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 Language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0.5px;" | <colbgcolor=#8e912a> 셈어파 | <colbgcolor=#8e912a><colcolor=#FFF> 동셈어군† | 아카드어† · 아시리아어† · 에블라어† |
북서셈어군 | 아람어(서신아람어 · 투로요어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칼데아 신아람어 · 만다야어 · 시리아어† · 사마리아 아람어† ) · 가나안어(히브리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 페니키아어† · 퓨니크어†) · 아모리어† | ||
남서셈어군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집트 아랍어 · 하사니야어 · 차드 아랍어 · 수단 아랍어 · 주바 아랍어 · 중앙아시아 아랍어 · 마그레브 아랍어 ) · 몰타어 | ||
남부셈어군 | 사바어† · 하드라마우트어 · 라지흐어 ·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하라시스어 · 그으즈어† · 암하라어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 ||
이집트어파† | 콥트어† · 고전 이집트어† | ||
베르베르어파 | 누미디아어† · 관체어† · 카빌어 · 리프어 · 실하어 · 샤위아어 · 투아레그어 · 제나가어 · 시와어 · 가다메스어 · 타마지트어 | ||
차드어파 | 하우사어 · 론어 · 볼어 · 바데어 · 부라어 · 투막어 | ||
쿠시어파 | 소말리어 · 오로모어 · 아파르어 · 베자어 | ||
오모어파 | 월라이타어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c09300><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수련 · 초원수리 |
역사 | 역사 전반 · 고대 이집트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파티마 왕조 · 맘루크 왕조 · 이집트 왕국 · 2011 이집트 혁명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이집트 아랍 공화국 여권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BRICS | |
경제 | 경제 전반 · 이집트 파운드 · 넥스트 일레븐 | |
국방 | 이집트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방공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바스부사 · 몰로키야(음식) · 하맘 마슈위)· 이집트 음악 · 이집트 미술 · 이집토마니아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 카이로 박물관 · 이집트 대박물관 | |
인물 | 네페르티티 · 아케나톤 · 투탕카멘 · 람세스 2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히파티아 · 바이바르스 · 메흐메트 알리 · 가말 압델 나세르 · 안와르 사다트 · 호스니 무바라크 · 무함마드 무르시 · 압델 파타 엘 시시 · 하산 알 반나 · 사이드 쿠틉 · 모하메드 살라 | |
지리 | 나일강 · 시나이 반도 · 사하라 사막 · 홍해 | |
민족 | 이집트인(방글라데시계 · 아르메니아계) | |
종교 | 이집트 신화 · 콥트 정교회 · 수니파 · 살라피즘 | |
언어 | 고전 이집트어 · 콥트어 · 이집트 아랍어 | |
문자 | 이집트 상형문자 · 콥트 문자 · 아랍 문자 | |
관광 | 이집트/관광 · 철도 환경 |
مصري | |
이집트 아랍어 | |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지역 | 이집트 |
원어민 | 약 8000만 명 |
어족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남서셈어 아랍어 이집트 아랍어 |
문자 | 아랍 문자 |
언어 코드 | |
ISO-639-1 | - |
ISO-639-2 | - |
ISO-639-3 | arz |
주요 사용 지역 | |
이집트 아랍어 | اللهجة المصرية |
현대 표준 아랍어 | لهجة مصرية |
영어 | Egyptian Arabic / Masri |
프랑스어 | Arabe égyptien |
[clearfix]
1. 개요
이집트에서 쓰이는 아랍어 방언. '이집트 구어체 아랍어', '아랍어 이집트 방언'이라고도 한다. 아랍어 방언이라고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배우는 현대 표준 아랍어(푸스하)와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개별 언어로 보기도 한다. 이집트 아랍어는 수단 아랍어와도 공통적인 면이 존재한다.이집트인들은 이 방언 혹은 언어를 이집트 아랍어로 مصري(마스르/마스리)라고 부르는데 많은 유럽 언어들처럼 이는 '이집트의'라는 뜻의 형용사형과 겹친다.
2. 현황
이집트의 공용어는 아랍어이며 그 표준 형태는 쿠란의 아랍어를 약간 수정한 현대 표준 아랍어(푸스하)다. 이집트인들은 신문, TV 뉴스, 강의, 문서 작성 등의 공적인 상황이나 타 아랍 국가에서 온 사람과 의사소통할 때 현대 표준 아랍어를 사용하며 이집트 아랍어는 대부분의 이집트인들에게서 일상 회화로만 쓰이기 때문에 글로 쓰이는 일은 드물다. 과거 중국에서 글말로는 한문을 사용하고 입말로는 백화(白話)를 쓴 것과 비슷한 경우다.이집트뿐만 아니라 아랍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이슬람 이전 아랍어는 아라비아반도 남서부 부족들의 언어일 뿐이었다가 이 부족들이 이슬람을 창시하고 전파하면서 중동 전역에 퍼졌기 때문이다. 넓은 지역에 아랍어가 전파되면서 각 지역에서는 현지 언어와 환경 등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형태의 아랍어를 구사했는데 이것이 현재 각 지역에 나타나는 아랍어 방언이다. 아랍어 방언들끼리는 대부분 상호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현상은 라틴어가 서유럽 및 남유럽, 그리고 동유럽 전역에 전파되면서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등으로 발전한 것과 유사하다.
수많은 아랍어 방언들 중에서 이집트 아랍어는 다른 아랍 세계에서도 잘 알려져 있다. 이집트는 아랍의 대표적인 영상 산업 강국으로서 영화와 쇼 프로그램, 드라마를 마구마구 찍어내는지라 아랍인들이 보는 영화와 드라마에서는 대부분 이집트 방언이 쓰이는데 이를 통해 이집트 방언이 널리 알려졌으며 이집트인들이 다른 아랍 국가에서 노동자로 많이 일하여 자신들의 방언을 다른 아랍 국가에 알렸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랍어권 총 인구 수를 대충 4억 정도로 추산하는데 그 중 이집트 인구가 약 1억명이나 될 정도로 많은 것도 이집트 아랍어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한편 이집트에서 이집트 아랍어만 쓰이는 것은 아니라서 이집트 남부의 사이디 방언이나 마그레브 방언에 가까운 서부방언, 동부 지역에서 쓰이는 베두인 방언 등이 따로 쓰이는데 이들은 이집트 아랍어와는 별개로 간주된다.
이집트 아랍어는 드넓은 이집트에서 쓰이는 만큼 위의 3개 방언을 빼고도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점이 있지만 카이로의 이집트 아랍어를 이집트 아랍어의 표준으로 간주한다.
3. 역사
아랍어는 이슬람의 확산을 타고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퍼져서 현지 언어와 어휘를 대체하였으며 이집트도 7세기부터 이슬람 제국에 정복되면서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이슬람 제국의 정복 이전 이집트에서 주로 쓰이던 언어로는 고전 이집트어의 직계 후손인 콥트어가 있었지만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의 통치로 행정에는 그리스어[1]가 사용되었고 콥트어에도 그리스어 단어들이 많이 유입되었다.
7세기의 이슬람 정복 이후 정복자들은 콥트어 대신 아랍어를 행정 언어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이슬람이나 아랍인들보다 훨씬 오랜 문명을 가진 이집트인들은 아직 일상생활에서 콥트어를 사용했고 아랍어는 공적 언어에 지나지 않았다. 더불어 학문 영역에서는 아직도 그리스어가 콥트어는 물론 아랍어보다도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랍인들의 지배는 15세기까지 오랫동안 계속되었고 그 과정에서 이집트인들은 점차 아랍어를 일상 언어로도 쓰기 시작했다. 대략 11세기 즈음이면 하이집트(이집트 북부)에서는 대다수 이집트인들이 아랍어를 일상 언어로 사용했고 콥트어의 영향력이 비교적 오래 남은 상이집트(이집트 남부)에서도 아랍어가 대부분의 이집트인들의 일상언어가 되었다.
그러나 아랍어가 일상언어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이집트인들의 일상 아랍어에는 상당히 많은 콥트어 및 그리스어의 언어적 특징이 유입되어 있고 콥트어의 문법 구조의 영향이 남아서 이집트인들이 일상에서 쓰는 아랍어는 쿠란의 아랍어(표준 아랍어)와는 달라졌는데 이런 상황 속에서 이집트 아랍어가 형성되었다. 물론 공적인 상황에서는 쿠란의 아랍어[2]를 사용했고 이집트 아랍어는 일상 회화로나 널리 쓰였다.
오랜 이슬람 제국의 통치를 거치며 이집트인들은 스스로를 아랍인으로 여기게 되었지만 이집트는 이슬람 도래 이전에도 주변에 비해 문명이 발달했기 때문에 아랍인과는 구분되는 '이집트인'이란 정체성도 병존했다. 근대에 들어 민족주의 물결이 이집트를 덮치고 메흐메드 알리 치하에서 사실상 독립하자 이집트에는 아랍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아랍 민족주의와 이집트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이집트 민족주의가 생겨났는데 이 중 후자의 사상에 공감하여 이집트 아랍어를 글로 쓰고 독자적인 언어로 정립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시기에 이집트 아랍어를 그대로 글로 옮긴 소설들이 다수 출간되었고 20세기 초반에는 이집트 아랍어로 번역된 성경이 출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이집트 왕국 말기 가말 압델 나세르를 중심으로 하는 아랍 민족주의가 대두함에 따라 크게 쇠퇴하였다. 이집트 왕국을 무너뜨린 나세르는 강렬한 아랍 민족주의자였고 아랍 세계의 정치적 통일을 추진하고자 했던 인물로, 그의 집권 이후 이집트의 아랍인 정체성을 강조함에 따라 이집트 아랍어를 개별 언어로 인정하는 데 인색해졌지만 나세르나 이후의 이집트 통치자들이 이집트 아랍어를 탄압한 것은 아니었고 오히려 이집트 아랍어로 문화 컨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장려했다. 이러한 시도들은 오늘날 아랍 세계에서 이집트 아랍어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4. 현대 표준 아랍어와의 차이점
4.1. 발음
- ق/q/를 성문 파열음 ء(함자)로 발음한다. 그래서 قهوة(커피, [qahwa])는 [ʔahwa]로 발음하는데 이는 레바논, 팔레스타인, 요르단 등 레반트 지역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القاهرة(카이로, [al-qaːhira])나 القرآن(쿠란, [al-qurʔaːn])에서는 ق를 그대로 발음한다.
- ج/dʒ/를 /ɡ/로 발음한다. 다른 지역에서 구개음화가 일어났지만 이집트에서만 구개음화가 진행되지 않았다. 그래서 جريدة(신문, [dʒariːda])는 [gerida]로 발음한다. /dʒ/를 /ɡ/로 발음하는 현상은 이집트 방언뿐만 아니라예멘 방언, 오만 일부 지역 방언 등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
4.2. 문법
의문 대명사도 많이 다르다.한국어 | 표준 아랍어 | 한글 옮김 | 이집트 아랍어 | 한글 옮김 |
언제 | متى | 마타 | امتى | 임타 |
누가 | من | 만 | مين | 미인 |
무엇 | ما | 마-/마다 | إيه | 에- |
이름이 무엇입니까? | ما اسمك؟ | 마 스무카? | اسمك ايه؟ | 이스막 에?(남)・이스믹 에?(녀) |
어떻게 | كيف | 케이파 | إزّاي | 이자이 |
왜 | لماذا | 리마다 | ليه | 리 |
(너를) 사랑해 | أحبك | 우힙부카(남) 우힙부키(녀) | أنا بحبك | 아나 베힙박(남)・아나 베힙빅(녀) |
현재형은 동사 앞에 ب(b)를 붙여서 표현한다. 예를 들면 표준 아랍어에서 '너를 사랑해'는 أحبك(우힙부카/우힙부키)이지만 이집트 아랍어에서는 أنا بحبك(아나 베힙박/베힙빅)으로 나타난다. 표준 아랍어에서 카는 남성, 키는 여성이지만 이집트 아랍어는 k 앞 모음에 ㅏ, ㅣ를 붙여서 성별을 구분하기 때문이다.
'~가 있다'를 في(fi:)를 사용해 표현한다. 예를 들어 في مشكلة(휘ㅣ 무쉬킬라)라는 말은 '문제 속에' 라는 말이 아니라 '문제있다' 라는 말이다. 덕분에 '~가 ~의 안에 있다.' 같은 문장을 쓰면 في가 한 문장에 2번 나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동사보다는 형용사꼴을 더 많이 쓴다.
4.3. 어휘
이집트 아랍어는 그리스어와 콥트어에서 수많은 어휘를 들여왔기 때문에 기본적인 어휘도 현대 표준 아랍어와는 큰 차이가 있다. 표준 아랍어에서 또한/역시 등의 의미를 가진 ايضا(아이단)은 이집트 방언에서는 برده(바르다)이다.No라는 표현은 لا(라)로 동일하지만 Yes라는 표현은 نعم(나암) 대신 أيوا(아이와)[3], 그리고 부정형인 ليس(레이싸) 대신 مش(미쉬)라고 한다.
5. 기타
6. 외부 링크
[1] 로마 제국이 이집트를 지배했지만 이집트를 비롯한 제국 동부에서는 라틴어보다 그리스어를 링구아 프랑카로서 사용했다.[2] 오스만 제국의 정복 이후에는 오스만어도 사용되었다.[3] نعم(나암)이 안 쓰이는 건 아니고 둘 다 쓰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