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1 20:55:20

매직 더 개더링-파이널 판타지

파일:mtg-planeswalker-logo.png
매직 더 개더링의 세트
{{{#!wiki style="margin: -15px -10px -16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정규 세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3e3e3,#1b1d22> 빈티지
레거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스탠다드 · · · · · · · · · · · ·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Coldsnap 발매 이후 블록에서 제거됨[2] Visions와 Weatherlight 사이에 출시됨[3] Urza's Legacy와 Urza's Destiny 사이에 출시됨[4] Planeshift와 Apocalypse 사이에 출시됨[5] Ice Age 블록에 포함[U] 발매 예정[U] 발매 예정[U] 발매 예정[U] 발매 예정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특별 세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3e3e3,#1b1d22> Horizons · ·
Masters · · · · · · · · · ·
리마스터 · · · · · · ·
다인전 · · · · · · · · · · · · · · · · ·
Unset · · · ·
· · ·
보너스 시트 · · · · · · · ·
[[유니버스 비욘드|
Universes Beyond
]]
· · · · · · ·
기타 · ·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 }}}}}}

파일:mtg-planeswalker-logo.png 매직 더 개더링정규 세트
{{{#!wiki style="margin: -16px -10px -15px"
#!if 이전 != null
{{{#!if 이전링크 != null
[[타르커: 용 폭풍|타르커: 용 폭풍]]}}}{{{#!if 이전링크 == null
[[타르커: 용 폭풍]]}}}
#!if 이전 == null
''{{{#999,#ccc (시작)}}}''
파이널 판타지
#!if 다음 != null
{{{#!if 다음링크 != null && 다음링크 != "없음"
[[영원함의 가장자리|영원함의 가장자리]]}}}{{{#!if 다음링크 == null
[[영원함의 가장자리]]}}}
#!if 다음링크 == "없음"
영원함의 가장자리
#!if 다음 == null
''{{{#999,#ccc (미정)}}}''
}}}{{{#!if 세트1 != null
{{{#!wiki style="margin: 14px -10px -15px; font-size: 0.8rem"
<tablewidth=100%>
#!if 세트2취소선 != null
--''''''--
#!if 기본판 != null
→ '''' 
#!if 세트3 != null
→ '''''' 
#!if 세트4 != null
→ ''''''
}}}}}}
Final Fantasy
파이널 판타지
파일:fin_logo.webp
<colbgcolor=#fff,#111> 세트 심볼 파일:mtg-symbol-fin.svg파일:mtg-symbol-fin-white.svg (파이널 판타지의 'FF' 로고와 크리스탈)
세트 이니셜 FIN
발매일 프리릴리즈: 2025년 6월 6일
MTGO/아레나: 2025년 6월 11일
테이블탑: 2025년 6월 13일

1. 개요2. 스토리 및 설정3. 카드 일람4. 규칙 변경
4.1. 서사시의 규칙 변경
5. 키워드 및 메커니즘
5.1. 변신하는 양면 카드5.2. 부여마법 유형: 서사시5.3. 순간마법/집중마법 유형: 모험5.4. 직업 선택5.5. 단계5.6. 새로운 대지 유형: 마을5.7. 기타 능력
5.7.1. 변신하는 양면 카드 & 혼합5.7.2. 신앙심5.7.3. 은닉
6. 룰 텍스트 변경7. 환경
7.1. 컨스트럭티드
7.1.1. 스탠다드
7.1.1.1. 2025.6.30 밴 이전7.1.1.2. 2025.6.30 밴 이후
7.1.2. 파이어니어 이하7.1.3. 난투
7.2. 리미티드
8. 특별 상품: FINAL FANTASY Through the Ages9. 커맨더 덱
9.1. 키워드 및 메커니즘
10. 기타11. 둘러보기

1. 개요

트레일러
전체 "파이널 판타지" 서사시가 찾아옵니다
트레이딩 카드 게임 매직 더 개더링의 세트.

유니버스 비욘드 세트로,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와의 콜라보레이션 세트이다. 특정한 파이널 판타지 넘버링이 아닌, 파이널 판타지부터 파이널 판타지 XVI까지의 모든 FF 시리즈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다.[1]

2025년 4월 발표에 의하면 MTG 역사상 최대의 판매량을 기록한 세트로, 정식 발매 이전 예약 판매만으로 이 수치를 기록하였다.

2. 스토리 및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카드 일람

파일:FIN_expansion_symbol.webp 파이널 판타지카드
파일:mtg-symbol-w.svg
백색
파일:mtg-symbol-u.svg
청색
파일:mtg-symbol-b.svg
흑색
파일:mtg-symbol-r.svg
적색
파일:mtg-symbol-g.svg
녹색
파일:mtg-symbol-multicolored.svg
다색
파일:mtg-symbol-c.svg
무색
파일:mtg-symbol-land-white.svg
대지
서사시 · 파일:FIC_expansion_symbol.webp 커맨더 덱 · 파일:FCA_expansion_symbol.webp Through the Ages

4. 규칙 변경

4.1. 서사시의 규칙 변경

타르커: 용 폭풍까지, 서사시의 "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및 당신의 첫 번째 본단계 시작에, 이 서사시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올려놓는다."와 "이 서사시에 놓인 전승 카운터의 수가 이 서사시가 가진 챕터 능력의 최대 수치 이상이고, 이 서사시의 챕터 능력이 스택에 없다면, 이 서사시를 희생한다."는 규칙에서, 챕터 능력을 모두 잃어버렸다면 최대 수치는 0으로 규정되어 즉시 희생되었다.

허나 파이널 판타지가 발매되면서, 이 규칙 자체가 챕터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적용되도록 변경된다. 따라서 본 세트의 서사시 생물은 모종의 방법으로 능력을 모두 잃더라도 즉시 희생되지 않고 자신의 규정된 공격력 및 방어력을 가진 바닐라 생물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우르자의 서사시핏빛 달에 의해 희생되지 않는다.

5. 키워드 및 메커니즘

5.1. 변신하는 양면 카드

Transforming Double-Faced Card

양면 카드의 분류 중 하나. 변신하는 양면 카드는 평소에는 앞면으로 플레이하여 사용하다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뒷면으로 뒤집어(변신Transform) 사용하게 된다. 이니스트라드에 처음 등장했고, 이후 이니스트라드로 돌아갈 때마다 등장했으며, 이외에는 매직의 기원이나 익살란, 코어세트 2019, 형제 전쟁, 기계군단의 행진 등에 등장했다.

본 세트의 변신하는 양면 카드는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5.2. 부여마법 유형: 서사시

(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
Enchantment Creature: Saga
도미나리아에서 최초로 등장한 메커니즘으로, 이번에는 부여마법 생물에 붙는 능력으로 확장되었다.

일정 시간 동안만 소환되어 전투를 보조하는 파판 시리즈의 소환수를 묘사한 메커니즘. 일정 시간 동안만 전장에 남는 생물이라는 점에서는 과거의 메커니즘인 Nemesis의 Fading이나 Planar Chaos의 소실과도 비슷하다.

이 카드들은 일반적인 서사시와 생물의 특성을 전부 가진다. 따라서 생물임에도 전장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시간에는 한계가 있으며, 동시에 유지단에 격발하는 능력이 존재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생물의 ETB 능력은 서사시의 첫 번째 격발 능력이 대체한다.

일반적으로 생물은 나온 턴에는 소환 후유증을 얻고, 서사시는 마지막 턴의 본단계가 오기 전에 희생되므로, 서사시 생물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2] 1회밖에 공격할 수 없다.

5.3. 순간마법/집중마법 유형: 모험

그 후 이 카드를 추방한다. 당신은 나중에 추방 영역에서 이 카드를 대지로 플레이할 수 있다.
Adventure

엘드레인의 왕좌, 커맨더 레전드: 발더스 게이트 전투, 엘드레인의 야생지 등에서 등장한 적 있는 메커니즘.

이번 세트에서는 기존의 모험 카드들과 달리 Mystery Booster 2의 플레이 테스트 카드 Value Town처럼 대지에 붙어 있는 형태로 확장되었으며, 5장의 레어 대지 사이클이 모험을 가진 대지로 발매된다. 이 카드들의 오른쪽은 일반적인 대지의 능력이고, 왼쪽은 전혀 별개의 이름과 능력을 가진, "모험" 하위 유형을 가진 순간마법/집중마법 주문에 관한 텍스트가 적혀 있다. 이런 종류의 카드들은 처음에 발동할 때 왼쪽의 모험 주문으로 발동하거나 오른쪽의 대지로 플레이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왼쪽의 모험 주문의 경우 해결되면 추방되어, 나중에 원하는 때에 오른쪽의 대지로 플레이할 수 있다.

이번 세트의 모험 대지들은 과도한 범용성을 경계하였는지 하나같이 모험 쪽의 마나 값이 높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젠디카르 라이징의 양면 대지 비슷한 감각으로 사용하게 된다.

커맨더 덱에서는 기존의 일반적인 모험 생물 카드도 발매된다.

5.4. 직업 선택

이 장비가 들어올 때, 1/1 무색 영웅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들고 그 생물에 이 장비를 부착한다.
Job Select

장비의 격발 능력. ETB로 1/1 무색 영웅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들고 거기에 부착된다. 과거 Scars of Mirrodin의 생체병기와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의 미로딘을 위해! 의 변형.

이번 세트의 직업 선택을 가진 장비들은 장착된 생물에게 특정 생물 유형을 주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이를 통해 직업을 구현하는데, 장비가 다들 그러하듯 장착 능력을 활성화시켜 다른 생물에게 장비를 옮겨줄 수 있어 무기에 직업이 귀속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매직의 규칙 내에서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직업 체계 및 잡 체인지를 구현했다.
실물로 발매된 영웅 토큰들은 전부 파이널 판타지 XIV의 종족 모습을 하고 있으며, 파이널 판타지의 여섯 직업을 제외한 다른 직업 선택 카드들은 모두 14의 잡 및 해당 잡의 무기를 나타낸다.

용기사의 비룡 등 직업 선택 키워드는 없지만 이 키워드가 만드는 것과 동일한 1/1 영웅 토큰을 만드는 카드도 존재한다.

5.5. 단계

Choose one additional cost. (추가비용 하나를 선택한다.)

모드를 가진 순간마법/집중마법 주문이 가질 수 있는 정적 능력. 단계를 가진 주문의 각 모드는 아래로 갈수록 점점 직접적으로 강해지는 효과와 증가하는 추가비용을 가지고 있는데, 사용자는 이들 중 한 가지만을 선택하고 그 모드로 발동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기존의 택일형 모드 주문과 같지만, 각 모드마다 서로 다른 추가비용을 갖는다는 점은 천둥 교차로의 무법자들흥청을 연상시킨다. Tiered의 경우, 흥청과 달리 추가 비용 파일:mtg-symbol-0.svg을 지불하고 선택하는 능력도 존재한다.

플레이버 측면에서는 '파이어-파이라-파이가'처럼 같은 마법 내에서도 단계가 구분되는 파이널 판타지의 마법 체계와, FFVII의 리미트 브레이크 시스템를 묘사한다.

5.6. 새로운 대지 유형: 마을

Town

파이널 판타지에서 데뷔하는 새로운 대지 유형. 다른 대부분의 대지 유형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지표의 역할을 한다.

플레이버 측면에서는 물론 JRPG에 자주 등장하는 '마을'을 모티브로 한 메카니즘이다.

5.7. 기타 능력

5.7.1. 변신하는 양면 카드 & 혼합

Transforming Double-Faced Card & Meld
섬뜩한 달형제 전쟁에 등장했던 메커니즘으로, 두 장의 카드를 한꺼번에 변신시켜 하나의 지속물로써 전장에 존재하게 하는 키워드 행동이다.

이번 세트에서는 오르바 윤 팡오르바 다이아 바닐라가 라그나로크가 되는 것을 묘사하기 위해 이들의 카드에만 사용된다.

5.7.2. 신앙심

(당신이 조종하는 지속물들의 마나 비용에 있는 각 파일:mtg-symbol-r.svg는 당신의 적색 신앙심에 기여한다.)
Devotion
테로스죽음 너머의 테로스에 등장한 적 있는 메커니즘으로, 내가 조종하는 각 지속물의 마나비용에 기재된 특정한 색 마나 심볼 갯수의 총합을 그 색에 대한 신앙심으로 정의하며, 신앙심을 참조하는 카드는 내 신앙심 수치를 기준으로 하여 능력의 강약이 정해진다.

이번 세트에서는 클라이브 로즈필드의 카드만이 이 능력을 사용한다.

5.7.3. 은닉

이 지속물이 전장에 들어올 때, 당신의 서고 맨 위 카드 네 장을 보고, 한 장을 뒷면 상태로 추방한 후, 나머지를 서고 맨 밑에 무작위 순서로 놓는다.
Hideaway 4

Lorwyn뉴 카펜나의 거리에서 등장한 메커니즘. 은닉을 가진 지속물이 전장에 들어올 때 서고 맨 위 카드 X장 중 한 장을 뒷면으로 추방한다. 추가로, 그 지속물에 기재된 고유의 조건을 만족하면 이런 식으로 추방된 카드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번 세트에서는 Clive's Hideaway만이 이 능력을 가지며, Lorwyn의 대지들처럼 은닉 값은 4, 조건 만족 시의 상호작용은 그 카드를 마나 비용의 지불 없이 발동하는 형태로 발매되었다.

6. 룰 텍스트 변경

  • 이 세트부터, 생물 이외의 지속물의 경우에도 생물 카드와 동시에 효과의 대상이 된다면 '전장에서 무덤에 들어갈 때' 를 '죽을 때' 로 축약하여 기술할 수 있다.

7. 환경


7.1. 컨스트럭티드

7.1.1. 스탠다드

7.1.1.1. 2025.6.30 밴 이전
유우나 도메인 램프나 세피로스 과거 끌어올리기 덱처럼 파이널 판타지의 카드를 사용하려는 덱들이 이것저것 등장했으나, 모든 시도는 TDM 메타의 탑 티어 덱이었던 이젯 기량 덱에 의해 꺾였다. 안 그래도 강한 이젯 기량 덱에 방황하는 흑마도사, 비비라는 강력한 지원까지 주었으니 호랑이에게 날개를 달아 준 격이나 다름 없었다. 당연히 메타는 비비 쓰는 이젯 기량과 이젯 기량을 카운터하는 모노레드로 양분되었고, 프로투어도 저 두 덱을 사용한 플레이어들만 진출해서 對 이젯 기량 상성이 우세한 모노레드가 우승했다.

저 두 덱 이외에는 아클라조츠의 방혈자막을 수 없는 절단자의 콤보를 사용하는 오르조브 데몬 덱도 틈새 시장에서 나름 선방했으나, 상위권에는 들지 못했다.

프로투어 이후, 돈법사는 향후 3년 스탠다드 로테아웃을 대비한다는 명목으로 전례 없는 스탠다드 대량 밴을 실시했다.
7.1.1.2. 2025.6.30 밴 이후
이하의 카드들이 금지되었다. 발매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코리 강철 절단기까지 금지할 정도로 과감한 금지가 특징.
상위권 아키타입의 근간이 되는 모든 카드가 금지되었는데, 세세하게 뜯어보면 이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최소 4턴에 게임을 바로 끝낼 수 있는 전지전능함 콤보 덱과 전지전능함이 콤보를 완성하기도 전에 게임을 끝낼 포텐셜이 있는 기량 덱과 모노레드가 지나치게 게임 속도를 빠르게 만든 원인으로 주목되어 핵심 카드들을 전부 금지시켜 덱을 와해시켰으며, 이로 인해 기량 덱은 비비를 메인 덱에 고정적으로 투입하게 되었다.

미드레인지, 컨트롤 계열의 핵심 카드들도 금지되었다. 바운스 덱의 경우 상대의 손과 비생물 카드를 건드리는 두 카드가 금지되었고, 램프 계열 덱은 캔트립의 역할을 하면서 후반 싸움에서 상대와의 밸류 차이를 벌리는 핵심 카드인 콩나무가 금지되면서 크게 약화되었다. 램프 계열 덱은 콩나무가 없어도 유우나의 리애니로 밸류를 챙길 수 있었기 때문에 티어 말석에 붙어 있지만, 바운스는 상호작용 수단이 부족해짐에 따라 완전히 메타에서 이탈하게 되었다.

금지 이후로는 극단적인 어그로, 콤보 덱과 램프 덱에 치여 활약하지 못하던 디미르 미드레인지가 탑 티어로 올라왔다. 그 밑에는 방황하는 흑마도사, 비비아가사의 영혼 가마솥을 사용하는 콤보 덱, 소환수 오딘이나 유사 리애니를 사용하는 아브잔 유우나 덱, 콩나무의 빈자리를 적색의 루팅 카드들로 채우는 나야 유우나 덱, 초코보 램프 덱, 티파 원턴킬 덱 등이 각축을 이루고 있다. 디미르도 다 같은 디미르가 아니고 세실사악한 심복을 엔진으로 하는 변형 구축도 있으며, 세실-다컨 엔진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청색 이외의 색을 보조로 사용하는 골가리 미드레인지나 모노블랙 어그로도 존재한다.

상업적 성공은 있었으나 비비와 유우나 정도를 제외하면 파이널 판타지 출신 카드들이 힘을 못썻는데 이제야 세실, 유우나, 티파, 세피로스 등 파이널 판타지 출신 카드들이 힘 좀 쓰게 됬다.

7.1.2. 파이어니어 이하

파이어니어에서는 돌모루 신비주의자를 대체하는 미드가르의 용병, 클라우드의 발매로 인해 거상 망치 콤보 덱이 나타났다.

기존의 덱 중에는 가마솥 소환수 덱과 로터스 필드 콤보 덱이 파이널 판타지의 신규 카드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전자의 경우 적색을 배제하고 전설적인 솔저, 세피로스를 사용하는 콤보 덱의 형식으로 선회했으며, 후자의 경우 방황하는 흑마도사, 비비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7.1.3. 난투

자동기계군 장관, 우르자, 호랑이의 그림자, 유리코 등 각종 파워 카드가 Through the Ages로 들어올 것이 예고되어 있어 지각변동이 있을 것이 확실해지고 있다. 동시에, 최초로 파트너 능력을 가진 카드가 5종 출시되면서[3] 파트너 커맨더를 아레나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7.2. 리미티드

이번 세트의 리미티드 아키타입은 다음과 같다.
  • 파일:mtg-symbol-w.svg파일:mtg-symbol-u.svg 아조리우스: 마법물체
    마법물체가 들어오면서 점점 강해지는 생물이나 마법물체 생물들을 지원하는 지속물, 마법물체가 많을수록 저렴해지는 주문들 등, 평소대로의 마법물체 중심 세트에서 아조리우스가 가질 법한 컨셉이 배정되었다. 언커먼 등급의 사인포스트 카드로
    • 마법물체가 들어올 때마다 점점 강해지며 공격시 탭돌이로 간편하게 전투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10편티다
    • 마법물체 생물과 직업 선택 장비로 들어오는 영웅들을 강화하며, 덱에 무한히 넣을 수 있는 전설적 생물이라는 역설적인 카드 디자인을 자력 순환과 무덤을 참조하여 더 강력해지는 버프로 활용하는 14편시드 난 갈론드

    가 등장한다.
  • 파일:mtg-symbol-u.svg파일:mtg-symbol-b.svg 디미르: 컨트롤
    평소대로의 디미르가 가질법한 컨트롤 아키타입. 상대의 속도를 늦추고 초반 패턴을 견제하며, 이렇게 무덤을 쌓다가 무덤을 자원으로 쓰거나 참조하는 강력한 후반 카드들로 게임을 장악한다. 보조적으로 무덤을 쌓거나 무덤을 참조하는 카드들이 있어 희생의 백흑색이나 자밀의 흑녹색으로부터 카드를 빌려올 수도 있다. 언커먼 등급의 사인포스트 카드로는
    • 3마나 2/3 치명타 생명연결이라는 안정적인 스펙으로 상대가 방어를 주저하게 만들며, 플레이어에게 클린히트하면 루팅으로 손을 최적화하고 무덤을 쌓을 수 있는 6편로크 콜
    • ETB 감시로 손의 잠재적 퀄리티를 관리하다가, 무덤에 충분히 카드가 쌓이면 변신하면서 추가 턴을 얻어 자력으로 피니셔가 될 수 있는 8편얼티미시아

    가 등장한다.
  • 파일:mtg-symbol-b.svg파일:mtg-symbol-r.svg 락도스: 흑마법사 어그로
    9편의 "흑마법사 종족"을 모티브로 한 "흑마법사 토큰"을 꺼내 비생물 주문 각각에 1점씩 추가 딜을 더하면서 상대를 압박하는 아키타입. 원래 저발비 주문을 많이 쓸수록 유리한 공격적인 아키타입은 보통 이젯 컬러에 배정되었지만, 본 세트에서는 락도스 컬러에 배정되었다. 언커먼 등급의 사인포스트 카드로

  • 가 등장한다.
  • 파일:mtg-symbol-r.svg파일:mtg-symbol-g.svg 그룰: 대지력
    Zendikar에서 데뷔한, '대지를 놓을 때마다' 격발하는 대지력 능력을 주력으로 하는 아키타입. 대지가 들어올 때마다 생물에게 버프를 주거나, 카드를 뽑거나 하는 식으로 동작하며, 램프 등으로 이를 보조할 수 있다. 언커먼 사인포스트 카드로는

  • 가 등장한다.
  • 파일:mtg-symbol-g.svg파일:mtg-symbol-w.svg 셀레스냐: 횡전개
    녹백색 조합에 자주 주어졌던 컨셉인 횡전개 컨셉이 재등장한다. 토큰을 만들거나, 생물의 수에 비례한 버프 혹은 내 모든 생물에게 버프를 주는 식으로 생물의 양과 질을 모두 챙기며, 상대가 방어할 수 있는 수보다 많은 생물을 만들어 생물 벽을 우회하기도 한다. 언커먼 사인포스트 카드로
    • ETB로 토큰을 만들고, 공격시에는 내 생물 하나에게 내 생물 수에 비례한 버프를 주는 8편리노아 허틸리
    • 공격할 때마다 내 서사시들(여기에서는 서사시 생물)들에게서 전승 카운터를 제거하여 생명을 연장하고 스스로를 강화할 수 있는 9편가넷 틸 알렉산드로스 17세

    가 등장한다.
  • 파일:mtg-symbol-w.svg파일:mtg-symbol-b.svg 오르조브: 희생
    역시나 평소대로의 백흑색이 가질법한 아키타입. 이니스트라드: 한밤의 사냥의 오르조브나 더스크모언: 공포의 집의 락도스처럼 희생 행위 자체를 적극적으로 하면서 이득을 보는 화족 형태의 아키타입은 아니며, 희생을 추가 코스트로 요구하는 카드들이나 스스로 희생되는 서사시 생물 등을 활용하여 죽을 때 격발하는 능력을 가진 카드들의 격발능력을 좀 더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것이 주가 된다. 언커먼 사인포스트 카드로
    • 3마나 2/4라는 표준 수준의 수비적 스탯에, 공격할 때마다 아무 비용 없이 2드랍 수준의 표준 토큰을 만들 수 있는 7편루퍼스 신라
    • 2마나 2/2 호전적의 표준적인 스탯으로 내 생물이나 마법물체가 죽을 때마다 반영구적으로 강화되는 12편가브라스

    가 등장한다.
  • 파일:mtg-symbol-u.svg파일:mtg-symbol-r.svg 이젯: 주문 빅덱
    평소대로의 이젯이 그러하듯 생물이 아닌 주문을 발동할 때 이득을 창출하는 카드들이 이젯에 배치되어 있는데, 추가로 그 주문에 마나를 4개 이상 사용하였을 경우 추가적으로 이득을 만드는 능력이 존재한다. 주문에 사용한 마나를 참조하므로 위의 단계 주문을 고티어로 사용하거나 높은 회상 비용을 가진 카드들로 이런 이득을 보는 것도 가능하다. 언커먼 등급의 사인포스트 카드로는
    • 비생물 주문을 쓸 때마다 일시적으로 전투력을 얻으며, 대형 주문이라면 카드까지 뽑아보는 11편샨토토
    • 비생물 주문을 위한 램프 기능에 더해, 대형 주문을 사용할 때마다 점진적으로 강해지다가, 변신하면 그간 사용한 비생물 주문을 참조하여 번까지 날릴 수 있는 2편팔라메키아 제국 황제

    가 등장한다.
  • 파일:mtg-symbol-b.svg파일:mtg-symbol-g.svg 골가리: 무덤
    흑녹색 공통의 컬러파이인 무덤 관련 기능을 최대한도로 활용하는 아키타입. 덱에서 카드를 밀거나, 생물을 빠르게 죽이면서 무덤을 쌓은 뒤, 이들 중 유용한 카드를 회수하여 덱의 확실성을 높이고 무덤 자체를 자원으로 활용하여 이득을 본다. 언커먼 등급의 사인포스트 카드로
    • 무덤의 카드 수를 참조하여 ETB로 상대 생물 하나를 제거할 수 있는 3편어둠의 구름
    • 앞면만으로도 3마나 3/3 3힐로 양호하고, 내 무덤의 지속물 카드를 참조하여 고타점 돌진 생물로서 게임을 엎을 수 있는 5편엑스데스

    가 등장한다.
  • 파일:mtg-symbol-r.svg파일:mtg-symbol-w.svg 보로스: 장비
    장비를 찾거나, 장비를 더 싼 값에 장착시키거나, 장비의 수를 참조하거나, 장비를 장착한 생물에게 보너스를 주는 등 장비와 연계하여 이득을 보는 적백색에 늘 있을법한 아키타입. 파판에서는 직업 선택으로 Scars of Mirrodin이나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처럼 장비를 생물인 것처럼 활용할 수 있어 유연성을 확보했으며, 마법물체이므로 백청-백흑의 마법물체 관련 보너스를, 주문으로서는 비생물이므로 흑적-청적의 비생물 주문 관련 보너스를 모두 공유할 수 있다. 언커먼 등급의 사인포스트 카드로
    • ETB로 반역 행위를 지르면서 돌려줄 때 보물까지 만드는 9편지탄 트라이벌
    • 이단공격으로 장비빨을 잘 받으며 내가 장비를 놓으면 루팅도 할 수 있는 4편의 드워프의 왕 지오트

    가 등장한다.
  • 파일:mtg-symbol-g.svg파일:mtg-symbol-u.svg 시믹: 마을 램프
    다양한 카드들의 능력으로 대지를 대량으로 놓은 다음 대형 주문으로 상대를 압도하는, 평소대로의 시믹이 가질 법한 아키타입. 본 세트에서는 마을 대지 유형이 데뷔하여 이들을 참조하는 카드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2색 탭랜드가 포함되어 천둥 교차로의 무법자들 때처럼 다른 색에서 강력한 폭탄들을 쉽게 가져올 수 있다. 언커먼 등급의 사인포스트 카드로
    • ETB로 덱탑 n장 제약이 걸린 대신 유형 따지지 않는 램프를 해주고, 전장에서는 무덤의 생물 카드를 생명점으로 바꿔먹는 15편이그니스 스키엔티아
    • ETB로 생물 하나를 무력화시키는 떡대인 14편오메가

    가 등장한다.

생물들의 공격성이 이전 세트들에 비해 약화된 덕분에 컨트롤 아키타입인 이젯골가리가 투탑을 달리고 있다.

이젯은 카드 수의 샨토토와 램프의 팔라메키아 황제를 사인포스트로 내세워 컨트롤을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자력으로 사이즈가 커지는데다 생물 벽도 돌파할 수 있는 사하긴과 고효율 탭돌이인 오르트로스 덕분에 공격성도 높은 희대의 전천후 아키타입으로, 범용성 높은 제거기인 번개 마법과 얼음 마법이 모두 4마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어 덱 만들기도 쉽고, 의 바리에이션으로는 생물 강화까지 같이 할 수 있는 튜토리얼 전투가 나와 청색답지 않게 생물의 스펙도 뛰어난 편이다. 플레이어 직접 번의 초코멧이나 범용성 높은 복사 주문인 릴름의 스케치, 산 튜터링을 해주는 산 초코보를 타고 모험하기 등으로 저레어 진에서 의외성도 뛰어난 편.

골가리는 ETB 2:1 교환에 적당한 사이즈의 비행 생물로 존재감이 높은 어둠의 구름의 효용성이 높다. 세피로스의 개입이나 베인의 놀라운 책략 등으로 흑색의 출중한 제거기가 기본으로 받쳐주고, 숨겨진 진실이나 신라의 원군, 환영하는 마을 사람 등 자밀의 폭발력도 뛰어난데다, 순간마법 타이밍에 두 장을 건져오는 고효율 회수기인 다시 싸우는 자들, 회상이 달려 자밀로 묻혀도 덜 아까운 숨겨진 진실이나 종말의 재앙 및 기실의 야채 등으로 안정성도 높다. 순환 생물도 방어적인 발람의 아르키오 다이노스와 디스카드에 킬 포텐셜까지 있는 몰볼로 초중후반 모두 범용성이 높다. 엑스데스, 신라의 원군, 아르키오 다이노스, 환영하는 마을 사람 등 다른 효과에 더해 ETB 힐이 달린 생물이 많은 것도 장점.

이젯과 골가리 밑으로는 오르조브가 강세다. 세트의 핵심 메커니즘이 지속물 2개를 만드는 직업 선택이라 희생할 지속물의 절대적인 숫자가 많으며, 희생을 추가비용으로 요구하는 카드들도 다른 세트와 달리 생물과 마법물체가 희생 대상이라 사용하는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 고성능의 단색 레어와 미식레어 카드들이 흑색과 백색에 몰려 있는 것도 한몫했다.

이외의 아키타입이 모두 제각기 할 만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룰이 가장 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대지력 펌핑을 받는 초코보 토큰을 이용한 어그로 덱이 컨셉인데, 초코보 토큰을 대량 전개하는 카드들은 죄다 녹색에 몰려 있고 적색 초코보 카드들은 공격성과는 거리가 있는 유틸 카드들이라 셀레스냐에 비해 나은 점이 없기 때문. 사인포스트 카드도 2마나 1/2 + 대지력 루팅으로 공격성과는 거리가 먼 리디아나 버프는 출중하지만 본체가 6마나라 시동이 늦은 것은 물론 하필 녹단색 대량전개 카드를 겸하는 뚱보 초코보로 대체까지 가능한 글라디올러스인데다, 유일한 그룰 레어인 발프레아와 프란은 세트 메커니즘과 하등 관련 없는 탑승물 지원 카드라 아무 쓸모가 없다.

8. 특별 상품: FINAL FANTASY Through the Ages

FINAL FANTASY Through the Ages

파이널 판타지의 특별 상품. 세트 이니셜은 FCA이며, 세트 아이콘은 모그리 모양이나 이는 분류를 위한 아이콘에 불과하며, 실제 카드에는 아이콘이 표기되지 않는다.

아마노 요시타카노무라 테츠야 등이 작업했던 기존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아트워크를 사용한 스킨 카드들이 발매된다.

9. 커맨더 덱

파이널 판타지 커맨더 덱의 커맨더
[[파이널 판타지 VI|
파일:FFVI_logo.png
]]
[[파이널 판타지 VII|
파일:FFVII_logo.png
]]
[[파이널 판타지 X|
파일:FFX_logo.png
]]
[[파이널 판타지 XIV|
파일:FFXIV_logo.png
]]
파일:mtg-symbol-r.svg파일:mtg-symbol-w.svg파일:mtg-symbol-b.svg
Revival Trance
파일:mtg-symbol-r.svg파일:mtg-symbol-g.svg파일:mtg-symbol-w.svg
Limit Break
파일:mtg-symbol-g.svg파일:mtg-symbol-w.svg파일:mtg-symbol-u.svg
Counter Blitz
파일:mtg-symbol-w.svg파일:mtg-symbol-u.svg파일:mtg-symbol-b.svg
Scions & Spellcraft
[[마도의 힘을 가진 소녀, 티나|
파일:Terra, Herald of Hope.jpg
]]
[[전직 솔저, 클라우드|
파일:Cloud, Ex-SOLDIER.jpg
]]
[[유우나의 가드, 티다|
파일:Tidus, Yuna's Guardian.jpg
]]
[[마녀, 야슈톨라 룰|
파일:Y'shtola, Night's Blessed.jpg
]]
마도의 힘을 가진 소녀, 티나 전직 솔저, 클라우드 유우나의 가드, 티다 마녀, 야슈톨라 룰
룬 나이트, 셀리스 격투가, 티파 대소환사, 유우나 시공을 넘나드는 자, 그라하 티아

이번 세트의 커맨더 덱은 다음과 같다. 세트 이니셜은 FIC이며, 세트 아이콘은 초코보 모양이다.모든 닥터 카드가 (시간 여행을 의미하는) 청색을 포함하고 있었던 Doctor Who처럼, 초대 주인공을 빛의 전사라고 부른 것에 따라 공통적으로 모든 커맨더 덱이 백색을 포함한다.

Warhammer 40,000, 모던 호라이즌 3에 이어 이번에도 올 포일 컬렉터즈 에디션 커맨더 덱이 발매된다. 가격은 149.99$.

이번 커맨더는 메인 커맨더와 서브 커맨더 전종이 아레나에도 출시되며, 아레나에 데이터가 이미 존재하는 재판 카드들 한정으로 FCA 버전의 신규 일러스트가 추가된다.

아마존 기준으로 예약구매를 개시한 지 단 1시간만에 매진되는 기염을 토했다.

9.1. 키워드 및 메커니즘

  • 수정 사항 (Modification): 장비, 생물의 주인이 조종하는 마법진, 카운터를 의미하며 이들이 올라가 있는 생물은 수정되었다고 한다. 이번 세트에서는 제노바 세포를 주입한 피험체를 묘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예고 (Foretell): 예고를 가진 카드는 내 턴에 파일:mtg-symbol-2.svg를 지불하고 손에서 뒷면으로 추방한 뒤, 다음 턴부터 예고 비용으로 발동할 수 있다. 이번 세트에서 예고된 카드를 따로 놓는 곳을 표시하는 카드의 일러스트는 다름 아닌 파이널 판타지 VII을 상징하는, 신라 컴퍼니 건물을 바라보고 있는 클라우드의 일러스트.
  • 증식 (Proliferate): 플레이어와 지속물을 임의의 수만큼 선택하여, 각각에 대해 올라와있는 각 종류의 카운터를 한 개씩 더 얹는다. 다수의 카운터를 놓는 FFX 덱을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
  • Monarch: 플레이어가 가질 수 있는 상태로, Monarch가 된 플레이어는 자신의 종료단에 카드 한 장을 뽑는다. 대신, 그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의 생물에게 전투피해를 입는다면, Monarch는 그 플레이어에게 넘어간다. 다인전 포맷인 커맨더를 상징하는 메커니즘 중 하나로, 이번 세트에서는 에드거 로니 피가로가 왕이 된 것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기습 (Blitz): 생물이 가질 수 있는 대체비용으로, 기습 비용으로 발동한 생물은 신속 및 "이 생물이 죽을 때, 카드 한 장을 뽑는다."를 얻으며, 그 대신 다음 종료단 시작에 희생된다. 이번 세트에서는 매슈 레네 피가로의 전용 기술인 필살기[4]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10. 기타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를 대표하는 일러스트레이터 아마노 요시타카 역시 이번 세트의 일러스트를 담당한다. 플레인즈워커 전쟁 때의 콜라보로 엄청난 화제를 불러일으킨 공포군단 장군, 릴리아나에 이어 두 번째다.
  • 파이널 판타지 VII는 리메이크 버전이 아닌, 원본의 스토리를 따라간다. 다만 디자인은 리메이크 버전을 따라간다. 따라서 필러처럼 리메이크에서 추가된 캐릭터들은 등장하지 않는다.
  • 이 세트의 발매로 인해 MTG는 철권 7에 이어 네간녹티스 루시스 카일룸이 동시에 나오는 두 번째 게임이 되었으며,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참전 캐릭터의 카드만으로 4인 커맨더 플레이도 가능해졌다.[5]
  • 이 세트 한정으로, 최초 공개와 정식 스포일러 기간 사이에 생일이 있는 소수의 캐릭터는 그 캐릭터의 생일에 맞추어 카드를 특별히 일찍 공개하였다.
  • 데뷔 쇼케이스는 클라이브 로즈필드의 성우 벤 스타가 담당했다.
  • 세트 개발 시기는 파이널 판타지 XVI 발매 이전으로, 이 때문에 일부러 FFXVI 캐릭터들을 위한 자리 몇 개를 남겨 두고 카드를 디자인했다고 한다.
  • 아레나 한글 번역은 일본어판 번역을 중역하였으며, 픽셀 리마스터가 존재하는 FFI~FFVI까지는 전부 픽셀 리마스터의 번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6] 다만 100% 그대로 번역한 것은 아닌지 일부 전설적 생물의 룰 텍스트에서 자신을 지칭하는 명칭이 영어판 명칭의 직역인 경우가 존재하며, 레온하트 등 FIN 세트 발매 이전의 최신 번역과 일치하지 않는 번역명도 존재한다.
  • 아레나 한정으로 찬드라 날라르 초코보 펫과 제이스 벨레렌 초코보 펫이 발매된다.
  • 전 메인 시리즈와의 콜라보지만, 워리어 오브 라이트는 스킨 카드와 빛의 일섬의 일러스트에서만 등장하고, 어니언 나이트는 아레나 아바타와 크리스털의 인도를 받은 자들의 일러스트에서만 등장한다. 전설적 생물로 나오지 못한 것은 이들의 캐릭터성이 생긴 것이 디시디아 시리즈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라스베가스 MagicCon과 치바현에서 열리는 매직 스포트라이트 이벤트 한정 프로모로, 파이널 판타지 트레이딩 카드 게임과 콜라보한 칼을 쟁기로 카드를 입수할 수 있다. 이 카드에는 알리제 르베유르가 그려져 있으며, 같이 증정되는 FF TCG의 알피노 르베유르 카드와 일러스트가 이어진다.
파일:Swords to Plowshares_PRM (파판 콜라보).png 파일:알피노.webp
MTG FFTCG

파일:qx4214h9556f1.jpg

11. 둘러보기

파일: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로고.svg파일: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2em; min-width: 30%;"
{{{#!folding [ 메인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0;"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XII
XIII XIV XV XVI
IV 시리즈 IV · 달의 귀환
VII 컴필레이션 VII · ADVENT CHILDREN · BEFORE CRISIS · CRISIS CORE (REUNION) · DIRGE of CERBERUS · EVER CRISIS
VII 리메이크 프로젝트 VII 리메이크 · VII 리버스
X 시리즈 X · X-2
XII: 이발리스 얼라이언스 XII · 레버넌트 윙
XIII: 파불라 노바 크리스탈리스 XIII · XIII-2 · 라이트닝 리턴즈
XV 유니버스 XV 유니버스 작품 목록
}}}
}}}
}}}
[ 외전 시리즈 ]
||<table width=100%><table bgcolor=white,#191919><colcolor=#000><bgcolor=#BBBBBB> 택틱스 ||FFT · FFTA · FFTA2 봉혈의 그리모어 · FFT: 사자전쟁 · FFT TIC ||
디시디아 디시디아 · 유니버설 튜닝 · 듀오데심 · 디시디아 NT · 오페라 옴니아
CC 크리스탈 크로니클 · 링 오브 페이트 · 작은 임금님과 약속의 나라 · 에코즈 오브 타임 · 빛과 어둠의 희군과 세계정복의 탑 · 크리스탈 베어러
외전 성검전설 · 미스틱 퀘스트 · 빛의 4전사 · TYPE-0 · 시아트리듬 · 월드 오브 FF · 스트레인저 오브 파라다이스
모바일 디멘션즈 · 에어본 브리게이드 · ATB · 픽트로지카 · 레코드 키퍼 · 뫼비우스 · 그랜드마스터즈 · FFBE · FFBE 환영전쟁
오프라인 TCG · MTG
오리지널 영상 언리미티드 · 더 스피릿 위딘 · 빛의 아버지
}}} ||

[1] 디시디아 파이널 판타지파이널 판타지 택틱스 등 외전 시리즈는 다루지 않고, 파이널 판타지 X-2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 등의 시퀄 역시 배제되었다. 단, 온라인 서비스 중인 파이널 판타지 XI파이널 판타지 XIV의 확장팩들은 포함되었다.[2] 전승 카운터 4개이상,신속 보유[3] 오주타이 용언술사, 이샤이블룸버로우 보너스 시트로 출시되어 이미 아레나에 데이터가 존재한다.[4] 영어판 명칭이 Blitz다.[5] 이번 세트에서 나오는 클라우드와 세피로스, 그리고 스트리트파이터 시크릿 레어로 나온 [6] 다만 후술할 고유명사 표기나, 띄어쓰기 등에서는 사소한 차이가 있다.[7] 새로운 정보를 공개한 건 없고, 순수한 세트 홍보용 부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