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집트 제3중간기 이전까지는 샤브티(shabti)라고 불렀으나, 제21왕조 시절부터는 우샤브티(Ushabti)로 바뀌었다.대영박물관에 소장된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인 아흐모세 1세의 샤브티.
고대 이집트 때 미라와 함께 묘에 넣던 부장품 인형으로, 이집트식 용(俑)이다. 마치 우리나라에서 상여에 꼭두를 태우는 것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했는데, 옛 순장을 대신하는 주술적 도구이다.
이집트 제2왕조 시기에 들어서며 순장이 금지되었고, 이에 따라 노예를 대체하기 위해 이집트 제11왕조 시대부터 묻히기 시작했다.
샤브티의 재질은 나무, 돌, 상아, 석고 등 다양했다. 옛 이집트 사람들은 망자가 저승에 내려가면 샤브티가 오시리스가 부리는 노동을 대신하거나 살아있을 때처럼 시중을 드는 노예 겸 망자를 지키는 수호자 노릇을 한다고 여겼다. 일꾼 샤브티 한 점이 하루치 노동을 대신하므로 일꾼 샤브티는 365점, 그리고 열흘씩 일꾼들을 관리하는 십장 샤브티 36점까지 총 401점을 갖추어야 완전한 샤브티 세트 한 벌이 되었다. 하지만 십장 샤브티는 이집트 말기 왕조 시대가 되면 점점 드물어졌다. 사후세계에서도 일하기 싫기는 평민들도 마찬가지라 형편대로 한두 개라도 무덤에 같이 묻었다.
초기에는 관 속에 미라와 함께 넣었으나, 후대에는 샤브티들만 담은 상자를 따로 두거나 무덤 바닥에 깔아놓았다. 값비싼 부장품을 노리던 도굴꾼들에게는 가치가 없어 내버려뒀기 때문에 현대까지도 많은 수가 남았고 스캐럽과 함께 고대 이집트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이집트 제11왕조의 샤브티.
이집트 제18왕조의 인물인 아뮤네하트의 샤브티.
이집트 제20왕조의 파라오 람세스 4세의 샤브티.
이집트 제21왕조의 테베의 아문 대신관이었던 피네젬 2세의 딸이었던 네시타네베투이세루(Nesi-ta-nebet-Isheru)의 샤브티.
이집트 제25왕조 타하르카의 샤브티.
이집트 제30왕조 시절의 사제 샤브티.
언제부터 만들어졌는지는 불명확하나 이집트 제1중간기 시대에 등장한 코핀 텍스트(Coffin Text)의 마술 472번에 처음으로 언급되며,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로인 멘투호테프 2세 치세 때부터 부장품에 포함되었다. 무덤에 안치된 망자의 이름과 칭호, 코핀 텍스트나 망자의 서 6장의 내용을 새겨놓은 게 특징이다. 이집트 제3중간기에 속하는 제21왕조 시기에 널리 쓰였고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멸망 시까지 이 풍습이 계속됐다. 처음에는 미라와 똑같은 모습으로 제작되었지만 이집트 제18왕조 투트모세 4세 치세부터 농사일에 쓰는 농기구(도리깨, 바구니, 자루 등)를 든 모습으로 바뀌었고, 수요가 굉장히 많았기 때문에 간략하게 만든 틀로 찍어냈다.
2. 대중매체 및 기타
미라와 함께한다는 점에서 여러 가지 매체에서 언데드나 오컬트적인 크리처로 나타나곤 한다. 대표적으로 유희왕의 '샤브티의 부적'이 있다. 문나이트에서도 이집트 신을 봉인하는 매개체로 등장한다.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세계사 과목의 1번 문제에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