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0:48:36

마스터셰프 코리아 2/예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마스터셰프 코리아 2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마스터셰프 코리아 2/본선 진출자
,
,
,
,
,

{{{#!wiki style="margin:-5px -10px"
[[마스터셰프 코리아|
파일:마스터셰프 코리아 로고.jp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8%"
{{{#!folding [ 시즌 1 ]
{{{#!wiki style="margin:-2px -1px -10px;word-break:keep-all"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ddd><tablebordercolor=#b71c36> 마스터셰프 코리아
<nopad> 본선 진출자 15인
오보아 · 박지윤 · 배동걸 · 김태욱 · 하정숙 · 박소진 · 유동율 · 김승민 · 김미화 · 달라스 · 서문기 · 박준우 · 박성호 · 윤아름 · 오종석
<nopad> 에피소드 및 진행 과정
예선 · 1회전 · 2회전 · 3회전 · 4회전 · 5회전 · 6회전 · 7회전 · 8회전 · 9회전 · 결승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8%"
{{{#!folding [ 시즌 2 ]
{{{#!wiki style="margin:-2px -1px -10px;word-break:keep-all"
마스터셰프 코리아 2
<nopad> 본선 진출자 14인
우덕미 · 최보연 · 김영준 · 최석원 · 정영옥 · 김하나 · 이기선 · 김경민 · 백성진 · 김태형 · 이예진 · 왕옥방 · 최강록 · 윤리
<nopad> 에피소드 및 진행 과정
예선 · 1회전 · 2회전 · 3회전 · 4회전 · 5회전 · 6회전 · 7회전 · 8회전 · 9회전 · 결승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8%"
{{{#!folding [ 시즌 3 ]
{{{#!wiki style="margin:-2px -1px -10px;word-break:keep-all"
마스터셰프 코리아 3
<nopad> 본선 진출자 14인
윤세찬 · 강클로이 · 김가은 · 김민준 · 전봉현 · 윤민후 · 원향란 · 강형구 · 이창수 · 정유석 · 홍다현 · 고재키 · 국가비 · 최광호
<nopad> 에피소드 및 진행 과정
예선 · 1회전 · 2회전 · 3회전 · 4회전 · 5회전 · 6회전 · 7회전 · 8회전 · 9회전 · 결승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8%"
{{{#!folding [ 시즌 4 ]
{{{#!wiki style="margin:-2px -1px -10px;word-break:keep-all"
마스터셰프 코리아 4
<nopad> 본선 진출자 16인
강민주 · 강수연 · 구태근 · 김정현 · 김지희 · 케빈킴 · 남의철 · 박준하 · 범대원 · 서양순 · 손영국 · 옥영민 · 이은선 · 이혜승 · 장대건 · 정찬혁
<nopad> 에피소드 및 진행 과정
예선 · 1회전 · 2회전 · 3회전 · 4회전 · 5회전 · 6회전 · 7회전 · 8회전 · 결승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4%"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2px -1px -11px;word-break:keep-all"
<nopad> 시리즈 정보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시즌 4
<nopad> 역대 심사위원
강레오 · 김소희 · 노희영 · 김훈이 · 송훈
<nopad> 외전 및 관련 프로그램
마스터셰프 코리아 셀러브리티 · 100일간의 이야기 · 5pening · 최강식록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방송 내용
2.1. 100인의 오디션2.2. 부트캠프 미션2.3. 진행 결과
3. 방영 후 이슈

1. 개요

마스터셰프 코리아 2의 예선전 진행 과정을 다룬다. 방송에서는 1화, 2화, 3화 분량에 해당한다.

2. 방송 내용

2.1. 100인의 오디션

  • 100인의 오디션: 편의상 방송에서 참가자 이름과 요리가 모두 확인된 경우만 서술한다.
참가자 메뉴 강레오 김소희 노희영 결과 비고
1화 방영분
송희선 다진 냉이를 곁들인
너츠 스테이크
- 합격 합격 통과 클립
남연희 감자 고구마 새알심,
라이스페이퍼에 싼 새우완자 튀김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탈락 클립
최강록 콜리플라워와 뿌리채소를 곁들인 생선찜 합격 합격 합격 통과 클립
최석원 새우 비스크 뇨끼 파스타 합격 합격 합격 통과
최현숙 묵은지 고등어 조림 합격
신성수 보리된장 리소토 & 된장 수육 합격
정영옥 대구 머리튀김과 대구살 만두 합격
중간점검: 합격자 12명
백성진 쌀누룩 돈테이크와 참마 버섯 수프 합격 불합격 합격 통과
성수덕 장떡을 곁들인 소고기 볶음과 흑미소스 탈락 클립
손희정 링귀니 프리마베라 with 쉬림프 탈락
이옥경 탈락
김태형 우메보시 해산물 냉채 통과 클립
김소봉 갈비찜 탈락
김동연 산라탕 & 허니드레싱 오리가슴살 샐러드 탈락
이예진 바베큐 돼지고기와 그린망고 샐러드 & 찹쌀밥 & 바삭한 새우와 타마린 소스 통과
김하나 코다리 양념구이 통과
2화 방영분
3화 방영분

2.2. 부트캠프 미션

  • 1라운드: 파 채썰기
<colcolor=#fff> 탈락자
26명
1라운드 합격자
20명

  • 2라운드: 카놀라유를 활용한 요리
<rowcolor=#fff> 참가자 메뉴 결과
박영희 단호박스테이크, 오이무침 샐러드 불합격
현바램 어묵 두부 튀김 불합격
심규민 버섯리조또 크로켓[1] 불합격
최강록 콩비지 크로켓 본선 진출
최석원 엔초비 파스타, 카프레제[2] 본선 진출
왕옥방 홍소새우[3] 본선 진출
최보연 감자로 싼 연어구이, 레몬오일샐러드 본선 진출
이기선 닭가슴살튀김[4] 본선 진출
이선용 게살프리터 불합격
김영준 도미스테이크[5] 본선 진출
우덕미 크리스피 닭다리구이[6] 본선 진출
정영옥 도미전, 두부샐러드 본선 진출
마이클 베이컨 관자 구이[7] 불합격
이지운 닭고기샐러드[8] 불합격
윤리 오징어 새우 튀김[9] 본선 진출
김하나 김치 삼겹살 말이 본선 진출
이예진 스카치에그 본선 진출
김경민 참나물 달래 샐러드, 가자미구이 본선 진출
백성진 우엉포타주, 당근 오렌지 샐러드 본선 진출
김태형 모둠튀김[10] 본선 진출
  • 박영희 도전자는 스테이크와 샐러드 모두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평과 함께 간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고 익힘 유무도 구별하기 어렵다는 평을 받아서, 현바램 도전자는 튀김이 속까지 익지 않았고, 맛 자체도 재료의 특성을 잘 못 살렸다는 평을 받아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심규민 도전자는 크로켓의 양이 너무 적다는 평과 함께 소스, 크로켓의 내용물을 모두 지적받아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이선용 도전자도 프리터의 양이 너무 적고 조리 과정 상 실수[11]가 너무 많이 나와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마이클 도전자는 요리 맛이 너무 저렴하다는 평[12]을 받아서, 이지운 도전자는 샐러드 양도 적고 전반적으로 비위생적[13]이었다는 평을 받아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3. 진행 결과

  • 본선 진출자

3. 방영 후 이슈


[1] 송이, 느타리, 표고버섯을 이용했고, 토마토 소스를 곁들였다.[2] 두 메뉴 다 시금치 페스토를 곁들였다.[3] 홍소육에 육고기 대신 새우를 넣어 만들었다.[4] 간장소스를 곁들였는데, 소스에 채소와 캐슈넛이 들어갔으며 외형도 탕수 치킨에 가깝다.[5] 간장소스[6] 시금치 크림소스[7] 세 가지 소스를 곁들였다.[8] 오리엔탈소스[9] 오징어와 새우를 각각 튀긴 후 소스를 곁들였다.[10] 고추장소스[11] 반죽에 가루(전분)를 너무 적게 넣어서 프리터를 튀기자마자 모양이 바로 뭉개져버렸다.[12] 베이컨 맛도 고급진 맛이라 할 수 없는데, 소스도 전반적으로 맛이 그리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13] 부트캠프 때의 조리대와 오디션 때의 요리 담음새 모두 깔끔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