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연기를 하는 연기자(배우나 성우)의 이름과, 그가 연기하는 캐릭터의 이름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일단 여기서는 현실의 '배우'라는 본인 신분 그대로 출연한 경우[1]는 본 문서에서 다루지 않는다. 실존 인물과 전혀 관계 없는 완전한 픽션 캐릭터가 단순히 연기자의 이름과 같은 경우만 기재.
캐릭터의 이름을 짓기 귀찮을 때 편의를 위해서 그냥 배우 이름을 그대로 쓰는 경우도 있다. 다만 본 문서에선 일부러 직접 이름을 따온 경우 뿐만 아니라 우연의 일치로 겹친 경우까지 포함한다.
2. 사례
2.1. 배우와 같은 경우
- 감자별 2013QR3 - 줄리엔
- 구미호뎐 - 이무기(테리)[2]
- 기묘한 이야기 시간의 여신(1994년 칠석 특별편) - 야나기바 도시로, 미즈노 마키[3]
- 김종욱 찾기의 출연 배우들
- 데스페라도 - 스티브 부세미
- 맥랑시대 - 양영준 교장, 이주희
- 배틀로얄 - 기타노 다케시[4]
- 재앙의 시작 - 박소정
- 부산행 - 서수안[5], KTX 승무원 팀장(한성수)
- 초관심 시리즈의 대부분의 등장인물
- 순풍산부인과, 하이킥 시리즈 등 김병욱 PD가 담당한 시트콤 대부분의 등장인물[6]
- 김치 치즈 스마일
- Re:Mind의 등장인물 전원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스탠 리
- 버스터 키튼: 자신이 만든 영화에서 자신의 이름과 같은 캐릭터를 연기한적이 많다.#
- 없는영화의 백한솔
2.2. 성우와 같은 경우
- 타카기 와타루 - 타카기 와타루(명탐정 코난)
- 꼬마버스 타요 - 하나(최하나)
- 더 콩그레스 - 로빈 라이트[7]
- 웨이킹 라이프: 리처드 링클레이터 감독의 2000년 애니메이션으로 다양한 캐릭터들의 성우 이름에서 따왔다.
- 미니특공대 시리즈 - 리나(박리나)
- 주토피아 - 보니 홉스(보니 헌트)
2.3. 창작자와 같은 경우
작가나 감독 본인의 이름을 캐릭터에 쓰는 등, '창작자와 이름이 같은 캐릭터'가 존재한다.보통 영화 감독이 일종의 카메오로 자신의 작품에 출연하는 경우는 종종 있지만, 이 경우 직접적으로 해당 캐릭터의 이름이 명시되어있고 그것이 감독 이름과 같은 경우일때 기재한다.
- 스탠 리: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스탠 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유일한(소설가): 어느날 갑자기 - 유일한(어느날 갑자기)
- 츠지무라 미즈키: 차가운 학교의 시간은 멈춘다 - 츠지무라 미즈키
- 카나자와 노부아키: 왕 게임(소설) - 카나자와 노부아키
- 토마스 아스트뤽: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 버스터 키튼: 자신이 만든 영화에서 자신의 이름과 같은 캐릭터를 연기한적이 많다.#
[1] 영화 차인표에 나온 차인표, 영화 여배우들의 출연 배우들, 인질의 박성웅 처럼 소위 말하는 '본인 역'으로 출연한 경우.[2] 작중 이무기가 사용하는 가명이 배우 이름과 매우 비슷한 Terry이다. 미국 유학생 출신이라는 설정.[3] 다만 이쪽은 예명으로, 본명은 고토다 유키.[4] 다만 원작에서는 사카모치 킨바츠라는 이름으로 나온다.[5] 성씨는 바뀌었다.[6] 다만 가족 구성원 중 자녀들의 경우 부득이하게 가장의 성씨로 모두 통합된다. 또한 정해리 처럼 일부 예외도 있다.[7] 다소 실험적이고 사회비판적인 이 영화의 특성상, 의도적으로 배우를 먼저 캐스팅하고 캐릭터 이름을 배우와 같게 맞췄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