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명한 사람에 대한 내용은 현자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 대한가수협회 역대 회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백년설 | 제2대 현인 | 제3대 남진 | 제4대 송대관 | 제5-6대 태진아 |
제7대 김흥국 | 제8-9대 이자연 |
현인 玄仁 | Hyun In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본명 | 현동주 |
창씨명 | 고토 진(後藤 仁) |
아호 | 구암(舊岩) |
본관 | 연주 현씨[1] |
출생 | 1919년 12월 14일[2] |
경상남도 부산부 사중면 영선리 (현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1가 183번지) | |
사망 | 2002년 4월 13일 (향년 82세) |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3] | |
학력 | 경성제2고등보통학교 (졸업) 우에노음악학교 (성악과 / 졸업) |
부모 | 아버지 현명근[4], 어머니 오봉식(吳鳳植)[5] |
형제자매 | 남동생 현필주(玄弼柱), 여동생 현애숙(玄愛淑) |
배우자 | 첫째 부인 조창길 둘째 부인 박정혜(朴貞惠)[6] 셋째 부인 김미정[7] |
자녀 | 아들 현재헌[8], 장녀 현혜정(玄惠靜) 차녀 현수정(玄水靜), 3녀 현희봉(玄喜鳳), 4녀 현지원(玄智媛) |
종교 | 개신교(장로회) |
데뷔 | 1940년 '신태양 극단'[9]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최초의 대중가수.[11] 해방과 더불어 가요계에 선풍을 일으킨[12] 대한민국 가요계에 한 획을 그은 가수다.
본명은 현동주(玄東柱)이다. 당시의 대중 가수들 중 가장 학력이 높은데 도쿄 우에노음악학교(現 도쿄예술대학) 성악과 출신이다. 특유의 떠는 창법으로 인기를 끌었다. 당시에는 정말 획기적인 창법이었다.
소설가이자 독립유공자인 현진건은 그의 5촌 당숙(堂叔)이며, 독립유공자 현정건은 그의 7촌 재종숙(再從叔)이다.
2. 생애 및 가수 활동
1919년 12월 14일 경상남도 부산부 사중면 영선리(현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1가) 183번지의 유복한 집안에서 스탠다드 석유회사 부산 사무소 직원이던 아버지 현명근과 신교육을 받은 어머니 해주 오씨 오봉식(吳鳳植) 사이의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13]1938년 경성제2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42년에는 현 도쿄예술대학의 전신인 우에노 음악학교 성악과를 졸업했다. 원래 그의 아버지는 현인이 사관학교에 가기를 원했지만, 현인 본인은 음대에 진학하여 교수가 되기를 희망했다. 이에 화가 난 아버지는 그의 대학 학비를 끊어버렸다고 한다. 일제의 강제 징용이 시작되자 중국 상하이로 피신하여 그 곳에서 악단 '신태양'을 조직해서 활동한다. 해방 이후, 귀국하여 악단을 다시 조직하여 극장 무대에서 연주하며 다닌다. 그 후 당시의 유명한 작곡가인 박시춘이 찾아와서 자신의 곡을 불러달라고 한다.
현인은 "성악도가 유행가 따위를 부를 수는 없다"며 거절했지만, 박시춘이 거듭 권유하자 며칠 생각해본다고 하고, 집에서 며칠 동안 고민을 한 뒤, 결국 대중가수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박시춘은 현인에게 곡을 주었고, 이 곡이 바로 신라의 달밤이다. 이 곡은 발표 당시에 정말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현인을 가요계의 정상에 등극하게 했다. 이후 현인은 <비 나리는 고모령[14]>, <고향만리> 등을 연달아 히트시킨다. 한국전쟁 당시 피난민들의 슬픈 정서를 잘 보여주는 <굳세어라 금순아>[15]는 많은 사람들이 즐겨들으며 울기도 했다. 시대를 대변하는 듯한 가수라고 말할 수 있겠다. 이후 대한가수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74년에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이민을 가서 '가스라이트'라는 레스토랑을 운영했지만, 한국에서의 무대가 그리워서 1981년에 귀국한다. 1991년에는 <노래하는 나그네>, <길> 등의 신곡들을 발표한다. 1999년까지는 KBS 가요무대와 악극 등에 출연하여 왕성한 활동을 했었지만, 지병인 당뇨병의 악화로 2002년 4월 13일, 82세로 사망하였다.
현인 가요무대 스페셜 |
3. 대표곡
- 1947년 신라의 달밤
- 1949년 고향 만 리
- 1949년 럭키 서울
- 1949년 베사메 무초 - 멕시코의 작곡가 콘수엘로 벨라스케스(Consuelo Velázquez)의 동명의 노래를 번안하였다.
- 1949년 비 내리는 고모령 - 고모역 문서에 이 노래의 유래가 소개되어 있다.
- 1949년 푸른 언덕
- 1950년 서울야곡 - 현인이 직접 작사와 작곡[16]을 한 노래로 알려졌으나, 뒤늦게 유호가 작사한것으로 알려졌다. 가수 전영이 리메이크한 바 있다.
- 1950년 전우야 잘 자라
- 1950년 애정산맥
- 1952년 인도의 향불
- 1953년 굳세어라 금순아 - 눈보라가 휘날리는~으로 시작하는 노래. 부산 영도대교 도개가 시작될 때 흘러나온다. 곡의 내용은 흥남 철수와 관련이 있다. #
- 1956년 꿈속의 사랑 -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상하이에서 활동하였던 중국 여가수 공추하(龔秋霞)의 몽중인(夢中人) 이라는 노래를 번안하였다.
- 1956년 나폴리 맘보
- 1956년 고엽 - 외국곡에서 현인이 직접 가사를 써서 발표한 번안곡이다.
- 1957년 불국사의 밤
- 1959년 꿈이여 다시 한 번
- 1959년 세월이 가면 - 나애심[17]의 노래를 리메이크하였다. 참고로 현인의 노래중 "세월은 가고"라는 노래가 있는데, 1960년대 발매된 '현인 가요힛트앨범 제3집'에서는 "세월이 가면"과 동일한 노래이나, 1973년 발매된 '현인 불멸의 힛송앨범'에서는 이 노래와 다른 노래로 수록되어 있다.[18]
- 1959년 즐거운 여름
- 1963년 체리 핑크 맘보
- 1979년 노래하는 나그네? - 1979년 현인 회갑 기념으로 KBS "가요대행진"에서 방송된 '영원한 노래 현인특집'에서 현인 본인이 이 노래를 불렀었다.[19] 참고로 음반은 1991년에 발표되었다. 다만 1990년 현인 데뷔 50년 기념으로 가요무대에서 방송된 '현인 나의노래 50년 특집'에서 현인 본인이 이 노래를 부르기 전, 환갑 때 하중희[20] 작사 김강섭[21] 작곡으로 노래를 만들어 주었다고 말한것으로 보아 1979년 발표된 것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
- 1991년 길
4. 여담
- 소설가이자 독립유공자인 현진건은 그의 5촌 당숙(堂叔)이며, 독립유공자 현정건은 그의 7촌 재종숙(再從叔)이다.
- 이 분의 열성팬인 중학생이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에 출연한 적이 있다. 어느 정도냐 하면 현인 선생의 노래를 거의 완벽하게 모창, 현인 선생 관련 모든 정보는 빠짐없이 꿰고 있으며[22], 심지어 평소 말투와 행동, 옷차림까지 그야말로 어르신 스타일. 영국의 제이크 버그를 생각하면 될 듯. 또한 놀라운 대회 스타킹에서도 현인 노래의 메들리를 선보였으며, 참고로 이 중학생이 바로 2019년에 KBS '트로트가 좋아'[23]라는 프로에서 화제의 인물로 주목을 받게 된 조명섭이다. 이 프로그램 이후로 결국 장윤정의 소속사인 IOK Company에 들어가게 된다.
-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성악을 전공해서 그런지 일제강점기 태생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어의 발음이 매우 정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80년대 이전 태생만 하더라도 대체로 발음이 매우 좋지 못한데, 1910년대 태생임에도 불구하고 발음이 상당히 좋다. 성악을 배울 때 독어, 이태리어 등으로 된 곡을 부르기 위해 이를 연습한다는 것을 알면 충분히 이해가 되는 점. 물론 회화실력과는 별개일 수도 있지만 시대적 배경을 감안하면 대단한 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현인 '베사메 무쵸' |
KBS 가요무대에 출연하여 베사메 무쵸를 부른 영상. 본인의 번안가사와 원곡 가사를 섞어서 부르는데, 'Como si fuera esta noche la ultima vez' 부분이 요즘 가수들과 같이 매우 매끄럽다.
현인 '꿈속의 사랑' |
KBS 빅쇼에 출연하여 꿈속의 사랑을 부른 영상. 1절은 한국어 가사, 2절은 중국어 가사로 부르는데 중국어가 아주 매끄럽다. 해방되기 전에 중국에서 활동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현인 '굳세어라 금순아' |
- 1983년 6월 30일,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첫 방송 때 스튜디오에 출연해서 '굳세어라 금순아'를 불렀다. 첫 날이라 편성도 지키지 못하며 쉬지도 못하고 계속 이어지는 프로그램 특성상 잠시 휴식시간이 필요하기도 했고, 여러가지 조정을 위한 방책이었다. 당시 분위기와 어우러져 노래를 부르는 내내 스튜디오의 이산가족들은 침울한 표정이었고, 몇몇은 울기도 했다. 그 역사적 의미와 생생함을 생각했을 때, 어쩌면 가장 명연으로 볼 수도 있겠다.
- 고운봉과는 막역지간으로, 비록 고운봉이 1920년 2월 생이지만, 현인은 1919년 12월 생으로 고운봉과 3달 밖에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친구로 지낸 듯 하다. 해방 후에 명동 대폿집에서 둘이 만나서, 현인이 "이제 나라를 찾았으니 한국 가요 건설에 힘을 쓰자!"라고 했다고... 물론, 데뷔 년도는 고운봉이 훨씬 앞선다.
- 여기에 김정구와 고운봉. 이 셋이 모이면 친형제처럼 대폿집에서 술을 마시기도 하고 종종 한복남도 같이 술을 마시기도 했다. 이들은 형, 아우 이 친구, 저 친구야 하면서 그랬다는데 김동건 아나운서의 말에 따르면 현인, 고운봉, 한복남이 모인 가수 대기실의 모습은 마치 남자 중학생들이 모여서 장난스럽게 수다떠는 모습이라고 한다.
- 1991년 11월 23일 토요대행진 생방송 도중 그의 자료화면이 나갔는데 관객석에 있는 그의 앞에서 MC 고현정이 "생전의 모습"이라며 멘트를 잘못한 사고가 있었다. 그 후 방송 도중에 사과했다.
5. 현인가요제
매년 8월초 그를 기리기 위한 현인가요제가 송도해수욕장에서 개최된다. 2005년 1회를 시작으로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EXO 등 유명 가수들도 초청되어 꽤나 많은 인파가 몰려든다.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현인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가족 | 부 현명근 · 모 오봉식 · 남동생 현필주 · 여동생 현애숙 · 5촌 당숙 현진건 | |
첫째 부인 조창길 · 둘째 부인 박정혜 · 셋째 부인 김미정 | |||
장남 현재헌 · 장녀 현혜정 · 차녀 현수정 · 3녀 현희봉 · 4녀 현지원 | |||
노래 | 굳세어라 금순아 · 꿈속의 사랑 · 럭키서울 · 베사메 무쵸 · 비나리는 고모령 · 서울야곡 · 신라의 달밤 |
화관문화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1987 손목인 작곡가 | 1988 이봉수 바이올리니스트 | 1988 정윤주 작곡가 | 1988 황문평 작곡가 | 1991 박창오[1] 가수 | ||||
1992 이경모 사진작가 | 1995 이미자 가수 | 1996 김혜자[2] 가수 | 1997 김덕용[3] 배우, 희극인 | 1997 임성기 언론인 | |||||
1998 코리아나 가수, 1988 서울 올림픽 주제가 《손에 손 잡고》를 부름 | 1999 김용걸 발레리노 | 1999 김지영 발레리나 | 1999 현동주[4] 가수 | 2000 한명숙 가수 | |||||
2001 강명보 문화원장 | 2001 김병학 문화원장 | 2001 문호근† 뮤지컬 연출가 | 2001 민형근 문화원장 | 2001 송해 희극인 | |||||
2001 장수봉 문화원장 | 2001 황용주 국악인 | 2002 김진원 문화원장 | 2002 박광태 극단대표 | 2002 백기현 오페라 단장 | |||||
2002 이은임[5] 한복 디자이너 | 2002 이창교 문화원장 | 2002 정호돈 문화원장 | 2002 최종규 문화원장 | 2002 허종성 문화원장 | |||||
2003 김영임 국악인 | 2003 노상준 문화원장 | 2003 변훈† 작곡가 | 2003 양중해 시인 | 2003 이영철 문화원장 | |||||
2003 이칠용 공예가 | 2003 정영삼 한국민속촌회장 | 2003 정지옥 문화원장 | 2004 김상희 가수 | 2004 김직승 출판가 | |||||
2004 김태환 한국영상박물관장 | 2004 서현석 지휘자 | 2004 송춘희 대중예술가 | 2004 신정교 문화원장 | 2004 윤수옥 문화원장 | |||||
2004 윤통웅 한국예술실연자단체연합회장 | 2004 이춘희 국악인 | 2004 최용문 문화원장 | 2005 남선우 문화원장 | 2005 신영희 국악인 | |||||
2005 정광태 코미디언, 가수 | 2005 정범태 사진작가 | 2005 조규돈 강릉문화원 사무국장 | 2005 홍성덕 국악인 | 2006 김세윤 문화원장 | |||||
2006 김인배 작곡가 | 2006 김인수[6] 국극배우 | 2006 서진길 사진작가 | 2006 이인숙 박물관장 | 2006 이춘화 출판가 | |||||
2006 임규흥[7] 무용인 | 2006 장영 문화원장 | 2006 장주원 공예가 | 2007 김성환 연기자 | 2007 김영섭 문화원장 | |||||
2007 류복현 문화원장 | 2007 이순희 한국음악재단 회장 | 2007 진태옥 패션디자이너 | 2007 최성준[8] 가수 | 2008 구자흥 안산 문화예술의전당 관장 | |||||
2008 김계담 문화원장 | 2008 김현 시각디자이너 | 2008 박공서 기업인 | 2008 박영수 청주문화원 고문 | 2008 배용준 배우 | |||||
2008 이영춘[9] 가수 | 2009 이케다 다이사쿠 창가학회 회장 | 2010 박두식†[10] 희극인 | 2017 임영주 문화원장 | 2018 강봉식 이와테 현립대학 교수, 일본한국어교육학회 설립 유공 | |||||
2018 방탄소년단[11] 가수 | 2018 천한봉 도예가 | 2020 장상호 전국문화원연합회 국장 | |||||||
레전드 100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난영 | 남인수 | 현인 | 신중현 | 이미자 |
최희준 | 하춘화 | 패티킴 | 배호 | 남진 | |
나훈아 | 윤복희 | 송창식 | 윤형주 | 펄 시스터즈 | |
김추자 | 조영남 | 김민기 | 양희은 | 이장희 | |
나미 | 한대수 | 이정선 | 해바라기 | 한영애 | |
산울림 | 윤수일 | 사랑과 평화 | 인순이 | 정태춘 | |
심수봉 | 조동진 | 조용필 | 김수철 | 송골매 | |
김현식 | 전영록 | 시인과 촌장 | 이문세 | 노래를 찾는 사람들 | |
이선희 | 안치환 | 김광석 | 주현미 | 다섯손가락 | |
들국화 | 시나위 | 김완선 | 백두산 | 부활 | |
어떤날 | 이승철 | 임재범 | 유재하 | 소방차 | |
변진섭 | 동물원 | 이상은 | 이승환 | 박남정 | |
봄여름가을겨울 | 신촌블루스 | 푸른하늘 | 장필순 | 김현철 | |
현진영 | 015B | 빛과 소금 | 윤종신 | 듀스 | |
윤상 | 신승훈 | 강산에 | 김건모 | N.EX.T | |
서태지와 아이들 | 이소라 | 김동률 | 박진영 | 솔리드 | |
유앤미블루 | 토이 | DJ DOC | YB | 패닉 | |
H.O.T. | 델리스파이스 | 윤미래 | 자우림 | S.E.S. | |
이효리 | 크라잉넛 | 노브레인 | 드렁큰 타이거 | god | |
보아 | 싸이 | 브라운 아이즈 | 비 | 다이나믹 듀오 |
[1] 찬성공파(구 천녕 현씨) 26세 주(柱) 항렬.[2] 음력 10월 22일.[3] #[4] 족보명 현명건(玄命健).[5] 해주 오씨이다.[6] 밀양 박씨이다.[7] 초명 김영자(金泳子). 김해 김씨이다. 1955년 미스코리아 진[8] 족보명 현정일(玄正一).[9] 노래로써의 데뷔는 1947년의 신라의 달밤이 취입곡이나 그가 데뷔한 것은 1940년 상해에서 조직한 신태양이 맞다. 이를 방증하듯 1990년에 가요무대에서 현인 데뷔 50주년 특집을 마련해주었다.[10] 사실 엄밀히 말하면 현인은 사실 순수 트로트 가수는 아니다. 굳세어라 금순아의 이미지가 강하다보니 생긴 이미지지, 애초에 성악가 출신이기도 하며 데뷔곡 신라의 달밤부터가 펜타토닉 스케일을 벗어나 있기 때문에 전통 트로트가 아닌데다, 베사메무쵸 같은 라틴 음악부터 장미 꽃 인생 같은 상송까지 소화하며 트로트 일변도이던 가요계를 흔들었다. 이 때문에 오히려 현인을 트로트 거성에 가두는 것에 비판적인 이들도 있다. 음악 자체가 트로트랑 근본이 아예 다른 화성과 리듬으로 구성되어 있다 굳이 정의를 하면 동양식으로 해석 한 프랭크 시나트라 풍의 스탠다드 팝이나 재즈 편곡을 활용한 고전가요 위주로 부른 가수이다.[11] 일반적으로 한국사에서 최초의 대중가수라 말해지는 가수는 1920년대부터 활동한 윤심덕, 이애리수, 이정숙, 채규엽 등이 있지만, 이들은 활동했던 시기가 일제강점기였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이들도 일본 제국의 가수일 뿐 대한민국의 가수가 아니므로 대한민국이 건국된 후 최초의 대중가수는 현인이 맞다.[12] 1960년에 현인이 TV에 나와 <신라의 달밤>을 부를 때, 앞부분에서 MC가 소개해주던 멘트.[13] 유복한 가정 형편 덕분에 현인은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유학 생활을 하며 졸업하였고, 풍족하게 살 수 있었다.[14] 지금은 '내리는'이 올바른 발음 표기고, '나리는'은 잘못된 표기지만, 당시에는 '나리는'으로 발음했다.[15] 흥남 철수가 배경이다.[16] 음반에서는 본명인 "현동주"로 표기되어 있다.[17] "과거를 묻지 마세요", "백치아다다(이후 가수 문주란이 리메이크 하였다.)" 등을 부른 가수이자, 디디디라는 노래로 유명한 가수 김혜림의 모친이다.[18] 참고로 '현인 불멸의 힛송앨범'에 수록된 "세월은 가고"의 원제는 "그대는 가고"이다. 이후 왜 이 제목으로 음반이 나왔는지에 대한 이유는 불명이다.[19] 회갑 기념에서는 "노래의 나그네"로 방송되었다.[20] 남일해의 '빨간 구두 아가씨', 김상희의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등을 작사한 작사가로 2004년 별세했다.[21] 작곡가이자, 전 KBS 관현악단장으로 가요무대에서 20년 동안 지휘를 하기도 하였다. 이후 2022년에 별세했다.[22] 결혼기념일도 알고 있었다![23] KBS 예능 프로그램 노래가 좋아에서 특집 프로그램으로 6주간 방송된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이다.[24] 그외에도 김정구가 지나갈땐 "눈물젖은 두만강 지나간다.", 고운봉이 지나갈땐 "선창 지나간다." 등으로 불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