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어 | rbw[1] |
고대 리비아어 | Lbw |
페니키아어 | 𐤋𐤁𐤉 |
베르베르어 | 리부(ⵍⵉⴱⵓ) |
영어 | 리부(Libu) |
프랑스어 | Libou |
1. 개요
고대 리비아, 이집트 지역에 거주한 베르베르인의 조상. 리비아의 유래가 되었다.2. 역사
2.1. 이집트 신왕국
리부는 엘 알라메인에서 발견된 람세스 2세의 비문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다.메르넵타 재위기인 기원전 1208년(메르넵타 재위 4년), 리부의 대추장 메리예위(Meryey)는 바다 민족과 연합해 이집트 신왕국을 침공했으나, 침공 1달만에 메르넵타에게 패하였다. 메르넵타 비문에 의하면 패배의 여파로 메리예위는 제거되고 형제 메쉬켄(Meshken)이 차지했다고 한다.[2]
람세스 3세 재위 초기(재위 5년과 6년)에 리부는 고대 리비아 부족 중 하나인 메시웨시와 함께 다시 이집트를 공격했으나 람세스 3세에게 패배했다. 승리한 람세스 3세는 포로로 잡은 리비아인들(리부인, 메시웨시인)을 이집트에 강제로 정착시켜서 그들을 이집트인으로 동화하고 이집트군으로 군복무를 강요했다.
2.2. 이집트 제3중간기
이집트 신왕국의 최후 명군인 람세스 3세가 암살당한 후, 이집트는 점차 쇠락하면서 가나안, 누비아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면서 나일 강 유역으로 영토가 축소되었다.이집트 제21왕조 말기 리비아계 파라오인 대 오소르콘이 처음으로 파라오에 등극하였다. 이후 이집트 제22왕조, 이집트 제23왕조, 이집트 제24왕조는 리비아계 왕조가 들어서게 된다. 이때 리비아계 파라오들은 스스로를 '리부의 대추장(Great Chiefs of the Libu)' 마의 대추장(Great Chief of the Ma)'으로 칭하였다.
기원전 720년, 마지막 리비아계 왕조인 이집트 제24왕조가 쿠쉬 왕국의 침공으로 멸망하면서 리비아계 이집트 왕조가 끝나고 이집트 제25왕조가 들어서게 되었다.
3. 대중매체에서
문명 6 시나리오 나일강의 선물에서 리비아가 등장한다. 플레이는 불가능하며, 문명 6 아라비아의 시스템을 재탕했다.토탈 워: 파라오에서는 지역 병종들 중 리부 부족들(Libu Tribe) 계열 병종들이 등장하며, 이집트 서부 사막(이집트) 지역에 리부 세력들이 배치되어 있다. 더미데이터로 있는 미사용 대사에서는 메르넵타와 세트나크테와의 대화에서 메르넵타가 리비아인들이 침공에 염려하는 대사가 남아있다.
토탈 워: 파라오 왕조에서는 리부 하위세력인 메시웨시가 플레이 가능한 소규모 세력이 되었다.[3] 플레이 가능한 소규모 세력으로 세트나크테도 풀리게 되면서 세트나크테 플레이시 마이너 리부 세력들이 초반 상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