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20:58:31

만명부인

<colbgcolor=white,#2d2f34> 만명부인(萬明夫人)
본관 경주 김씨(慶州 金氏)
성씨 김(金)
이름 만명(萬明)
아버지 김숙흘종
배우자 김서현
아들 김유신, 김흠순
김보희, 문명왕후
생몰연도 580년경?[1]~?

1. 개요2. 화랑세기의 기록3. 대중매체에서

1. 개요

신라의 왕족. 진흥왕의 남동생 숙흘종의 딸이다. 정사에선 어머니에 대한 기록이 없는데, 정황상 만명부인은 성골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숙흘종의 아내는 성골이었을 듯하다.[2] 진흥왕의 조카이자 진평왕의 이부 여동생 또는 외사촌 여동생[3]이 되는 귀한 아가씨. 김서현과 혼인하여 김유신, 김흠순, 김보희, 문명왕후 4남매를 낳았다.

금관가야의 왕족 출신 진골김서현과 사랑에 빠졌으나 아버지가 둘 사이를 반대하자 김서현과 사랑의 도피를 해 결혼했다고 한다. 공주급 여자와 왕자급 남자, 더 나아가서 정복국의 공주와 망국의 왕손이[4] 눈이 맞아 도피한 사건이기 때문에 서동 설화에 관한 가설 중에는 이 사건이 와전되어 서동 설화와 서동요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저 사랑의 도피와 관련된 설화가 있는데, 아버지가 서현을 멀리 변방인 만노군[5]의 지방관으로 보내버리고 만명을 가두었는데, 어느 날 폭풍우가 일어나서 문이 벼락이 떨어져 박살나자 그 틈을 노려 만명이 서현에게 도망갔다고 한다.

자녀에게 엄격했던 모양으로, 김유신천관녀에게 사랑에 빠졌을 때 큰 일을 할 사람이 여자에게 빠지면 안 된다고 훈계했던 일이 유명하다.[6] 그리고 집안 내력인지 이 부부의 딸도 제 부모처럼 혼전임신으로 아들을 낳았다. 이 아들이 삼국 통일의 주인공인 문무왕이다.

생전에는 만명공주[7]였으나 훗날 아들인 김유신이 흥무대왕으로 추존되면서 만명부인으로 칭호가 바뀌었다.

훗날 그녀는 무당들에게 신격화되어 영험한 신으로 모셔져 '말명'이라고도 불린다.

2. 화랑세기의 기록

화랑세기에 따르면 만명부인의 어머니는 정사에서는 고모였던 만호부인이다. 만호부인의 원래 남편이였던 동륜태자가 죽자 김숙흘종과 재혼하여 만명부인을 낳았다고 한다.[8] 따라서 만명부인은 진평왕, 김백반, 김국반의 이부 여동생이자 천명공주, 선덕여왕, 진덕여왕의 고모이며, 그녀의 아들 김유신 또한 진평왕의 외조카이자 선덕여왕의 사촌남매가 된다.

그리고 화랑세기에서는 숙흘종이 아니라 만호태후가 만명부인과 김서현의 관계를 반대했다고 하며, 이유도 가야계 문제가 아니라 진골정통인 만명부인이 대원신통인 김서현과 혼인할 수 없다는 이유 때문이었다.[9] 다만 화랑세기는 실제 역사를 기록한 것이 아닐 수도 있으니 주의.

화랑세기에선 도피 때문에 왕가에서 추방 비슷한 걸 당하고 남편의 출세길도 막혔었지만 나중에 어머니 만호태후와 화해하고는 남편도 출세가도를 달렸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하지만 화랑세기라서 그대로 믿기에는 어려운 일. 다만 삼국사기에도 뭔가를 계기로 용서를 받았는지 이후 남편인 김서현이 신라의 장군으로 활약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3. 대중매체에서

3.1. 드라마 선덕여왕

3.2. 드라마 대왕의 꿈

담당 배우는 김예령. 1화부터 남편아들을 기죽이는 여걸포스를 뽑내었다. 하지만 본모습은 아들을 사랑하는 따뜻한 어머니이다. 4화에서 자신과 남편 때문에 김유신화랑도에 들어가지 못하자 아버지에게 따지러 가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김유신과 천관녀의 러브라인 최대의 위험요소이다. 결국 7화에서 어떻게 알았는지 서라벌로 올라와 야사대로 둘을 갈라 놓았다.[10] 하지만 최종 브레이커의 역할은 길달의 몫이었다.

김유신에게 가문과 대의를 위해 사랑을 포기하게 하는데 정작 자기는 사랑을 위해 가문을 버리는 짓도 서슴치 않았다는 것을 생각하면 굉장히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11][12]


[1] 결혼하자마자 가진 첫 아이 김유신이 595년생이고, 김서현을 만났을 당시 결혼 적령기였으므로 580년 즈음해서 태어났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2] 다만 동륜태자계를 성골로 인정한다는 설에 따르면 만명역시 진골이다. 이 설에 따르면 동륜, 백정, 덕만, 천명만 성골이다.[3] 진평왕의 어머니 만호부인과 만명부인의 아버지 김숙흘종이 남매지간이고, 만명부인의 추정 생년으로 보아 진평왕보다는 확실히 나이가 어리다.[4] 만명부인은 진흥왕의 조카이기 때문에 신라 왕족 중에서는 격이 높은 편에 속한다. 김서현도 상대등까지 오른 노리부의 조카, 잡찬까지 한 전쟁 영웅 김무력의 아들임을 생각하면 참 대단한 집안끼리 스캔들이 난 것이다.[5] 지금의 충청북도 진천군. 여기서 만명부인이 김유신을 낳게 된다.[6] 천관녀는 출신이 기생이라는 것이 정설이며 신녀라는 이야기는 후대의 재야사학 같은 일부에서 제시된 일종의 설에 불과하다. 까놓고 말해서, 김유신이 천관녀와 결혼하려고 한 것도 아니었고 단지 애인 사이일 뿐이었다.[7] 실제로 왕의 딸은 아니였지만 신라에서는 왕족 여성에게도 공주라는 칭호를 붙히는 경우가 꽤 있었다. 서양의 princess와 비슷한 용법.[8] 김숙흘종만호부인의 관계가 친남매 간의 근친혼 사례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화랑세기와 삼국사기의 기록이 짬뽕된 것이다. 김숙흘종만호부인이 부부였다는 기록은 화랑세기에서만 나오지만, 화랑세기에서는 김숙흘종만호부인은 친남매는커녕, 이복남매나 이부남매도 아니다.[13][9] 대원신통진골정통은 모두 모계계승인데, 김서현은 대원신통 사도부인의 외손자이고, 만명부인은 진골정통 지소태후의 외손녀다. 다만 인통은 모계계승으로, 아들은 1대에 한해 어머니의 인통이 전해졌다. 즉, 사도부인이 대원신통이라 하더라도 김서현의 어머니의 인통에 따라 김서현의 인통이 결정되는 것.[10] 길거리 상인과의 대화를 보면 저자거리에 소문이 퍼진 듯하다.[11] 사실 만명부인 생각도 이해 못할 건 아닌게 이제야 겨우 아들이 인정을 받고 있는 상황에 자칫 잘못하다간 그 입지마저 줄어들게 되니, 어머니 된 입장에서 보면 충분히 걱정할 만한 상황이긴 하다.[12] 더군다나 만명부인과 천관녀는 엄연히 입장이 다르다. 만명부인의 경우 도피 상대는 어쨌든 최고위 귀족이었다. 물론 그 상대가 당시 진골 사이에서도 다소 끝발이 부족한 김서현이기는 했으나 가십거리는 될 지언정 자식이 나오더라도 최소한 진골이라는 최고위 귀족은 될 수 있었으니까. 그러나 천관녀는 엄연히 기록상 기생으로 천출이다. 고대 계급사회에서 이는 단순한 핸디캡 수준이 아니다. 요즘으로 치면 김서현이 대기업에 크게 꿀리지 않는 큰 중견 기업 사장이라면 천관녀는 창녀나 호스트라 보면 되니 얼마나 차이가 심한지 알 수 있다.



[13] 삼국사기에서는 김숙흘종만호부인 모두 김입종지소태후의 자식이지만, 화랑세기에서는 김숙흘종김입종과 금진낭주 사이의 아들, 만호부인지소태후위화랑 사이의 딸이라 아버지와 어머니가 모두 다르다. 단지 김입종지소태후 사이의 아들 진흥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복형제의 이부남매, 이부남매의 이복형제가 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