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18:53:53

나코루루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나코루루가 사용하는 기술의 커맨드}}}에 대한 내용은 [[나코루루/커맨드 리스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나코루루/커맨드 리스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나코루루/커맨드 리스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나코루루가 사용하는 기술의 커맨드: }}}[[나코루루/커맨드 리스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나코루루/커맨드 리스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나코루루/커맨드 리스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SAMURAI SHODOWN|
파일:ss2019logo.png
출전 캐릭터
]]

[ 펼치기 · 접기 ]
기본 엔트리
-
시즌 1 추가 캐릭터
-
시즌 2 추가 캐릭터
-
스페셜 DLC 캐릭터
[[슌에이|
파일:fighters_index_01.png 슌에이
]]
[[메이텐쿤|
파일:fighters_index_02.png 메이텐쿤
]]
[[니카이도 베니마루|
파일:fighters_index_03.png 베니마루
]]
[[애쉬 크림슨|
파일:fighters_index_28.png 애쉬
]]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
파일:fighters_index_38.png 엘리자베트
]]
[[쿠크리(KOF)|
파일:fighters_index_39.png 쿠크리
]]
[[쿠사나기 쿄|
파일:fighters_index_06.png
]]
[[야가미 이오리|
파일:fighters_index_04.png 이오리
]]
[[카구라 치즈루|
파일:fighters_index_07.png 치즈루
]]
[[K'|
파일:fighters_index_32.png K'
]]
[[맥시마|
파일:fighters_index_33.png 맥시마
]]
[[윕|
파일:fighters_index_34.png
]]
[[이슬라|
파일:fighters_index_31.png 이슬라
]]
[[하이데른|
파일:fighters_index_30.png 하이데른
]]
[[돌로레스(KOF)|
파일:fighters_index__29.png 돌로레스
]]
[[테리 보가드|
파일:fighters_index_10.png 테리
]]
[[앤디 보가드|
파일:fighters_index_08.png 앤디
]]
[[죠 히가시|
파일:fighters_index_05.png
]]
[[료 사카자키|
파일:fighters_index_16.png
]]
[[로버트 가르시아|
파일:fighters_index_17.png 로버트
]]
[[킹(SNK)|
파일:fighters_index_12.png
]]
[[나나카세 야시로|
파일:fighters_index_11.png 야시로
]]
[[셸미|
파일:fighters_index_14.png 셸미
]]
[[크리스(KOF)|
파일:fighters_index_15.png 크리스
]]
[[아사미야 아테나|
파일:fighters_index_23.png 아테나
]]
[[시라누이 마이|
파일:fighters_index_13.png 마이
]]
[[유리 사카자키|
파일:fighters_index_09.png 유리
]]
[[레오나 하이데른|
파일:fighters_index_18.png 레오나
]]
[[랄프 존스|
파일:fighters_index_19.png 랄프
]]
[[클락 스틸|
파일:fighters_index_20.png 클락
]]
[[안토노프(KOF)|
파일:fighters_index_27.png 안토노프
]]
[[라몬(KOF)|
파일:fighters_index_25.png 라몬
]]
[[킹 오브 다이노소어스|
파일:fighters_index_26.png K.O.D.
]]
[[크로닌|
파일:fighters_index_35.png 크로닌
]]
[[쿨라 다이아몬드|
파일:fighters_index_37.png 쿨라
]]
[[앙헬(KOF)|
파일:fighters_index_36.png 앙헬
]]
[[블루 마리|
파일:fighters_index_21.png 마리
]]
[[바네사(KOF)|
파일:fighters_index_24.png 바네사
]]
[[루온(KOF)|
파일:fighters_index_22.png 루온
]]
[[락 하워드|
파일:fighters_index_40.png
]]
[[B.제니|
파일:fighters_index_41.png B.제니
]]
[[가토(SNK)|
파일:fighters_index_42.png 가토
]]
[[기스 하워드|
파일:fighters_index_44.png 기스
]]
[[빌리 칸|
파일:fighters_index_45.png 빌리
]]
[[야마자키 류지|
파일:fighters_index_46.png 야마자키
]]
[[메마른 대지의 야시로|
파일:fighters_index_47.png O.야시로
]]
[[미쳐 날뛰는 번개의 셸미|
파일:fighters_index_48.png O.셸미
]]
[[불꽃의 운명의 크리스|
파일:fighters_index_49.png O.크리스
]]
[[하오마루|
파일:fighters_index_50.png 하오마루
]]
[[나코루루|
파일:fighters_index_52.png 나코루루
]]
[[달리 대거|
파일:fighters_index_51.png 달리
]]
보스 챌린지
[[오메가 루갈|
파일:fighters_index_43.png Ω.루갈
]]
[[게닛츠|
파일:fighters_index_56.png 게닛츠
]]
에디트 캐릭터
[[야부키 신고|
파일:1000004256.png 신고
]]
[[김갑환|
파일:fighters_index_54.png 김갑환
]]
[[실비 폴라 폴라|
파일:fighters_index_55.png 실비
]]
[[나즈드|
파일:1000007623.png 나즈드
]]
[[듀오론|
파일:1000008191.png 듀오론
]]
[[시조 히나코|
파일:fighters_index_59.png 히나코
]]

에디트 캐릭터
[[매츄어|]]
[[바이스(KOF)|
파일:fighters_index_61.png 바이스
]]
중간 보스
[[리 버스|
파일:kofxv_reverse_crop.png

리 버스]]
최종 보스
[[오토마 라가|
파일:kofxv_otomaraga_crop.png

오토마 라가]]

1. 프로필2. 소개3. BGM4. 나코루루의 기술5. 나찰 나코루루6. 작중 행적7. 작품별 성능8. 기타 타이틀9. 주변 인물과의 관계10. 마마하하11. 시크루12. 타 게임에서13. 기타14. 관련 문서

1. 프로필

<colbgcolor=#000><colcolor=#fff>
나코루루
ナコルル | Nakoruru
파일:KOF XV 나코루루.png

KOF XV 공식 일러스트
<colbgcolor=#042C71><colcolor=#fff> 출신지 아이누모시리 카무이코탄(アイヌモシリ カムイコタン)[1]
탄생일 메이와(明和) 8년(1771) 10월 11일 새벽녘
연령 17세(초대, 잔쿠로), 18세(아마쿠사 강림, ), 19세(1997년작, 아수라)
15세(제로, 제로S), 20세(), 16세(2019년작)
혈액형 AB형
신장 5척 1촌(약 155cm), 22cm(신장), 154cm(섬, DOM 시리즈), 5척 1촌(약 153cm)(KOF)
체중 말하지 않음
쓰리 사이즈 2척 3촌 / 1척 6촌 / 2척 6촌(약 71/48/78, 제로)
2척 4촌 / 1척 6촌 / 2척 7촌(약 73/48/82, 초대~아마쿠사 강림)
2척 7촌 / 1척 6촌 / 2척 7촌(약 81/48/81, 1997년작)
좋아하는 것[2] 카무이코탄의 숲과 동물들(초대~아마쿠사 강림, KOF), 카무이코탄의 자연(제로)
싫어하는 것 자연을 더럽히는 나쁜 인간들(초대~아마쿠사 강림, KOF XIV)
대자연을 소중히 하지 못하는 사람들(제로)
소중한 것 아이누 전사였던 돌아가신 아버지 아카[3]의 유품 치치우시(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좋아하는 음식 여행지에서 먹은 샤오롱바오, 말린 상어 지느러미 수프, 안닌도후
취미 자연의 소리를 듣는 것(KOF,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삼림욕(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컴플렉스 비밀(제로~아마쿠사 강림), 무녀로서의 숙명의 무게(1997년작)
존경하는 인물 아버지(1997년작, 제로)
어떤 분이라도 존경할 만한 일면을 가지고 있습니다.(초대~아마쿠사 강림)
검의 길에 대해 타인을 상처 입히고 싶지는 않지만, 자연을 지켜가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초대~아마쿠사 강림)
호신술로서 아버지에게 배웠습니다(제로)
자연을 지키기 위한 수단(1997년작)
유파[4] 시칸나카무이류 도무술(シカンナカムイ流 刀舞術)
무기 보도 치치우시(宝刀 チチウシ)
캐치프레이즈 대자연의 사도(CVS2), 대자연의 수호자(KOF)
카무이에게 선택받은 무녀(2019년작)
테마곡 Waltz of Nature
성우
[ 펼치기・접기 ]
* 이코마 하루미

2. 소개

정령과 대자연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카무이의 전사. 자연과 동물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상냥한 소녀로, 평소에는 마을에서 가족과 평화롭게 지내고 있다. 그러나 자연의 위기를 느꼈을 때는 마을을 떠나 여행하며, "자연을 지킨다"는 사명에 목숨을 걸고 도전한다. 마마하하라는 매와 함께 만들어내는 강력한 공격으로 대자연을 위협하는 사악한 적을 쓰러뜨린다.
SAMURAI SHODOWN(2019년작) 캐릭터 소개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의 히로인. 모든 작품에 등장한다. 진 사무라이 스피리츠 엔딩에서 사망한 것으로 나오기 때문에 '이 캐릭터를 생존 상태로 등장시키기 위해서 이후의 시리즈가 전부 과거를 다루게 되어 버렸다'는 소문이 있지만 일부는 사실과 다르다. 원래는 2편에서 대자연을 위해 희생하고, 동생인 리무루루가 맥을 잇는 것으로 계획이 되어있었으나, 그에 대한 반발이 심해서 결국 3편과 4편은 2편 이전의 시간을 다루게 되었다고 하는데, 하이퍼 네오지오 64로 나온 사무라이 스피리츠(1997년작)와 아수라 참마전에서는 2편의 사망 설정에서 생사 불명이 된 다음에 '대자연의 정령들이 힘을 모아 대자연을 구하고 나코루루가 희생하는 것을 막았다'라는 식으로 진 사무라이 스피리츠 때의 엔딩을 약간 수정한 설정으로 등장하였다.[5] 나코루루를 등장시키기 위하여 시간대가 역행하게 되었다는 소문, 2편 이후의 이야기인 하이퍼 네오지오 64의 두 작품 역시 설정을 바꿔서 등장한 것 때문에 위와 같은 소문이 생긴 것.[6] 이로 인해 좀비루루와 같은 별명도 있다. 사실 64 시리즈에선 진 사무라이 스피리츠의 엔딩을 IF 스토리 취급하여 죽음을 면한 거고, 후속작의 출현도 대부분 과거의 이야기라 좀비로 부활한 건 아니다.[7] 덕분에 인기도 많지만, 광팬들과 제작사의 노골적인 편애로 인해 안티도 많은, 호불호가 확실한 캐릭터. 세월이 흐른 2020년대의 시점으로 보면 매력이 다소 떨어져 보여서 인기 투표에서도 예전 같지 않다.

아이누족. 카무이코탄의 무녀로 악의 기운에 의해 황폐해져가는 자연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 정작 본가에서는 참전 배경 정도에 불과한 내용이었으나, KOF XIV에서는 이것을 살려서 바이스(KOF)와의 대전 이벤트에서 "자연을 소중히 여긴다니 기특하네. 예쁘장한 얼굴을 다치게 하고 싶진 않아서 말이야, 지금 물러난다면 싸우지 않고 그냥 봐줄게."라고 그 전투광 바이스답지 않은 부드러운 뉘앙스로 배려해 주는 대사를 하며. KOF XV에서도 잔인하고 인간 자체를 쓰레기 취급하며 비웃으며 경멸하는 오로치 사천왕들 중 한 명인 크리스도 나코루루 승리 대사에선 비웃음 섞인 조롱이 아닌 '인간과 자연은 공존은 불가능하고 어느 한쪽은 도태될 뿐'이라며 나름대로 진지하게 충고해 준다.[8] 무기로는 치치우시(아버지로 물려받은 무녀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단도(메노코마키리)를 사용한다. 아이누족 소녀, 은장도 등의 이미지로 보아 모티브가 시토나이인 것으로 보인다.

첫 출전작인 1편에서는 싸우는 전사라는 당찬 이미지가 있었으나, 2편에서 복장이 바뀌면서 청순한 이미지가 더 강조되었다. 이후 시리즈는 이 분위기로 계속 통일하다가 KOF XIV에서 천연 속성이 강화(?)되었다.

파일:external/www.fightersgeneration.com/nako-ss2-throw.gif

일단 상대 위에 '올라탄다'는 점에서 후타바 호타루와 유사한 점이 있다. 물론 시기를 생각하면 이쪽이 선배.

설정상 아이누이기 때문에 기술 이름 모두가 아이누어로 되어있다. 예를 들어 매에 매달려서 쓰는 카무이 무츠베의 경우 신의 칼날(카무이(신)+무츠베(칼날)), 필살기인 에레르시 카무이 림세의 경우 빛나는 신의 춤(에레르시(빛나는)+카무이+림세(춤))으로 직역 가능하다. 물론 SNK의 다른 외국어 기술명과 마찬가지로 문법은 맞지 않는다.

별명으로 마녀루루[9], 좀비루루[10] 등이 있다. 나코루루가 데리고 있는 매인 마마하하와 같이 2인조로 협동하여 싸우기 때문에 격투 게임 역사 상 최초로 동물을 데리고 있는 채로 싸운다는 독특한 컨셉을 가져서 당시로서는 획기 적이기도 했다. 또한 KOF XIV 초창기 버전에는 마마하하 날리기가 워낙 사기라 새년이라는 비하 적 멸칭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3. BGM

  • 테마곡
    • 자연의 연회(自然の宴)

      제로 OST 버전 제로 AST 버전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버전 SNK 히로인즈 Tag Team Frenzy 버전[11]


      KOF XV 버전

      전용 테마곡. 거의 모든 타이틀마다 수록되어 있다. 사무라이 스피리츠를 포함한 SNK, 격투 게임계에서 손꼽히는 명곡으로 신비함과 순수함이 묻어나는 멜로디가 일품이다. 완성도 면에서 동생의 '마음의 거울'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 초기 수록 버전에는 정말로 연회란 느낌의 리듬에 빠른 멜로디가 얹혀진 형태지만, 후기 시리즈에 수록된 것은 정적인 분위기로 바뀐다.
    • 자연의 연회 봄(自然の宴春)

      OST 버전 AST 버전

      2편의 테마곡.
    • 자연의 숨결(自然の息吹)

      OST 버전 AST 버전

      3편의 테마곡
    • Magical Sky

      KOF XIV, KOF 올스타에서 사용. 팀 테마곡이기 때문에 무이 무이, 러브 하트 고유의 음색도 섞여 있다.
    • 자연의 왈츠

      2019년작에서 새로 추가된 테마곡.
  • 보컬
    • 이리로 오렴(ここにおいで)

      치바 레이코 노래. SNK 여성 캐릭터들의 보컬곡을 수록한 NEOGEO GALS Vocal Collection 수록곡이다.
    • 코코로오 츠나이데(心をつないで)

      이코마 하루미 × 카미타니 케이코 듀엣곡. 나코루루의 테마곡 '자연의 연회'와 리무루루의 테마곡 '마음의 거울'을 합쳐 어레인지한 것이다.
    • 무녀의 전승패
      이코마 하루미 노래. 나코루루 ~그 사람으로부터의 선물~의 테마곡이다. 링크(모바일은 49분부터)

4. 나코루루의 기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코루루/기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코루루/기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코루루/기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나찰 나코루루

레라(사무라이 스피리츠) 문서 참고.

6.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코루루/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코루루/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코루루/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작품별 성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코루루/시리즈별 성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코루루/시리즈별 성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코루루/시리즈별 성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타 게임 콜라보레이션 및 크로스 오버 참전에 대한 서술도 해당 문서에 서술되어있다.

8. 기타 타이틀

  • 진설 사무라이 스피리츠 무사도열전
    사이드 스토리에서는 리무루루가 함께 싸우겠다며 따라나서는 걸 만류하고 에도로 떠난 뒤 사무라이 주점에 동료를 고르러 들어갔는데 거기서 기다리고 있던 것은 나코루루 몰래 밀항해 온 리무루루였다. 그래서 플레이어가 나코루루 이외의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선택했을 때 사무라이 주점에 들어가면 나코루루와 리무루루가 서로 마주 앉아서 "고향 지키고 있으랬더니 왜 여기 와있어?", "나도 싸우겠다는데 왜 그래?" 같은 분위기로 말다툼하고 있는 것이다. 일단 엔딩에는 하오마루 지옥변 때와 달리, 희생하지 않고 살아남는다.

9. 주변 인물과의 관계

리무루루는 둘도 없는 사이 좋은 여동생. 특히 리무루루는 시스콘이 의심될 정도로 언니를 정말 좋아한다. 때문에 리무루루는 언니의 힘이 되고자 노력하지만, 정작 나코루루는 리무루루가 자신이 자연의 무녀로 싸우면서 겪은 슬픔과 고통을 리무루루에게 이어주고 싶지 않은 모양. 그런데 사무라이 스피리츠 제로에서는, (그 사람으로부터의 선물에 나오는 설정을 차용하여) 지금껏 친동생이였던 리무루루를 주워다 키운 여동생 설정으로 만들어버렸다. 때문에 팬들은 이 설정을 흑역사 취급 한다.

레라나코루루의 또 다른 인격체, 정확히는 2P 나코루루, 나찰 나코루루가 실체화된 것. 나찰 나코루루도 그렇지만 이 레라는 나코루루에 비해 훨씬 잔인하다. 괜히 이중인격이라는 말이 나오는 게 아니다. 이 레라와 나찰 나코루루의 이미지 자체가 1편의 2P 나코루루의 성격에 기인한 것이다.

갈포드와는 왠지 연인 이하로 그려진다. 일단 갈포드가 나코루루를 짝사랑하고 있긴 한데, 정작 나코루루 입장에선 그저 동물을 좋아하는 사람 정도. 하오마루지옥변에서 나코루루가 자연을 위해 희생할 때 그걸 막지 못하고 좌절하는 엔딩까지 있는데... 아수라참마전 엔딩에서도 잊지 않은 모양.[12]
여기에 더욱 불쌍하게 후속작 검객이문록 소생하는 창홍의 칼날에서도 나코루루를 잊지 못하고 있었으며, 하오마루와 나코루루의 대화에서 간접적으로 언급되는데 하오마루는 "나코루루 괜찮은 거냐? 그 녀석은 고향에서 널 기다리고 있다고." 언급을 한다. 다만 나코루루는 이미 평범한 인간이 아닌 존재가 되었기 때문에 "...이제... 나는 그 사람과 같은 시간을 걷는 일은 못 하니까..."라며 슬픈 어조로 이야기를 한다.

하오마루와는 마물 퇴치를 하며 알게 된 사이로 KOF XV에서 팀메이트로 같이 출장한다. 20년의 세월이 지나 정령이 된 검객이문록 소생하는 창홍의 칼날에서도 하오마루로 플레이하면 데모에서 "하오마루 씨, 20년 만이군요"라고 한다.

파일:kamuikotan.gif
그 외에 가족으로는 배경으로 등장하는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있지만, 그 사람이 준 선물에선 등장하지 않는다.

아마쿠사 시로 도키사다, 라쇼진 미즈키 등등은 대자연을 파괴시키려는 자로서 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 사람으로부터의 선물에서 친구는 마나리와 얀탐이 있고, 후계자로 미카토가 있다.

둘 다 자연을 위한다는 것은 똑같지만 성향이 전혀 달라서 오로치 일족팔걸집과는 대착점에 서있다. 게닛츠를 포함한 나머지 사천왕 야시로, 셸미, 크리스[13] 그리고 팔걸집인 매츄어바이스는 자연을 위해 인간을 몰살시키려는 강경파에 해당하고[14] 나코루루의 경우는 자연을 해치려는 인간을 제외하면은 인간과 함께 공존하여 자연의 소중함을 알리고 지키려는 온건파에 해당된다.[15]

KOF 세계에서도 과거에 사무라이 스피리츠 세계와 비슷한 사건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절의 인맥도 그대로인 것으로 보인다.[16] 스토리 트레일러상으로는 동료와 같이 동행하며 이상 현상을 조사한다. 참고로 라쇼진 미즈키VERSE의 승리 대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등장했으며, 친과의 대화에서는 하오마루를 언급하기도 한다. 일본 팀 보스전 영상에서는 쿠사나기 쿄, 텅푸루와 같이 있는 것으로 확인. 상호 대화는 친 겐사이, 바이스, 사리나와의 대화가 있다. 또한 SNK 히로인즈 Tag Team Frenzy에선 셸미와 태그를 짤 시 인트로에서 셸미를 알고 있는지 오랜만이라고 인사를 하는데, 막상 셸미는 나코루루를 리무루루로 기억하고 있었다(...).

10. 마마하하

나코루루가 항상 데리고 있는 매로서, 게임상에서도 나코루루 머리 위에 있다. 마마하하는 아이누족의 전사가 지니고 있는 보도(寶刀) 치치우시를 수호하는 역할로[17], 전사가 사망하면 치치우시를 다음 계승자에게 넘겨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모습은 제로, 무사도열전 나코루루 프롤로그나, 하오마루 지옥변 나코루루 엔딩에서 리무루루에게 치치우시를 넘겨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18]

모티브는 아이누족이 실제로 기른다는 참수리. 이 매는 실제로 발톱의 힘이 매우 강해서 자신의 체중 정도의 먹잇감은 몇 분 동안은 들 수 있다고 한다. 게임에서는 잔쿠로나 쿠사레게도같은 산만한 캐릭터도 발톱으로 잡아채기도 한다. 게임상의 도트는 참수리라기보단 뿔매에 더 가까운 형상이다. 일단 참수리는 날개 편 길이가 2m나 되는 괴물새라서. 뿔매치고도 좀 작긴 하다.

KOF XIV에서공룡(?)의 먹이[19] 밝혀진 바로는 좋아하는 먹이는 개구리와 쥐. 현대로 와서는 햄스터참새를 즐겨 먹는다고 한다. 이 말을 들은 사리나는 "아... 맹금류...니까요..." 하면서 기겁하다가 참새도 먹는다는 소리를 듣고선 코코에게 도망가라고 한다. 출시 초기에는 마마하하를 이용한 기술이 사기라서 '저 새는 해로운 새다'라며 욕을 먹던 적이 있었다. 그러다가 1.03 패치에서 너프를 먹었기 때문에 적어도 해로운 새 드립은 더 이상 듣지 않을 듯하다.

KOF XV의 나코루루+야시로+셸미 특수 엔딩에도 나오는데, 야시로가 '늘 데리고 다니지? 먹이는 평소에 어떤 걸 주지?'라고 묻는데 나코루루가 '마마하하는 영리해서 사냥감은 알아서 구해와요. 쥐라든가...'라고 하는데 옆에서 셸미가 기르는 햄스터들을 양손에 받쳐놓고 당황하며 '너희는 내가 꼭 지켜줄게'라고 한다.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의 테리 보가드의 참전 트레일러에서 나코루루가 자신에게 초대장을 잡으라고 명령했으나, 놓쳐버렸다[20] 이후 나코루루 스피릿 배틀에서 팔코가 마마하하를 담당했다. 체력은 40이며, 작아진 상태이다.

여담으로, 볼프강 크라우저의 기술인 레그 토마호크의 몬더그린중 "그레이트 마마하(하)" 라는 몬더그린이 있다(...)[21]

11. 시크루

나찰 나코루루 혹은 레라가 데리고 다니는 늑대. 원래는 나코루루가 은퇴하면 리무루루의 파트너가 될 예정이었지만 내부와 외부 사정으로 기획이 꼬이면서 나코루루가 계속 출장하게 되자 수라/나찰 간 차별점을 두기 위해 나찰 쪽 파트너가 되었다는 정보가 있다. 설장상 시크루는 카무이코탄의 늑대가 아닌, 시베리아에서 유빙을 타고 왔다고 한다. 원래는 리무루루의 친구지만 나코루루를 지켜달라는 부탁에 의해 나코루루의 또 다른 파트너가 된 것.[22]

나코루루 ~그 사람으로부터의 선물~의 설정은 카무이코탄의 늑대. 마(魔)에 미쳐 버린 아비 늑대가 시크루의 어미 늑대를 죽이고 시크루를 죽이려 들자 나코루루가 시크루를 구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아비 늑대를 죽였는데, 결국 혼자 남은 어린 시크루를 레라가 데리고 키운 것. 진 사무라이 스피리츠이후의 스토리인 1997년작, 아수라참마전 사무라이 스피리츠 2에서는 애꾸눈이 되었다.

천하제일검객전 PS2에서는 나코루루와 레라없이 마마하하와 함께 단독 캐릭터로 등장하였다(!).[23] 단 실질적으로 조작하는 것은 시크루로, 마마하하는 그저 서포트. 여기서 시크루는 레라가 탑승해 있을 때의 기술을 단독으로 사용하며, 그 외에 나코루루가 마마하하를 부리는 기술도 사용한다.[24] 분노오의는 에레르시 카무이 림세인데 이거는 시크루 혼자 난무하다가 마마하하와 함께 피니시로 끝. 참고로 마마하하 & 시크루처럼 주인 없이(?) 단독으로 나온 서포트 캐릭터에 경우 무조건 獸 모드 고정이다.

12. 타 게임에서

파일:nakoruru_1024.jpg
라이센스 제공으로 인터렛츠에서 제작한 나코루루 ~그 사람으로부터의 선물~에 나오는 이야기로는, 리무루루와 마찬가지인 고아로 전대의 카무이코탄의 무녀가 맡아서 길렀다. 그 후 어머니와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무녀 자리를 이어받았다. 혈연관계에 있는 사람에게 계승되는 것이 아니라 자격이 있는 사람이 무녀로 선택된다. 그 때문에 무녀로서의 역할을 다하면서도 평범한 여성으로서 살아가고 싶어 고뇌하는 모습이 많이 나온다. 어떤 이벤트에서는 챰챰이 선물해 준 옷을 입고 부끄러워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걸 보면 애당초 노출을 좋아하지 않는 타입인 듯.[25]

사무라이 스피리츠 외에도 기타 SNK 작품에서 눈에 띄게 등장했다. CVS 시리즈, 네오지오 배틀 컬리시엄, 리듬 오브 파이터즈, 그리고 KOF 2000에서 유리 사카자키의 어나더 스트라이커로 등장. 스트라이커로서의 나코루루는 아테나와 완전히 똑같은 기능을 해서, 나코루루 덕후가 아닌 이상 스트라이커로 보긴 힘들다. 진설 사무라이 스피리츠 무사도열전과 NBC에서는 체력 회복기도 가지고 있다.

인기가 많아서인지 리무루루와 함께 3, 4편에서 동체 절단 등을 당하지 않는 '보호 대상'이 되었다(여성과 어린아이를 보호하는 차원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 샤를로트나 시즈마루는 잘만 잘린다.). 4편의 경우 나코루루와 싸울 때는 단말오의 커맨드를 넣을 기회 자체가 주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사무라이 스피리츠 제로 스페셜에서는 결국 다른 캐릭터처럼 몸이 이리저리 잘리게 되어 유저들에게 충격 또는 (안티와 료나에게는) 환호[26]를 안겨주었다. 제로 스페셜을 제작한 유키 엔터프라이즈가 3, 4편의 보호 정책에 대해 무슨 한이라도 갖고 있었는지, 나코루루는 단말마가 두 가지나 준비되어 있다.[27] 3D로 나와 캐망한 사무라이 스피리츠 섬에서도 보호 정책은 개나 줘버렸지만, 정말 이건 정말 아니다 싶어의 수준.

2012년 11월 22일자로 로스트사가 프리미엄 용병으로 등장했다. 이로써 로스트사가는 점점 SNK VS 아크 시스템 웍스로 나아가는 추세(...). 일단 모습은 제로 시절이며 기술 베이스는 잔쿠로무쌍검 기술과 아마쿠사 강림의 연참을 들고 나왔다. 전체적으로 연속기가 쉬운 편에 무콤도 있었고 마마하하 매달리기를 이용한 니가와 플레이가 강력했지만 너프로 시치카프 암의 잡기 시간이 고자가 되어 마이의 하위 호환급으로 전락했다. 남성 버전은 팬들의 기대와는 다르게 아수라참마전의 나찰 나코루루[28]이 아닌 오리지널로 나왔는데... 어린 외모와 귀두컷 머리가 되어 전체적으로 쇼타캐릭터가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2015년 중국의 모바일 게임 왕자영요에 콜라보 캐릭터로 출시되었다.

2017년 피크네코의 킹덤 스토리에서 사무라이 국가를 도입했는데 최고 등급인 S급으로 나왔다.

KOF XIV에서의 출장 덕에, KOF 개최로부터 수개월 후를 다룬 SNK 히로인즈 Tag Team Frenzy에서 최초의 6인 중 하나로 공개되었다. 이세계 팀 엔딩 때 현대 시대에 관심이 있는 눈치였는데, 상당히 마음에 든 듯 장기간 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동생과 동료들은 어쩌고? KOF XIV에서 캐릭터성이 변경된 여파가 있어서인지,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절에는 입지도 않았던 노출도 높은 복장을 입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본인 의사가 아닌 쿠크리의 강제였긴 하지만. 그리고 KOF와 SNK 히로인즈에서 나코루루를 사실상 시공 차원 이동 능력자로 묘사한지라, 앞으로는 어떤 작품, 어떤 시리즈에 등장해도 차원을 타고 넘어왔다라고 하면 되는 상황이다. KOF XV 스토리에서도 하오마루와 달리 대거가 나코루루를 통해 현세로 건너온 것으로 나온다.

2019년 온라인 농구 게임인 프리스타일하오마루에 이어 2번째 사무라이 쇼다운 캐릭터로 참전한다.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에서는 테리 보가드의 공개 트레일러 영상에서 언제나 서 있던 절벽 앞에 있던 바다에서 초대장이 떨어지는 걸 보고 마마하하에게 초대장을 잡으라고 명령했으나, 마마하하가 놓쳐버린 바람에 절벽에서 그냥 구경만 하게 되었다. 천천히 소리가 작아지는 1때 당시 자신의 BGM은 덤. Mii 파이터의 코스튬 4탄으로 나코루루 의상이 추가되었으며, 특전 스피릿 보드에서 2성짜리 스피릿으로 나온다. 우에다 마사미[29]가 어레인지한 테마곡 자연의 연회도 추가되었다.

닌텐도 E숍에서의 자신의 코스튬 소개문은 다음과 같다.
[사무라이 쇼다운] 시리즈로부터 나코루루의 코스튬이 검술 타입용으로 등장합니다.
물론 아버님의 유품인 보도 치치우시도 가지고 왔습니다.
아름다운 대지를 위협하는 파이터님들은 카무이의 전사의 이름을 걸고 대자연의 벌을 내리겠어요!

이후 소울칼리버 6에 하오마루가 시즌 2의 DLC 캐릭터로 참전함과 동시에 자신의 옷이랑 마마하하가 추가 파츠로 나오게 되었다. 마마하하는 남녀 공용이나, 아쉽게도 옷은 남자 캐릭터는 입지 못하며, 여자 캐릭터 한정으로 입어 볼 수 있다.

2024년 4월 25일 던전앤파이터에 SNK 콜라보로 등장했으며, 대응 캐릭터는 나이트. 이벤트에서는 2024년 5월 9일부터 플레이 가능했는데 여기서는 마마하하 관련 스킬은 물론, 나찰 나코루루 / 레라가 사용하는 시크루 관련 스킬도 사용 가능하다.

13. 기타

린 타로 감독의 애니메이션 카무이의 검의 오마주 캐릭터이다. 전투 모션은 주인공 지로의 단검술을 거의 그대로 따왔고, 이름은 카무이의 어머니 오야루루, 캐릭터 디자인과 아이누라는 컨셉은 카무이를 좋아하는 아이누 소녀 치오마프에서 따왔다.

SNK를 대표하는 히로인 중 노출도도 적고, 거기다가 가슴은 빈유라고 말하기도, 거유라고 말하기도 힘든 애매한 사이즈다. 하지만 체격이 작아서 그렇지 평균 이상은 되는 편. 특히나 허리가 무지하게 가는지라. 3D긴 하지만 1997년작과 아수라참마전에서는 무려 가슴 사이즈만 82로, 이를 체격에 비하면 꽤나 거유가 되었다.[30] 그런데도 SNK 측에서는 빈유로 그려지는 편. 그거에 대한 반론인지 팬들이 그린 팬 아트에서는 꽤 글래머로 그려진다. 게임 상에서나 일러스트에 따라서도 나코루루의 머리 색깔이 다르게 표현 되는 데, 흑발로 표현 되거나 푸른 색깔을 가진 머리 색깔로 묘사 되는 등, 다양하게 표현 되기도 한다.

지금이야 상당히 흔한 캐릭터성이지만 사무라이 스피리츠가 흥행가도를 달리던 당시에는 초절정 인기 캐릭터였다. 1990년대 활동을 한 동인 중 나코루루를 건드려보지 않은 사람은 없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였으며, 나코루루의 시대인 1990년대가 지난 뒤에도 나코루루에 영향을 받은 듯한 캐릭터나 스토리가 나오고 있다. 수라 나코루루와 동일 인물인 나찰 나코루루 - 레라의 경우는 제외하며, 다음은 그 목록.
  • 나코파파나코오빠의 필명 유래가 나코루루다. 필명부터 나코루루의 팬을 자처할 정도.
  • 소드 아트 온라인시리카가 나코루루를 참고하면서 나온 등장인물로 추정된다. 주무장이 둘 다 단검인 것부터 시작해서 서포터 능력이 우수한 점[31], 예의 바른 성격과 조력 생물의 존재 등 닮은 점이 많기 때문. 다만, 꾸준히 주역으로 등장해서 존재감을 뽐내는 나코루루와는 달리 시리카는 한번 반짝하고 이후엔 조역으로 눌러앉아서 그런지 가장 중요한 인기 부분은 전혀 안 닮았다는 것. 또한 주인공을 짝사랑하고 있다는 점은 나코루루보단 갈포드 & 샤를로트와 닮았다.[32]
  • 사무라이 스피리츠 잔쿠로 무쌍검에서 플레이어블 첫 출장이자 자기 여동생인 리무루루. 원래 기획이 나코루루의 희생 후 리무루루를 히로인으로 대신 합류시키는 것이어서 나코루루를 기반으로 캐릭터 구상을 하였다는 듯하다. 자세한 사연은 리무루루 항목 참고.
  • 사무라이 스피리츠 제로의 신캐릭터이자 새로운 히로인인 마지키나 미나. 캐릭터 구상 자체가 나코루루와의 대비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다. 때문에 겹치는 면이 많지만 이면을 따져보면 정반대로 되어있는 면도 많다. 물론 둘 다 스토리의 행보도 별 볼 일 없는 건 다르지 않아서 눈물난다.
  • 메이플스토리히어로즈 오브 메이플에서 알리샤가 자연 복구를 위해 자기 자신을 희생하는 장면으로, 하오마루 지옥변의 나코루루 엔딩과 전개 흐름이 거의 유사하다.
  • 고전부 시리즈의 애니에서 이바라 마야카가 소속된 만화연구부의 선배 코우치 아야코가 학교 축제(칸야제)때 나코루루 코스프레를 했다. 이쪽은 평소의 나코루루와 달리 썩은 포스가 넘치는 표정 연기를 보여주어 원작 캐릭터와의 갭 모에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런 나코루루가 상당히 신선했는지 이 코스프레 버전 나코루루를 그린 2차 창작도 나오고 있다.

이는 순진하고 여린 성격과 청초한 외모에 가녀린 몸 등 치유계 캐릭터의 조건을 갖추면서, 그에 반해 대자연의 무녀라는 숙명으로 인해 선혈이 낭자한 전장에서 칼부림하는 싸우는 미소녀라는 컨셉을 둘 다 가졌다는 점이 갭 모에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워낙 당시 인기가 높아서 1994년에 도쿄도 천도 1200년 기념 페어의 이미지 모델 캐릭터로, 또한 자연을 지키는 캐릭터인 이미지로 도쿄도의 각종 환경 보호 포스터에 등장하기도 한다. 심지어는 국민연금 PR 캠페인까지. 카무이코탄(홋카이도)에 사는 나코루루가 어째서 도쿄도의 광고에 나와야 하는지는 광고주만 알 수 있을 듯.

나코루루의 이런 높은 인기는 특이 현상이라고 할 만한데, 역동적인 동작으로 여캐의 성적 매력을 발산하기 쉬운 액션 장르, 그 중에서도 그런 어필이 심한 대전 격투 게임에서 나코루루처럼 노출을 배제하고 청순가련함을 강조한 캐릭터로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아예 그런 캐릭터 자체가 드물다.[33] 춘리와 마이가 각각 스파 제로나 아랑 3편에서 복장을 바꿨다가 섹시미가 떨어졌다고 불평한 유저가 있었다는 걸 생각하면, 데뷔부터 줄곧 저 이미지를 지킨 나코루루는 정말 특이한 케이스다.

이런 인기 덕분에 당시 일본의 젊은이가 아이누에 관심을 갖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기도 했다. 과거 공교육에서는 아이누의 존재를 축소하거나 홋카이도 개척사를 간략하게 생략하는 경우가 많아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나코루루가 확실히 스타트를 끊은 것. 다만 아이누족 입장에서는 게임이 왜곡된 정보를 전한다며 항의하는 사례도 보였다.

KOF XIV에 참전하면서 논란이 일었는데, 이제 와서 무슨 KOF에 나오냐면서 곱지 않은 시선을 받고 있다. 사무라이 스피리츠 섬 이후 8년 공백 때문에 전성기에 비하면 인기가 떨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지지를 보내는 팬도 많아서 참전을 반기는 의견도 있다.[34] 2016년 당시에는 자기 본가인 사쇼 시리즈는 흥행부진 및 특유의 잔혹성 문제로 시리즈 동결 상태라서, 본가를 통해서는 등장이 불가능하므로 KOF에 나오게 된 셈이다. 심할 정도로 애어른이던 사무라이 스피리츠 때와 달리, KOF에서는 자기 생전 나이(17세~18세)를 찾아가고 있는 중이다. 숙명에 얽매인 자 설정은 카구라 치즈루도 마찬가지이고, 자연 보호자 그 자체만으로는 오로치와 팔걸집도 같은 설정을 지니게 되었다.

하오마루 지옥변 이후로 (특히 본가 2D 파트에) 본인 엔딩에 유난히 절벽 끝에 서는 모습이 많이 등장한다. 주로 황폐해진 자연을 바라보기 위해 절벽 끝에 오르는 경우가 많으며, 자신을 희생해 자연을 회복시키려고 한다. 이 중 아마쿠사 강림 때는 리무루루가 언니를 떠나보내기 싫어서 저지(?)시키는 장면도 있다. 절벽 끝에 서는 모습은 KOF XIV에서도 재현되었는데,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절 때와는 달리 바다가 보이는 절벽이고 무거운 분위기가 아닌 다른 캐릭터처럼 밝은 분위기가 된 것이 차이점. 인기가 떨어졌다고 해도 한때는 SNK 최상위권의 인기캐였던 만큼 한 개 작품에만 쓰고 버리기에는 매우 아깝기 때문에 연속 출장 가능성이 높았다. 특히 프로듀서는 나코루루의 차기작 등장을 아예 못 박았다.


2017년 1월 27일에 교복 코스튬 나코루루(일명 교복루루)가 공개되었다. 레라 / 나찰 나코루루 복장은 무녀복 6번 컬러로 갔기 때문에 DLC로 교복 복장이 나오게 되었다. 코스튬의 정식 명칭은 '카무이코탄 여자 학교 교복'이며, 나코루루가 사무라이 스피리츠 1편에서 나오고 24년[35] 만에 처음으로 현대 복장+치마를 입은 모습이다. 그런데 나코루루가 어린애 취급 받는 건지, 팬티스타킹이라 그런 건지, 아사미야 아테나와 비교될 정도로 판치라가 매우 적나라하다. 아마도 바지를 입은 걸 상정해서 만든 모션이라서 그런 것 같다.

텐센트에서 만든 AI로 우쿄랑 같이 나오기도 했다. 노래를 불러달라고 하면 창홍의 칼날에 나온 엔딩곡을 불러준다!

나코파파감자동 8번지에서 유령으로 출현한다.
파일:external/php.chol.com/~nakopapa/tt/attach/0206/060206195037609513/702364.jpg
소쿠리를 제자로 받아들였...는데 메이드상 파라파라를 알려줘 버렸다. 참고로 살아있을 때(?)와 뭔가 능력이 달라졌다...?!

나코루루 스테이지에 일본원숭이가 나오는 건 고증 오류다. 일본원숭이가 홋카이도에서 야생화된 건 메이지 시대에 홋카이도가 완전한 일본령이 되면서 일본 수뇌부가 홋카이도를 완전히 일본화시키기 위해 일본원숭이를 홋카이도에 이주/방사시킨 후부터다. 차라리 에도 시대 이전 배경 작품에서 도호쿠 아이누 캐릭터과 관련해서 일본원숭이가 나오는 게 고증이 충분히 된 내용일 것이다.

한때 코미케의 여제로 불렸던 1990년대를 풍미한 일러스트레이터 나나세 아오이의 최애캐이자 당시 나나세 아오이를 유명하게 만들어준 캐릭터가 나코루루이다. 이 유명세로 사무라이 스피리츠의 공식작에 참여하는 공식 작가가 되기도 했으나 2010년 이후 나나세는 여러 가지 구설수와 실력 저하로 몰락하게 되자 SNK와 계약을 어기고 나코루루와 리무루루의 그림을 그려서 무단으로 판매하려다가 계속 발각되면서 무산. 결국 개인적으로 그리는 것도 영구 금지를 당하게 된 해프닝이 있었다.

동방 프로젝트 시리즈의 레이무와 비슷한 공통점들이 있다. 둘 다 무녀라는 캐릭터 성을 가졌고, 컬러 색깔이 빨간 색을 띈다는 점. 물론 나코루루가 훨씬 더 선배이자 원조 격이긴 하다.[36]

14. 관련 문서


[1] 아이누모시리는 아이누어로 홋카이도를 가리키며, 카무이코탄은 카무이(神) + 코탄(집)의 합성어로 '신이 사는 곳' 정도의 의미인데, 홋카이도에 실제로 '카무이코탄'이라고 이름붙은 동네가 몇 군데 있지만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의 카무이코탄은 가상의 장소이다.[2] KOF 시리즈의 경우 '소중한 것'[3] 무사도열전에서는 라톳시라는 이름으로 나온다.[4] KOF 시리즈의 경우 '격투 스타일'[5] 사실 대전 격투 게임의 엔딩은 IF 스토리가 다수고 이 중 일부만 다음 작품의 정사로 채택해서 작품을 만들게 되는 것이라 이 엔딩에 집착할 필요는 없었다. 다만 리무루루로 세대 교체 하려고 했던 부분에 대한 반발이 문제였던 듯하다.[6] 1997년 이후에 나온 후속작 중 과거 시간에 머무르는 작품이 많이 나온 이유는 당시의 인기 캐릭터를 올스타전 식으로 모두 내기 위해서는 과거 시간대가 편리하기 때문이지, 나코루루 때문만은 아니다.[7] 한편 노출도가 전혀 없는 히로인으로 이 정도의 인기를 구사한다는 것도 상당히 진귀한 기록이다. 이와 비슷한 케이스로 쿨라 다이아몬드가 있다. 그나마 쿨라는 본디지 의상이라 몸매가 다 드러나는 케이스.[8] 설정상 오로치팔걸집이 인류를 멸망시키려 하는 까닭은 인류가 자연을 파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반대로 자연을 보호하려는 의도를 지닌 나코루루를 적대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9] 승리시 나오는 대사가 '대자연의 벌이야/벌이에요'이고 게임 특성상 여러 가지로 많이 썰고 다니기 때문에, 대자연의 마녀와 같은 별명이 있다. 3과 4, 1997년작, 아수라 참마전, CVS1, KOF XIV(초판)에서는 사기캐가 돼서.[10] 너무 인기가 좋아서 플레이어블로 빠지면 안 되기 때문에, 본래대로라면 죽어있을 나코루루는 시리즈를 과거로 돌릴 정도로 살아가고 있다고 하거나 좀비라고 해도 될 정도로 끈질기게(?) 나오기도 하니...[11] 사무라이 스피리츠 때와는 달리 경쾌한 멜로디인데, 이는 KOF XIV 이후 나코루루의 캐릭터 분위기 변화와 관련 있다.[12] 나코루루 : "저는 대자연의 무녀... 알아 주세요..." 그리고 뒤를 떠나는 나코루루에게 "Hey, Nakoruru! I'll never give up!"이라며 외친다. 물론 그 홋카이도에서 영어를 들었을 리는 만무하므로 못 알아들었다.[13] 각성했지만 나름대로 인간적인 면모가 있는 오로치 야시로 승리 대사에선 '넌 인간을 위해 칼을 겨눴고 그래서 나는 널 때려눕혔을 뿐'이라며 다소 아쉽다는 듯이 말하고 오로치 셸미는 '자연을 위한다면 인간 따윈 버려야 한다며 그게 불가능하다면 너 역시 똑같은 죄인에 불과하다'며 강경하게 말한다. 그리고 오로치 사천왕 중 가장 잔혹하고 인간 자체를 경멸하며 승리 대사에서도 온통 비웃음과 조롱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로치 크리스조차 자연을 위해서 싸우는 나코루루에게만큼은 호의적으로 봤는지 '인간과 자연은 공존 자체가 불가능하고 어느 한쪽이 도태될 뿐'이라는 나름대로 진지한 충고를 한다.[14] 나코루루가 바이스 상대로 승리 시, 바이스가 사악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며 처벌한다고 언급. 진상을 알아보고 적대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바이스도 XV 인터뷰에서 나코루루가 자연을 소중히 하는 마음은 좋지만 너무 인간 위주인게 별로라며 디스했다.[15] XIV에선 거칠고 난폭한 성격을 자랑하는 바이스도 아깝지만 여기서 죽이겠다며 말을 바꾸긴 했지만 그 이전에 자신과 싸우지 않는다면 그냥 못 본 척해주겠다며 온건하게 대하고 XV 승리 대사를 보면 나머지 팔걸집인 야시로와 셸미는 자연을 위해서 싸우는 나코루루를 적대하진 않고 좋게 보지만 인간의 편에 서서 싸우겠다면 봐주지 않겠다는 대사가 나오고 팔걸집과 사천왕 중 잔혹하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운 크리스도 나코루루를 조롱하지 않고 인간과 자연은 결코 공존할 수 없다며 진지하게 충고한다. 비이스는 XV 인터뷰에서 나코루루 같은 사람들은 어떻냐는 질문에 자연을 생각하는건 좋은데 인간 위주라 별로라고 답했다.[16] XV 백 스토리에서 과거로 돌아가 하오마루달리 대거에게 오랜만이라고 한다.[17] 실제로 게임상 1편, 2편에서 나코루루가 무기를 놓쳐버리면 이놈의 매는 나코루루를 떠나서 땅에 꽂혀진 치치우시 위에 앉아있는다. 물론 아무베 야트로 커맨드를 입력하면 다시 나코루루한테 돌아온다.[18] 하지만 리무루루가 정식으로 빛의 무녀가 된 창홍의 칼날에서는 코빼기도 보이지 않는다. 20년 차이니 어쩔 수 없겠지만...[19] KOF XIV에서 킹 오브 다이노소어스 상대로 승리시 "마마하하를 먹으려고 한 것에 대한 벌이에요, 공룡 씨."라고 한다. XIV 기준 나코루루의 성격(천연 소녀)을 알 수 있는 부분.[20] 그 밖에도 폼 잡았다가 순식간에 바보가 되는 쿄부터 기스는 초대장을 잡으려고 뛰었다가 그대로 추락사, 이오리는 초대장을 놓치고 3단 웃음을 시전한다.[21] 이분이 자주 쓰신다.[22] 아이러니하게도 시크루를 데리고 다니는 나찰 나코루루나 레라는 리무루루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 언니들이다.[23] 캐릭터를 호명할 때는 아나운서가 아닌 타카하시 미카코의 목소리로 호명된다. 목소리를 예전 버전으로 바꾸어도 마찬가지.[24] 마마하하를 공격시키는 것은 물론 마마하하에 매달리는 것도 가능. 참고로 매달린 상태에서의 카무이 무츠베는 이전 시리즈 나코루루처럼 대각선으로만 날아간다.[25] 리무루루는 샤를로트, 마나리는 우쿄가 선물해 준 옷을 입는다. 다만 챰챰, 샤를로트, 우쿄는 이름이 아니라 표현으로 간접 언급 된다.[26] 게다가 시즈마루와 갈포드의 절명오의가 100% 세로 쪼개기라서 이 두 명의 기술을 당하면 가슴이 살짝 보인다! 물론 그다음에 있는 일은 사과가 쪼개지듯 세로로 반 토막...[27] 이건 유키가 맡기 이전, 3편부터 이미 세 종류였지만.[28] 각종 나찰 나코루루 동인지를 보면 남자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레라도 마찬가지.[29]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베요네타 시리즈의 작곡가.[30] 사실 진지하게 따지고 들어가면 꽤나 거유 정도가 아니라 저 사이즈대로면 엄청난 거유가 되어 버린다. 급속한 기아에 의해 갑자기 마른 경우가 아니라면 허리 사이즈가 48cm = 18인치(...)밖에 안 되는 사람이라면 언더 바스트도 보통 사람에 비해 10cm 가까이 낮은 게 정상이다. 언더를 대략 60으로 잡으면 탑 82cm면 무려 F컵이 되어 버린다. 초대~아마쿠사 강림의 설정인 73cm일 경우 B컵으로 계산되는데 이쪽이 오히려 고증에 맞는 적당한 사이즈였던 것.[31] 속도전 위주는 시리카보다는 아스나가 더 가깝다.[32] 덤으로 키리토가 시리카를 소중한 여동생으로 여기지만 연인으로는 여기지 않는 것도 얼추 비슷하다. 갈포드의 경우 나코루루에게 좋은 사람이라는 인식은 주지만 나코루루에겐 대자연의 무녀 특유의 숙명이 있는 데다가 갈포드가 자신에게 연심을 품고 있다는 것도 몰라서 동료애만 지니고 있으며 샤를로트의 경우도 하오마루에겐 이미 유키와 동일한 포지션에 있는 여인인 오시즈가 있기에 동료애에서 발전하지 않는다.[33] 나코루루와 비슷한 시기의 SNK의 다른 인기 여캐인 마이나 아테나, 유리라던지 캡콤의 춘리나 캐미, 사쿠라, 모리건 등은 모두 섹시 어필의 비중이 높은 캐릭터다. 3D 격겜에서는 대놓고 노린 DOA 같은 작품이 나오는 등 이 현상은 더 심해진다. 당시의 인기 캐릭터 중에는 토도 카스미가 유사한데, 벤치마킹을 한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닮았다. 그나마 나코루루랑 조금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 캐릭터로는 아테나인 데, 아테나도 단지 컨셉이 싸우는 아이돌에다 복장이 치마를 입고 있어서 그렇지, 말투와 성격을 조사하면 섹시하다는 이미지보다는 나코루루처럼 순수한 마음이 부각 되 곤 한다.[34] 섬 이후 부터 KOF XIV까지 출연작이 없다시피 한데도 그 기간 동안 픽시브나 디비언트아트 등지에서 꾸준히 나코루루의 팬아트가 투고되고 있었다. XIV 참천 후에는 투고 빈도가 늘었으며, 분량도 슨크 캐릭터 중에서는 상위권. 사쇼 여캐 중에서는 독보적인 원탑이라고 보면 된다. 그나마 미나이로하가 동인지 쪽에서는 활발했고, 챰챰은 2000년대 중반에 갑자기 푸시를 받았다.[35] 이 기간 동안 나코루루는 (길이만 다른) 카무이코탄 무녀복만 입었다. 웬만한 캐릭터가 다 교복을 입어본 DOM3에서도 나코는 고전풍 여관의 관리인 설정이라 전통복 차림으로만 나온다.[36] 또한 현재 나코루루의 성우인 나카하라 마이도 동방 프로젝트 2차 창작 애니메이션인 동방몽상하향과 2차 창작 게임인 동방 스펠 카니발에서 레이무를 담당했다는 점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