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 Language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0.5px;" | <colbgcolor=#8e912a> 셈어파 | <colbgcolor=#8e912a><colcolor=#FFF> 동셈어군† | 아카드어† · 아시리아어† · 에블라어† |
북서셈어군 | 아람어(서신아람어 · 투로요어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칼데아 신아람어 · 만다야어 · 시리아어† · 사마리아 아람어† ) · 가나안어(히브리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 페니키아어† · 퓨니크어†) · 아모리어† | ||
남서셈어군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집트 아랍어 · 하사니야어 · 차드 아랍어 · 수단 아랍어 · 주바 아랍어 · 중앙아시아 아랍어 · 마그레브 아랍어 ) · 몰타어 | ||
남부셈어군 | 사바어† · 하드라마우트어 · 라지흐어 ·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하라시스어 · 그으즈어† · 암하라어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 ||
이집트어파† | 콥트어† · 고전 이집트어† | ||
베르베르어파 | 누미디아어† · 관체어† · 카빌어 · 리프어 · 실하어 · 샤위아어 · 투아레그어 · 제나가어 · 시와어 · 가다메스어 · 타마지트어 | ||
차드어파 | 하우사어 · 론어 · 볼어 · 바데어 · 부라어 · 투막어 | ||
쿠시어파 | 소말리어 · 오로모어 · 아파르어 · 베자어 | ||
오모어파 | 월라이타어 | ||
| }}}}}}}}} |
고전 이집트어 𓂋𓏤𓈖𓆎𓅓𓏏𓊖 | r n kmt Egyptian language | Ancient Egyptian | ||
<colcolor=#fff><colbgcolor=#8e912a> 유형 | 굴절어 | |
어순 | 동사-주어-목적어 (VSO) | |
서자방향 | 정해지지 않음[1] | |
문자 | 이집트 상형문자 | |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 이집트 문명 | |
원어민 | 모국어 화자 전무함 기원전 2000년~기원전 1350년경 | |
계통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이집트어파 중기 이집트어 | |
언어 코드 | <colcolor=#fff><colbgcolor=#8e912a> ISO 639-2 | egy |
ISO 639-3 | egy | |
글로톨로그 | egyp1246 |
[clearfix]
[2]
나무위키, 여러분과 함께 가꾸어 나갈 지식의 나무.
나무위키, 여러분과 함께 가꾸어 나갈 지식의 나무.
1. 개요
고전 이집트어[3]는 나일강 유역에서 사용되던 언어로 기원전 2천 년부터 아마르나 시대까지 사용된 이집트어를 이른다. 아마르나 시대 이후에도 로마령 이집트 시대까지 고전어로서 사용되었다. 문자는 이집트 상형문자를 사용하였고 이외에도 신관문자(Hieratic)[4]이나 필기체(Cursive Hieroglyphic)를 사용하기도 했다.많은 문서가 고전 이집트어로 작성된 만큼 현대 이집트학에서는 고전 이집트어를 중점으로 하여 가르친다. 19세기 초반 이집트 상형문자가 해독되면서 비로소 고전 이집트어 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 1894년 아돌프 에어만(Johann Peter Adolf Erman)이 처음으로 고전 이집트어 문법을 정리하였다. 이를 이어서 1927년에 앨런 가디너(Sir Alan Henderson Gardiner)가 고전 이집트어의 문법의 틀을 정립하였다.[5]
2. 문법
고전 이집트어의 명사는 고전 히브리어, 아카드어 등의 셈어파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문법적 성 2개(남성, 여성)와 문법적 수 3개(단수, 복수, 쌍수)를 지니고 있다.
남성 | 여성 | |
단수 | ∅ | -t |
쌍수 | -wy | -ty |
복수 | -w | -(w)t |
형용사는 그 자체로 문장의 서술어로 쓰이거나, 명사를 수식하거나, 그 자체로 명사처럼 쓰이기도 한다.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의 성/수에 따라 활용되나, 서술어로 쓰일 때는 형태변화를 하지 않는다.
대명사는 접미형(suffix), 의존형(dependent), 독립형(independent)이 있다.
접미형은 명사 뒤에 붙어 수식관계를 나타내거나 (예:sn 형제; brother, sn=i 나의 형제; my brother),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거나 (예: n ...에게, ...를 위해/ n=f 그에게) 동사 뒤에 붙어서 주어로서 사용된다. (예: iw swr=i mw '나는 물을 마신다.') [6]
남성 | 여성 | 복수 | |
1인칭 | =i | =n | |
2인칭 | =k | =ṯ/t | =ṯn/tn |
3인칭 | =f | =s | =sn |
의존형은 문장의 직접 목적어로서 쓰인다. (예: iw mꜣꜣ=i sw '나는 그를 본다.') 또는 도입 소사 mk(히브리어의 'hinne', 영어의 'behold', 'look!')의 뒤 또는 형용사 서술어의 목적어로서 등장한다.
- mk sw m pr: 보라 그가 집에 있다.
남성 | 여성 | 복수 | |
1인칭 | wi | n | |
2인칭 | ṯw | ṯn | ṯn |
3인칭 | sw | sy | sn |
이집트어의 각 동사는 구성하는 자음에 따라 2자음 동사, 3자음 동사, 세번째 약자음 동사, 두번째 겹자음 동사, 4자음 동사 등으로 분류된다. (표로 만들시에는 각각 2C. 3-Str. 3.Wk. 2.Gem. 4.Wk.으로 쓰겠다.) 각 분류의 예시로는 ḏd '말하다', sḏm '듣다', mri '사랑하다', qbb '차갑다', ḥmsi '앉다'가 있다.
3. 들어보기
ILoveLanguages!가 제작한 소개 영상.
4. 관련 문서
[1] 고전 이집트어는 글자가 새겨진 동물이나 인간을 바라보고 대화하듯이 읽어나간다. 동물 모양 글자나 사람 모양 글자가 왼쪽을 바라보고 있다면 글은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읽어나가고, 반대로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다면 글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어나간다.[2] NAMWWIKI ŠN NY RḪT AFTI N RD AB. 로마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방향으로 전사되었고 글귀도 그렇게 쓰였지만, 고전 이집트어는 글자가 새겨진 동물이나 인간을 바라보고 대화하듯이 읽어나간다. 동물 모양 글자나 사람 모양 글자가 왼쪽을 바라보고 있다면 글은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읽어나가고, 반대로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다면 글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어나간다. 위 사진에 나온 글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야 한다.[3] 중기 이집트어라고도 불린다.[4] 히에로글리프(이집트 상형문자)로부터 간략화된 문자. 신관문자 다음 단계는 민중문자(Demotic)라고 한다.[5] 완전히 정립하지는 못했다. 동사 변화 연구가 현저히 부족했기 때문이다. 20세기 초에 한 야콥 폴로츠키가 동사 변화를 정립하였다.[6] 인칭대명사 주어가 필요한데 동사가 쓰이지 않는 문장일 경우, iw와 같은 도입 소사(introductory particle)와 결합한다. (예: iw=sn m pr '그들이 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