루루만 조건 없이 무조건 방지받는다.[51] 게임 시작 전에 선택할 수 있는 캐릭터다.[52] ねえさん(진 사무라이 스피리츠,무사도열전)、お姉ちゃん(아마쿠사 강림 드라마Cd초반)、姉様(보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