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ar 아르다의 권능 | |||||||||||||
<rowcolor=#fff>물의 군주 | 위대한 대장장이 | 대지의 여왕 | 호흡의 지배자 | 별의 여왕 | 춤꾼 | 용맹한 자 | |||||||
울모 | 아울레 | 야반나 | 만웨 | 바르다 | 넷사 | 툴카스 | |||||||
<rowcolor=#fff>연민과 애도의 귀부인 | 계시와 꿈의 주재자 | 피로와 상처의 치유자 | 숲의 군주 | 영원한 젊음 | 시간의 직조자 | 심판자 | |||||||
니엔나 | 이르모 | 에스테 | 오로메 | 바나 | 바이레 | 나모 |
1. 개요
아르다의 권능이라는 의미를 가진 발라는 레젠다리움의 영적 존재인 아이누들중에서도 위대한 이들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단수형은 Vala.[1] 톨킨은 이들을 구상할 때 그리스도교의 대천사와[2] 더불어 그리스 신화와 북유럽 신화 등의 여러 신들에게서 모티브를 얻었다.2. 특징
태초에 신비롭고 강한 힘을 지닌 존재들인 아이누들이 일루바타르의 인도에 따라 세상을 창조했고, 그 중 많은 이들이 자신이 만든 세상에 강림했다. 이후에 이들은 세계를 창조하고 가꾸었으며, 세상을 망가트리려는 멜코르에 맞서 싸웠다. 이렇게 내려온 아이누 중에서 제일 강력하고 지혜로운 14명을 총칭해 발라라고 하고 나머지를 마이아라고 하였다. 일루바타르 문서에 나와있듯이, 실마릴리온에서는 'The one'이자 태고적부터 있었고 창조의 불을 지닌 자는 오직 일루바타르라고 기록되어 있다. 즉 이들은 일루바타르 앞에서는 피조물에 지나지 않지만, 가운데땅의 존재들에게는 신비롭고 강한 힘을 지닌 존재들이기 때문에 신으로 여겨지기도 했다.주로 인간이나 요정의 모습을 띄고 있지만 사실 이것은 일종의 가면같은 것이다. 이들의 본질은 육체가 없는 영적 존재이며 단순한 편의로 의인화된 모습으로 본질을 가리고 있는 것이다.[3] 실제로 발라들은 인간이나 요정의 형체 말고도 나무나 형체 없는 안개 같이 다른 모습을 띄기도 한다.[4] 인간이나 요정처럼 남자와 여자가 있고 형제 관계도 있으며, 결혼도 한다. 하지만 이것은 진짜 혈육 관계라기보단 관념적이고 상징적인 관계이다. 발라 여왕은 발리에(Valië), 복수형은 발리에르(Valier)라고 부른다.
위대한 존재이긴 하지만 작중에서는 좀 답답한 모습도 보이는데, 멜코르의 거짓 참회를 믿고 풀어준 것이나, 멜코르가 웅골리안트와 작당해 두 나무, 텔페리온과 라우렐린을 죽이고 가운데땅으로 건너가는 것도 놓치고, 가운데땅이 멜코르의 악에 거의 넘어가기 직전에도 에아렌딜의 요청 전까지는 반응조차 보이지 않았다. 이는 답답하다 못해 잔인하고 오만한 모습으로까지 보인다. 울모를 제외하면 가운데땅으로 망명가는 놀도르가 죽든말든 신경도 안 쓰고, 나중에 등장하는 인간에 대해서는 일루바타르가 저 놈들을 왜 만들었나 하면서[5] (반은 인간인 에아렌딜이 발리노르로 오기 전까지는) 그 어떤 것도 해주지 않는다. 이는 두 나무가 빛을 잃고 페아노르가 발라들의 무능함을 역설하며 가운데땅으로 가자는 연설에 많은 놀도르가 호응하였던 것의 이유도 되었던 듯 하다.
발라 중 울모를 비롯한 일부는 요정들을 가운데땅에 두어서 멜코르가 아르다에 입힌 상처를 치유하게 하자고 제안했고, 아마 이게 원래 일루바타르의 계획이었던 것으로 보이나, 다른 발라와 마이아들은 요정들을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요정들을 대부분 발리노르로 데려오고 말았다. 나중에 요정들이 인간과 조우해서 이들을 이끌어준다는 절대자의 원래 구상을 생각해보면, 악의만 없었을 뿐, 발라들도 멜코르 못지않게 절대자의 계획을 거하게 말아먹은 것이다. 만약 가운데땅에 남은 신다르와 가운데땅으로 돌아간 망명 놀도르가 아니었다면, 나중에 등장하는 인간들은 그대로 모르고스의 수족으로 남게 되고, 에아렌딜처럼 발리노르로 가서 청원할 사람도 없었을 테니 가운데땅에 모르고스의 암흑시대가 영원토록 지속되었을 것이다. 원래 일루바타르의 계획이 발라 휘하의 아이누들이 가운데땅을 누리다가 요정들에게 물려주고 요정들이 이를 누리다가 다시 인간에 물려주는 것인데, 각 단계마다 발라는 요정들을 모조리 발리노르로 데려오고, 요정들은 힘의 반지를 만들고, 인간들은 발리노르를 침공하는 등의 큰 실수를 범한 셈이다.[6]
3. 이름
- 발라/발리에(Vala/Valië)[Q]/발란(Balan)[S]/아왈로(Avalô)/아왈레(Avalê)[A] - '아르다의 권능(Powers of Arda)'이라는 뜻이다.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힘(Power)'이다.
- 발라/발리에(Vala/Valië) - 원시 요정어 어근 BAL에서 파생됐다. 발라는 남성형, 발리에는 여성형이며, 복수형은 각각 발라르(Valar)/발리에르(Valier)이다.
- 발란(Balan) - 원시 요정어 어근 BAL에서 파생된 balaniā에서 비롯됐다. 복수형은 벨라인(Belain)이다.
- 아왈로(Avalô)/아왈레(Avalê) - 아두나익에서 W가 종종 V로 쓰이곤 했기 때문에 발음은 아왈로일 것으로 추정된다. 원시 요정어 어근 BAL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발로는 남성형, 아발레는 여성형이며, 복수형은 아왈로이(Avalôi)이다.
4. 목록
제외된 한 명을 빼면 발라 군주, 발라 여왕 각각 7명씩 있다.이들 중 아홉이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지고 있었으나 하나가 제외되고 여덟이 '아르다의 높은 자'라는 의미의 아라타르(Aratar)로 불린다. 만웨, 바르다, 울모, 야반나, 아울레, 만도스, 니엔나, 오로메가 그들로, 일단 만웨가 '왕'이지만 권위는 서로가 대등하다. 이때 왕이라는 건 일루바타르에게 말을 전하고, 다시 일루바타르의 말을 전해 들을 수 있다는 것을 이르는 것 같다.[20] 예를 들어 야반나가 "아울레는 난쟁이를 만들었는데 요정하고 인간하고 난쟁이가 나무를 베어내면 대체 남는 게 뭐냐"고 하자, 만웨가 일루바타르에게 물어보고 그가 '나무목자'를 둘 것을 허락했다는 말을 전해준다.
참고로 이들이 주관하는 영역은 어디까지나 그들이 어떤 분야에 대해서 높은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지, 다른 신화의 신들의 주관 영역과 같이 절대적으로 침범할 수 없는 분야의 개념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치유와 회복은 에스테가 주관하지만, 야반나와 니엔나 또한 발리노르의 두 나무를 되살리기 위해 치유와 회복의 권능을 사용한 바가 있고, 빛은 바르다의 영역이지만, 발리노르의 두 나무의 빛은 야반나의 권능으로 창조된 것이다.
운명을 주관하는 만도스, 꿈과 환상을 주관하는 이르모는 영혼의 영역을 다스리기 때문에 영의 지배자라는 뜻의 페안투리(Fëanturi)라고 불린다. 이들은 형제이다.[21]
4.1. 발라 군주
- 툴카스: 아스탈도. 어떠한 무기도 필요치 않는 무적의 투사. 아르다에 가장 늦게 도착하였는데, 이는 멜코르와 최초의 전쟁을 벌이는 발라들을 돕기 위해서였다. 배우자는 넷사. 관장하는 영역은 육체적인 힘.
4.2. 발라 여왕
- 야반나: 케멘타리. 대지의 여왕이자 아울레의 아내. 초목과 동물들, 자라나는 모든 것들을 사랑한다. 엔트를 만들어 달라고 하기도 하였으며, 텔페리온과 라우렐린의 창조주이기도 하다. 관장하는 영역은 일루바타르의 자손과 입양아를 제외한 모든 자연과 생물.
- 니엔나: 연민과 애도의 귀부인. 아르다의 모든 상처를 애도한다. 만도스와 이르모의 누이였으며 세상의 서쪽 끝인 아만 대륙에서도 서쪽 끝에 있는 니엔나의 궁정에 홀로 살았다. 기쁨이 넘치는 발리노르엔 가는 일이 없었으나 때때로 만도스의 궁정으로 가 죽은 이들을 위로하고 그들의 슬픔을 다독여주었다. 관장하는 영역은 슬픔, 그리고 슬픔으로부터 태어나는 지혜와 용기.
- 바이레: 시간의 직조자. 아르다의 모든 역사를 기록하는 베를 짰다. 남편은 만도스이며, 그녀가 짠 베는 만도스의 궁정의 벽에 장식되었다. 핀웨의 첫 아내인 미리엘이 죽었다 살아난 이후 그녀의 시녀가 되어 자식들의 불행한 역사를 짜야 했다. 관장하는 영역은 시간과 역사의 기록.
- 바나: 영원한 젊음. 야반나의 동생으로 야반나와 관장하는 영역이 비슷하다. 그러나 총괄적으로 관장하는 야반나에 비해 바나가 관장하는 영역은 꽃과 새같은 작은 생물에 집중되어 있다. 관장하는 영역은 생물과 그들이 누릴 젊음.
4.3. 제명
5. 초기 버전에서
HoME의 "잃어버린 이야기들"같은 초창기 버전의 레젠다리움에서 발라는 현재의 설정과는 매우 큰 괴리가 있다. 당시에는 아이누가 자식을 가질 수 있다는 설정이 있었으며, 발라와 발라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도 발라로 인정했기 때문에 수가 매우 많았다.[23] 이런 발라들의 자식을 발라린디(Valarindi)라고 했다. 레젠다리움의 설정이 바뀌는 과정에서 아이누에게 자식이 있다는 설정은 폐기되었고,[24] 이에 따라 발라린디는 발라와 혈연 관계가 없는 마이아로 격하되거나 삭제되었다.또한 초창기에는 마이아였다가 후기로 넘어오며 발라가 된 경우도 있는데, 에스테가 바로 그런 경우이다. 초기에 에스테는 마이아들의 수장이었지만, 후기 레젠다리움에서는 발라 이르모의 아내로 설정되며 본인 또한 발라가 되었다.
5.1. 목록
- 만웨(Manwë) - 하늘이라는 뜻의 타이모(Taimo)라는 별명과, 발라들의 왕이라는 뜻의 발투르(Valtur)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만웨-바르다 부부는 와놔보이시(Wanwavoisi)라고 칭해졌다.
- 울모(Ulmo)
- 아울레(Aulë)
- 만도스(Mandos) - 초기 버전에서 만도스는 예언을 내리는 발라이긴 했지만, 현재 설정과는 다르게 죽은 자를 심판하는 발라는 아니었다. 고르구모스라는 사냥개를 키웠다고 한다.
- 올로판투르 로리엔(Olofantur Lôrien) - 이르모의 초창기 이름이다. 성이 굉장히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올로판투르라는 성 이외에도 풀무르(Fulmur), 로스판(Losfan), 루리엘(Lûriel)등의 성이 있다.
- 푸이 니엔나(Fui Nienna) - 니엔나의 초창기 이름이다. 만도스의 누이인 현재의 설정과는 달리 아내였다. 그래서인지 현재 설정에서 만도스의 아내인 바이레는 등장하지 않는다.
밑의 목록은 오로메와 넷사를 제외하면 현재설정에서는 삭제되었거나, 마이아로 격하된 발라들이다.
- 발라린디(Valarindi)
- 피온웨(Fiönwë) - 에온웨의 초창기 이름이다.만웨와 바르다의 자식이었다. 우리온(Úrion)이라고도 불렸지만, 후기 설정에서는 이름이 바뀌고 마이아로 격하된다.
- 에린티(Erinti) - 일마레의 초창기 이름이다.피온웨와 마찬가지로 만웨와 바르다의 자식이었지만, 후기 설정에서는 마이아로 격하되었고 바르다의 수석시녀라는 설정으로 바뀌었다.
- 넷사(Nessa) - 아울레와 야반나의 자식이었다. 후기 설정에서도 오빠인 오로메와 함께 발라 지위를 지켰다. 단 아울레-야반나와의 혈연 관계는 사라졌다.
- 오로메(Oromë) - 넷사와 마찬가지로 아울레와 야반나의 자식이었다. 넷사와 함께 발라 지위를 유지했다.
- 니엘리퀴(Nielíqui) - 오로메와 바나의 자식이었다. 후기 설정에서는 삭제되었다.
- 텔리멕타르(Telimektar) - 툴카스와 넷사의 자식이다. 후기설정에서는 삭제되었다.
- 루시엔(Lúthien) - 루시엔 티누비엘과는 동명이인이다. 텔리멕타르의 자식이다. 후기 설정에서는 삭제됐다.
- 고스모그 - 멜코의 자식이다. 후기 설정에서는 마이아로 격하됐다.
- 마카르(Makar) - 메앗세의 오빠이다. 멜코르의 불협화음에 동조하기도 했으며, 여러모로 반골 기질이 강하지만 타락한 영은 아니다. 삭제됐다.
- 메앗세(Meássë) - 마카르의 여동생이다. 마카르와 마찬가지로 멜코르의 불협화음에 동조한 아이누이다. 삭제됐다.
- 오마르(Ómar) - 모든 발라 중 가장 어렸다고 하며, 모든 언어와 노래를 알고 있다고 한다. 살마르의 형제로 설정됐지만 삭제됐다.
- 살마르(Salmar) - 오마르의 형제로, 놀도린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후기 설정에서는 마이아로 격하됐다.
- 옷세 - 후기 설정에서는 마이아로 격하됐다.
[1] 참고로 퀘냐에서 r은 떨림음이므로 발음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Valar'는 '발라르'라고 발음해야 옳다,[2] 가톨릭 신자였던 톨킨은 자신의 작품에 그리스도교적 요소를 넣기도 했다.[3] 실마릴리온에 따르면, 발라들의 이러한 실체적인 육신이 아름답고 고결한 외모이기는 하지만, 그들의 본질, 즉 영의 진정한 아름다움과 외경스러움을 감추고 있다고 묘사한다.[4] 이렇게 입은 육신을 파나(Fana)라고 한다. 톨킨 세계관에서 일루바타르의 자손들 같은 생명체는 페아르(Fëar, 영)와 흐로아르(Hröar, 육신)로 구성되며, 둘은 절대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이다. 하지만 발라와 같은 아이누는 육체에 구속되지 않는 영혼인 에알라르(ëalar)이기 때문에 육신이 없어도 상관이 없다. 일루바타르의 자손들과 소통하거나 아르다에 물리력을 행사하기 위해 물리적인 형체를 취하고는 했는데, 이때 입은 물리적인 형체를 파나라 하는 것이다.[5] 인간이 요정에 비해 어리석고 미개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인간들 입장에서는 다소 억울할 수 있는데, 일루바타르의 원래 계획 속에서는 요정들이 먼저 문명을 만들고 뒤이어 올 인간들을 개도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요정 대부분을 아만으로 불러서 인간이 성장할 기회를 앗아간 것이 발라이다.[6] 요정들도 인간의 시대가 되어야 할 제2시대에 자신들의 시대를 유지하려다가 사우론에게 속아 힘의 반지를 만들었었고, 톨킨이 직접 반지의 제왕에서의 비극에는 요정들의 책임도 있다고 했다.[Q] 퀘냐[S] 신다린[A] 아두나익[S] [11] Noble(고귀한). 'noble/high/royal(고귀한/높은/왕족의)'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RĀ/ARA, 또는 tower up(탑 높은 곳)'을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RAT, 또는 'good/excellent/noble(좋은/훌륭한/고귀한)'을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ARAT에서 파생됐다.[12] 확장형 접미사[Q] [A] [15] West/Direction or region of the sunset/Occident(서쪽/해질녘/서부). 'Down/Under/Below/Sink(아래/밑의/가라앉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NDU에서 파생된 접두사 nú-(내려가다/서쪽)와 'go/move/proceed(가다/움직이다/전진하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MEN에서 파생된 단어 men(방향)이 결합해 파생된 단어이다.[16] Lord/Master(군주/주인). 'rule/govern/possess(통치하다/지배하다/사로잡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KHER에서 파생된 단어 khēr 또는 kherū에서 비롯됐다.[17] Lords(군주들). 명사 bâr의 복수형이다.[18] 소유격 접두사[19] West(서쪽). 'down/under/below/sink(아래/밑의/가라앉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NDU에서 파생된 신다린 단어 dûn에서 비롯됐다.[20] 실제 역사에서 고대 국가의 왕들 역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역할을 수행하여 왕권의 정당성을 확보한 것을 볼 때 굉장히 흥미로운 부분이다.[21] 니엔나는 이들의 누이이긴 하지만 페안투리라고 확실하게 언급되지는 않는다.[22] 멜코르는 모든 영역에 있어서 뛰어났지만, 열은 그의 생각에서 만들어졌기에 특히 그가 관장하는 영역으로 본다.[23] 다만 곤돌린의 몰락에서는 발라의 수가 9명으로 나온다.[24] 후대까지 자식을 가졌다는 설정이 유지된 아이누는 루시엔 티누비엘을 낳은 멜리안이 유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