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병원 관련 틀 | ||||||||||||||||||||||||||||||||||||||||||||||||||||||||||||||||||||||||||||||||||||||||||||||||||||||||||||||||||||||||||||||||||||||||||||||||||||||||||||||||||||||||||||||||||||||||||||||||||||||||||||||||||||||||||||||||||||||||||||||||||||||||||||||||||||||||||||||||||||||||||||||||||||||||||||||||||||||||||||||||||||||||||||||||||||||||||||||||||||||||||||||||||||||||||||||||||||||
|
부산대학교병원 釜山大學校病院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NUH | |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개원 | 1956년 11월 1일[1] |
분류 | 상급종합병원 (대학병원) |
재단 | 특수법인 부산대학교병원[2] |
병상 | 1,191병상[3] |
병원장 | 정성운[4] (제28대) |
주소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아미동1가) 49241[지번주소] |
전화번호 | 051-240-7000 |
웹사이트 | 부산대학교병원 공식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부산대학교병원 전경 |
The Smart Leader, Most Valuable PNUH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아미동1가)에 위치한 설립된 상급종합병원.
1956년 설립되었으며, 현재 내과 등 23개의 의과계 진료부문과 구강내과 등 8개 치과진료 부문, 부속기관으로 의학연구소를 갖추고 있고, 30여개의 전문 검사실과 8개 특수진료센터를 갖추고 있으며, 의사, 간호사, 일반직원 등 총 1,800여명의 구성원으로 1,200여 병상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 지역에서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다음으로 오래된 대학병원이며, 가장 큰 병원이다. 또한, 상급종합병원이다.
현재 병원부지에 원래 의과대학, 간호대학, 치과대학 등이 존재했으나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로 이전한 이후, 암센터, 권역외상센터,[6] 권역호흡기전문질환센터 등의 새로운 건물이 신축되었다.[7]
부산에서 그냥 대학병원이라고 하면 보통 여기에서 말하는 아미동 부산대학교병원 본원을 가리킨다.
2. 역사
1956년 11월 1일에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설립된 후, 1994년 5월 20일 국립대학병원 설치법에 의거해 대학으로부터 분리된 후, 특수법인으로 변경된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법인이다. 설립목적은 타 국립대학병원과 동일하게 고등교육법에 의거한 의학 및 치의학 등에 관한 교육 및 연구 진료를 통하여 의학발전을 도모하고,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의 교육연구 및 임상병원과 부산권 거점국립대학병원의 역할을 하고 있다.한편 부산대학교병원 측에서는 1877년 개원한 한국사 최초의 근대적 의료기관인 제생의원을 전신으로 삼아, 본원이 광혜원(제중원)보다 8년 이른 한국 최초의 근대 병원[8]으로서 역사성과 정통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그래서 부산의료원 역사관이나
2024년 10월 31일, 부산대학교병원에 메디컬센터를 건립하는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 선정되었다.
2024년 11월 14일, 예비타당성조사 및 사업계획 적정성재검토 외부연구진 참여 공고문에서 메디컬센터 건립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시 2036년까지 4단계에 걸쳐서 건설되는 것으로 공개되었다.
3. 상세
일반적으로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1가에 있는 본원을 부산대병원으로 가리키지만 법적인 조직은 본원과 함께 분원인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등 여러가지 센터를 포괄한 독립법인을 가르킨다. 2011년 이전까지는 치과병원까지도 포함되었었지만, 현재는 별도의 설치법에 의거해 독립법인으로 분리되었다.부산대학교병원은 별도 법인으로 이사회에 의해 운영되며 이사장은 법률에 의해 당연직으로 총장이 임명된다.[11] 병원 운영을 총괄하는 병원장은 3년 임기 이사회가 선출해서 교육부 장관이 임명하게 되어있다.[12] 병원장이 분원인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의 원장을 선임하게 되어있다.
국제공인예방접종지정의료기관으로 황열을 접종할 수 있다.
4. 규모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을 포함하여 2개의 상급종합병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7년 의료수입 7,366억원으로 지역 내 대형병원인 동아대학교병원의 2,824억,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의 2,250억원과는 상당한 격차를 보여주고 있다.#출처5. 진료과목
내과계 | 소화기내과 | 순환기내과 | 호흡기알레르기내과 | 내분비대사내과 |
신장내과 | 혈액종양내과 | 류마티스내과 | 감염내과 |
외과계 | 소아외과 | 간담췌외과 | 내분비외과 | 대장항문외과 |
위장관외과 | 유방외과 | 이식혈관외과 |
신경과 | 정신건강의학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심장혈관흉부외과 |
성형외과 | 산부인과 | 소아청소년과 | 안과 | 이비인후과 |
피부과 | 비뇨의학과 | 가정의학과 | 재활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마취통증의학과 | 영상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병리과 | 핵의학과 |
응급의학과 | 외상외과 | 임상약리학과 |
진료센터 | 치과진료센터 구강악안면외과 | 치과보철과 | 치과교정과 | 치과보존과 | 치주과 | 구강내과 | |||
권역외상센터 | 권역호흡전문질환센터 | |||
통합의학센터 | 장애인구강진료센터 |
클리닉 | 위암클리닉 | 대장암클리닉 | 유방암클리닉 | 간췌담도암클리닉 |
부인암클리닉 | 폐암클리닉 |
6. 교통편
[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토성역
4번 출구, 6번 출구로 나가면 정문이다. 또한, 본관 B동 2층과 토성역을 연결하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시내버스]
- 부산대학병원.토성역(02064)
- 부산대학교병원/토성역.아미동입구(02066)
- 부산대학병원.토성역(02081)
- 부산 버스 1003 (청강리공영차고지 ↔ 남포동 ↔ 부산대학교병원)
- 영락교회(02061, 02062)
이 노선들 중에서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 시내노선은 16번과 87번이고 그 다음으로 161번이 짧은 편이다. 반면에 70번과 134번과 190번은 배차간격이 길다.
다만 161번은 2023년 7월 29일부로 강서공영차고지로 입성하며 배차간격이 대폭 늘어나버렸다.
7. 분원
자세한 내용은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문서 참고하십시오.8. 로고송
이 로고송은 최소한 2017년 하반기 이전에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14] 로고송이 정확히 언제부터 작곡되어 공식적으로 병원에서 사용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참고로 어디선가 많이 들어봤다 하면 기분탓이 아니다. 부산대학교 병원 전화 연결음이다.[15]
가사
부산대학교병원
우리 함께하면 행복한 미소 가득
부산대학교병원
우리 함께가면 건강한 내일의
희망이 보여요~
우리 함께하면 행복한 미소 짓는 당신이 보여요
우리 함께 가면 건강한 내일의
희망이 보여요
치료를 넘어선 치유의 마음
손길 우리 정성 모아
생명을 위하는 간절한 바람~
세계를 향하는 의료의 중심
우리들의 정성 모아
희망을 드리는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우리 함께하면 행복한 미소 가득
부산대학교병원
우리 함께가면 건강한 내일의
희망이 보여요~
우리 함께하면 행복한 미소 짓는 당신이 보여요
우리 함께 가면 건강한 내일의
희망이 보여요
치료를 넘어선 치유의 마음
손길 우리 정성 모아
생명을 위하는 간절한 바람~
세계를 향하는 의료의 중심
우리들의 정성 모아
희망을 드리는
부산대학교병원
작사 : 김성만
작가 : 김성만
제작 : 코드앤멜로디
9. 역대 병원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 부산대학교병원 역대 병원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정일천 | 2대 장기려 | 3대 이찬세 | 4대 민영옥 | 5대 김상태 |
6대 문효중 | 7대 박병국 | 8대 조진규 | 9대 박병국 | 10대 김찬규 | |
11대 이석희 | 12대 문한규 | 13대 박조열 | 14대 김진정 | 15대 김병수 | |
16대 허윤 | 17대 나하연 | 18대 류총일 | 19대 전경명 | 20대 양웅석 | |
21대 박순규 | 22대 김동헌 | 23·24대 박남철 | 25대 정대수 | 26대 이창훈 | |
27대 이정주 | 28대 정성운 |
10. 사건 사고
10.1. 교수의 전공의 상습 폭행 사건
자세한 내용은 부산대학교 전공의 폭행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한편 제주대학교병원에서도 유사한 사건이 터지면서 네티즌들의 큰 공분을 샀다. 제주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갑질 사건 참조.
10.2. 응급실 방화 사건
부산대병원 응급실서 불만 품은 환자 보호자가 방화…47명 대피“아내 빨리 진료해달라” 60대 남편 대학병원 응급실서 방화
응급실에 방화…의료진 침착 대응이 참변 막았다
부산대병원 응급실 방화범 '징역 4년'
2022년 6월 24일 오후 9시 45분경 응급실 입구에서 60대 남성 A씨가 방화를 하였다. 페트병에 담아온 2ℓ의 휘발유를 자신의 몸과 병원 바닥에 뿌린 뒤 라이터로 불을 질렸으며, 불은 병원 의료진이 소화기 등을 이용해 1분만에 신속히 진화됐다.
A씨는 3시간여전인 이날 오후 7시경 응급실에서 부인을 빨리 치료하라고 고성 및 난동을 피우며 1차로 소란을 피웠었다. A씨 부부 모두 술에 취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으며, 당시 의료진 신고로 출동한 경찰이 A씨를 아내와 분리한 뒤 귀가 조치했다. 그러나 다시 찾아와서 방화하였다.
이 사건으로 응급실 환자 18명과 의료진 29명 등 총 47명이 급히 건물 밖으로 대피했으며 재로 인한 연기와 냄새 등으로 응급실 운영도 11시간 가량 차질을 빚어 6월 25일 오전 9시쯤에서야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
A씨는 왼쪽 어깨부터 다리까지 2∼3도 화상을 입고 부산대병원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았으며 결국 A씨는 현주건조물방화죄 혐의로 재판에서 징역 4년을 선고받았다.
10.3. 부산대학교 병원장 임명 지연 사태
2022년 4월 이정주 전 병원장 퇴임 이후, 2023년 1월까지 임명이 늦어져 병원장이 공석으로 남았다.부산대병원은 이 전 병원장 임기가 만료하기 전에 김영대, 정성운 교수를 후보자로 교육부에 보고했지만, 교육부와 청와대는 별다른 이유없이 임명을 질질 끌고 있는 상태다.
서울대학교병원도 현재 마찬가지다. 교육부장관 공석에 서울대·부산대병원장도 몇달째 공석
이정주 전 병원장이 적극 추진하던 에코델타 내 신규병원 진입사업도 퇴임 이후에도 별다른 소식이 없어,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이 더 유리한 것이 사실이다.
2023년 1월 20일부터 정성운 교수(흉부외과)가 병원장으로 3년 임기를 시작한다. #
10.4. 안과 의사 사망사건
2024년 2월부터 진행 중인 의사 파업의 여파로, 부산대학교병원 소속 안과 40대 의사가 과로로 2024년 3월 24일 자택에서 사망했다. 사인은 뇌출혈 중에서도 지주막하출혈이었다.전공의 시절부터 이달의 친절 직원으로 추천받고 학술대회 최고상까지 받는 등 모범적인 의사 생활을 한 인물이었다.
[1] 제생의원 개원일인 1877년으로 볼 수도 있으나 제생의원의 실질적인 직계 후신은 부산의료원이 더 가깝고 부산대학교병원은 물리적 후신 정도로 간주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유는 후술되어 있다.[2] 국립대학병원 설치법에 따른 특수법인이다.[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06. 입원병실 기준[4]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지번주소]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1가 10-1[6] 부산 지역 외상환자는 대부분 여기로 실려온다. 실제로 외상센터 평가에서 전국에서 1위도 곧잘 받을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7] 기존 의대, 치대, 간호대 부지는 대학 소유의 국유지라 병원 측이 임대료를 지급하고 있다고 한다.[8] 다만 광혜원(제중원)은 호러스 알렌 선교사의 건의로써 최초로 조선 정부가 직접 지은 근대식 민족 의료기관이라는 점에서 제생의원과는 차별점이 있다. 제생의원은 조선인 환자도 받았으니 현대의학사상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설립 자체는 일본이 지은 것이기 때문이다.[9] 현재 확인 불가[10] 부산대학교병원도 제생의원을 부산대학교병원의 전신이라고 하지 절대로 개원이 1877년이라고는 안 한다. 부산대학교병원 로고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리고 충무동으로 이전한 부산시립병원은 1962년 부전동으로 재이전, 1968년 12월에는 연산교차로 목화예식장 맞은편으로 재이전하여 33년간 그곳을 지키고 있다가(지금은 이 부지에 연산SK뷰아파트가 들어섰으며 앞에 부산의료원 셔틀버스 정류장이 남아 있다.) 2001년 12월에 우리가 아는 현재의 거제동 부산의료원이 탄생했다.[11] 이사는 병원장, 의과대학장(의학대학원장), 치의학대학원장, 기재부, 교육부, 복지부 고위 공무원 1명씩 당연직으로 임명되고 총 11인의 비상임이사로 구성된다.[12] 국립대학병원 설치법 제14조(대학병원장) ① 대학병원에 원장 1명을 둔다. ② 원장은 대학병원을 대표하며, 대학병원의 업무를 총괄한다. ③ 원장은 이사회의 추천을 받아 교육부장관이 임명한다. ④ 원장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한 번만 연임할 수 있다.[13] 충무동 방향만 경유[14] 2017년 12월 경, 부산대병원 병동에서 방송으로 종종 송출되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15] 반주만 나온다. 그래서 가사를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