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23:12:57

모던 호라이즌 3

모호3에서 넘어옴
파일:mtg-planeswalker-logo.png
매직 더 개더링 세트
{{{#!wiki style="margin: -15px -10px -16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정규 세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3e3e3,#181818> 빈티지
레거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스탠다드 · · · · · · · · · · · ·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Coldsnap 발매 이후 블록에서 제거됨[2] Visions와 Weatherlight 사이에 출시되었으나 편의상 블록 바깥으로 분류[3] Urza's Legacy와 Urza's Destiny 사이에 출시되었으나 편의상 블록 바깥으로 분류[4] Planeshift와 Apocalypse 사이에 출시되었으나 편의상 블록 바깥으로 분류[5] Ice Age 블록에 포함[S] 발매 예정[S] 발매 예정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특별 세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3e3e3,#181818><colcolor=#212529,#e0e0e0> Horizons · ·
Masters · · · · · · · · ·
리마스터 · · · · · · ·
다인전 전용 · · · · · · · · · · · · · · · · ·
Unset · · · ·
· · ·
보너스 시트 · · · · · · · ·
[[유니버스 비욘드|
Universes Beyond
]]
· · · · · ·
기타 · ·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S] 발매 예정[O] 매직 더 개더링 온라인 전용[A] 매직 더 개더링 아레나 전용[A] 매직 더 개더링 아레나 전용[A] 매직 더 개더링 아레나 전용[S] 발매 예정[S] 발매 예정[S] 발매 예정[S] 발매 예정
}}}}}}}}} }}}}}}

모던 호라이즌 시리즈
모던 호라이즌 2 모던 호라이즌 3

1. 개요2. 스토리3. 카드 일람4. 키워드, 메커니즘 및 사이클5. 환경
5.1. 컨스트럭티드
5.1.1. 모던5.1.2. 레거시 이하5.1.3. 타임리스
5.2. 리미티드
6. 커맨더 덱7. 기타

파일:Modern Horizons III.webp
Modern Horizons 3

1. 개요

트레이딩 카드 게임 매직 더 개더링의 세트. 2024년 6월 DD일에 프리릴리즈가 진행되고, DD일에 온라인아레나로, 14일에 테이블탑으로 발매된다. 세트 이니셜은 MH3. 세트 아이콘은 모던 호라이즌 시리즈의 마름모형 아이콘과 엠라쿨이 합쳐진 모습.

엘드라지와 기존에 단 한 번도 생물 카드로 나온 적이 없던 플레인즈워커들을 중심으로 마케팅을 진행하며, 기존의 모던 호라이즌 시리즈가 그랬듯이 이 세트에도 과거에 배경 설정으로만 등장하던 캐릭터들이 다수 등장한다.

매직 더 개더링 아레나에도 발매되며, 아레나에서의 드래프트 역시 지원한다.

2. 스토리

세트 자체의 스토리는 없지만, 기존 MTG 스토리 중 엘드라지와 관련된 스토리를 모아서 다시 공식 홈페이지에 신 카드 스포일러와 함께 올렸다.

3. 카드 일람

파일:MH3_expansion_symbol.webp 모던 호라이즌 3카드
파일:mtg-symbol-w.svg
백색
파일:mtg-symbol-u.svg
청색
파일:mtg-symbol-b.svg
흑색
파일:mtg-symbol-r.svg
적색
파일:mtg-symbol-g.svg
녹색
파일:mtg-symbol-multicolored.svg
다색
파일:mtg-symbol-c.svg
무색
파일:mtg-symbol-land-white.svg
대지
선택적 양면 카드 · 파일:M3C_expansion_symbol.webp커맨더 덱

4. 키워드, 메커니즘 및 사이클

모던 호라이즌, 모던 호라이즌 2와 마찬가지로 과거의 키워드들이 대거 등장한다. 이번 팩에서는 과거의 범위가 기존의 모던 호라이즌 2보다도 더욱 대담해져서, 바로 전전 팩인 카를로프 저택의 살인 사건의 키워드까지 가져왔다.
  • Ice Age
    • 기본 눈 대지 (Basic Snow Land): 상위 유형으로 눈(Snow) 유형을 가진 기본 대지로, 이후 모던 호라이즌이나 칼드하임 등에 재등장했다. 기본 대지임에도 눈 지속물로 취급하기 때문에 조상의 신령처럼 눈 마나를 이용하는 카드나 얼음송곳니 코아틀 등 눈 지속물의 숫자를 따지는 카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모던 호라이즌 3의 눈 대지는 세트의 주요 메커니즘이 아니며, 본 세트에서는 최초로 불모지에 눈 유형이 붙은 눈덮인 불모지 단 한 장만이 눈 유형을 가지고 발매된다. 동시에, 이 카드는 MTG 역사상 최초의 언커먼 기본 대지이다.
  • Torment
    • 광기 (Madness): 카드의 격발 능력 및 대체 비용. 내 손에서 광기 비용을 가진 카드가 버려지려고 하면 추방되며, 이 때 추방 영역에서 광기 비용을 지불해 발동하거나 발동하지 않고 무덤에 넣는다. 일반적으로 카드의 원래 마나 비용보다 저렴하기에 카드를 버리는 효과와 궁합이 좋다.
  • Onslaught
    • 친화색 페치 랜드: 모던 이하 포맷을 상징하는 대지들로, 지나치게 강한 성능으로 인해 타르커의 칸 이후 재판된 적이 없다. 모던 호라이즌 2에서 상극색 페치 랜드를 재판한 데 이어, 이번에는 친화색 페치 랜드를 재판함에 따라 상극색보다 과도하게 높았던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예측된다.
    • 폭풍(Storm): 주문이 가진 격발 능력. 발동할 때, 그 턴 이전에 발동되었던 주문의 수만큼 그 주문을 복사한다.
  • Ravnica
    • 준설 (Dredge): 골가리 무리의 길드 키워드. 카드를 뽑을 때 무덤에 준설 X가 있는 카드가 있다면, 카드를 뽑는 대신 서고에서 카드 X장 만큼 무덤으로 보낸 뒤 준설 X가 있는 그 카드를 손으로 되돌린다.
  • Mirrodin
    • 친화 (Affinity): 친화를 가진 주문은 조종자가 조종하는 친화 대상에 해당하는 지속물 한 개당 발동하는 데에 파일:mtg-symbol-1.svg이 덜 든다.
    • 엮어내기 (Entwine): 모드를 가진 주문에 붙을 수 있는 키워드로, 엮어내기를 가진 주문은 엮어내기 비용을 지불하면 모든 모드를 적용한다.
    • 슬리스 (Slith): 생물 유형으로, 공통적으로 '이 생물이 상대에게 전투피해를 입힐 때마다, 이 생물에 +1/+1 카운터 한 개를 올려놓는다.'를 가지고 있다. Mirrodin에서 5장, Darksteel에서 1장이 등장한 이후 다시는 등장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다시 등장할 일은 없을 것이었으나, 이번 세트에서는 리미티드 포맷을 위한 생물로 2장의 슬리스가 등장한다.
  • Darksteel
    • 모듈 (Modular) X: 마법물체가 가진 능력. 모듈을 가진 지속물은 +1/+1 카운터 X개를 가지고 전장에 들어오며, 전장에서 무덤에 들어갈 때 마법물체 생물을 목표로 정해 자신이 가지고 있던 +1/+1 카운터를 올려놓을 수 있다.
  • Time Spiral
    • Grandeur: 지속물이 가지는 활성화 능력으로, 활성화를 위해 손에서 같은 이름의 카드를 버리는 것을 요구한다. 현재까지는 전설적 생물만이 가지는 능력이다.
  • Lorwyn
    • 환기 (Evoke): 생물 주문의 대체비용. 환기를 가진 생물 주문은 환기 비용으로 발동할 수 있으며, 환기 비용으로 발동한 생물은 전장에 들어오면서 희생된다. 이번에는 갑떠돌이의 패러디 카드가 등장하며, 기존의 환기 카드들과는 다르게 발동할 때 격발하는 능력이 달려 있어 카운터를 당해도 효과를 볼 수 있다.
    • Kindred (구 종족Tribal): 카드 유형. Kindred는 하위 유형으로 생물과 같은 하위 유형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생물이 아니라도 Kindred라면 생물 유형을 가질 수 있다. 전장 외에서 시너지를 보는 것 말고는 별 이득이 될 때가 없어 Zendikar 블록을 마지막으로 스탠다드에서는 사용하지 않기로 공언한 유형이다. 또한 기존에 공언한 Tribal에서 Kindred로의 이름 변경이 실제로 이루어진다.
  • Morningtide
    • 보강 (Reinforce) X―{Y}: 카드가 가진 활성화 능력 보강을 가진 카드는 스스로를 버리고 보강 비용을 지불하면, 생물을 목표로 정해 +1/+1 카운터 X개를 올려놓을 수 있다.
  • Eventide
    • 회고 (Retrace): 이 능력을 가진 주문은 원래 비용에 더해 패의 대지 한 장을 버리고 무덤에서 발동할 수 있다. 이번에는 녹색 레어 생물 6호체가 무덤의 지속물 주문에 이 회고 능력을 추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회고 가진 주문은 발매되지 않는다.
  • Shards of Alara
    • 발굴 (Unearth): 그릭시스 샤드의 메커니즘으로 소개되었던 능력으로, 이후 형제 전쟁에서도 등장한 적이 있다. 집중마법을 발동할 수 있는 시기에 무덤에서 활성화할 수 있는 지속물 카드의 활성화 능력이다. 지속물을 무덤에서 전장으로 되돌리며, 생물이라면 신속도 얻는다. 이렇게 전장으로 돌아온 지속물은 다음으로 종료단이 시작될 때, 혹은 그 이전에 전장을 떠나려고 하면 대신 추방된다.
  • Worldwake
    • 퀘스트 카운터 (Quest Counter): Worldwake 세트의 특정 부여마법들이 조건을 만족할 때 올라가는 카운터들로, 이렇게 조건을 맞추어 특정 개수 이상의 퀘스트 카운터를 얻으면 추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Rise of the Eldrazi
    • 엘드라지: 무색을 특성으로 하는 MTG의 오리지널 빌런 종족으로, 밸런싱 및 스토리상의 문제로 2016년 이후 스탠다드에 발매된 적이 없다. 이 세트에서는 기존의 엘드라지 타이탄의 리메이크와 함께 무색 중/하급 엘드라지들도 새로 등장하며, 과거의 유명 카드들을 엘드라지 버전으로 패러디한 카드들이 등장한다.
    • 절멸 (Annihilator): 생물의 격발 능력. 절멸 X가 붙은 생물이 공격할 때마다, 수비플레이어는 지속물 X개를 희생한다.
    • Umbra Armor (구 토템 갑옷Totem Armor): 마법진에 붙는 키워드. 이 마법진이 붙은 생물이 죽을 경우, 대신 그 생물에게 가해진 모든 피해를 제거한 후 이 마법진을 희생한다. 또한 기존에 공언한 Totem Armor에서 Umbra Armor로의 이름 변경이 실제로 이루어진다.
  • Mirrodin Besieged
    • 생체병기 (Living Weapon): 장비의 격발능력. 전장에 들어올 때 0/0 흑색 피렉시아 세균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들고 거기에 부착된다. 장비 카드를 아무 밑준비 없이 생물인 것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능력인데, 역으로 장착 과정에 개입하는 몇몇 카드들과의 콤보들이 지나치게 강력하여 피렉시아에서는 토큰이 2/2의 공방을 가지는 미로딘을 위해!로 대체되기도 했다. 그것과는 별개로 생체병기는 모던 호라이즌 2에 이어 모던 호라이즌 3에도 등장한다.
  • 라브니카로의 귀환
    • 과부하 (Overload): 라브니카로의 귀환 블록에서 이젯 연합에 주어진 능력으로, 순간마법 및 집중마법 카드가 가질 수 있는 대체비용이다. 과부하를 가진 카드는 모두 목표를 잡는 주문을 나타내는데, 이 주문을 과부하 비용을 지불하여 발동하면 원래 주문이 목표로 잡을 수 있는 모든 각 대상에게 영향을 끼치게 된다. 텍스트상으로는 주문의 target(목표) 부분이 each(각)으로 대체되는 것으로 표현된다.
  • 충돌의 관문
    • 착취 (Extort): 지속물에게 붙는 능력으로, 착취 능력이 있는 지속물이 전장에 있을 때, 주문을 발동할 때마다 파일:mtg-symbol-wb.svg를 지불할 수 있다. 그렇게 한다면, 각 상대는 생명 1점을 잃고 당신은 그만큼의 생명점을 얻는다.
  • 테로스
    • 권능 (Bestow): 부여마법 생물 카드가 가질 수 있는 대체비용으로, 권능을 가진 카드는 권능 비용을 지불하고 "생물에게 부여"를 가진 마법진 주문으로 발동할 수 있다. 더 이상 생물에 부여된 상태가 아닐 경우, 생물로 돌아온다.
  • 재창조된 운명
    • 구현화 (Manifest): 카드를 뒷면 상태의 2/2 생물로 전장에 내려놓는다. 그 카드가 생물 카드라면 언제든 마나 비용을 지불하고 앞면 상태로 뒤집을 수 있다.
  • 매직의 기원
    • 생물 / 플레인즈워커 양면 카드: 기본적으로 생물이지만 조건을 만족하면 플레인즈워커로 변신하는 양면 카드들로, 기존에 매직의 기원에서 다루지 않은 플레인즈워커들의 각성 과정을 묘사한다. 이번에 등장하는 인물은 아자니타미요, 랄, 소린, 그리즈트다.
  • 젠디카르 전투
    • 결여 (Devoid): 카드, 주문 및 지속물의 정적 능력. 결여를 가지고 있다면 마나 비용과 무관하게 무색으로 취급한다. 물론 커맨더에 투입할 때의 색 정체성은 원래 마나 비용을 따라간다.
  • 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 섬망 (Delirium): 섬망을 가진 주문/지속물은 조종자의 무덤에 있는 카드들의 카드 유형 갯수가 총합 넷 이상이라면 추가적인 능력을 얻는다.
  • 섬뜩한 달
    • 출현(Emerge): 카드의 대체비용. 카드를 출현으로 발동하려면, 내 생물 한 개를 희생하면서 출현 비용에서 그 생물의 마나 값만큼의 일반 마나를 뺀 만큼 마나비용을 지불한다. 마나 값까지만 감소가 가능하므로, 출현 비용의 유색마나 부분은 경감이 불가능하다.
    • 증가 (Escalate): 모드를 가진 주문에 적용될 수 있는 추가비용. 증가를 가진 주문은 별다른 조건 없이 두 개 이상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나, 한 개를 초과하여 선택한 각 모드마다 증가 비용을 추가비용으로 지불해야 한다.
  • 칼라데시
    • 에너지 카운터 (Energy Counter): '플레이어에게 쌓이는 카운터'로, 일부 카드에 에너지 카운터를 지불하여 활성화하는 활성화 능력이 존재한다. 폴아웃 콜라보에서도 등장한 적 있다.
    • 제작 (Fabricate) X: 생물의 격발능력. 전장에 들어올 때, 스스로에게 +1/+1 카운터 X개를 올려놓거나 1/1 무색 서보 마법물체 생물 토큰 X개를 만든다. 제작을 가진 생물들은 자신의 능력치를 참조하는 능력이나 스스로 만든 토큰에 영향을 끼치는 능력을 가지는 경우도 있어 제작과의 시너지를 보는 데에 활용할 수도 있다.
  • 에테르 봉기
    • 급조 (Improvise): 주문의 대체비용. 집합처럼, 급조를 가진 주문의 마나비용 중 일반 마나비용은 파일:mtg-symbol-1.svg마다 조종자가 조종하는 마법물체를 한 개를 탭하는 것으로 대신 지불할 수 있다.
  • 아몬케트
    • 분전 (Exert): 지속물이 가지는 능력으로, 공격하거나 탭 능력을 활성화할 때 분전시킬 수 있으며, 분전시킨다면 추가 능력이 발휘되는 대신 그 지속물은 다음 언탭단에 언탭되지 않는다. 과거에는 생물에만 붙는 능력이었으나 이번에는 대지로 확장되었다.
  • 파멸의 시간
    • 영생화 (Eternalize) X: 생물에 달린 활성화 능력. 무덤에 있을 때, 집중마법 타이밍에 X의 마나를 지불하고 그 카드를 추방하면 능력치는 4/4이며 생물의 특수 능력을 복제한 토큰을 만든다. 이 복제본은 원본과 달리 마나비용이 없고, 다른 모든 색을 잃고 흑색이 되며, 다른 생물 유형에 더해 좀비다.
  • 익살란의 숙적들
    • 승격 (Ascend): 승격 키워드를 가진 능력이 처리될 때, 10개 이상의 지속물을 조종한다면 게임이 끝날때까지 도시의 축복(City's blessing)을 얻는다. 이렇게 도시의 축복을 얻은 상태라면 승격 키워드에 해당하는 추가적인 능력을 얻는다.
  • 라브니카의 길드
    • 지도 (Mentor): 생물이 가진 능력. 지도 능력을 가진 생물은 공격할 때마다 자신보다 공격력이 낮은 공격 생물 하나에게 +1/+1 카운터를 하나 놓을 수 있다.
  • 라브니카의 충성
    • 적응 (Adapt) X: 생물이 가진 활성화 능력. 이 생물이 적응 X를 할 때 +1/+1 카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1/+1 카운터 X개를 올려놓는다.
    • 사후세계 (Afterlife) X: 생물이 가진 능력.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이 죽을 때 비행을 가지고 백색이자 흑색인 1/1 신령 생물 토큰 X개를 만든다.
  • 플레인즈워커 전쟁
    • [생물 유형] 축적 (Amass [Creature Type]) X: 키워드 행동. 내 군대(Army) 하나에게 +1/+1 카운터 X개를 올리고 대상이 되는 생물 유형을 더한다. 군대가 없다면 그 전에 해당 생물 유형을 추가로 가진 0/0 흑색 군대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든다. 이번에는 좀비 축적만이 등장하며, 단 한 장의 카드만이 기존의 설정과는 무관한 설정을 가지고 발매되었다.
  • 죽음 너머의 테로스
    • 탈출 (Escape): 주문의 대체비용. 탈출을 가진 카드는 탈출 비용을 지불하고 무덤에서 발동할 수 있다. 탈출 비용으로 일정 수의 마나를 지불하는 것에 더해 무덤에서 다른 카드를 일정 수만큼 추방할 것을 요구한다.
  • 젠디카르 라이징
    • 선택적 양면 카드: 앞면과 뒷면 중 원하는 쪽을 선택해서 플레이할 수 있는 카드다. 이번에는 뒷면이 대지인 선택적 양면 카드가 등장하며, 기존에는 등장하지 않았던 뒷면이 다색 대지인 선택적 양면 카드도 등장한다.
  • 스트릭스헤이븐: 마법 학교
    • 마도제작술 (Magecraft): 지속물이 가지는 격발 능력으로, 마도제작술 능력은 조종자가 순간마법 또는 집중마법을 발동하거나 복사할 때마다 격발한다.
  • 이니스트라드: 핏빛 서약
    • 혈액 (Blood Token): "{1}, {T}, 카드 한 장을 버린다, 이 마법물체를 희생한다: 카드 한 장을 뽑는다."를 가진 마법물체로, 현재는 토큰에게만 존재하는 유형이다.
  • 카미가와: 네온 왕조
    • 수정 사항 (Modification): 장비, 생물의 주인이 조종하는 마법진, 카운터를 의미하며 이들이 올라가 있는 생물은 수정되었다고 한다.
  • 뉴 카펜나의 거리
    • 묵인 (Connive): 옵스큐라의 메커니즘으로 등장했던 생물이 행하는 키워드 행동으로, 생물이 묵인할 때, 카드 한 장을 뽑은 후, 카드 한 장을 버린다. 이렇게 대지가 아닌 카드를 버린다면, 그 생물에 +1/+1 카운터 한 개를 올려놓는다.
      • 묵인 X: 음모를 꾸미는 예언자, 라핀만이 가지고 있던 능력으로, 묵인 X를 할 경우에는 X장만큼 카드를 뽑고 X장을 버린 다음, 이렇게 버려진 비대지 카드의 수만큼 +1/+1 카운터를 올린다.
    • 방패 카운터 (Shield Counter): 브로커즈의 메커니즘으로 등장했던 카운터로, 방패 카운터가 올려진 생물이 파괴되려고 할 경우 대신 방패 카운터 한 개를 제거한다.
  • 형제 전쟁
    • 프로토타입 (Prototype): 생물 카드가 가질 수 있는 정적 능력. 프로토타입을 가진 생물 카드는 원래 주문 이외에 프로토타입이 제시하는 다른 마나비용과 색 및 공격력/방어력을 가진 주문으로도 발동할 수 있다. 유형과 능력은 유지되며, 프로토타입으로 발동한 게 통과되어 전장에 내려온 이후로도 전장에 존재하는 동안은 프로토타입으로서의 특성(능력치나 색, 마나 값 등)을 따라간다.
  •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
    • 기름 카운터 (Oil Counter): 피렉시아 세트에서 사용된 카운터 유형. 자체적으로 특별한 능력을 가지지 않고 능력의 비용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세트 자체가 증식 등으로 카운터의 활용도가 높았기 때문에 세트 컨셉으로써 활용되었다. 게임 외적으로는 독 카운터와 함께 피렉시아를 상징하는 카운터.
  • 익살란의 잃어버린 동굴
    • 종극 카운터 (Finality Counter): 생물에 올릴 수 있는 카운터 유형. 종극 카운터가 놓인 생물이 죽으려고 하면, 대신 추방한다. 기존에 등장했던 죽을 때 추방하는 능력을 좀 더 구체화한 것으로, 카운터를 제거하는 능력을 가진 카드와 조합하면 페널티를 우회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 카를로프 저택의 살인 사건
    • 증거 수집(Collect Evidence): 키워드 행동. 주체는 플레이어이며, 플레이어가 증거 수집 X를 하려면 자신의 무덤에서 마나 값 X 이상이 되도록 카드를 추방해야 한다.
  • 오리지널
    • 피치 주문: 모던 호라이즌 팩이 나올 때마다 새로 발매되는 사이클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마나를 지불하지 않는 대신 다른 방식의 대체비용을 지불하는 카드들이다. 이번에는 다른 순간 / 집중마법의 효과에 대체비용으로 자신과 같은 색의 토큰이 아닌 생물 한 개를 희생하는 카드들이 발매된다.
    • 고귀 카운터: Shards of Alara의 고귀 능력과 이코리아: 거대괴수들의 소굴의 키워드 카운터가 합쳐진 새로운 유형의 카운터로, 고귀 카운터가 얹혀진 생물은 고귀 능력을 얻는다.
    • 실물 카드와 같은 이름의 토큰: 모던 호라이즌 3에서는 기존의 실물 카드와 같은 내용을 가진 토큰을 만드는 효과가 등장한다. 이들은 "주문포식자 위어드 토큰" 혹은 "타모고이프 토큰" 등 실물 카드 이름 + "토큰" 식으로 지칭되며, 토큰이라는 것을 제외하면 원본 카드와 완전히 같은 내용을 가진다. 릴리즈 노트를 통해 "동명의 실물 카드와 유사한 특성을 가졌지만 능력에서 지정되지 않은 마나비용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마나 값은 0이다"라고 공언된 사자무리의 힘, 아자니아자니의 형제 토큰과 달리, 이들은 실물 카드를 통해 그 특성이 미리 지정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리마인더 텍스트를 통해 그 능력을 설명할 수도 있지만 필수적이지는 않다.

5. 환경

5.1. 컨스트럭티드

5.1.1. 모던

5.1.2. 레거시 이하

5.1.3. 타임리스

Special Guests로 모던 호라이즌 2의 피치 정령 전종이 풀릴 것이 예고되어 있어 환경에 대변동이 있을 것은 거의 확정되었다.

5.2. 리미티드

이번 세트의 리미티드 아키타입은 다음과 같다.
  • 파일:mtg-symbol-w.svg파일:mtg-symbol-u.svg 아조리우스: 비행 생물을 에너지 카운터로 버프하기
  • 파일:mtg-symbol-u.svg파일:mtg-symbol-b.svg 디미르: 3드로우
  • 파일:mtg-symbol-b.svg파일:mtg-symbol-r.svg 락도스: 마법물체
  • 파일:mtg-symbol-r.svg파일:mtg-symbol-g.svg 그룰: 엘드라지 스폰
  • 파일:mtg-symbol-g.svg파일:mtg-symbol-w.svg 셀레스냐: 수정 사항+권능
  • 파일:mtg-symbol-w.svg파일:mtg-symbol-b.svg 오르조브: 수정 사항+희생
  • 파일:mtg-symbol-u.svg파일:mtg-symbol-r.svg 이젯: 에너지 미드레인
  • 파일:mtg-symbol-b.svg파일:mtg-symbol-g.svg 골가리: 수정 사항+적응
  • 파일:mtg-symbol-r.svg파일:mtg-symbol-w.svg 보로스: 에너지 카운터 어그로
  • 파일:mtg-symbol-g.svg파일:mtg-symbol-u.svg 시믹: 엘드라지 램프

6. 커맨더 덱

모던 호라이즌 3 커맨더 덱의 커맨더
Graveyard Overdrive
Tricky Terrain
Creative Energy
Eldrazi Incursion
[[Disa the Restless|]]
[[Omo, Queen of Vesuva|
파일:Omo, Queen of Vesuva.jpg
]]
[[Satya, Aetherflux Genius|
파일:Satya, Aetherflux Genius.jpg
]]
[[Ulalek, Fused Atrocity|]]
Disa the Restless Omo, Queen of Vesuva Satya, Aetherflux Genius Ulalek, Fused Atrocity
Coram, the Undertaker Jyoti, Moag Ancient Cayth, Famed Mechanist Azlask, the Swelling Scourge

이번 세트의 커맨더 덱은 이하와 같다.
  • 파일:mtg-symbol-b.svg파일:mtg-symbol-r.svg파일:mtg-symbol-g.svg Graveyard Overdrive: 무덤 시너지, 루고이프
  • 파일:mtg-symbol-g.svg파일:mtg-symbol-u.svg Tricky Terrain: 램프 후 고밸류 카드 내기
  • 파일:mtg-symbol-u.svg파일:mtg-symbol-r.svg파일:mtg-symbol-w.svg Creative Energy: 에너지 카운터
  • 파일:mtg-symbol-w.svg파일:mtg-symbol-u.svg파일:mtg-symbol-b.svg파일:mtg-symbol-r.svg파일:mtg-symbol-g.svg파일:mtg-symbol-c.svg Eldrazi Incursion: 엘드라지

동시에 모든 커맨더 덱은 모든 카드가 포일 처리된 컬렉터즈 에디션으로도 발매된다.

이번 세트의 커맨더는 일반 버전과 보더리스 버전이 전부 매우 낮은 확률로 플레이 부스터의 와일드카드 슬롯에서 나올 수 있고, 이를 반영하여 메인 커맨더와 서브 커맨더 전종이 매직 아레나에도 업데이트된다.

7. 기타

  • 이 세트의 커맨더 덱 중 하나인 Creative Energy의 제품명, 마나가 준드로 잘못 표기되는 오류가 있었다. 현재는 수정되었다.
  • 발매 전부터 대규모의 유출이 이루어졌다. 프리컨 메인 장군 전종, Eldrazi Incursion과 Graveyard Overdrive 프리컨의 신규 카드 다수와 부스터 세트의 카드 약 1/6이 유출되었으며 매직 아레나 번들 구성 제품도 유출되었다.
  • 이번 세트부터 기존의 이프리트 생물 유형이 지니에 편입된다. 원래 지니는 이프리트나 마리드 등 아랍 신화의 정령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개념이었기에 고증 오류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