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21:45:40

박인환(시인)

<colbgcolor=#000><colcolor=#fff> 박인환
朴寅煥 | Park In-hwan
파일:parkinhwanface.jpg
출생 1926년 8월 15일
강원도 인제군 인제면 상동리[1]
(現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상동리)
사망 1956년 3월 20일 (향년 29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35번지 자택
본관 밀양 박씨[2]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시인
학력 인제공립보통학교 (전학)
경성덕수공립소학교 (졸업)
경기공립중학교 (중퇴)
명신중학교 (졸업)
평양의학전문학교 (중퇴)
배우자 이정숙(李丁淑)[3]
신장 약 180cm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시인. 본관은 밀양(密陽).

대표작으로 목마와 숙녀세월이 가면 등이 있다.

2. 생애

1926년 강원도 인제군 인제면(現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상동리에서 면사무소 직원이었던 아버지 박광선(朴光善)과 어머니 함숙형(咸淑亨) 사이에서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인제공립보통학교를 다니다가 부친과 함께 상경하여 경성덕수공립소학교(現 서울덕수초등학교)에 전학하여 졸업하였다. 이어 경기공립중학교에 진학하였는데, 재학 중에 교칙을 어기며 영화관을 출입한 것이 문제가 되어 중퇴하였다. 이후 한성학교 야간부를 다니다가, 황해도 재령의 명신중학교를 졸업하였다.

부친의 강요로 평양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였으나, 8.15 광복으로 졸업하지 못하고 학업을 중단한 뒤 서울로 내려와 종로에서 마리서사(茉莉書肆)라는 서점을 경영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를 쓰기 시작했다. 절친이자 선배 시인 오장환[4]의 낙원동 남만서점을 해방 후에 물려받은 것이다. 여기서 아내도 만난다.

마리서사에서 많은 문학인들과 교류했는데, 박인환은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도 반말하듯 대화를 나누었다고 한다. 그 당시에는 굉장히 무례하고 파격적인 행동이었다.

그후 1955년 《박인환선시집》을 출간했고, 이듬해인 1956년, 소설가 이상의 기일을 기념한다고 3일 간 폭음한 탓에 결국 그해 3월 20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35번지 자택에서 급성 알콜중독성 심장마비요절했다. 향년 29세.

박인환은 이상의 기일 날 그를 기리는 시 '죽은 아폴론'을 쓴다. 그 시에는 이상의 기일이 3월 17일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이상의 기일은 4월 17일이다. 이것이 박인환의 실수인지, 3일 후 닥칠 자신의 죽음을 예견하고 일부러 틀리게 적은 것인지는 작가 본인만 알 일이다.

'세월이 가면'은 박인환 시인의 마지막 시로 알려져 있는데 작품 일화가 있다. 당시 문인들의 아지트였던 명동의 대포집 '은성'에서 극작가인 이진섭, 백치 아다다를 불러 유명한 나애심이 같이 술을 마시던 가운데, 시를 쓰던 박인환의 종이를 들고 이진섭이 즉석에서 곡을 붙이고 나애심이 바로 불렀다. 나애심이 먼저 술자리에서 나가자, 나중에 온 테너 임만섭이 그 악보를 받아들고서 다시 노래를 불렀고, 주위에 있던 모든 손님들이 그 가게로 몰려와 노래를 감상했다고 한다. 참고로 은성의 사장은 최불암의 모친이었다. 참고로 여기 극작가 이진섭의 장례식 때 가수 최양숙씨가 ‘세월이 가면’을 불렀다고 한다. 이진섭 씨는 극작가이고 알토인 여동생을 포함해 음악가 집안이라고 한다. [5]

'목마와 숙녀'의 경우 연배가 있는 사람 중에는 박인희의 노래만 알고 원작의 존재를 모르는 분들도 왕왕 있다. 노래에 묘사된 가사까지만 들었을 때는 어느 정도 애틋한 감상도 들 법하지만 원작의 경우 두 개의 바위 틈을 지나 청춘을 찾은 뱀과 같은 구절을 비롯해 노래에서 생략된 후반 부분이 온전히 더해져 한층 더 탄식과 체념의 정서가 짙다.

3. 여담

  • 그가 태어난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상동리에 그를 기리는 박인환문학관이 있다. 2012년 개관. 문학관에는 박인환이 경영하던 서점인 마리서사(茉莉書肆)를 포함해서 그가 평소에 동료 문인들과 드나들며 문학에 대해 토론을 나누었던 술집들 여러곳이 그대로 재현되어 있으며 박인환이 모았던 영화 포스터들과 그의 육필 원고도 전시되어있다.
  • 1955년 선시집을 발간했으나 출판사 화재로 인해 초판본이 소실되고, 이듬해 1956년 재발매되었다. 화재로 인해 모두 소실된 줄 알았던 초판본이 1980년대에 발견되었는데, 동료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장호강 대령에게 증정한 것으로 보이며, 박인환의 친필과 송지영, 김광주 등 문인들의 서평이 남아있다.
  • 1990년 KBS에서 방영한 10부작 다큐멘터리 한국 전쟁에 당시 합동통신 기자였던 최기덕 씨가 증언한 바에 따르면 아군이 낙동강 전선까지 밀렸을 당시 소문을 듣기로는 박인환이 서울에서 북한군 편에 서서 의용군 모집에 앞장섰다고 했다. 그러나 막상 9.28 서울 수복 이후 만난 박인환은 얼굴이 새하얗고 수염이 덥수룩히 자란 채 전혀 밖에서 활동했던 사람이 아니라 공산당을 피해 숨어지내던 사람 같았다고 한다.
  • 2004년에 방영한 EBS 드라마 명동백작에서 주인공 3인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배우 차광수가 배역을 담당했다.
  • 생전에 김수영과 등단시기도 비슷해 막역한 사이였으나 후에 성향차이로 절연했다. 이후 김수영은 박인환의 시를 "겉멋만 든 허접스레기"라며 강도 높게 비난하고 다녔다.
  • 양복이 더없이 어울리는 말쑥한 외모로도 유명하며, 키가 180cm 정도로 평균 신장이 훨씬 큰 현대 기준으로도 장신이었다. 그의 부인도 농구선수 출신으로 키가 170cm에 달했다. 양가가 서로 장신이 유전이었던듯 하다.
  • 영화를 무척이나 좋아한 시네필이었다. 덕분에 생전에는 영화 비평가로서도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오히려 시를 써서 받은 원고료보다 영화 평론글을 잡지에 기고하여 받은 원고료가 더 많아서 죽기 직전까지 영화 평론글을 꾸준히 기고해서 주 수입원으로 삼았다.
  • 조니 워커 위스키와 카멜 담배를 좋아했다고 한다. 박인환의 장례식에 온 동료 문인들이 그의 관에 조니 워커 위스키와 카멜 담배를 넣어주었을 정도. 생전에 박인환은 위스키에 대해 논하면서, "우리는 위스키를 마신다. 첫 잔은 과거를 위해 두번째 잔은 오늘을 위해. 내일? 그까짓 것은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말도 남겼다.[6]


[1] #[2] #[3] 1948년에 결혼했으며, 2014년에 사망했다.[4] 이후 월북하였다.[5] 가요무대 1986년 1월 20일 방송 중 현인, 김동건 최양숙의 대화 중[6] 1950년대 한국에서 도라지 위스키 같은 가짜가 아닌 진짜 위스키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은 밀수로 들어온 것 혹은 미군 기지에서 빼돌려 들어온 것을 구하는 방법 뿐이었다. 박인환 시인도 그런 방법으로 유통되던 위스키를 마셨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