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부산대학교/양산캠퍼스]]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학 정보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역사 | 총장 | 학부 | 대학원 | 상징 | 입시 | }}} |
재학생 정보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대학 생활 | 학사 제도 | 동아리 | 축제 | 총학생회 | 학내 언론 | }}} |
졸업생 / 기타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출신 인물 | 미식축구부 | 사건 사고 | 마이피누 | }}} | ||
캠퍼스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부산캠퍼스 | 양산캠퍼스 | 밀양캠퍼스 | ||||
아미캠퍼스 | | }}} | |||||
부속병원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부산대학교병원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
부산대학교한방병원 | 부산대학교치과병원 | }}} | |||||
사범대학 부설학교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사범대학부설특수학교 | }}} |
1. 개요2. 위치3. 면적4. 역사5. 1 ZONE
5.1. 101 MEMS / NANO 클린룸동5.2. 102 IT관[공사 중]5.3. 103 제12공학관5.4. 105 제3공학관(융합기계관)5.5. 106 효원문화회관5.6. 107 제8공학관(항공관)5.7. 108 제9공학관(기전관)5.8. 109 공과대학 공동실험관5.9. 110 에너지분야 실험실5.10. 111 실험폐기물처리장
6. 2 ZONE6.1. 201 제6공학관(컴퓨터공학관)6.2. 202 운죽정6.3. 203 넉넉한터6.4. 204 넉넉한터 지하주차장6.5. 205 대학본부6.6. 206 제11공학관(조선해양공학관)6.7. 207 제10공학관(특성화공학관)6.8. 208 기계기술연구동6.9. 209 상남국제회관6.10. 210 언어교육원6.11. 211 보육종합센터6.12. K08 공대 제2별관6.13. K05 변전실
7. 3 ZONE7.1. 301 구조실험동7.2. 302 토조실험동7.3. 303 기계관7.4. 306 인문관7.5. 307 인문대 교수연구동7.6. 308 제1물리관7.7. 309 제2물리관7.8. 310 문창회관7.9. 311 공동연구기기동7.10. 312 공동실험실습관7.11. 313 자연대 연구실험동7.12. 314 정보화교육관7.13. 315~316 자유관7.14. 317 직장어린이집7.15. 318 자유주차장
8. 4 ZONE8.1. 401 건설관8.2. 402 정학관8.3. 403 10.16 기념관8.4. 405 제2공학관(재료관)8.5. 406 제7공학관(화공관)8.6. 407 선박예인수조연구동8.7. 408 제5공학관(유기소재관)8.8. 409 교수회관8.9. 410 선박충격·피로·도장시험연구동8.10. 412 박물관 A8.11. 413 박물관 B8.12. 414 지구관8.13. 415 샛벌회관8.14. 416 생물관8.15. 417 제1사범관8.16. 418 제2교수연구동8.17. 419 금정회관8.18. 420 새벽벌도서관8.19. 421 사회관8.20. 422 성학관
9. 5 ZONE9.1. 501 첨단과학관9.2. 503 약학관9.3. 506 효원산학협동관9.4. 507 인덕관9.5. 508 삼성산학협동관9.6. 509 박물관 별관9.7. 510 중앙도서관9.8. 511 간이체육관9.9. 512 테니스장9.10. 513 철골주차장9.11. 514 경영관9.12. 515 중앙도서관 및 정보화본부9.13. 516 경제통상관
10. 6 ZONE10.1. 601 예술관10.2. 602 생활과학관 강의동10.3. 603 생활과학관 연구동10.4. 605 학군단10.5. 606 화학관10.6. 607 수학관·공동연구소동10.7. 608 제2법학관10.8. 609 법학관
11. 7 ZONE11.1. 701 제2사범관11.2. 702 조소실11.3. 703 미술관11.4. 704 조형관11.5. 705 경암체육관 교수연구동11.6. 706 경암체육관11.7. 707 음악관11.8. 708 학생회관11.9. 709 과학기술연구동11.10. 710 대운동장11.11. 711 효원재11.12. 712~713 웅비관11.13. 714~717 진리관
12. 주요 장소13. 출입문14. 환경1. 개요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5><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5baa,#c3002f><tablebordercolor=#005baa,#c3002f> | 부산대학교 | }}} | ||
건물·시설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norma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건물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f5f5f5,#f5f5f5>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61A1B; color: #fff; font-size: 1.5em" | 101 MEMS/NANO 클린룸동 | 102 IT관 | 103 제12공학관 | |
105 제3공학관(융합기계관) | 106 효원문화회관 | 107 제8공학관(항공관) | |||
108 제9공학관(기전관) | 109 공과대학 공동실험관 | 110 에너지분야 실험실 | |||
111 실험폐기물처리장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7B23; color: #fff; font-size: 1.5em" | 201 제6공학관(컴퓨터공학관) | 202 운죽정 | 203 넉넉한터 | ||
204 넉넉한터 지하주차장 | 205 대학본부 | 206 제11공학관(조선해양공학관) | |||
207 제10공학관(특성화공학관) | 208 기계기술연구동 | 209 상남국제회관 | |||
210 언어교육원 | 211 보육종합센터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AD1A; color: #fff; font-size: 1.5em" | 301 구조실험동 | 302 토조실험동 | 303 기계관 | ||
306 인문관 | 307 인문대 교수연구동 | 308 제1물리관 | |||
309 제2물리관 | 310 문창회관 | 311 공동연구기기동 | |||
312 공동실험실습관 | 313 자연대 연구실험동 | 314 정보화교육관 | |||
315 자유관A | 316 자유관B | 317 직장어린이집 | |||
318 자유주차장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1B545; color: #fff; font-size: 1.5em" | 401 건설관 | 402 정학관 | 403 10.16 기념관 | ||
404 인덕관 주변 철골주차장 | 405 제2공학관(재료관) | 406 제7공학관(화공관) | |||
407 선박예인수조연구동 | 408 제5공학관(유기소재관) | 409 교수회관 | |||
410 선박충격·피로·도장시험연구동 | 412 박물관A | 413 박물관B | |||
414 지구관 | 415 샛벌회관 | 416 생물관 | |||
417 제1사범관 | 418 제2교수연구동 | 419 금정회관 | |||
420 새벽벌도서관 | 421 사회관 | 422 성학관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386CC; color: #fff; font-size: 1.5em" | 501 첨단과학관 | 503 약학관 | 506 효원산학협동관 | ||
507 인덕관 | 508 삼성산학협동관 | 509 박물관 별관 | |||
510 중앙도서관 | 511 간이체육관 | 512 테니스장 | |||
513 철골주차장 | 514 경영관 | 515 중앙도서관 및 정보화본부 | |||
516 경제통상관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5518F; color: #fff; font-size: 1.5em" | 601 예술관 | 602 생활과학관 강의동 | 603 생활과학관 연구동 | ||
605 학군단 | 606 화학관 | 607 수학관·공동연구소동 | |||
608 제2법학관 | 609 법학관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166AA; color: #fff; font-size: 1.5em" | 701 제2사범관 | 702 조소실 | 703 미술관 | ||
704 조형관 | 705 경암체육관 교수연구동 | 706 경암체육관 | |||
707 음악관 | 708 학생회관 | 709 과학기술연구동 | |||
710 대운동장 | 711 효원재 | 712 웅비관 A동 | |||
713 웅비관 B동 | 714 진리관 관리동 | 715 진리관 가동 | |||
716 진리관 나동 | 717 진리관 다동 | ||||
※ 건물명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 |||||
- ⠀[ 편의시설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5f5f5,#f5f5f5><width=1000> 학식 ||<width=84%>[[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419 금정회관|금정회관]]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415 샛벌회관|샛벌회관]]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708 학생회관|학생회관]] ||
식당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 국밥정가담(문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김피라 분식(문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칸웨이(문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맘스터치(효 B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홍대칼국수(효 B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피자몰(효 B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로운 샤브샤브(효 5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오월칼국수(효 5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애슐리퀸즈(효 5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삼백집(효 5F)]]카페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 예다방(예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예술관|예다방(운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운죽정|Doppio Coffee]]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새벽벌도서관|coffee in village]]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기계관|cafe M]]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MBTI 카페(효 5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벌크커피(효 B1F)]]편의점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새벽벌도서관| GS25(새)]]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문창회관|GS25(문)]]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건설관|GS25(건)]]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학생회관|GS25(학)]]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생활과학관|GS25(생)]]의료 [[부산대학교/캠퍼스#문창회관| 보건실(문 B1)]]금융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교수회관| 농협은행(교 1F)]][[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 ATM(건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건설관|ATM(경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경영관|ATM(국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국제관|ATM(대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문창회관|ATM(문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법학관|ATM(법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새벽벌도서관|ATM(새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융합기계관|ATM(융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자연대 연구실험동|ATM(자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중앙도서관|ATM(중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학생회관|ATM(학 1F)]]우편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 우체국(문 2F)]]서점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효원문화회관| 영풍문고(효 1F)]]운동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5 ~316 자유관| 체력단련실(자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712~713 웅비관|체력단련실(웅 2F)]]취업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 취업전략과(문 2F)]]기타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 이발소(문 1F)]]※ 시설명을 누르면 해당 시설이 있는 건물 문서로 이동합니다.
캠퍼스 정보 | |
<colbgcolor=#f5f5f5,#f5f5f5>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장전동) |
교통 | 3번 출구로부터 500m 거리 1번 출구로부터 475m 거리 |
면적 | 1,897,423m²(573,970평) |
주변 지역 | |
산 | |
상권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대학의 메인캠퍼스이다. 대학본부를 위시하여 주요 단과대학 및 대학원, 연구소 등이 소재하고 있다. 캠퍼스 공식 명칭은 부산캠퍼스이지만, 장전캠퍼스로도 많이 불린다.
전체적으로 현대적인 건물과 수려한 자연 경관이 어우러진 분위기의 캠퍼스다. 인문관, 박물관 등 역사가 깊고 고풍스러운 분위기의 건물과 기계관, 약학관처럼 현대적인 분위기의 건물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금정산 산자락에 캠퍼스가 위치하고 있어, 울창한 숲과 예쁜 계곡이 함께 있다. 다람쥐 등 야생동물도 캠퍼스 곳곳에서 발견된다.
백의자리 숫자가 클수록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2. 위치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부산대학교 주변 지역}}}에 대한 내용은 [[부산대학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부산대학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부산대학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부산대학교 주변 지역: }}}[[부산대학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부산대학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부산대학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colbgcolor=#f5f5f5,#f5f5f5> 주소 | |
우편 | 46241 |
3. 면적
면적[1] | |
부지 면적 | |
부산캠퍼스 | 1,897,423m²(573,970평) |
양산캠퍼스 | 1,106,889m²(334,834평) |
밀양캠퍼스 | 339,461m²(102,686평) |
4. 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연도 | 위치 | 분류 |
<colbgcolor=#f5f5f5,#f5f5f5> 1946 | 경상남도 부산부 남부민정 (現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 | 인계 |
1950 | 경상남도 부산시 충무동 (現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 | 신축 |
1956 | 경상남도 부산시 장전동 (現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 이전 |
1946년, 경상남도 부산부 남부민정에 있던 부산수산전문학교를 모체로 국립부산대학을 설립했다. 하지만 1948년 국립부산대와 국립부산수산대학이 분리함에 따라 대학부지가 필요하게 되었다. 1950년 3월 육군이 사용하던 충무동부지를 사서 사용하게 되었으나 그 부지는 경상남도 관재청과 부산 귀속농지관리국이 얽힌 복잡한 땅이었고 1950년 5월 부산지방관리국장이 원상복구하여 반환할 것을 요구했으나 후일에 부산대학교가 정식으로 소유권을 취득하게 되었다.
1953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됨에 따라 해마다 학생수가 급증하게 되었고 현대식 교사의 확보가 시급해졌고 윤인구 총장과 위트컴 준장이 답사한 끝에 금정산 동쪽 기슭에 다카세농장 일대를 새 교지로 확정짓는다. 정식 수속을 밟은 끝에 약1,650,000m²의 신부지를 확보하게 되었고 현재의 부산캠퍼스로 사용되고 있다. 1957년 구(區)제가 실시되어 동래구에 속하게 되었고 1963년 부산시가 경상남도로부터 분리되어 부산직할시가 되었다. 1988년 동래구 북부를 금정구로 분리했고 부산직할시가 1995년 부산광역시로 바뀌어 현재까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속하게 되었다.
5. 1 ZONE
2 ZONE과 더불어 정문에서 제일 가깝고 시내버스를 이용한다면 순환버스 없이도 갈수 있는 구역으로 주로 공과대학 학과 건물이 있는 구역이다.5.1. 101 MEMS / NANO 클린룸동
5.2. 102 IT관[공사 중]
기존 부속공장을 철거하고 기존 부속공장 부지에 IT관이 들어서게 된다. 2025년 10월에 완공될 예정이며 2026년부터 사용할 예정이다.5.3. 103 제12공학관
5.4. 105 제3공학관(융합기계관)
부산대학교 기념품샵인 PNU MALL이 입점되어 있다.5.5. 106 효원문화회관
효원문화회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2009-02-16 준공 | |
규모 | 지하 4층, 지상 7층 | |
면적 | 건축면적 6,860m²(2,069평) 연면적 58,634m²(17,737평)[2] |
5.6. 107 제8공학관(항공관)
5.7. 108 제9공학관(기전관)
5.8. 109 공과대학 공동실험관
5.9. 110 에너지분야 실험실
5.10. 111 실험폐기물처리장
6. 2 ZONE
1 ZONE과 더불어 정문에서 제일 가깝고 시내버스를 이용한다면 순환버스 없이도 갈수 있는 구역으로 주로 공과대학 학과 건물이 있는 구역이다.6.1. 201 제6공학관(컴퓨터공학관)
대학본부 건물을 통째로 뽑아다 제6공학관 위에 거꾸로 엎으면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진다는 오랜 전설이 있다. IT관이 지어지면 이 건물도 재건축할 예정이다.6.2. 202 운죽정
운죽정은 원래 기계관 및 컴퓨터공학관을 이용하는 공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라면, 빵, 과자, 담배 등을 판매하던 간이 매점이었다. 초기에는 슬레이트 지붕의 허름한 가건물이었으며, 거의 중고등학교 교내매점 보다 열악한 조그만 분식집이었다. 이름 자체는 "구름이 머무는 대나무 밭의 정자"라는 뜻이지만[3], 건물은 다 쓰러져가는 슬레이트 가건물이었다. 하지만 인근 공대생들이[4] 빡빡한 커리큘럼으로 인해 오전 10시부터 오후 3~4시까지 줄줄이 수업이 들어오게 시간표가 짜여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런 식의 수업을 들어야 했던 학생들이 시간을 아끼기 위해 즐겨찾던 장소이다.
2002년 초에 영어 전용 레스토랑으로 개관했다가, 외국 학생들을 위한 국제지원센터를 거쳐 2015년 현재의 카페로 바뀌었다. 테라스에서 보는 경치가 꽤 운치 있으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등 음료와 조각 케익, 쿠키 등을 판매한다. 텀블운와 같은 개인 컵을 가져오면 1000원 할인되고, 부산 지역화폐 동백전 사용이 가능하다. 카드만 사용되고 현금은 사용이 불가하다.
2022년에는 대규모 리모델링을 거쳤으며, 학교 측에서 인스타 명소 카페급으로 공들여 꾸며두었다. 이 카페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은 일부 관리자를 빼면 전부 부산대생이며 학교 자체 재원으로 운영되는 근로장학생으로 선발된 학생들이다. 관리자들은 학교 생협에서 파견된다.
6.3. 203 넉넉한터
"부산대학교 넉넉한 터" 란 물리적으로는 "부산대학교 교문을 들어서자마자 펼쳐지는 대운동장의 'ㄱ'자 스탠드와 운동장 공간"을 말한다. 흔히 "넉터" 라고 줄여서 부른다. 과거에는 이 운동장에는 건물이 없는 순수하게 넓은 운동장이었으나 이 운동장에 본관, 특성화공학관, 기계기술연구소 등 건물이 들어서 현재는 1/3 수준으로 줄었다.[5]
지금은 대학의 축제(대동제, 시월제), 학과에서 열리는 체전이나 각종 음악콘서트 등이 열리는 야외 광장이자 낭만적인 장소이지만, 1980~2000년대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민주화를 상징하는 성지라고 하면 '부산대학교 넉넉한 터'를 빼놓고 이야기할 수가 없다. 한국 민주화 역사에 공간적 장소로써 부산대학교 넉넉한 터는 당당히 한 페이지를 장식할 수 있을 만큼 소중한 공간이자 부산시민들과 소통하는 '"민주주의 광장"'이다.
"효원인들의 민주주의의 정신은 책에서 습득한 것이 아니라 새벽벌(曉原)의 넉넉한 터에서 체득된 것이다." (70~80년대 민주화투쟁 시기 구전됐던 말)
[참고] "워털루 전쟁에서의 승리는 (전장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라) 이튼의 교정에서 얻어진 것이다."(The battle of Waterloo was won on the playing field of Eton.) 라는 명문을 남겼던 워털루(Waterloo) 전투에서 나폴레옹을 격파한 웰링톤(A.W.Wellington) 장군(영국 Eton College 출신)의 말에서 따왔다.
진리에 어긋나는 불의에 항거하고 독재로부터 자유를 위해 투쟁했던 4·19혁명과 10·16 부마항쟁, 6월 항쟁 등 역사의 고비고비마다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부산대 학생들을 키워온 장소이자 "어떤 불의에도 타협하지 않고 진리를 지키면서 살아가는 옳곧은 시민의 민주정신"을 배양했던 장소적 공간이다. 효원인들은 넉넉한 터에서 배운 민주정신를 통해 자유를 침해받은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소통의 정신과 그들을 넉넉하게 품고 안았던 관용의 정신을 배울 수 있었다.
[참고] "워털루 전쟁에서의 승리는 (전장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라) 이튼의 교정에서 얻어진 것이다."(The battle of Waterloo was won on the playing field of Eton.) 라는 명문을 남겼던 워털루(Waterloo) 전투에서 나폴레옹을 격파한 웰링톤(A.W.Wellington) 장군(영국 Eton College 출신)의 말에서 따왔다.
진리에 어긋나는 불의에 항거하고 독재로부터 자유를 위해 투쟁했던 4·19혁명과 10·16 부마항쟁, 6월 항쟁 등 역사의 고비고비마다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부산대 학생들을 키워온 장소이자 "어떤 불의에도 타협하지 않고 진리를 지키면서 살아가는 옳곧은 시민의 민주정신"을 배양했던 장소적 공간이다. 효원인들은 넉넉한 터에서 배운 민주정신를 통해 자유를 침해받은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소통의 정신과 그들을 넉넉하게 품고 안았던 관용의 정신을 배울 수 있었다.
5공화국 (전두환 정권시절) 무단으로 침입한 공권력을 넉넉한터에서 몰아내는 장면
각종 운동 경기가 있을 때 본관이나 공학관 건물에 대형스크린을 띄워 시청한다.[6] 축구장과 농구장이 있으며 원래 4배 정도 크기의 부지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1990년대 중반 대학본부가 들어서는 바람에 지금은 많이 줄었다. 그냥 학교 운동장만한 크기랄까. 여담으로 1980, 1990년대 총학에서 하도 시위를 해대서 넉터의 크기를 줄였다는 루머도 있다.[7]
주로 축구장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단과대학 내 축구팀이 정기적으로 연습이나 시합을 하는데, 넉터 밖 거리에 뻥축구로 인해 공이 자주 날아가 지나가던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흰색 철망을 쳐놓았다. 별로 낡은 것도 아닌데 낡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만들어진지 2년밖에 안됐는데도 불구하고... 결국 골망으로 교체. 농구 골대는 4개가 있고, 근처에 벤치 등의 쉼터도 있어서 경기 관람하면서 휴식해도 좋다. 밤에 가로등을 켜놓기 때문에 심야 경기도 가능. 굿플러스와 연계되고 보도블럭이 잘 닦여있어서 경관이 좋다. 근처 주민들이 가족과 함께 산책을 많이 온다.
지하주차장과 연결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각종 도구들을 보관하기 위한 창고도 내부에 있다.
운동 경기를 즐기는 학생들을 위해 넉터 옆 공학관 건물 앞에 간이 탈의실과 음료수 자판기를 설치해 놓았다. 인기 품목은 뭐니뭐니 해도 마운틴 듀. 탈의실을 쓰는 사람은 별로 없다. 원래 넉넉한터는 모래로 되어있었지만 2023년에 천연잔디를 깔았다.
6.4. 204 넉넉한터 지하주차장
넉넉한터 아래에 큰 지하주차장이 있으며 계단과 엘리베이터로 지상과 연결되어있다.6.5. 205 대학본부
대학본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1995-11-25 준공 | |
규모 | 지하 1층, 지상 10층 | |
면적 | 건축면적 1,564m²(473평) 연면적 8,618m²(2,607평)[8] |
원래는 현재 인문관에 대학본부가 위치했으나, 1990년대 중반 대운동장(지금의 넉넉한터)의 반 이상을 잘라서 본관을 신축하고 이곳으로 대학본부를 이전했다. 정문 쪽과 문창회관 쪽에 출입구가 있어 학교 어느 쪽에서도 바로 올 수 있다. 입학본부도 있었으나 2023년 상남국제회관으로 이전하였다.
1층 로비 오른쪽 벽면에는 부산대학교의 역사 개관과 대기업 사장/임원들로 구성된 기부모임인 '클럽' 멤버들의 목록이 있다. 입학본부 앞에는 경암 송금조 선생의 동상이 세워져있다. 재학생들은 주로 각종 증명서를 뽑으러 간다. 본관 1층에 프린터가 설치된 터치스크린 컴퓨터가 있으며, 발급 비용은 무료이다. 또한 제증명 창구도 운영 중이다.
모양이 심히 법규스러운데, 학교의 음기가 강해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런 형태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6.6. 206 제11공학관(조선해양공학관)
6.7. 207 제10공학관(특성화공학관)
6.8. 208 기계기술연구동
6.9. 209 상남국제회관
언어교육원 바로 맞은 편에 있는 건물이다. 객실과 연회장, 예식장, 레스토랑 등이 있었으나 코로나 영향으로 경영난을 겪다가 예식장과 레스토랑은 2022년 10월 폐업하였고 그 공간에는 국제처와 입학본부가 들어섰다. 부산대에 방문한 외부인들을 위한 일종의 호텔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6.10. 210 언어교육원
통칭 '언교'. 본래 정식 명칭은 국제언어교육원이었으나, 2016년 언어교육원으로 변경됐다. 북문에서 나오면 보이는 건물. 대학 입구 바깥에 있어 신입생들은 건물을 못 찾기도 한다. 하지만 이곳도 엄연한 부산대 부지이다. 주로 교양필수 영어수업 때문에 들르는 곳이다. 7층에는 객원교수 사무실이 있다. 부산대에 온 외국인 학생이 많이 드나든다. 북문 쪽에도 출입구가 있어 언어교육원 정문으로 안 내려와도 된다.
6.11. 211 보육종합센터
6.12. K08 공대 제2별관
6.13. K05 변전실
7. 3 ZONE
7.1. 301 구조실험동
7.2. 302 토조실험동
7.3. 303 기계관
기계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2017-01-26 준공 | |
규모 | 지하 1층, 지상 11층 | |
면적 | 건축면적 4,452m²(1,347평) 연면적 22,998m²(6,957평)[9] |
7.4. 306 인문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삼랑진역 급수탑
1.#76 파주 구 장단면사무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대전 충청남도청 구 관사 1·2·5·6호와 부속창고
1.#126 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턴 가옥
[4]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59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밀양 교동 근대 한옥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통영해저터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대구 대봉배수지
1.#276 정읍 나용균 생가와 사당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여수 구 율촌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청주 대성여자중학교 강당
1.#376 부산 구 성지곡수원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신진 퍼블리카
1.#426 전차 363호
440-3. 백범 김구 인장 寬和, 金九之印, 白凡}}}
442-3. 백범 김구 유묵 思無邪}}}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건칠반
470-3.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470-4.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8] (태극기) 보물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새미리 수영복
509-3. 대한매일신보}}} 510-1. 독립신문 상해판 1.#511 친목회회보 1. 대조선독립협회회보 1. 목포 천주교 구 교구청 1. 서울 이준 묘소 1. 서울 손병희 묘소 1. 서울 이시영 묘소 1. 서울 안창호 묘소 1. 서울 김창숙 묘소 1. 구리 한용운 묘소 1. 서울 신익희 묘소 1.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 1.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압사기 {{{-2 552-1.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 552-2.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559-2. 금성 라디오 A-501}}}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01 강경 갑문 1.#626 진안 천황사 괘불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
1.#676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 {{{-2 677-1. 군산 둔율동 성당 677-2. 군산 둔율동 성당 성당신축기 및 건축허가신청서}}}681-2.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681-3.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헨리관 681-4.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식당동}}}
691-3.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방정환(方定煥) 묘소 691-4.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기만(吳基萬) 묘소 691-5.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광조(徐光朝) 묘소 691-6.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동일(徐東日) 묘소 691-7.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재영(吳哉泳) 묘소 691-8.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유상규(劉相奎) 묘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
718-3.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3 718-4. 목포 영산로 일본식가옥 718-5. 구 목포부립병원 관사 718-6. 구 목포 일본기독교회 718-7.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1 718-8. 목포 해안로 일본식 상가주택 718-9. 목포 해안로 교차로 상가주택 718-10. 목포 부두 근대상가주택 718-11. 구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 718-12.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2 718-13.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3 718-14. 목포 해안로 붉은 벽돌창고 718-15. 구 목포 화신연쇄점}}}
719-3. 군산 내항 철도 719-4. 군산 구 제일사료 주식회사 공장 719-5. 군산 경기화학약품상사 저장탱크}}}
720-3. 영주 영주동 근대한옥 720-4. 영주 영광이발관 720-5. 영주 풍국정미소 720-6. 영주 제일교회}}} 1.#726 구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청 관사
745-2.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 749-2.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1.#746 매천 황현 매천야록 1. 매천 황현 오하기문 1. 매천 황현 절명시첩 {{{-2 749-1. 매천 황현 시·문(7책) 749-3.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 [12] 보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
763-3.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1 763-4.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2 763-5.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3 763-6.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4 763-7.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5 763-8. 익산 보화당한의원 구 건조창고 763-9. 익산 구 이리금융조합 763-10. 익산 인북로 근대상가주택}}}
{{{-2 774-1. 대한민국임시정부 이교재 위임장 및 상해격발 774-2. 대한민국임시정부 문영박 추조 및 문원만 특발774-3. 대한민국임시정부 특발, 추조, 편지 및 소봉투}}} 1.#776 광주 구 무등산 관광호텔
777-3.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1 777-4.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0px 10px; margin: 0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777-5. {{{-2 777-6. 통영 항남동 근대상가 777-7. 통영 구 대흥여관777-8. 통영 김상옥 생가 777-9. 통영 구 통영목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2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경상남도립 나전칠기 기술원 양성소
819-3.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1 819-4. 서천 판교 구 삼화정미소(오방앗간) 819-5.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2 819-6. 서천 판교 구 중대본부 819-7. 서천 판교 구 판교극장}}}
820-3. 진해 화천동 근대상가주택 820-4. 진해 송학동 근대상가주택 820-5. 진해 대흥동 근대상가주택 820-6. 진해 흑백다방 820-7. 진해 일광세탁 820-8. 진해 육각집 820-9. 진해 창선동 근대상가주택 820-10. 진해 황해당인판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인문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1959-10-31 준공 | |
규모 | 지하 1층, 지상 4층 | |
면적 | 건축면적 2,310m²(699평) 연면적 11,192m²(3,386평)[10] |
부산대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물이다. 1957년 반달형 구조 길이 140m,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11,192㎡ 규모로 착공해 1959년 10월에 완공된 부산대의 상징과도 같은 건물이다. 건축가 김중업의 대표작으로 뽑히며, 한국 근대 모더니즘 건축물의 대표작으로 뽑힌다. 금정산 능선과 길게 뻗은 건물이 조화를 이루는 걸작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지상 구간에서도 특유의 하얀 외관으로 인해 잘 보인다. 건물 완공 직후부터 대학본부 건물이 완공될 때까지 본관으로 사용되었다. 2005년 리모델링을 거쳤으며, 현재는 인문대학이 사용 중이다. 본 문단에선 건물의 실질적인 용도와 생활적인 면에서 다루며 역사 및 상징적인 면은 부산대학교 상징 문단을 참고하자.
1998년 안전 진단에서 붕괴 우려가 있는 E등급 판정을 받고 제주대학교 舊 본관처럼 철거될 뻔 했으나, 학생과 교수 및 각계 각층의 노력으로 철거를 면하고 2005년경에 대대적인 복원 공사를 받았으며, 2014년 문화재청 지정 문화재로 무지개문과 함께 등록됐다. 한국 건축사에 한 획을 그은 위대한 건축가 김중업의 초기작 중 하나인 인문관의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은 셈이다.
인문관의 외향은 경사진 대지의 등고선을 따라 편안하게 걸터앉은 형상으로, 지형을 자연스럽게 응용한 환경친화적 색채가 짙다. 또한 공간미와 여백미가 뛰어나 시원한 느낌을 준다. 모퉁이가 부드러운 'ㄴ' 자 건물인 인문관은 금정산을 배경으로 산자락의 경사를 최대한 살리면서 남쪽에서 동쪽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는 곡선으로 배치되어 서구 건축의 힘과 당당함은 물론 부드러운 동양적 미를 자아낸다. 이러한 실험적이면서도 예술적인 디자인은 당시 한국 건축계에서는 대단히 혁신적인 것으로 평가받는다. 둥글게 꺾이는 곳에 위치한 회전식 계단은 4층까지 시원하게 틔인 '구름계단'으로 용틀임을 형상화하고 있다. 계단 전면은 유리로 되어있어 계단을 내려오면서 유리창 너머로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풍경을 조망할 수 있다. 계단의 뒤쪽 중앙홀에는 두꺼운 벽사이로 기하학적 무늬가 촘촘하게 뚫려 있어 빛의 스펙트럼이 찬란하게 펼쳐진다.
중앙 홀의 계단과 인테리어가 인상적이며, 정문 편의 벽이 투명 유리로 되어있어 넉터를 마주하고 있기에 4~5층에서 보는 경관이 좋다. 이만큼 경관이 좋은 곳도 찾아보기 힘들다.[11] 특히 5층에서 바라보는 그 광경은 인부심이 부쩍 생기게 하는 듯. 1층의 휴식공간에는 지리적 인접성으로 근처 주민들과 학생들이 종종 쉬러온다. 단과대학 건물 중에 디자인적으로 크게 호평을 받고있으며 건설관과 함께 종종 부산대의 대표 건물로 홈페이지에 올라오기도 한다. 눈내리는 날의 인문대는 백색의 천국. 위 사진은 2010년 초 부산 전역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린 뒤 촬영한 사진. 디자인이 인상적이고, 층별 구조가 좀 창의적이라 서쪽의 정문 왼쪽 입구로 바로 들어오면 2층으로 직통으로 갈 수 있고, 교수 연구동과 1층 간격으로 차이가 난다.
정면부 통창과 로비 여유공간에 탁자와 의자를 설치하여 학습공간으로 만드는 공사가 2020년대 들어 진행됐다. 좌석마다 콘센트가 깔려있어 전자기기 충전도 가능.
2층에 인문대 전산실이 있으며 정보전산원과는 달리 학생증을 찍고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자율 사용인데 물론 눈치를 봐가며 쓰자. 성능이 좋지만 몇분 간격으로 재부팅 여부를 묻는 창이 뜬다. 이외에도 과방 로비에 자율 컴퓨터가 2대, 층별로 2대씩 있으나 점검 중인 경우가 많다. 시험 기간이면 2층 넓은 강의실을 제한적으로 개방한다.[12] 원래 2층에만 노트북/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콘센트가 있었으나 2023년 초 시설 개선 공사를 진행해 모든 층에 콘센트가 설치될 예정이다.[13] 장애인이거나 혹은 계단 오르기가 힘들다면 건설관쪽에 있는 옆문으로 들어가면 곧장 2층이다. 2층에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된다.
4층에 진현재라는 이름의 도서실과 민중가요 노래패 전용 연습실이 있다. 원칙적으로 노래패 외 학생들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으나, 애초에 문을 잠궈놓지 않고[14] 자율 개방화 되어 있기에 더운 여름날 에어컨을 쓰기 위해 몰지각한 일부 학생들이 슬쩍 들어오기도 한다. 3개 노래패의 공용 연습실이므로 그다지 청결하지 못하다. 먹다 남은 음료수나 비닐 등등이 대충 방치되며 청소는 그다지 자주 하지 않는다.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철학과 노래패가 사용한다.[15]
과방은 조금 편향된 느낌을 줄 정도로 학과별 방 면적이나 위치가 차이가 난다. 예를 들어 영어영문학과의 경우 인문대 어느 학과보다 넓은 면적의 과방이며,[16] 남향인데다 전신 유리창까지 있어서 넉넉한 터와 정문 쪽을 바라보는 경관이 좋다. 그리고 철학과, 한문학과, 언어정보학과 과방은 동쪽에 자리하여 미리내골의 경관이 한눈에 보여 좋다. 다만 인테리어는 각 과학생회에게 일임하는 듯 제각각이다. 어떤 학과는 전용 컴퓨터를, 어떤 학과는 노래방 기기를 가지고 있다.
과방 로비는 꽤 넓어서 신학기 때 음식/술을 사들고 여기서 회식을 하거나 축제 준비 등을 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여러 사람들이 왕래하는 곳이기에 조금 지저분하다. 로비에는 공용 컴퓨터가 2대 비치돼 있는데, 스피커를 지원하지 않고 있으며 커버로 인해 USB 사용이 좀 불편하다.[17] 게다가 속도도 느리고 CPU는 그나마 펜티엄 4인데 메모리가 512MB에 내장 그래픽으로 줄어들어 있다. 청소를 자주 하지 않아 지저분하지만, 간간히 누군가 청소한다. 로비 입구는 총 2개이며 하나는 미리내골 쪽, 다른 하나는 강의실 쪽인데 강의실 쪽 문은 6~7시가 넘으면 문을 잠궈버리니 주의할 것. 그리고 24시간 개방이라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인문대 학생회실은 디지털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인의 출입이 잦아 한때 방과 후 출입 금지령이 있기도 했다. 현재는 모든 과의 학생회실(과방)에는 디지털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철학과 및 다른 학과에서도. 또 여름에는 에어컨, 겨울에는 히터가 나오고 항시 개방이라는 점을 악용해 노숙자들이 가끔 찾기도 한다. 특히 겨울에 자주 와서 여러 민폐를 끼치고 가는 듯.[18] 그리고 많은 사람이 사용해서인지 어디 하나 깨끗한 곳을 찾기 힘들다.
인문대 앞에는 풀밭이 우거져 있는데, 여기 점박이 고양이 2마리가 진을 치고 산다. 햇볕이 좋은 날에는 그늘 밑에서 죽은 듯이 자는데 모르는 사람들(특히 새내기들)은 지나가다가 시체인 줄 알고 기겁을 한다.[19]
오래된 건물인데다 특유의 구조 때문에 통유리에 가깝고, 계곡인 미리내골이 인문대 옆을 지나기 때문에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춥다. 특히 늦가을부터 겨울, 초봄까지는 극강의 추위를 자랑하니 옷을 단단히 입자. 오히려 건물 바깥이 더 따뜻하다.[20]
정문과 넉터, 굿플러스가 근처에 있어 유동인구가 많으며 인문대 굴다리 입구에는 스쿠터나 오토바이 주차장이 있다. 넉터에서 무슨 행사를 하면 시끄러워서 공부가 잘 안되는 경우도 많다.
부산대 구성원들이 외부로 대절버스를 타고 학회나 탐방 등으로 단체이동을 할 경우 대부분 출도착지가 이곳 앞의 대형 학교 안내도 광고판 앞으로 설정된다. 부산대의 상징적 건물이라 모든 구성원이 알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를 대기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 부산대 밀양캠퍼스와 장전캠퍼스를 이어주는 셔틀도 이 건물 앞에서 출발한다.
7.5. 307 인문대 교수연구동
인문관과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7.6. 308 제1물리관
7.7. 309 제2물리관
7.8. 310 문창회관
위치는 물리관 옆. 정문에서 가장 가까운 학생식당이다. 학생식당 외에도 우체국, 편의점,[21] 안경점, 열쇠점, 구두수선점, 세탁소, 이용소와 같은 여러 학생 편의 시설이 위치하고 있다. 리모델링을 해서 더 깔끔하다.
교내 신문인 '부대신문', '효원헤럴드', 교내 방송사 '부대방송국'이 여기서 활동하고 있다.[22] 총학생회실도 이 건물에 있으며, 취업지원센터와 효원상담원 학생상담부 등이 위치해 있어 학생들을 위한 취업 지원 및 심리상담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2층 침대가 구비된 휴게실이 있어 잠이 부족한 학생들은 관리실에 명부를 작성한 뒤, 침대를 이용할 수 있다.
2010년대를 기준으로 문창회관 학생식당은 위치가 아주 좋음에도 불구하고, 맛 문제로 인해 학생들이 선호하지 않았다. 2010년대 중반 이후로 문을 닫았다 열었다를 반복하다, 대대적으로 문창회관을 리모델링한 후 다시 학생식당 영업을 재개했다. 2021년 이후 푸드코트 형식으로 운영 중이다. 왕돈까스, 콩나물국밥, 라면, 간짜장면, 고기칼국수, 돼지국밥 등 다양한 메뉴가 있다. 맛 역시 예전에 비하면 훨씬 맛있다. 다만, 가격대는 금정회관에 비해서는 비싸다.
2024년 1~2월에 리모델링이 진행되었고 8~9월에 중식당, 분식집, 국밥집이 개점하였다.
문창회관에는 부산대 보건진료소가 위치하고 있다. 원래 NC백화점 8층에 있었으나, 학생 편의를 위해 문창회관 1층으로 장소를 옮겼다. GS편의점과 출입구를 공유한다. 부산대 재학생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진료를 받을 수 있으며 학번과 이름만 대면 된다. 가정의학과 교수님이 진료를 나오며, 교수님이 계시지 않을 경우에 카운터에 계신 분이 즉석에서 약을 조제, 처방한다. 감기나 단순 찰과상과 같은 경우에는 은근히 유용하고 공강시간에 질병으로 컨디션이 좋지 않을 경우 누워서 쉴 수도 있다. 또한, 인바디를 이용할 수 있고 금연 클리닉도 운영한다.
7.9. 311 공동연구기기동
7.10. 312 공동실험실습관
7.11. 313 자연대 연구실험동
7.12. 314 정보화교육관
7.13. 315~316 자유관
자유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2018-08-22 준공 | |
규모 | 지하 2층, 지상 11층 | |
면적 | 건축면적 3,756m²(1,136평) 연면적 25,863m²(7,824평)[23] |
2018년 개관한 지하 2층, 지상 11층 규모의 최신 기숙사이다.[24] A동, B동 2개의 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동 모두 11층이다. 총 740실, 1,380명을 수용할 수 있다. 2인 1실이며 방 크기는 6평이다. (일반실 기준) 한화건설 컨소시엄에서 시공했다. 현재 여학생 전용 기숙사로 운영되고 있다. 북문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어 다른 기숙사 건물보다 접근성이 월등히 좋다. 편의점, 체단실, 카페, 정보라운지 등의 학생편의시설을 갖추었다.
한편, 자유관이 여성 전용임이 공지된 시점은 거의 준공 완료 직전이었으며, 그동안 아무런 의견 수렴 절차가 없었기 때문에 부산대 자유관이 개관할 당시 자유관의 여학생 전용 기숙사 여부를 두고 학생들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특히, 남학생들은 위치와 시설이 가장 좋은 자유관을 여학생 전용 기숙사로 사용하는 것은 선택권, 평등권 침해라고 주장하였다. 기숙사 운영의 취지를 생각해볼 때 자유관과 웅비관은 남녀 학우 모두에게 동일한 비율로 나누어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다른 남학생 전용 기숙사는 산자락에 위치하여 교통이 매우 불편할 뿐더러, 특히 가장 노후화된 웅비관은 매우 나쁜 시설 상태와 더불어 교내 순환 버스 노선 마저 닿지 않아 현재는 지원 미달 까지 발생하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의견은 많은 학생들의 공감을 받았으나, 학교 측에서는 묵살하고 여학생 전용 기숙사로 개관했다.
이후에도 꾸준히 에브리타임을 비롯한 학내 커뮤니티를 통해 역차별이라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나, 학교 측에서는 당시 이러한 논란에 대해 역차별이 없도록 추후 개선해 나가겠다고 입장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방침은 변하지 않았으며 5년이 넘도록 별다른 의견 조정 절차조차 없는 상황이다.
한편, 기숙사 준공 완료 직전까지도 여성 전용이라는 사실이 제대로 공지되지 않았고, 관련하여 제기된 남학생들의 의견은 지금까지도 거의 묵살당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 측의 강압적인 태도에 대해 “무언가 숨기려는 것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까지 제기되는 실정이다.
기숙사의 준공 당시에는 학령 인구 감소까지 겹쳐, 본격적으로 월셋방 공실률이 높아지기 시작한 상황이기도 하여서 근처 임대업자들과 이해관계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었음에도, 별다른 눈에 띄는 갈등이 없었다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북문 근처의 입주 인구 비중이 높은 남학생들을 기숙사에서 배제하는 조건으로 임대업자들과 모종의 합의를 본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까지도 부산대 북문 근처의 원룸들은 대부분 구축 주택 위주의 월셋방이고, 공학 계열 건물들이 부산대 입구쪽에 몰려 있는 지역 특성상 남학생들의 수요가 높았다.[25]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시설도 쾌적한 신규 기숙사가 들어설 경우, 설령 자유관 정원의 절반 수준인 700명만 남학생을 수용하더라도 이는 보통 한 채 당 20 명 정도가 수용되는 원룸 약 30 채에 분량에 해당하는 임대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인근 원룸 주인들 입장에서는 타격이 우려된다. 여성 전용 기숙사라는 점이 공지된 시점이 거의 준공 완료 시점이었고, 다른 지역 같았으면 벌써 임대업자들이 들고 일어났을 수준의 천 명 단위의 기숙사 확장 공사였음에도 그동안 눈에 띄는 반발이 없었다는 점이 이런 물밑 작업이 있었다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7.14. 317 직장어린이집
7.15. 318 자유주차장
8. 4 ZONE
부산캠퍼스 내 건물이 가장 많이 있는 구역이고, 학생들이 많이 몰리는 구역[26]이다.이 구역 부터(4 ZONE ~ 7 ZONE)는 순환버스 없이는 이용하기 힘들다.
8.1. 401 건설관
건설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2010-10-05 준공 | |
규모 | 지상 10층 | |
면적 | 건축면적 3,496m²(1,058평) 연면적 18,468m²(5,587평)[27] |
건설융합학부가 사용하고 있는 건물이며, 1979년 부마민주항쟁이 시작된 역사적인 장소이다. 3, 4층에는 열람실이 따로 존재하는데 이름은 미리내열람실이고, 약칭 '건도'라고 하기도한다. '건도'의 어원은 건설관 안에 위치한 도서관(열람실)이다.[28] 구 도서관(도서관 과학분관)을 허물고, 그 자리에 900여석의 열람실을 갖춘 건설관이 새롭게 지어졌다. 건설관 엘리베이터를 통하면 계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인문대와 공대가 가까이 있어서 두 단과대학생들이 자주 이용한다. 건설관 안에 편의점, 복사실 등이 있어 열람실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3층 열람실은 개방형 좌석이며, 4층 열람실은 칸막이 좌석이며 새벽벌도서관과 마찬가지로 좌석배정제를 실시한다. 입구의 좌석배정기를 이용하면 된다.
부마민주항쟁이 시작된 건설관 앞에는 신영복 교수가 헌사한 글이 새겨진 부마민주항쟁 기념비가 있다.
8.2. 402 정학관
8.3. 403 10.16 기념관
10.16 기념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2005-06-10 준공 | |
규모 | 지상 2층 | |
면적 | 건축면적 908m²(275평) 연면적 1,187m²(359평)[29] |
인문관 서쪽에 위치한 복합문화건물로 제2공학관(재료관)과 신축 건설관 사이에 있다. 원래 대학극장, 효원회관으로 불렸으나 2005년 10월 리모델링하여 부마민주항쟁을 기념하는 뜻에서 10.16 기념관으로 명명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대학극장을 동아리방으로 쓰던 극예술연구회는 그대로 동아리방을 빼앗겨 갈 곳을 잃었으나 본부와의 협의 끝에 대학극장 설비가 건물 옆 컨테이너로, 동아리방이 문창회관 3층에 분리되어 자리잡았다고 한다. 부마민주항쟁이 시작된 곳에 자리 하고 있으며 부산대의 민주화 운동을 기념하기 위한 건물이다. 작은 소극장 형식의 건물로 내부는 2층 구조인 세피아 톤의 인테리어. 150여 명을 유치할 수 있는 시설이며, 교내 연극동아리가 여기서 주로 공연한다. 또한, 소규모 강연이나 TV프로그램도 이곳에서 자주 촬영한다.
8.4. 405 제2공학관(재료관)
8.5. 406 제7공학관(화공관)
8.6. 407 선박예인수조연구동
8.7. 408 제5공학관(유기소재관)
8.8. 409 교수회관
인문대 교수연구동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교수들을 위한 공간과 평생교육원 일부 수업이 진행되는 곳이다. 농협 부산대 지점이 이 건물에 있다. 사실상 학생들은 농협 때문에 가는 건물. 농협이 이곳에 위치한 이유는 이 건물이 농협측 기부로 건설된 건물이기 때문이다. 머릿돌에 감사문구가 적혀 있다.
부산대 지점은 제법 크기가 큰 편이라[30] 은행에서 가능한 거의 모든 업무를 볼 수 있다. 예적금, 대출창구는 물론 고액 자산가를 위한 PB 서비스도 제공중이다. 이 때문에 외부인 방문이 가장 빈번한 시설 가운데 하나이다. ATM은 2개 기기가 비치되어 있으며 1,000, 5,000원권도 입금이 가능하다.
8.9. 410 선박충격·피로·도장시험연구동
8.10. 412 박물관 A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지역명 | 대학박물관 | ||
<colbgcolor=#f5f5f5,#191919> 수도권 | 서울대학교 박물관 | |||
강원권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박물관 | |||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 | ||||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 ||||
충청권 | 국립공주대학교 역사박물관 | |||
충남대학교 박물관 | ||||
충북대학교박물관 |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박물관 | ||||
경상권 | 경상국립대학교 박물관 | |||
국립부경대학교 박물관 | ||||
부산대학교 박물관 | ||||
국립창원대학교 박물관 |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박물관 | ||||
경북대학교 박물관 | ||||
국립경국대학교 박물관 | ||||
전라권 | 국립군산대학교 박물관 | |||
국립목포대학교 박물관 | ||||
국립순천대학교 박물관 | ||||
전남대학교 박물관 | ||||
전북대학교 박물관 | ||||
제주권 | 제주대학교 박물관 |
박물관 A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1956-09-30 준공 | |
규모 | 지상 2층 | |
면적 | 건축면적 1,007m² 연면적 1,711m²[31] |
부산대학교 박물관 및 고고학과에서 주관해 발굴조사를 시행한 유물을 전시해 놓은 건물이다. 박물관 본관은 지리상 부산대학교 중앙에 위치하며, 여타 현대식 건물과는 다른 고풍스러운 벽돌 건물이다. 인문관, 무지개문과 더불어 학내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건물 중 하나이다. 예전에는 도서관과 음악관으로 사용됐었다.
건물 구성의 경우 본관(박물관A)과 본관 실습동(박물관B), 별관(콰이강의 다리 옆)으로 크게 나뉜다. 본관의 경우 크게 전시실, 문헌자료실, 학예연구동, 1층 전시실과 2층 전시실로 나뉘어 있다.
1층 전시실은 가야시대를 제외한 구석기/신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 시대를 다루고 있으며, 이동식 부뚜막 유물이 유명하다. 1층 전시실 반대편에는 문헌자료실이 있으며, 여기서 각종 박물관의 전시도록 및 발굴 보고서를 대출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보고서는 같은 유적이라도 발굴기관과 연도에 따라천차만별이므로 서지사항(발굴기관, 발간연도, 유적명)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고고학과, 사학과 학생이 아니라면 갈 일이 드물다. 부산대학교 도서관의 대출장서 제한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 보면 얇은 흙 위에 조개가 가득 박혀있는 유리 전시물이 있는데, 이는 김해 예안리 패총의 토층을 전사한 것이다. 이는 전사한 양의 일부분이며, 나머지 부분은 국립김해박물관과 김해시청에 각각 1/3씩 전시되어 있다.
2층 전시실은 가야를 주제로 한 전시실이며, 유명한 유물로는 '편두'가 있다. '편두'는 가야인이 한 일종의 '성형'으로, 신생아가 태어날 때 머리를 눌러 두개골을 변형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인골을 잘 살펴보면 이마 부분에 구멍이 나 있는 경우가 많다. 인골을 전시하였기 때문에 전시관 입구에 임산부 및 심신미약자에게 주의를 주는 안내 표지판이 걸려 있었다. 2층 전시실 반대편에는 고고학과 행사 및 박물관대학 강의를 진행하는 세미나실과 인골, 민속자료들을 보관하는 수장고가 있다(인골실).
박물관 환경 조성 사업을 위해 학교는 66억원을 들여 2023년부터 박물관 시설 및 환경을 개선했고 오래된 자연과학관을 철거하여 캠퍼스 녹지 조성을 위한 공사를 진행했다. 자연과학관이 철거되면서 뒤에 가려져 있던 박물관 건물이 완전히 보이게 되었는데 앞쪽의 잔디광장과 함께 예쁜 전경을 볼 수 있다. 특히 밤에는 박물관에 조명도 들어와 아주 예쁘다. 잔디광장부터 장승터에 이르는 박물관 일대 녹지를 ‘새벽뜰’이라고 명명했다.
2024년 5월 28일에 복합문화공간인 '가온나래'가 개장하였다. '가온'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서적들을 열람할 수 있고, '나래'에서는 강연, 전시, 공연, 학습 등이 이루어지는 다목적 공간이다.
8.11. 413 박물관 B
본관 실습동(박물관 B)의 경우 본관 뒤쪽과 지구관 사이에 위치해 있다. 박물관 조교, 대학원생들의 개인 연구공간과 유물 수장고, 고고학과 학부생들의 유물실측 수업 및 대학원생 수업 등이 이루어지는 강의실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자체는 본관과 다른 슬레이트+시멘트 건물이고 지상 1층, 지하 1층으로 구성돼 있다. 지하 1층의 경우 교구 등의 창고로 활용되고 있다.8.12. 414 지구관
8.13. 415 샛벌회관
이름이 샛벌회관이다. 샛별이 아니다. 하지만, 많은 학우들은 여전히 샛별회관이라고 부르곤 한다.[32] 지구관 옆에 위치하고 있다. 금정회관이 부산대의 메인 학생식당 지위를 가지고 있다면, 샛벌회관이 두 번째 학생식당 지위를 가지고 있다. 문창회관 학생식당은 한때 맛없기로 유명했고, 학생회관 학생식당은 너무 위쪽에 있어서 자연스레 2등 포지션을 얻게 됐다. 메뉴는 금정회관에 비해 더 다양한 편이다. 가격대 역시 금정회관과 대동소이하다. 주로 금정회관이 사람이 너무 많아서 줄 설 엄두가 나지 않을 때에나 샛벌회관이 더 가까운 경우 주로 가곤 한다. 주문 방식이 좀 특이한데, 정식 외 다른 메뉴들은 티켓을 뽑아 가져다 줘야 주문이 들어간다.
현재는 리모델링으로 인해 운영이 잠시 중단되었다.
8.14. 416 생물관
이 건물을 이용했던 생명3과(생명과학과, 미생물학과, 분자생물학과)가 첨단과학관으로 이전하면서 현재 주력 사용 학과가 정해져 있지 않다. 다만 생물교육과와 해당 과 소속 연구실들의 경우 잔류 중이다.2023년 생명3과 이전 이후 내부 공사와 함께 외부 보강을 통한 내진성능보강공사가 진행 중이다. 학교 측에서는 당분간 이 건물을 계속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건물 앞에는 부산대 미대에서 만든 조각작품이 전시돼 있는 조각공원이 있는데, 경암체육관 인근 도로와 함께 봄철 부산대 교내 벚꽃 명소로 유명하다. 또한 편의시설로 별도 건물로 카페가 있다.
8.15. 417 제1사범관
8.16. 418 제2교수연구동
8.17. 419 금정회관
1981년 완공된 건물이다. 위치는 제2교수연구동 옆. 부산대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학생식당이다. 새벽벌도서관 쪽이 메인 출입구이며, 경제통상관 쪽에서도 다리를 통해 2층 교직원식당과 연결돼 있어 출입이 가능하다. 1층에는 학생식당이 2층에는 교직원식당이 있으며, 학생들도 교직원식당을 이용할 수 있다. 새벽벌도서관 근처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으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이용한다. 특히 점심 무렵에는 길게 줄을 서야 할 정도이다. 앞에는 하나은행 ATM이 있다.
오전 8시~9시에 부산대 학생이면 천원으로 아침밥을 먹을 수 있다. 아침밥은 조식 정식과 동일한 메뉴이고, 조식 정식은 3500원이며, 정식의 시작 시간은 오전 8시로 천원 아침과 같다. 천원 아침밥은 현금으로 내거나 페이코로 결제해야만 이용 가능하다.
2020년 현재 금정회관 1층의 식당은 정식, 일품1, 일품2로 메뉴를 세분화해 팔고 있다. 정식은 주로 한식 위주이며, 일품1과 일품2는 양식인 경우가 많다. 현금 및 카드로 문 앞의 식권발매기에서 식권을 결제한 후 식판 옆에 있는 인식함에 넣고 배식하는 식이다. 일품2는 항상이라 해도 좋을 정도로 돈까스만 나온다. 2020년 기준으로 가격은 3,500원이다. 2층은 교직원 식당으로 메뉴가 1층보다 더 알찬 편인 대신 1,000원 비싼 4,500원이다. 학생들은 1층의 메뉴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는 2층에서 식사를 하기도 한다. 2022년 기준 1층 식당은 정식이랑 일품 총 두 가지 메뉴가 있다.
2022년 4월 교직원 식당은 4,500원에서 5,500원으로 인상됐다. 이 때문에 일부 학생들 사이에서는 교직원 식당의 메리트가 떨어졌다는 소리도 나온다. 2층 교직원 식당은 리모델링을 마친 뒤, 9월 5일부터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 다음 해인 2023년부터는 1층 학생식당의 정식, 일품 가격이 기존 3,500원에서 4,000원으로 인상됐다.
2023년 여름방학 기간 동안 식당을 리모델링하면서 테이블 수와 의자가 늘어났고 매점은 2023학년도 1학기를 마지막으로 폐업한다고 한다.
8.18. 420 새벽벌도서관
새벽벌도서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1979-12-31 준공 | |
규모 | 지하 1층, 지상 4층 | |
면적 | 건축면적 2,528m²(764평) 연면적 10,198m²(3,058평)[33] |
층별안내 | |
4층 | 3열람실[34], 2노트북열람실, 캐럴실(대학원생 전용) |
3층 | 2열람실(칸막이 열람실)[노트북사용불가] |
2층 | 24시간 열람실 새벽별당,[36] 1열람실,[일반회원][노트북사용불가] 1노트북열람실 |
1층 | 새벽누리, 새벽마루(카페)[39][일반회원] |
1980년 완공된 건물이다. 마치 스타크래프트의 병영을 연상시키는 외관이다. 북문에서 가까운 편이고, 북문을 지나면 바로 보이는 건물이다. 예전에는 붉은색 건물이었으나, 리모델링을 거치면서 지금의 외관으로 바뀌었다. 현 중앙도서관이 완공되기 전에는 중앙도서관으로 사용했던 건물이다. 도서관 이원화 운영 이후에는 학습도서관(열람실)으로 사용되고 있다. 새벽벌도서관에서 금정회관으로 가는 길목에는 부마민주항쟁을 기념하는 부마민중항쟁탑이 세워져 있다.
열람실 좌석은 현재 총 1,190석이며 이용 시간은 아침 8시부터 밤 10시까지이다. 1층에는 새벽마루(구, 러닝커먼스), 새벽누리(구, innovation park), 취업정보자료실, 오디토리움, 제본실과 보존서고, 기록관 등이 있다. 2층부터 4층은 열람실이다. 4층에는 노트북열람실(놋열)과 대학원생 열람실이 운영 중이다. 이용 시간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니 반드시 도서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미리 확인하고 이용하길 바란다. 도서관 외부에는 GS25 편의점과 커피가게, 인쇄가게가 있다.[41] 커피가게 앞에는 큰 느티나무가 있어 공부에 지친 학생들이 휴식을 취하곤 한다. 금정회관 방면으로도 출입구가 있어 이동이 가능하며, 농협 ATM이 설치되어있다.
평소에는 자리잡기가 크게 어렵지 않으나, 시험 기간에는 아침에 미리 오지 않는 이상 자리 잡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미리 자리 연장을 하지 않으면 바로 나와야 하니, 최소한 1시간 전에는 자리 연장을 해두는 것이 좋다. 또한 도서관자치위원회에서 자리 정리를 통해 얌체 이용자들을 걸러내고 있다.
2022년 3~4월에 대규모 리모델링을 진행하여 최신식 학습공간이 조성됨과 동시에 백화점급 인테리어를 갖춘[42]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2층 보존서고[43]는 "새벽별당"이라는 24시간 열람실로 탈바꿈했다. 어지간한 프리미엄 스터디카페보다 더 우수한 시설을 갖추다 보니 완공 당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상당한 화제를 모았다.실제 커뮤니티 사이트들에서 화제가 된 게시글[44]
8.19. 421 사회관
새벽벌 도서관 위의 회색빛 건물이다. 인문관을 오마쥬한 형태의 계단을 갖고 있다. 중앙에 정문과 후문이 있고 건물 양쪽 끝에 문이 하나씩 더 있다.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학부 건물, 오른쪽은 교수연구동이 대부분 위치해 있다. 건물 앞에 O자 모양의 작은 쉼터(예원정)가 있다. 쉼터는 종종 봄철 데이트 장소로 이용되어 뭇 솔로들의 마음을 헤집어 놓는 장소 바로 밑에 새벽벌 도서관과 금정회관이 있어 공부하기 좋은 위치.
반면 내부 인테리어는 그리 좋지 못한 실정. 강의실이나 화장실 같은 구역은 깔끔하나
공간이 부족한 사회대의 특성상 과방이나 실습실 등이 과별로 사회대 전체에 흩어져 있다. 특히 과방의 경우 1층에 통합학회실이 있는데, 다섯개 과의 과방이 위치해 있다. 강의실 하나가 5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생각보다 좁다고 느껴질 수 있지만 미묘하게 느껴지는 아늑함에 신입생의 쉼터로 자주 이용된다. 3층과 4층 중앙에 큰 과방이 2개 있는데 이 곳은 넓고 무언가를 놔두기에도 좋지만 에어컨이나 히터 역할을 할 만한 게 없어 생각보다 더위와 추위에 약한 게 단점. 사회대에서는 2011년도부터 뽑기로 매년 과방을 선택했지만 2015년도 열림 학생회부터는 7개 과가 해마다 돌아가면서 큰 과방에 들어가기로 했다.
시험 기간 2주 전쯤이 되면 학생들을 위해 대부분의 중대형 강의실이 수업 이후 개방되며, 10시 반까지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다. 도서관에 자리가 없는 학생들이 간혹 찾아오기는 하나 그렇게 인지도는 없는 편. 생각보다 사회대 내에서 한산하게 공부할 수 있다. 한편, 2층에는 또 잘 알려지지 않은 사회대 컴퓨터실이 있어 아는 사람들은 과제를 하러 찾아가기도 한다. 이래저래 홍보가 제대로 안 된 곳이 많은 편이다.
2029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2026년 2~3월에 재건축을 할 예정이다.[45]
8.20. 422 성학관
9. 5 ZONE
9.1. 501 첨단과학관
첨단과학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2023-06-09 준공 | |
규모 | 지상 10층 | |
면적 | 건축면적 1,385m²(419평) 연면적 10,528m²(3,158평)[46] |
9.2. 503 약학관
9.3. 506 효원산학협동관
9.4. 507 인덕관
초대 총장인 윤인구 박사의 건학 정신을 기념하기 위해 윤인구 총장의 부인 방덕수 여사가 건축 기금을 기증하여 지은 건물이다. 1991년 완공되었으며, 철근 콘크리트 단층 구조의 라멘조의 복물형 양식이다. 대세미나실, 소세미나실, 기념홀 및 부속시설로 활용되며, 윤인구 초대 총장의 유품이 전시되어 있다.
9.5. 508 삼성산학협동관
삼성그룹기부금으로 건립되었다. 학부생들은 거의 갈 일이 없는 장소.9.6. 509 박물관 별관
박물관 별관은 부산대학교 박물관이 발굴에 참여한 유적의 유물을 보관하는 수장고로 사용하고 있으며 지상 2층, 지하 1층으로 구성돼 있다. 별관 수장고는 항온항습기가 24시간 가동 중이다. 유물 수장고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인의 출입은 금지돼 있다.중앙도서관 방면 수풀을 자세히 보면 철문이 닫혀 있는 동굴을 볼 수 있다. 이는 6.25 전쟁 때 부산으로 내려왔던 유물들을 보관하던 수장고가 부산역전 대화재로 인해 소실된 뒤, 남은 유물 보관을 위해 지은 수장고이다. 전쟁 이후 유물이 서울로 옮겨진 뒤에는 철문을 설치해 봉인했다. 최근 시설 개선과 함께 ‘문창재’로 불리게 됐다. 앞으로 △각종 행사 △전시회 △음악회 등이 열리는 장소로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문창재 내부는 부산대 건학과 민주화를 이끈 인물의 이름을 따서 △윤인구 홀 △리차드 위드컴 홀 △요산 홀로 공간이 나눠졌다.
여담으로 KBS2 쌈, 마이웨이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9.7. 510 중앙도서관
중앙도서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1993-07-19 준공 | |
규모 | 지하 1층, 지상 4층 | |
면적 | 건축면적 1,531m²(463평) 연면적 6,637m²(2,008평)[47] |
장서 수 전국 5위, 부울경 1위 대학 도서관
1946년 부산대 개교와 함께 설립된 장서 수 233만권으로 전국 5위, 동남권 1위인 부산의 대표 대학도서관이다. 현재 중앙도서관 건물은 1989년 지상 4층, 연건평 2천평 규모로 착공해 1994년 완공했다. 중앙도서관이 완공되면서, 부산대 도서관은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연구도서관과 학습도서관 이원화 운영을 결정했다. 이는 도서관을 주로 찾는 이용자들이 전문 연구 자료를 이용하려는 대학원생, 연구원, 교수들과 학습 과제물 및 교양독서를 주로 하는 학부생들로 구분되는 점을 감안했기 때문이다. 연구도서관(현 중앙도서관)에는 열람좌석을 줄이는 대신 전문적인 자료를 집중적으로 소장하고 사서를 배치해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학습도서관(현 새벽벌도서관)은 교양 및 교재용 자료와 열람공간의 기능을 확대하고 세미나, 휴식 공간, 자료 보존 공간을 확보해 학부생들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도서관으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2011년, 중앙도서관을 증축해 현재의 건물 형태가 완성됐다. 즉, 회색 건물이 1994년 완공된 기존의 도서관 건물이고, 현대적인 유리건물 형태가 2011년 새로 증축된 부분이다. 두 건물은 서로 연결돼 있어 한 건물로 보면 된다. 중앙도서관 내부에는 윤인구 초대 총장의 친필 서판[48]이 있다. 중앙도서관 입구에는 농협 ATM이 있다.
1층에는 부산대학교 도서관 각 부서와 반납창구, 문창누리[49] 등이 위치하고 있다. 2층에는 문학예술 관련 도서가, 3층에는 인문사회과학 관련 도서가, 4층에는 과학기술 관련 도서가 있다. 대출은 각 층마다 위치한 무인대출기를 이용하면 된다. 2층에는 정보전산원과 연결되는 통로가 있다.
이용 시간은 학기 중 월~목 9시부터 21시까지, 학기 중 금요일과 방학 중 평일에는 9시부터 18시까지이며, 토요일은 9시부터 13시, 일요일은 휴관이다.
대출 권수 및 기간은 다음과 같다.
구분 | 권수 | 기간 |
교수, 강사 | 60권 | 90일 |
명예교수, 조교, 직원, PostDoc. | 30권 | 60일 |
대학원생, 무논문학위수여자, 대학원수료후연구생 | 30권 | 30일 |
자체직원 | 10권 | 60일 |
학부생 | 15권 | 14일 |
휴학생(학부, 대학원) | 5권 | 14일 |
우대회원, 휴직 교직원 | 5권 | 30일 |
효원회원, 일반회원 | 5권 | 10일 |
도서 연체시 연체료를 대출/반납 창구 옆의 수입증지를 구매해 간접적으로 내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이러한 운영 형태는 부산대 자유게시판이나 설문 등을 통하여 수년간 이루어진 건의 등을 기초로 하여 도서관자치위원회에서 정한 것이다. 연체료는 1일당 100원인데, 몇권이든 연체가 되어있다면 각종 증명서를 뽑을 수 없으니 유의할 것.
9.8. 511 간이체육관
화학관 앞에 위치한 실내체육관이다. 우천시 교양수업 및 테니스선수 연습장, 체육교육과 실기수업 및 전공실기 연습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간이체육관 옆에는 우레탄 트랙이 깔린 테니스 코트가 있어 야외에서 테니스를 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9.9. 512 테니스장
9.10. 513 철골주차장
9.11. 514 경영관
경영관은 원래 상학관으로 경제통상대학과 함께 상과대학이던 시절 쓰던 건물이나 경영대학이 독립하면서 경영관이 됐다.
그리고 건물이 앞뒤로 A동과 B동 이렇게 2개 건물로 나뉘어 있는데 층 구조가 독특하다.(A동 1.5층= B동 1층) 엘리베이터가 A동에 있지만 층수는 B동 기준이다. A동은 상당수를 공대에서 사용하고 있다. 2025년에 엘리베이터 설치, 창호 교체와 외벽 공사 등의 리모델링을 진행했다.
9.12. 515 중앙도서관 및 정보화본부
9.13. 516 경제통상관
경제통상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2013-12-24 준공 | |
규모 | 지하 1층, 지상 9층 | |
면적 | 건축면적 1,085m²(328평) 연면적 9,471m²(2,865평)[50] |
교수님들의 썰에 의하면 본래 이 건물은 경영학과가 인서울 대학권의 상승세에 위기감을 느껴 상과대학에서 경영대학으로 독립하는 동시에 단독으로 사용하고자 지은 건물이었다고 한다.[51] 하지만 상과대학 내 경제학과와 무역학과는 경영학과의 독립을 반대하는 입장이었고, 결국 해당 건물을 지금의 경제통상대학에 넘기는 대신 경영대학으로 독립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52]
10. 6 ZONE
10.1. 601 예술관
1층에 예다방이라고 불리는 커피집이 있다. 원래는 도피오 커피라는 프랜차이즈에서 운영했으나, 지금은 장애인 바리스타들로 구성된 자활 사업장 형태로 운영중이며 상호 자체를 예다방으로 쓰고 있다. 한국음악을 다루는 학과들이 이 건물을 사용해서 밤 늦은시간에도 사물놀이 소리가 들리는 건물.10.2. 602 생활과학관 강의동
1층에 GS25 편의점이 있다.10.3. 603 생활과학관 연구동
10.4. 605 학군단
10.5. 606 화학관
화학과와 화학교육과가 공동으로 쓰는 건물이다.10.6. 607 수학관·공동연구소동
수학과와 수학교육과가 공동으로 쓰는 건물이다. 원래 2층에 정수기, 자판기, 학과 게시판들 말고는 아무것도 없었지만 2021년에 전체적으로 건물 내부를 리모델링하면서 ‘수학나무쉼터’라는 학습 및 휴식 공간을 조성하였다. 2층에서 3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옆에 에스컬레이터가 하나 있지만 수업 시작 전이나 끝난 후 이외에는 평상시 건물 안에 이동하는 사람이 적기 때문에 전기비를 아끼기 위하여 전원을 꺼 놓은 상태이다.10.7. 608 제2법학관
10.8. 609 법학관
전용 도서관인 법학도서관이 있다. 학생증을 찍고 들어가는 방식.
11. 7 ZONE
부산캠퍼스내에 제일 높은곳에 위치하며 순환버스 없이는 이용이 힘든 곳이다. 주로 예체능계열 학과건물이 이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11.1. 701 제2사범관
건물 뒤쪽에 학교 밖으로 통할 수 있는 출입구가 한 개 있다. 사람만 출입이 가능할 정도로 좁은 문인데, 부산 버스 203의 부산대후문 정류장이 위치한다.11.2. 702 조소실
11.3. 703 미술관
이름만 보면 여타 미술관처럼 무슨 미술작품 전시하는 곳으로 보이나 그냥 미술학과가 사용하는 학과 건물이다. 부산대 재학중 애니메이션학과 브이로그를 올려 유명해진 유튜버 예랑가랑의 극초기 영상의 배경이 되는 공간이다. 이 건물 내부가 궁금하면 이들의 극초기 영상을 보면 된다.11.4. 704 조형관
11.5. 705 경암체육관 교수연구동
11.6. 706 경암체육관
경암체육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2009-01-30 준공 | |
규모 | 지상 5층 | |
면적 | 건축면적 4,882m²(1,477평) 연면적 12,572m²(3,803평)[53] |
경암 없는 경암체육관[54]
기존의 체육관은 정문 바로 옆에 있었으나, 효원문화회관 공사를 하면서 허물고 새롭게 연면적 12,572㎡ 지상 5층 규모로 2009년 현 위치에 완공하여 개관하였다.
“경암”은 경암교육문화재단 송금조 회장의 호이나, 경암교육문화재단은 준공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이유는 송금조 회장의 기부금의 원래 목적은 양산캠퍼스 조성인데 김인세 전 총장이 목적과는 다르게 장전캠퍼스 건물 세우는데 썼다는 것이다.관련 기사
체육관(1,600석), 스쿼시장, 체조실, 투기실, 무용실(1층), 피트니스(2층), 골프연습장(2층), 주경기장(3층), 체육관(4층) 등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었다. 학생, 교직원 및 동문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인근 거주중인 금정구민의 경우도 이용이 가능하다. 캠퍼스 맨 위에 위치하여 가장 올라가기 힘들다.[55] 부산대 순환버스를 타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56] 입학식 등의 여타 공식 행사를 여기서 하며 대형 강연이나 행사도 이곳에서 많이 한다.
피트니스센터의 경우 원래 목욕탕에 딸린 헬스장을 연상시키는 다소 노후된 시설이었으나 2023년경 다시한번 리모델링되며 사설 헬스장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을 시설과 최신기구들을 갖추게 되었다. 헬스복과 수건이 무상제공되며 국립 시설인 만큼 이용료도 대단히 저렴하다.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의 숨겨진 벚꽃 명소이다. 위치가 위치인지라 아는 사람들만 아는 숨겨진 벚꽃 명소이다. 그리고, 경암체육관 뒤편에는 금정산 등산로가 있다. 체육관 뒤편에 부산 버스 203 정류장이 있어 버스를 타고 금정산성을 갈 수도 있다.
11.7. 707 음악관
음악관
| ||
| ||
<colbgcolor=#f5f5f5,#f5f5f5> 연혁 | 2008-09-19 준공 | |
규모 | 지상 5층 | |
면적 | 건축면적 1,856m²(561평) 연면적 5,167m²(1,563평)[57] |
음악관은 위에서 바라보면 낮은음자리표 모양을 하고있다.
11.8. 708 학생회관
음악관 옆에 위치하고 있다. 부산대학교에 등록된 중앙동아리의 대부분 동방이 이곳에 위치하고 있다. 위치가 산꼭대기라 도보로 올라가기 힘들다. 순환버스를 타는 것을 추천한다. 대신 위치가 위치인지라 학생회관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좋다.
학생회관 1층에 학생식당이 있다. 사람이 별로 없다. 위치가 산꼭대기라 접근성이 매우 안 좋다. 학생회관에 방문한 동아리원이나 예체능 계열 학우들이 대부분이다. 그마저도 동아리나 예체능 계열 학우들은 단체로 배달 시켜먹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구내 매점이 더 인기가 많다.[58] 의외로 위치가 가장 불리함에도 운영이 중단된 적은 없다. 걸핏하면 운영이 중단되는 문창회관 학생식당과 비교되는 점이다.
2016년 12월에 리모델링 공사를 마치고 다시 열었다. 가격은 2021년 현재 특정식 4,500원, 한그릇 3,500원, 라면 2,500원, 라면+공기밥 3,000원이다.
2022년 4월, 금정회관과 마찬가지로 특정식이 4,500원에서 5,500원으로 인상되었다.
2023년 방학에 금정회관 리모델링 공사로 공사기간동안 저녁식사를 운영했다.
11.9. 709 과학기술연구동
11.10. 710 대운동장
속칭 신축. 경암체육관 옆에 대형 운동장이며, 인조잔디 구장이다. 대학 체전과 같은 경기는 여기서 한다. 금정산 자락에 있어서 전망이 좋다. 도보로 올라가기 최고로 힘든 위치에 있다. 부산대 순환버스를 타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거대한 구장 크기에 걸맞지 않게 입구는 작다. 그냥 방 문 사이즈. 객석은 경기장에서 올라가는 길 외에도 뒤에 따로 입구가 여러 개 있고, 학생회관 뒷편에서 경기장으로 차도 들어갈 수 있을 만한 입구가 있으나, 모두 잠겨 있다. 축구 골대 위의 H모양 바는 럭비용 크로스바이다.
여담이지만 부산 불꽃 축제가 스탠드에서 보이며, 부산 아시안게임 당시 보조구장으로 쓰이기도 했다.
많이들 모르는 사실이지만 대운동장 지하에는 대규모 우수저류시설이 있다. 100억원에 육박하는 대규모 국비가 투자되어 완성된 시설. 22,600톤의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부산 단일우수저류시설 최대규모의 시설[59]로 부산대 인근을 포함한 금정구의 홍수조절에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평시에는 우수를 재활용해 부산대 내 필요 시설에 중수도로 공급[60]하여 물 절약에 기여하고 있다.기사
11.11. 711 효원재
1990년에 지어진 기숙사이다. 총 154실, 308명을 수용할 수 있다. 5층 건물이며 2인 1실이다. 고시준비생 전용이며 남녀 공동 기숙사이다. 역대 사법고시, 행정고시, 외무고시 합격자들 상당수가 이곳을 거쳐갔다. 산속에 자리잡고 있어서 조용하니 공부하기 좋다. 다만 시설이 오래되어 외풍이 많이 들어와 상당히 춥다. 또한, 산속 + 오래된 시설로 인해 다양한 벌레들이 출몰하곤 한다.
기존에는 국가고시 성적으로 선발했으나, 현재는 학부 성적을 기준으로 뽑으며, 분명 고시생 전용 시설이지만 심각한 시설 노후화로 인기가 없어지며 마지막까지 여석이 남곤 한다.
현재 재건축 계획이 잡혔으며 2026년에 착공하고 2028년에 준공될 예정이라고한다.#
11.12. 712~713 웅비관
2009년 개관한 기숙사이다. 두 개의 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A동 9층, B동 11층이다. 총 551실, 1,060명을 수용할 수 있다. 2인 1실이고 방은 6평이다. 자유관 신축 이전에는 남녀 공동 기숙사로 사용되었다. 자유관이 여학생 전용 기숙사로 지정되면서 웅비관은 자연스레 남학생 전용 기숙사로 지정되었다. 산꼭대기에 위치하고 있어 도보로 가기 매우 어렵다. 순환버스를 이용한다면 법학관 정류장에서 올라가거나 대운동장에서 옆길로 가야한다.
11.13. 714~717 진리관
2002년 개관한 기숙사이다. 3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8층이다. 총 467실, 934명을 수용할 수 있다. 남학생 전용 기숙사이며, 2인 1실이다. 방 크기는 5평. 효원재를 제외한다면 가장 안 좋은 시설이라 선호도가 가장 떨어진다. 공동 화장실과 샤워시설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이 최대의 단점. 다만, 자유관 신축 이전에는 웅비관 경쟁률이 너무 압도적이라 기숙사는 무조건 들어가야 하는데 성적이 안되는 학생들은 차선책으로 이곳을 지원하곤 했다. 그래도 웅비관은 위치는 안 좋아도 시설은 정말 좋은 데 비해, 진리관은 위치도 안 좋고 시설마저 안 좋다.
시설이 효원재와 함께 오래되어 불편한 점이 많다. 또한, 각종 기숙사 전설의 진원지이기도 하다. 잊을만하면 학내 커뮤니티에 "진리 층별 대장 결정전"같은 유머소재로 올라온다.
현재는 효원재와 함께 1인실을 받고 있으며, 혼자 산다는 메리트가 안 좋은 시설이라는 디메리트를 상쇄하는지 엄청난 경쟁률을 자랑한다.[61] 학교와의 거리가 먼 순서대로 뽑는데, 2023년도에는 영남권 거주자라면 아예 들어갈 생각을 거둬야 할 정도로 커트라인이 높아졌다.
12. 주요 장소
12.1. 문창대(文昌臺)
건설관 뒷편 첨단과학관으로 향하는 샛길 사이에 있는 언덕이다. 언덕에는 '문창대'라는 비석이 있다. 1954년, 당시 문교부장관이었던 이선근이 부산캠퍼스를 둘러보던 중 이곳을 '문창성'이 비치는 곳이라고 해 '문창대'로 명명하고, 비석을 세웠다. 풍수지리학적으로 금정산의 '의(義)' 기운이 맺히는 지점이라 아스팔트로 포장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보존해두었다. 부산캠퍼스의 다른 빈 공간들은 앞으로 개발될 여지가 있어도, 문창대만은 워낙 상징성, 역사성이 있는 공간이라 자연상태 그대로 보존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대 홍보책자의 이름도 이곳의 이름을 딴 '문창대'이다.
12.2. 미리내골
부산대의 명소이자 보배인 ‘미리내골’의 유래와 전통활기차게 뻗은 금정산 줄기, 울창한 숲, 우람한 바위, 깊은 계곡과 맑은 물, 그 속에 자리한 부산대학교 효원캠퍼스의 자연경관을 가장 잘 보여 주는 명소 중의 하나가 ‘미리내골’이다. 미리내골은 금정산에서 발원하여 부산대학교 캠퍼스를 가로지르며 흐르는 계곡이다. 교정의 나무들 사이로 흐르는 물소리는 고즈넉한 운치를 빚어내며 어느 학교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풍광을 뽐낸다. "우리나라에서 대학캠퍼스내 아름다운 계곡이 흐르는 유일한 곳" 으로 대한민국 대학교 캠퍼스 최초로 자연생태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62]
"미리내" 는 은하수의 고유어이다. 이 계곡을 미리내골로 이름한 것은 "빛나는 별들이 모여 거대한 흐름을 이루듯 효원인들이 모여서 빛나는 전통을 세우고 학문 탐구의 열기가 가득하기를 바라는 뜻" 이 담겨 있다. 효원인이면 누구나 지울 수 없는 추억을 안고 있는 이 계곡에 ‘미리내골’이란 이름이 붙여진 것은 지난 1982년이다. 당시 부산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공모에서 이 이름이 당선되면서부터이다.
예로부터 미리내골과 그 주변 곳곳에서는 불합리한 정치·사회문제나 젊은이들 특유의 고민, 열정, 순수가 담긴 토론이 끊이지 않았다. 70년대와 80년대 초반까지의 시기에는 통기타 소리에 곁들여진 투박한 노랫소리가 정돈되지 않은 화음을 이루며 대학의 투박한 낭만을 뿜어냈다. 지금도 미리내골은 효원인의 고민과 숨결이 함께 하기는 마찬가지다. 부산대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미리내골은 효원인들이 내뿜었던 열정과 순수를 간직하며 효원캠퍼스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품어가고 있다.
미리내골 때문에 음기가 세다고 하며 주변, 특히 물리학과 건물은 여름에도 서늘하다. 천연환경 보존을 위해 외부인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하는 중이다.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 있으며 특히 인문대 쪽은 미루나무와 낙엽송들이 줄줄히 늘어져 있어 운치가 좋고 그네의자도 있다. 밤이 되면 조명이 들어오기 때문에 아름다운 야경을 감상할 수 있다.
12.3. 조각공원
생물관과 커피빌리지 앞의 작은 공원. 예전에 교수회관과 출판부가 있던 자리다. 이상조(사회복지 77) 동문의 기부로 만들어진 공원이다. 4,628㎡ 규모의 공원에 예술대학 교수들의 작품 8점이 설치되어 있다. 목제 데크가 있어 이곳에 앉아서 쉴 수 있다. 지리상 부산대 부산캠퍼스의 중앙은 박물관 쪽이지만, 실질적인 중앙은 이곳이라고 봐도 된다. 정문과 북문 쪽을 오갈 때 가장 많이 지나가는 곳이 이곳이다. 주로 홍보자료나 대자보를 붙일 때 부산대에서 가장 중요한 게시판이 정문, 새벽별도서관 그리고 조각공원 길목에 위치한 게시판이다. 조각공원 앞에는 커피빌리지라는 커피가게도 있다.
부산대에서 유명한 벚꽃 명소이다. 몇 그루의 벚나무가 있을 뿐, 다른 벚꽃 장소처럼 만개한 벚꽃을 볼 수는 없다. 하지만, 벚나무와 잔디, 교정이 잘 어울리는 편이라 사진이 예쁘게 나온다. 그리고 매년 봄만 되면 근처의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아이들이 줄지어 놀러오곤 한다.
12.4. 예원정
- 사회관 앞에 있는 O자 형태의 정원으로 2026년 사회관 재건축과 동시에 사라질 예정이다. 대신 금정회관 건너편 도보와 새벽벌도서관을 잇는 중앙 도보를 중심에 둔 잔디밭인 ‘예원마당’과 기존의 예원정과 새벽벌도서관을 구분 지은 옹벽을 허물어 경사진 잔디밭인 ‘어울림 언덕’이 조성될 예정이다.
12.5. 웅비의 탑(雄飛의 塔)
기계관 앞에 위치한 탑. 흰 기둥 위에 청동 독수리 상이 있는 구조이다. 독수리의 의미는 웅비, 도약, 희망을 상징한다. 재학생들의 성금을 모아 완성했으며, 나라에 큰 일이 생기면 하늘로 날아오른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리고 1987년 여름, 태풍 셀마가 부산에 상륙했을때 청동 독수리상이 약 30m 정도 날아오르다가 추락한 적이 있다.
이후 추락사(?)한 녀석을 대신해 더 큰 청동 독수리를 설치했다. 나름 부산캠퍼스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독수리 상이 앉아 있는 흰 기둥 둘레로, 부산대학교의 교훈인 자유, 진리, 봉사를 의미하는 세 여신상이 붙어 있다. 탑신 하단부에는 '독수리 송(頌)' 동판이 새겨져있다.
12.6. 콰이강의 다리
1956년 부산대학교 박물관 별관 뒤에 설치된 철제 다리이다. 영화 '콰이강의 다리'에 나온 다리와 비슷하다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현재의 다리는 1990년대 들어와 한 차례 개보수한 것이다. 콰이강의다리를 세 걸음 안에 건너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전설이 있다. 물론 세 걸음만으로는 절대 못 건넌다(세계 신기록을 갱신해야 가능하다).
김건모의 미안해요 뮤직비디오 촬영지이다.
13. 출입문
13.1. 정문
부산대학교 정문 | ||
|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의 정문. 많은 학생들의 약속 장소 중 하나인 곳이다.
학교 지하주차장 입구와 연결되어 있다. 원래는 백색 시계탑이 있었으나, 효원문화회관(現 NC백화점 부산대점) 공사를 이유로 사라졌다. 백색 시계탑은 부산대의 상징적인 기념물이기도 해서 아직까지 그리워하는 동문들이 많다.[63]
비가 오거나 무더운 여름에는 정문 대신 옆에 있는 NC백화점 입구로 많이 다닌다. 건물이 거대한 그늘을 형성하고, 바람구멍 역할도 하기 때문이며 2010년대 초중반만 하더라도 입구에 있는 에스컬레이터를 자주 가동해서 편하게 올라갈 수 있었으나, 2010년대 후반 이후로는 종종 가동이 중지되어 있어 사실상 무용지물에 가깝다.
정문의 주차장 입구가 던전 입구와 같다는 등 비판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2014년부터 정문 개선 사업[64]이 추진되었으나, 2025년 현재까지 난항을 겪고 있다. 아무래도 재원 확보가 쉽지 않고, 교통 문제, 상권 문제 등이 얽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부산대에서 가장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라 여러 행사, 전시회나 시위, 기자회견 등도 자주 열리는 편이다.
부산캠퍼스에서 유일하게 유인정산이 가능한 입구가 되었다. 문창쪽문은 차량통행이 중지되었고, 남문은 교직원 전용, 북문과 (구)정문은 2021년부터 무인정산으로 전환되었다.
13.2. (구)정문(무지개문)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삼랑진역 급수탑
1.#76 파주 구 장단면사무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대전 충청남도청 구 관사 1·2·5·6호와 부속창고
1.#126 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턴 가옥
[4]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59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밀양 교동 근대 한옥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통영해저터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대구 대봉배수지
1.#276 정읍 나용균 생가와 사당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여수 구 율촌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청주 대성여자중학교 강당
1.#376 부산 구 성지곡수원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신진 퍼블리카
1.#426 전차 363호
440-3. 백범 김구 인장 寬和, 金九之印, 白凡}}}
442-3. 백범 김구 유묵 思無邪}}}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건칠반
470-3.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470-4.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8] (태극기) 보물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새미리 수영복
509-3. 대한매일신보}}} 510-1. 독립신문 상해판 1.#511 친목회회보 1. 대조선독립협회회보 1. 목포 천주교 구 교구청 1. 서울 이준 묘소 1. 서울 손병희 묘소 1. 서울 이시영 묘소 1. 서울 안창호 묘소 1. 서울 김창숙 묘소 1. 구리 한용운 묘소 1. 서울 신익희 묘소 1.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 1.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압사기 {{{-2 552-1.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 552-2.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559-2. 금성 라디오 A-501}}}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01 강경 갑문 1.#626 진안 천황사 괘불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
1.#676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 {{{-2 677-1. 군산 둔율동 성당 677-2. 군산 둔율동 성당 성당신축기 및 건축허가신청서}}}681-2.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681-3.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헨리관 681-4.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식당동}}}
691-3.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방정환(方定煥) 묘소 691-4.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기만(吳基萬) 묘소 691-5.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광조(徐光朝) 묘소 691-6.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동일(徐東日) 묘소 691-7.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재영(吳哉泳) 묘소 691-8.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유상규(劉相奎) 묘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
718-3.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3 718-4. 목포 영산로 일본식가옥 718-5. 구 목포부립병원 관사 718-6. 구 목포 일본기독교회 718-7.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1 718-8. 목포 해안로 일본식 상가주택 718-9. 목포 해안로 교차로 상가주택 718-10. 목포 부두 근대상가주택 718-11. 구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 718-12.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2 718-13.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3 718-14. 목포 해안로 붉은 벽돌창고 718-15. 구 목포 화신연쇄점}}}
719-3. 군산 내항 철도 719-4. 군산 구 제일사료 주식회사 공장 719-5. 군산 경기화학약품상사 저장탱크}}}
720-3. 영주 영주동 근대한옥 720-4. 영주 영광이발관 720-5. 영주 풍국정미소 720-6. 영주 제일교회}}} 1.#726 구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청 관사
745-2.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 749-2.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1.#746 매천 황현 매천야록 1. 매천 황현 오하기문 1. 매천 황현 절명시첩 {{{-2 749-1. 매천 황현 시·문(7책) 749-3.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 [12] 보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
763-3.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1 763-4.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2 763-5.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3 763-6.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4 763-7.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5 763-8. 익산 보화당한의원 구 건조창고 763-9. 익산 구 이리금융조합 763-10. 익산 인북로 근대상가주택}}}
{{{-2 774-1. 대한민국임시정부 이교재 위임장 및 상해격발 774-2. 대한민국임시정부 문영박 추조 및 문원만 특발774-3. 대한민국임시정부 특발, 추조, 편지 및 소봉투}}} 1.#776 광주 구 무등산 관광호텔
777-3.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1 777-4.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0px 10px; margin: 0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777-5. {{{-2 777-6. 통영 항남동 근대상가 777-7. 통영 구 대흥여관777-8. 통영 김상옥 생가 777-9. 통영 구 통영목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2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경상남도립 나전칠기 기술원 양성소
819-3.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1 819-4. 서천 판교 구 삼화정미소(오방앗간) 819-5.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2 819-6. 서천 판교 구 중대본부 819-7. 서천 판교 구 판교극장}}}
820-3. 진해 화천동 근대상가주택 820-4. 진해 송학동 근대상가주택 820-5. 진해 대흥동 근대상가주택 820-6. 진해 흑백다방 820-7. 진해 일광세탁 820-8. 진해 육각집 820-9. 진해 창선동 근대상가주택 820-10. 진해 황해당인판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지금의 정문이 생기기 전에 정문 역할을 했던 문이다[65]. 후문이라고도 불리며 문을 지나서 올라가면 개교 10주년을 맞아 옛 정문 자리에 구축한 아치형 건축물인 무지개문이 나온다. 아치형 구조 가운데에 설치된 종이 인상적으로, 인문관을 설계한 건축가 김중업의 초기작이다. 예전에는 부산전차가 온천장까지 다녔는데, 온천장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가 이곳이라 자연스레 정문이 위치하게 되었다. 이후, 지금의 정문이 새로 지어짐에 따라 무지개문은 "(구)정문"이란 이름으로 바뀌었다. 무지개문에서 운죽정까지 대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어 정문과는 다른 분위기가 난다. 무지개문 밑을 처녀가 지나가면 종이 울린다는 전설이 있다.
정문, 북문에 비하면 유동인구가 적은 편이다. 다만, 기계관 완공 이후로는 유동인구가 다소 늘었다. 건설관, 기계관, 컴퓨터공학관(제6공학관) 학생들이 자주 이용한다. 또한, 부산대학교후문 정류장에서 버스를 이용하려는 학생들도 이 문을 이용한다.
13.3. 남문
다른 문들과는 멀리 떨어져 예술관을 조금 지나가면 왼쪽으로 보이는 문이다. 바로 산성로로 연결되어 부산대학교가 보임에도 들어가려면 한참 돌아 가야 했던 상황을 완화시켜 주었다. 제일 최근에 생겨서인지 아는 사람이 얼마없고, 유동인구도 적은 문. 교직원 차량 전용 출입구이다. 부산 버스 203이 남문 근처로 유일하게 지나간다. 동래구 쪽에서 넘어올 경우, 금정초등학교를 거쳐 (구)정문이나 정문으로 가려면 신호를 상당히 많이 받지만 남문을 이용하면 훨씬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13.4. 북문
새벽벌도서관, 자유관 기숙사 앞에 있는 출입구. 언어교육원과 상남국제회관도 근처에 있다. 장전역에서 가까운 편이며, 부산대역에서 걸어오기엔 언덕도 있고 약간 멀다.[66] 현재 사진 우측의 북문이라고 적혀있는 구조물은 없어졌고 길이 더 넓어졌다.
사회대, 경영대 학생들이나 새벽벌도서관 이용 학생들은 학교 밖에서 밥을 먹을 때, 정문보단 북문에서 많이 먹는 편이다. 또한, 정문에 비해 높은 위치에 있어 등교가 비교적 편리해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북문 일대에는 대규모 원룸촌이 형성되어있다. 사실상 수림로 이남 장전1동은 전부 원룸촌이라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정문이 식당, 카페, 술집 위주의 오락 상권이라면 북문은 자취생 위주의 주거 상권이다. 이 때문인지 정문보다는 북문 쪽 식당의 가격이 대체로 저렴한 편이다.
13.5. 문창쪽문
문창회관 쪽의 작은 출입구로, 교직원 차량 출입구였다. 운영시간은 아침 7시부터 저녁 8시까지였는데, 2020년 8월경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미사용 및 시설 고장 문제로 차단기와 부스를 철거하고 인도로 메꾸어 현재는 차량 출입구로써의 역할은 상실했다. 다만, 도보로는 여전히 출입이 가능하며, 공유킥보드 업체들의 주차존으로 이곳이 지정되며 킥보드를 통한 출입자들도 많이 이용한다. 접근성이 좋은 편이라 (구)정문이나 남문보단 유동인구가 많다.
14. 환경
금정산 자락에 캠퍼스가 위치하여 공기가 맑고 상쾌하며, 산책로도 많다. 특히 비오거나 흐린 날에는 멀리 안개낀 금정산과 어우러진 캠퍼스 전경은 그야말로 장관. 하지만 부지가 전체적으로 경사가 좀 있어서 인문관이나 정문 쪽 몇몇 공학관을 제외한 대다수의 학과 건물들은 도보로 이용하기가 불편하다.[67] 특히 남문 근처의 아파트 단지 옆 샛길은 그 경사도가 무지하게 높아서 올라가는 사람도 별로 없다. 이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킥보드, 스쿠터나 오토바이를 타거나 순환버스를 이용한다. 물론 운동 삼아 걸어가는 사람도 많지만 특히 제2사범관이나 예술관, 기숙사(웅비관, 진리관) 등은 거의 꼭대기에 위치해서 걸어서 올라가기가 매우 힘들다. 산자락에 캠퍼스가 위치하여 호수는 없지만, 미리내골이란 천혜의 경관을 자랑하는 계곡이 흐른다.[68]14.1. 주변 상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주변 상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주변 상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2. 금정산
부산대학교를 넉넉히 품고 있는 부산의 진산(鎭山), 금정산(金井山)[69]금정산은 넉넉한 부산(釜山)의 품이다. 부산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최고봉은 고당봉이고 최고 높이는 801.5m이다. 태백산맥이 남으로 뻗어 한반도 동남단 바닷가에 이르러 솟은 명산이다. 도심 한가운데에 우뚝 솟아 늘 한자리에서 부산을 올곧이 지키고 있는 부산의 진산(鎭山)이다. 해발 801.5m의 고당봉을 주봉으로 장군봉(727m)과 상계봉(638m), 백양산(642m)까지 길게 이어진 부산의 명산으로 산세가 크지는 않으나 숲이 울창하고 맑은 물이 흐르고 있어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풍요로운 산이다. 정상에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금빛 샘이 있어 금정(金井)산이라 불리는데 옛날 금색 물고기가 오색구름을 타고 내려와 이 샘에서 놀았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금정산 금샘의 전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동래현 북쪽 20리에 금정산이 있고, 산꼭대기에 세 길 정도 높이의 돌이 있는데 그 위에 우물이 있다. 둘레가 10여 척이며 깊이는 일곱 치쯤 된다. 물은 마르지 않고, 빛은 황금색이다. 전설로는 한 마리의 금빛 물고기가 오색구름을 타고 하늘에서 내려와 그 속에서 놀았다고 하여 금정이라는 산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이로 인하여 절을 짓고 범어사라는 이름을 지었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금정(金井)은 금어(金魚)가 사는 바위 우물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알려진 금정산성은 총 길이 1만 7,336m로 남북으로 ‘ㄷ’자 모양을 하고 동래와 양산, 기장을 잇는 우리나라 최대의 산성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호국 사찰, 의상대사가 창건한 화엄 10찰이며 원효대사가 머물며 수도했던 ‘선찰대본산(禪刹大本山) 금정총림 범어사’ (해인사, 통도사와 더불어 영남 3대 사찰)가 금정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풍수지리학 관점으로 볼 때, 백두대간의 가장 끝부분에서의 정기가 맺힌 곳으로 분류된다. 풍수지리학 측면으로 볼 때 부산대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이재(理財)에 밝은 지형이 아닌, 학의(學義)가 좋은 땅으로 분류되어 그 혈터가 바로 문창대(文昌垈) 인근이라는 부분이라는 것인데, 지금도 그 혈터의 혈이 맺히는 곳에는 아스팔트로 덮지 않고 보존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위치는 약학대학 건물에서 경암체육관을 올라가는 지점 삼거리) 그리고 해당 기운을 감내해 줄, 흔히 풍수리지에서 말하는 앞산은 부곡동과 명장동 일대의 구월산(317m)과 장산이다.
부산대학교의 현 위치는 서울대의 관악산 자락에 입지한 것을 모티브로 본다고 하는 견해들이 많으나, 이는 잘못되었다. 부산대가 금정산 기슭에 입지한 것은 1950년대이고, 서울대가 현재의 관악산 자락에 입지한 것은 1970년대이므로 이 주장은 근거가 없다. 서울대와 비교하면, 서울대는 해당 위치에 대한 이익적(利益的)인 부분, 즉 이재(理財)를 감당해 낼 한강이 흐르고 있지만, 부산대학교는 그것과는 사뭇 다른 의(義) 기운이 강하다는 점에서 풍수지리학적 관점에서는 서울대학교를 더 높게 본다고 한다. 이 견해도 좋다고만 볼 수 없다. 見利思義(利를 보고 義를 생각해라)라고 했거늘 최고의 선비를 배출하는 우리나라 최고대학 서울대가 義보다는 利가 더 좋아서 풍수가 좋다. 즉, 현실지향적인 부분(利)이 이상적인 부분(義)보다 강해서 풍수가 좋다고 더 본다면 한국의 미래는 서글프기 때문에 요즘과 같은 시대에는 利와 義가 병존해야 더 좋을 것이다. 서울대학교의 풍수는 관악산에 입지한 지금 보다 한강이 아래로 흐르는 한강 이북이었던 서울대 동숭동캠퍼스(마로니에 공원)의 입지가 더 좋았다고 본다. 최고대학일수록 현실적인 부분보다는 교육의 이상적인 가치를 더 높게 보아야 하지 않을까 ? 그런 의미에서는 부산대학교의 풍수는 이상적인 교육의 본질적인 가치라는 측면에서 진리를 추구하는 학문의 전당으로써 좋게 보아도 될 것 같다.
금정산 자락을 통과하는 금샘로가 캠퍼스 구간을 남겨 놓고 부산대의 반대로 공사가 중단된 상황이다. 금샘로가 완공되면 차량 통행[70]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71]으로 인해 학습권이 침해된다는 것이 반대 이유이다.
14.3. 고양이
고양이들이 많이 산다. 특히 유명한 고양이로는 법대 타이거 1마리, 생물관 앞 고양이(대대로 생물관 학생회에서 밥 주면서 키움)[72], 인문대 앞 고양이 2마리[73], 화학관 고양이[74] , 웅비관 고양이, 자유관 고양이[75] 등. 사회대 잔디밭에 출몰하는 놈이 생겼는데 이름이 사대강 이라 카더라. 중도-성학관-상대개구멍 부근에 쏘쿠리가 있었다. 하는 짓이 So Cool해서 쏘쿠리로 이름지어졌다카더라.과거에는 앞서 말한 쏘쿨이/소쿠리라고 불리는 고양이가 특히 유명했는데, 주로 제2도서관 근처에서 서식하였다. 근처를 왕래하는 학생들의 관심을 받으며, 따로 집까지 마련해 사료랑 물도 주고 병원까지 데려가 주며 명물로까지 칭해지던 이 고양이는 2011년 9월 경, 미심쩍은 정황을 남기곤 부산대생 곁을 떠났다.
법대에는 '법고'라는 고양이가 산다. 로스쿨생들 사이에서는 부산대의 왕, 고양이들의 제왕으로 통한다. 사실상 법대의 주인. 법대 07학번이라는 소문이 있다. 어언 13년째 학교를 다니고 있는 셈. 서당 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데 법고도 이제 변호사 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 2020년 5월 오랜기간 다녔던 부산대학교 법대를 졸업하고 고양이 별로 돌아가며 부산대생들의 곁을 떠났다.
학생들을 행복하게 해주던 생고는 2022년 7월 31일에 고양이 별로 떠났다.
다만 2023년 들어 캣맘이 사회문제로 자주 논쟁거리로 언급되기 시작하며 교내 갈등의 도화선이 되고 있다. 게다가 2020년대 들어 금정구 인근 주거지의 초대형 재개발사업들이 집값 상승기와 맞물려 비슷한 시점에 공사를 시작하며 살곳을 잃은 고양이들이 전부 자연환경도 좋고 고양이에 호의적인 부산대 내부와 인근 원룸촌으로 유입되었다. 이에 따라 학내 고양이만 수백마리에 이를것으로 추정될 정도로 교내에 고양이가 지나치게 많은 상태가 되었다.
학교 당국은 민원이나 건의가 들어오면 고양이 시설물을 철거하거나 지나치게 과번식되어 개체수가 많은 곳에 덫을 놓아 고양이를 잡아들이는 등 학내 고양이 문제로 골머리를 앓으며 이 문제에 대해 캣맘 반대파들의 의견을 따르고 있는 경향이 강하다. 학생들이 고양이를 구경하면서 교직원의 차량에 스크래치를 입힌다는 교직원들의 불만도 커진 상태인지라 더욱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부산대학교 교지는 금정산에 위치해서 생물다양성 보존등을 위해 관리관청이 적절한 조치를 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자연보호구역이기도 하다.
학내 커뮤니티는 이때문에 잊을만 하면 고양이 보호파와 캣맘 반대파로 나뉘어 갈등과 논쟁이 지속되는 상황이다.
[1] https://sisul.pusan.ac.kr/sisul/42254/subview.do[2]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3] 실제로 그 주변이 모두 대나무 밭이다. 일부 학생/인근 주민들은 죽순을 캐먹기도 한다.[4] 특히 제6공학관에서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많이 이용했으며 해당 건물 뒷문으로 바로 갈 수 있다.[5] 공사 후, 넉터가 더 이상 넉넉하지 않아 좁터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우스갯소리로 나돌았다.[6] 남아공 월드컵 당시 국가대표팀 경기를 여기서 방영.[7] 이런 이야기가 나온 것은 대부분의 행사가 넉터에서 진행되었고, 부마항쟁과 관련돼 민주화 운동&총학생회의 상징이었단 점과 현재 대운동장이 부산대에서 가장 안으로 들어가고 동시에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집에 가기 위해서라도 지나다니는 정문과는 달리 일반 학생들은 어지간한 일이 아니면 그 위치로 갈 일 자체가 없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넉터는 대학본부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다.[8]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9]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10]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11] 건축학과에 입학한 새내기의 경우 가장 처음 그리게 되는 건물이 인문관이다. 인문관을 그리다 보면 창문을 다 박살내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12] 제한 개방인 거 모르고 가방 던져놓고 나간 학생이 물리학과 시험 치는 도중에 슬쩍 들어와서 식겁해 나간 사례가 있다.[13] 일명 '길도'. 길바닥에 있는 도서관의 약자다.[14] 단, 악기 사물함은 철통 같이 잠근다.[15] 각각 새벽소리, 또아리, 흰여울이다.[16] 이는 별다른 이유는 없고 인문대 내 다른 과에 비해 인원이 많기 때문이다.[17] 결국 한대는 커버를 뜯고 사제 스피커나 USB를 꽂아가며 쓰고 있다. 2011년 5월, 나머지 한대의 잠금 장치도 뚫렸다![18] 잠만 자고 가는 정도가 아니라, 가끔 술판을 벌이기도 한다. 당연히 해당 과 학생과 만나면 좋지 않게 쫓겨난다.[19] 보통 고양이들은 잘 때 웅크리고 자는데, 이녀석들은 마치 사람처럼 등을 땅에 대고 주무시니 당연하다.[20] 인문대 모 학과 교수님 왈, 베르누이 효과로 인해 인문대 교수연구동 필로티가 교내에서 가장 춥다고 한다.[21] 영수증에는 GS25 문창회관점으로 찍히며, 외벽 간판은 GS25의 증정품 보관 온라인 서비스 이름인 "나만의 냉장고"로 기재되어 있다.[22] 2022년부터는 이 세 곳이 '채널PNU' 라는 이름의 교내 언론사로 합쳐졌다.[23]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24] 기존 1980년대에 지어졌던 구 자유관은 여학생용 기숙사였으나, 수용인원 규모가 거의 2배 이상 확대되었다.[25] 추가적인 설명을 곁들이자면, 북문과 정문을 기준으로 정 반대편에 위치한 소위 "구정문" 구역은 현재 아파트 단지와 상권지역의 경계에 있기 때문에 월셋방 규모가 제한적이며, 나머지 정문 근처는 중앙 상권이 형성된 지역이 대부분의 월셋방은 상권을 건너 더 멀리 떨어진 지하철 근처에 몰려있다. 한편, 이 두 지역 모두 상대적으로 북문 구역에 비해선 공학 계열 건물들과 거리가 가까운 탓에 항상 수요가 높아 원룸들의 가격대가 매우 높다. 이런 상황에서 대부분의 남학생들이 선택하게 되는 것이 북문 근처의 월세방이다.[26] 금정회관 식당과 학습도서관인 새벽벌도서관이 여기에 해당되기 때문이다.[27]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28] 부산대에서는 공부할 수 있는 좌석이 있는 공간에 ~도를 붙이는 경우가 많다. 길도(길 도서관), 과도(과제도서관) 등이 있다.[29]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30] 1개 층 전체를 사용 중이다.[31]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32] 심지어 학교 사이트에서도 종종 잘못 표기된 것이 보인다.[33]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34] 노트북은 사용 가능하나 인터넷 강의 시청용으로만 사용 가능(마우스, 키보드 사용 불가)[노트북사용불가] [36] 유일한 24시간 열람실로 부산대학교 구성원들(학부생, 대학원생, 교직원, 졸업생)만 사용 가능하다.(단, 설, 추석 명절 당일에는 이쪽도 휴관한다.)[일반회원] 부산대학교와 연고가 없는 일반회원도 연회비를 납부하면 이용 가능한 열람실이다. 그러나 시험 기간 동안에는 일반회원은 이용 불가하니 유의.[노트북사용불가] [39] 별도의 좌석예약없이 이용가능하다.[일반회원] [41] 커피 가게와 인쇄 가게는 현재는 1층 러닝커먼스 안으로 들어와 있다.[42] 고급 대리석 마감, 대형 사이니지 월등 호화로운 시설이 갖추어졌다.[43] 거기 있던 도서는 각각 중앙도서관과 밀양캠퍼스 나노생명과학도서관으로 이관했다.[44] 그래서인지 시험 기간이 아님에도, 심지어 주말임에도, 방학 기간임에도 거의 사람이 몰리고 시험 기간에는 새벽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항상 만석이다! 그러나 그 새벽 시간대에도 일부 몇개 좌석만 있다.[45] 설계도면이 나왔는데 부산대학교 상징인 인문관과 흡사하다.[46]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47]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48]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49] PC 이용구역과 자유열람탁자, VR체험존, DVD 대여 감상존, 디지털 교육시설 등을 포함한 곳이다.[50]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51] 연세대 경영대학과 비슷한 맥락이다.[52] 이 부분은 연세대 경영대학과 반대되는 얘기.[53]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54] 이유는 하술하겠지만 경암교육문화재단 송금조 회장의 기부금을 김인세 전 총장이 멋대로 써 경암교육문화재단의 빈축을 샀고 준공식 참석 거부했기 때문이다.[55] 유산소 운동을 따로 할 필요가 없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56] 해당 건물 인근이 부산대 순환버스의 회차지다.[57] https://sisul.pusan.ac.kr/sisul/42285/subview.do[58] 이럴수밖에 없는 것이, 학생회관이 부산대 꼭대기에 위치해 있고 가장 가까운 매점까지 왕복 15분정도 걸리기 때문. 웅비관에 GS25가 있기는 하지만, 기숙사에 사는 학생들 한정. 거기다 또 오르막길이 있다.[59] 지구별 저장량은 해운대 좌동지구 저수량이 더 많은 것으로 부산시 홈페이지에 표기되고 있으나 좌동지구 저류시설의 경우 3개소의 용량을 모두 합한 수치이다.[60] 참조[61] 물론 2인실은 텅텅 빈다. 학기 도중 추가모집에 추가모집을 거듭 받아도 방이 남을 정도이다.[62] 부산대 자연대생만 알 수 있는 비화 하나. 이것은 처음에 부산대 생명과학과 모 교수님이 총장 허락도 없이 "여기는 자연보호구역이다 !" 라고 선포했던 것이 시초였다.[63] 현재 부산대학교 80주년을 기념하여 시계탑을 복원하려는 사업이 추진 중이다.[64] 부산대 도시공학과의 영원한 숙원 사업이다.[65] 정확한 옛 정문의 위치는 무지개문이 있는 곳이다.[66] 가깝다는 장전역 또한 언덕이 있어 걸어오기엔 벅차다. 가급적 등교시간대 일때는 부산대역에서 순환버스 이용할 것을 권한다.[67] 이는 부산에 위치한 대학교의 대부분이 가지는 특징이다.[68] 이 부근은 공기도 좋고 물소리, 새소리가 들려 등산하는 듯한 기분이 든다.[69] 금정구의 구 명이 여기서 비롯되었다.[70] 예술대~법과대 즉, 600번대~700번대 건물 구간[71] 정밀 시험 기자재 등[72] 일명 생고. 2022년 전후로 생물관 근처에서 또다른 고양이가 종종 보이는데, 이 고양이는 '삐용이' 로 불린다. 그 이유는 삐용삐용 울 것 같이 생겼다. 그리고 실제로 그렇게 운다.[73] 각각 치즈태비와 고등어태비인데, 이 중 고등어태비는 주로 문창회관 쪽문에서 출몰하는지라 쪽고라고 불린다. 요즘은 대학 본부 앞에 자주 출몰한다. 2022년, 노란색 치즈 고양이인 보리가 어느 순간부터 쪽고랑 같이 다니기 시작했는데, 쪽고한테 장난을 자주 치는 편이다. 2023년 현재는 보리가 쪽고로부터 독립했다.[74] 통칭 망고.[75] 삼색냥이이며, 이름은 '쁘니'.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부산대학교]]}}}{{{#!if external != "o"
[[부산대학교]]}}}}}}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uuid=e55440d0-0509-4388-a8bb-6391e6fcabb7|r289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uuid=e55440d0-0509-4388-a8bb-6391e6fcabb7#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부산대학교?from=2893|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부산대학교]]}}}{{{#!if external != "o"
[[부산대학교]]}}}}}}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uuid=e55440d0-0509-4388-a8bb-6391e6fcabb7|r289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uuid=e55440d0-0509-4388-a8bb-6391e6fcabb7#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부산대학교?from=2893|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학부|부산대학교/학부]]}}}{{{#!if external != "o"
[[부산대학교/학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학부?uuid=3ef40d7f-9f88-4a49-9f05-736bed878236|r32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학부?uuid=3ef40d7f-9f88-4a49-9f05-736bed878236#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부산대학교/학부?from=322|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학부|부산대학교/학부]]}}}{{{#!if external != "o"
[[부산대학교/학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학부?uuid=3ef40d7f-9f88-4a49-9f05-736bed878236|r32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부산대학교/학부?uuid=3ef40d7f-9f88-4a49-9f05-736bed87823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부산대학교/학부?from=322|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