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14:03:13

미하일 콜랴다

미하일 콜랴다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2회 2014 소치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패트릭 챈,
케빈 레이놀즈
케이틀린 오스먼드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
커스틴 무어-타워즈 /
딜런 모스코비치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3회 2018 평창 파일:오륜기.svg OAR 미하일 콜랴다 24회 2022 베이징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우노 쇼마,
카기야마 유마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알리나 자기토바
히구치 와카바,
사카모토 카오리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
나탈리야 자비야코 /
알렉산더 엔베르트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고마츠바라 미사토 /
티모시 콜레토
25회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 26회 2030 알프스 파일:국기.svg ? ?
? ?
? ?
? ?
  • 단체전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부터 추가됨.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수상자인 카밀라 발리예바에게서 금지 약물 복용이 확인됨에 따라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포인트 삭감. 이에 따라 일본이 은메달을 돌려받게 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러시아빙상연맹.png
러시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1897년) ~ 50회(2023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1897 상트페테르부르크 알렉산드르 판신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1898 알렉산드르 판신
3회 1899 알렉산드르 판신 4회 1900 상트페테르부르크 알렉산드르 판신
5회 1901 상트페테르부르크 니콜라이 파닌 6회 1902 상트페테르부르크 니콜라이 파닌
7회 1903 상트페테르부르크 니콜라이 파닌 8회 1904 상트페테르부르크 니콜라이 파닌
9회 1905 상트페테르부르크 니콜라이 파닌 10회 1906 상트페테르부르크 표도르 다틀린
11회 1907 니콜라이 파닌 12회 1908 상트페테르부르크 표도르 다틀린
13회 1909 ? 14회 1910 카를 올로
15회 1911 상트페테르부르크 카를 올로 16회 1912 상트페테르부르크 카를 올로
17회 1913 상트페테르부르크 이반 마리닌 18회 1914 상트페테르부르크 이반 마리닌
19회 1915 상트페테르부르크 ? 20회 1993 체랴빈스크 알렉세이 우르마노프
21회 1994 상트페테르부르크 알렉세이 우르마노프 22회 1995 모스크바 알렉세이 우르마노프
23회 1996 사마라 알렉세이 우르마노프 24회 1997 모스크바 일리야 쿨릭
25회 1998 모스크바 일리야 쿨릭 26회 1999 모스크바 예브게니 플루셴코
27회 2000 모스크바 예브게니 플루셴코 28회 2001 모스크바 예브게니 플루셴코
29회 2002 모스크바 예브게니 플루셴코 30회 2003 카잔 알렉산드르 압트
31회 2004 상트페테르부르크 예브게니 플루셴코 32회 2005 상트페테르부르크 예브게니 플루셴코
33회 2006 카잔 예브게니 플루셴코 34회 2007 미티시 안드레이 그랴제프
35회 2008 상트페테르부르크 세르게이 보로노프 36회 2009 카잔 세르게이 보로노프
37회 2010 상트페테르부르크 예브게니 플루셴코 38회 2011 사란스크 콘스탄틴 멘쇼프
39회 2012 사란스크 예브게니 플루셴코 40회 2013 소치 예브게니 플루셴코
41회 2014 소치 막심 코브툰 42회 2015 소치 막심 코브툰
43회 2016 예카테린부르크 막심 코브툰 44회 2017 첼랴빈스크 미하일 콜랴다
45회 2018 상트페테르부르크 미하일 콜랴다 46회 2019 사란스크 막심 코브툰
47회 2020 크라스노야르스크 드미트리 알리예프 48회 2021 첼랴빈스크 미하일 콜랴다
49회 2022 상트페테르부르크 마르크 콘드라튝 50회 2023 크라스노야르스크 예브게니 세메넨코 }}}}}}}}}
51회(2024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1회 2024 첼랴빈스크 예브게니 세메넨코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2회 2025 옴스크 블라디슬라프 디키지 }}}}}}}}}
  • 1920~1992년에는 소련선수권으로 개최됨.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미하일 콜랴다
Михаил Коляда | Mikhail Kolyada
파일:DZKLMqRX4AAOywe.jpg
본명 미하일 세르게예비치 콜랴다
Михаил Сергеевич Коляда
Mikhail Sergeyevich Kolyada
출생 1995년 2월 18일 ([age(1995-02-18)]세)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학력 레스가후트 체육대학
종목 피겨 스케이팅
신체 168cm
가족 배우자 다리야 콜랴다(2019년 7월 21일 결혼~현재)
은퇴 2023년 7월 10일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2011-12 시즌2.2. 2012-13 시즌2.3. 2013-14 시즌2.4. 2014-15 시즌2.5. 2015-16 시즌2.6. 2016-17 시즌2.7. 2017-18 시즌2.8. 2018-19 시즌2.9. 2019-20 시즌2.10. 2020-21 시즌2.11. 2021-22 시즌2.12. 2022-23 시즌
3. 평가4. 기록
4.1. 세계신기록4.2. 득점 이외의 기록
5. ISU 공인 최고점수6. 커리어7. 기타

[clearfix]

1. 개요

러시아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 은메달리스트이다.

2. 선수 경력

2000년부터 피겨 스케이팅을 배우기 시작했다. 5살 때 발렌티나 체보타레바 코치가 콜랴다를 그녀의 그룹으로 초대했고, 2020년까지 함께했다. 이후 알렉세이 미신 코치로 옮겼고 은퇴할 때까지 함께했다.

2.1. 2011-12 시즌

만 16세가 되어서야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가하며 주니어 데뷔를 했다. 2011 JGP 호주 4위, 2012 러시아 주니어선수권 6위를 기록했다.

2.2. 2012-13 시즌

2012 JGP 프랑스 6위, 2013 러시아선수권 7위, 볼보 오픈 컵에서 은메달을 땄다.

2013 러시아 주니어선수권에서 우승하여 2013 주니어 세계선수권에 출전했으며 6위를 기록했다.

2.3. 2013-14 시즌

파일:2013 JGP 슬로바키아 남자 싱글 포디움.jpg 파일:2013 JGP 에스토니아 남자 싱글 포디움.jpg
2013 JGP 슬로바키아 2013 JGP 에스토니아
주니어 그랑프리 3차 2013 JGP 슬로바키아 대회에서 동메달을 땄고, 이어 7차 2013 JGP 에스토니아 대회에서 은메달을 땄다. 따라서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대기 1순위였으나 끝내 출전은 하지 못하였다.

2014 러시아 주니어선수권에서 5위, 드래곤 트로피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2.4. 2014-15 시즌

지난 시즌 성적이 좋지는 않았지만, 이 시즌부터는 나이 제한[1]에 걸려 더 이상 주니어에 잔류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자국에서 열리는 로스텔레콤 컵에 배정받아 시니어 데뷔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한창 시즌을 준비하던 8월, 오른쪽 발목이 골절되는 부상을 입어 총 두번의 수술을 받아야 했고 2014 로스텔레콤 컵2015 러시아선수권을 모두 기권하였다. 이로써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가 무산되었다. 2015년 3월, 부상에서 복귀하여 가데나 스프링 트로피에 참가해 우승을 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5. 2015-16 시즌

2015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에서 은메달, 2015 CS 아이스 챌린지에서 동메달을 땄다. 2015 로스텔레콤 컵에서 쇼트 79.64점, 프리 168.33점, 총점 247.97점으로 최종 5위를 기록하며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파일:RNM16.png
2016 러시아선수권
2016 러시아선수권에서는 당시 러시아 남자 싱글 1인자였던 막심 코브툰에 이어 은메달을 따며 첫 포디움에 올랐으며 선수권 대회 출전 기회를 얻었다.

2016 유럽선수권에선 다소 부진하여 총점 236점대로 5위를 기록했지만, 2016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 89.66점, 프리 178.31점, 총점 267.97점을 획득하며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하뉴 유즈루, 진보양의 뒤를 이은 무려 4위에 올랐다.

2.6. 2016-17 시즌

시즌을 앞두고 기술 요소의 향상을 위해 쿼드러플 러츠를 구성에 포함하기로 계획했으나, 초반의 대회들에서는 클린 프로그램을 위해 시도하지 않았다.

2016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상태를 점검하였으나 4위에 그쳤다. 이어 그랑프리 3차 2016 로스텔레콤 컵 쇼트에서 90.28점을 받으며 쇼트 3위에 오르고, 본인의 첫 쇼트 90점을 돌파했다. 그러나 프리는 155.02점, 총점 245.30점으로 최종 4위를 기록해 포디움 진입에는 실패하였다. 그랑프리 6차 2016 NHK 트로피에서는 쇼트와 프리 모두 부진하여 총점 225점대로 5위를 했다.
파일:미하일 콜야다1.jpg 파일:미하일 콜야다2.jpg
2017 러시아선수권 2017 유럽선수권
2017 러시아선수권에서 인생경기를 하여 쇼트 95.33점, 프리 188.15점, 총점 283.43점 러시아선수권은 원래 점수가 뻥튀기이다. 을 받아 첫 우승을 차지했다. 따라서 선수권 대회 출전권을 얻었다.

2017 유럽선수권에서는 프리 경기에서 쿼드러플 러츠를 시도하여 넘어졌지만 회전수는 인정받았다. 평소대로만 했다면 더 좋은 결과가 나왔겠지만,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총점 250점대로 동메달을 따냈다. 물론 본인의 유럽선수권 첫 메달이지만, 선수가 가지고 있는 포텐을 봤을 때 조금은 아쉬움이 남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2017 세계선수권에서는 쟁쟁한 선수들에 밀려[2] 종합 8위를 기록했다.
파일:2017 월드 팀 트로피 러시아.jpg
2017 월드 팀 트로피
2017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인생경기를 하며 쇼트 95.37점, 프리 184.04점, 총점 279.41점으로 모두 개인 최고기록을 경신하였다.[3] 프리에서는 유럽선수권때와 마찬가지로 쿼드러플 러츠를 시도하였고 회전수를 채우고 넘어졌다. 러시아 팀은 은메달을 획득했다.

2.7. 2017-18 시즌

지난 시즌에 이어서 구성에 쿼드러플 러츠를 넣어왔다.
파일:2017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남자 싱글 포디움.jpg 파일:미하일 콜야다4.jpg
2017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2017 로스텔레콤 컵
2개의 챌린저 시리즈에 참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2017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에서는 쇼트 66.65점을 기록했으나, 프리에서 쿼드러플 러츠를 성공하며 181.16점을 받아 우승하는 롤러코스터급 경기를 보여주었다. 2017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는 쇼트 90.45점을 기록했지만 프리 158.05점, 앞 대회와는 정반대의 상황을 연출하며 최종 4위를 했다.

그랑프리 1차 대회 2017 로스텔레콤 컵 프리에서 185.27점을 기록하며 본인의 개인 최고점을 경신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이 점수가 시즌 베스트가 될 줄은 몰랐다. 최종순위 3위로 네이선 첸, 하뉴 유즈루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하며 본인의 첫 그랑프리 메달을 얻었다.
파일:미하일 콜야다5.jpg 파일:미하일 콜야다6.jpg
2017 컵 오브 차이나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
2017 컵 오브 차이나에서는 드디어 쇼트에서 쿼드러플 러츠에 성공하며 103.13점을 받아 처음으로 100점을 돌파하고, 남자 싱글 선수들 중 6번째[4]로 100점을 넘긴 선수가 되었다. 프리는 176.25점을 기록했지만 총점 279.38점으로 최종 1위를 하며 본인의 첫 그랑프리 우승을 하였다. 두 대회의 결과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총점 282.00점으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동메달을 땄다.
파일:미하일 콜야다7.jpg 파일:미하일 콜야다8.jpg
2018 러시아선수권 2018 유럽선수권
2018 러시아선수권에서 작년에 이어 우승하며 2연패를 달성,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함과 동시에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 출전하게 되었다.

2018 유럽선수권에서는 자국 후배 드미트리 알리예프에게도 밀렸다. 이로써 2년 연속 동메달을 획득했다.
파일:평창 단체전 팀 러시아.jpg 파일:미하일 콜야다9.jpg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
2018 평창 동계올림픽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5] 소속으로 출전하였다. 단체전에서 쇼트를 대차게 말아먹는 바람에 74.36점으로 전체 10개 팀 선수들 중 8위에 그쳤다. 프리는 173.57점으로 2위를 기록했으나 쇼트에서 포인트를 너무 잃은 바람에 같은 팀의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알리나 자기토바가 선전했음에도 불구하고 팀이 은메달을 따내는 것에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되었다. 개인전에서도 부진의 기운은 계속되어, 쇼트 86.69점, 프리 177.56점, 총점 264.25점으로 최종 8위라는 씁쓸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시즌 초만 해도 콜랴다가 적어도 동메달 싸움은 해줄 것이라는 예상이 대부분이었는데, 점점 안좋은 모습을 보이더니 가장 중요한 올림픽이라는 무대에서 엄청난 긴장감으로 인해 주변의 기대를 저버리고 아쉬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파일:201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남자싱글 포디움.jpg
2018 세계선수권
2018 세계선수권 쇼트에서 100.08점을 기록하고, 프리에서는 실수를 연발하며 172.24점에 그쳤으나 상위권 선수들이 다 말아먹는 바람에 최종 3위로 동메달을 땄당했다.

2.8. 2018-19 시즌

파일:2018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남자 싱글 포디움.jpg 파일:미하일 콜야다12.jpg
2018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2018 CS 핀란디아 트로피
2018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에서 프리 177.55점으로 새로운 채점제에서의 남자 싱글 프리 세계신기록을 작성[6]하며 최종 1위를 하였다. 이어서 2018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도 우승하였다.

2018 그랑프리 오브 헬싱키2018 로스텔레콤 컵에서는 모두 4위를 기록하면서 파이널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파일:2018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남자 싱글 포디움.jpg 파일:미하일 콜야다10.jpg
2018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2019 러시아선수권
그랑프리가 끝나고 열린 2018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서는 제이슨 브라운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 2019 러시아선수권에서는 복귀한 막심 코브툰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

2019 유럽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클린하였으나 프리에서는 폭망하여 최종 5위를 했다. 2019 세계선수권에서는 유럽선수권과 반대로 쇼트를 망하였으나 프리에서 클린하여 최종 6위에 올랐다. 2019 월드 팀 트로피부비동염으로 기권하여, 안드레이 라주킨이 대신 출전하였다.

2.9. 2019-20 시즌

건강문제로 예정되어 있던 모든 대회들을 기권했으며, 시즌이 끝나고 알렉세이 미신으로 코치를 변경했다.

2.10. 2020-21 시즌

테스트 스케이트에서 새 프로그램을 공개하며 두 시즌 만에 복귀했다. 한편 코로나로 인하여 국제대회가 정상적으로 개최되지 않는 상황에서, 국내대회인 러시안 컵 3차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파일:2020 로스텔레콤 컵 남자 싱글 포디움2.jpg 파일:2021 러시아선수권 남자 싱글 포디움.png 파일:2021 월드 팀 트로피 러시아.jpg
2020 로스텔레콤 컵 2021 러시아선수권 2021 월드 팀 트로피
자국 그랑프리 대회 2020 로스텔레콤 컵에서 우승했다. 이후 출전이 예정되어 있었던 러시안 컵 5차 대회는 같은 팀 소속인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음에 따라, 자가격리를 위해 기권했다. 2021 러시아선수권에서는 3년 만에 내셔널 우승을 차지했다. 자국 내 이벤트성 대회인 2021 채널 1 트로피에서는 개인 1위, 팀 2위를 기록했다. 2021 세계선수권에는 FSR[7] 대표로 참가해 5위를 기록했으며, 2021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3위, 팀 1위를 기록했다.

2.11. 2021-22 시즌

파일:2021 CS 핀란디아 트로피 남자 싱글 포디움.jpg 파일:2021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 남자 싱글 포디움.jpg 파일:2021 로스텔레콤 컵 남자 싱글 포디움.jpg
2021 CS 핀란디아 트로피 2021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 2021 로스텔레콤 컵
2021 CS 핀란디아 트로피, 2021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 2021 로스텔레콤 컵에서 모두 은메달을 획득했다. 따라서 오랜만에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였으나 대회가 취소되었다.
파일:2022 러시아선수권 남자 싱글 포디움.jpg
2022 러시아선수권
2022 러시아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2 유럽선수권은 훈련 도중 부상을 당해 기권했으며 안드레이 모잘료프가 대신 출전했다. 그러나 부상을 당한 직후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예브게니 세메넨코가 대신 출전했다.

2.12. 2022-23 시즌

2022년 3월 1일부터 ISU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벨라루스의 모든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과 관계자들이 국제대회에 참가하는 것을 금지했다.

2022 러시안 컵 1차 대회 쇼트에서 클린[8]을 하며 95.27점을 받았다. 하지만 프리에선 7개의 점프 중 마지막 트리플 살코를 제외한 6개의 점프에서 모두 실수[9]가 나오며 141.95점을 받았다. 총점 237.22점으로 4위를 차지했다.

2022 러시안 컵 4차 대회 쇼트에서 클린을 하며 102.68점을 받았다. 프리에선 첫 번째 점프인 쿼드러플 토룹에서 쿼터 판정을 받으며 넘어졌고, 두 번째 4T+2T 컴비네이션에서 첫 점프를 트리플 토룹으로 처리하였고, 후반부의 3Lz에 2T을 붙여 세 번째 더블 토룹이 되었기에 무효가 되어 167.83점을 받았다. 총점 270.51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시즌이 끝나고 2023년 7월 10일 기사를 통해 은퇴를 발표했다.

3. 평가

파일:콜야다쿼럿.gif
4Lz[10]
스케일이 크고 시원시원한 점프가 장점이였다. 스케이팅 스킬이 세련되었다는 평을 들었으며, 스핀과 스텝 등 비점프 요소 또한 뛰어나다. 특히 유연성이 매우 뛰어나 비엘만 스핀을 구사할 수 있었다.[11] 하지만 점프의 축이 자주 휘는 편이며, 컨시가 매우 좋지 못했다. 특히 클린 경기가 손에 꼽을 정도다. 어찌저찌 쇼트 클린에 성공해도 유약한 멘탈 때문에 프리에서 완전히 말아먹는 일이 빈번하다. 이 때문에 중요한 대회 때마다 팬들을 답답하게 만드는 선수이기도 하다. 또한 플립 점프를 아웃 엣지로 도약하는 립퍼로, 대부분의 경기에서 롱엣지나 어텐션 판정을 받는다.

4. 기록

4.1. 세계신기록

  • 2018-19 시즌부터 새로운 채점제가 실시됨에 따라 남자 싱글 프리 부문에서 한차례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시니어 남자 싱글 프리 기록
날짜 점수 대회 비고
2018.09.22 177.55 2018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2018년 10월 20일 네이선 첸에 의해 경신.

4.2. 득점 이외의 기록

5. ISU 공인 최고점수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 100.49(2019 유럽선수권)
프리 181.25(2021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
총점 274.37(2018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6. 커리어

파일:오륜기.svg OAR 대표로 참가한 대회
올림픽
은메달 2018 평창단체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대표로 참가한 대회
세계선수권
동메달 2018 밀라노남자 싱글
유럽선수권
동메달 2017 오스트라바남자 싱글
동메달 2018 모스크바남자 싱글
그랑프리 파이널
동메달 2017-18 나고야남자 싱글
월드 팀 트로피
금메달 2021 오사카단체전
은메달 2017 도쿄단체전

국제대회:시니어
대회 11–12 12–13 13–14 14–15 15–16 16–17 17–18 18–19 19–20 20–21 21–22 22–23
올림픽 8th WD
세계선수권 4th 8th 3rd 6th 5th
유럽선수권 5th 3rd 3rd 5th WD
GP 파이널 3rd C
GP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 2nd
GP 스케이트 캐나다 WD
GP 그랑프리 오브 헬싱키 4th
GP 컵 오브 차이나 1st C
GP NHK 트로피 5th WD
GP 로스텔레콤 컵 WD 5th 4th 3rd 4th 1st 2nd
CS 컵 오브 오스트리아 WD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2nd
CS 탈린 트로피 WD
CS 핀란디아 트로피 4th 4th 1st WD 2nd
CS 아이스 챌린지 3rd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2nd 1st 1st WD
챌린지 컵 1st
아이스 스타 1st
탈린크 호텔스 컵 1st
헬무트 자입트 메모리얼 1st
가데나 스프링 트로피 3rd 1st
드래곤 트로피 1st
볼보 오픈 컵 2nd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 6th
JGP 에스토니아 2nd
JGP 슬로바키아 3rd
JGP 프랑스 6th
JGP 호주 4th
국내대회
러시아선수권 7th WD 2nd 1st 1st 2nd WD 1st 2nd
러시아 주니어선수권 6th 1st 5th
러시안 컵 파이널 2nd J
러시안 컵 4차 3rd
러시안 컵 3차 1st
러시안 컵 5차 1st WD
러시안 컵 1차 1st 4th
단체전
올림픽 2nd T
월드 팀 트로피 2nd T
4th P
WD 1st T
3rd P
팀 챌린지 컵 2nd T
4th P
채널 1 트로피 2nd T
1st P
1st T
1st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T=팀 결과, P=개인 결과, C=취소, J=주니어

7. 기타


[1] ISU가 규정한 주니어 가능 연령은 7월 1일 기준으로 만 13세~만 18세이며, 콜랴다는 이 시즌 만 19세가 되었다.[2] 유독 2017년 세계선수권이 점수대가 전체적으로 다 높았고 쟁쟁한 선수들이 많았다. 우승자 하뉴 유즈루를 비롯하여 차례대로 우노 쇼마, 진보양, 하비에르 페르난데스에 이르는 1~4위 선수들이 총점 300점을 넘겼고, 그 아래로는 5위 패트릭 챈, 6위 네이선 첸이 290점대였다.[3] 이 대회가 유독 점수가 너무 후한 경향이 있었다. 일단 자국 선수들인 미하라 마이히구치 와카바의 점수가 이전 대회들에 비해 10점 이상씩 폭등했고,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는 쇼트 80점, 프리 160점을 넘는 등 일반적으로 받을 수 있는 점수치를 넘어서며 프리 및 총점 세계신기록을 경신했다.[4] 하뉴 유즈루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네이선 첸 - 우노 쇼마 - 패트릭 챈 - 본인 순.[5]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의 대대적인 국가 주도 도핑 파문으로 인하여, IOC에서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러시아의 출전을 불허하고 개인 자격으로만 출전을 허락하였다. 따라서 러시아 선수들은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lympic Athlete from Russia)'로 출전하였다.[6] 2018-19 시즌부터 GOE 제도가 기존의 +3 / -3 에서 +5 / -5 로 바뀌어서, 아예 새로운 채점제로 치기 때문에 시즌 초기에는 세계신기록이 빈번하게 나왔다.[7] Figure Skating Federation of Russia(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연맹)의 약자로, ‘도핑과 무관한 러시아 선수들의 중립국 표기’이다. 러시아는 국가 주도 도핑으로 인해 스포츠 중재위원회(CAS)의 규정에 따라 2022년까지 러시아 소속으로 국제대회에 출전할 수 없다.[8] 다만 컴비네이션 점프가 3T+3T이었다.[9] 두 번의 쿼드러플 토룹 중 첫 점프는 넘어졌고 두 번째는 더블링을 했다. 두번의 트리플 악셀도 모두 실수가 나왔고 트리플 룹과 후반의 3Lz+2T+2A+SEQ에서 넘어졌다. 2개의 스핀과 스텝에서는 레벨 3, 체인지 풋 컴비네이션 스핀에선 레벨 2가 떴다.[10] 대회에서 20번 시도하여 총 2번 성공했다.[11] 비엘만 스핀이 가능한 동시대 남자 선수는 하뉴 유즈루, 제이슨 브라운 정도로 매우 드물다.[12] 브랜든 므로즈 - 블라디슬라프 세즈가노프 - 진보양 - 네이선 첸 - 빈센트 저우 - 본인 순.[13] 하뉴 유즈루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네이선 첸 - 우노 쇼마 - 패트릭 챈 - 본인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