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21:29:35

비톨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order-right: 10px solid #d20000; border-left: 10px solid #d20000"
{{{#!wiki style="margin: -10px 0 -8px"
<tablebordercolor=#d20000><tablewidth=100%>
파일:북마케도니아 국장.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e600> 통계 지방 / Регион 지방자치단체 / Општина
<colbgcolor=#d0d0d0,#707070><colcolor=#000,#fff> 파일:스코페지방.png
스코페
파일:스코페 휘장.png 01. 스코페 도시권 Скопје
  • 파일:S01.첸타르시_COA.png S01. 첸타르 Центар
  • 파일:S02.가지바바시_COA.png S02. 가지바바 Гази Баба
  • 파일:S03.아에로드롬시_COA.png S03. 아에로드롬 Аеродром
  • 파일:S04.차이르시_COA.png S04. 차이르 Чаир
  • 파일:S05.키셀라보다시_COA.png S05. 키셀라보다 Кисела Вода
  • 파일:S06.부텔시_COA.png S06. 부텔 Бутел
  • 파일:S07.슈토오리자리시_COA.png S07. 슈토오리자리 Шуто Оризари
  • 파일:S08.카르포시시_COA.png S08. 카르포시 Карпош
  • 파일:S09.조르체페트로프시_COA.png S09. 조르체페트로프 Ѓорче Петров
  • 파일:S10.사라이시_COA.png S10. 사라이 Сарај
파일:03.소피슈테시_COA.png 03. 소피슈테 Сопиште
파일:04.스투데니차니시_COA.png 04. 스투데니차니 Студеничани
파일:05.젤레니코보시_COA.png 05. 젤레니코보시 Зелениково
파일:06.일린덴시_COA.png 06. 일린덴 Илинден
파일:08.추체르산데보시_COA.png 08. 추체르산데보 Чучер-Сандево
파일:16.페트로베츠시_COA.png 16. 페트로베츠 Петровец
파일:71.아라치노보시_COA.png 71. 아라치노보 Арачиново
파일:북동부지방.png
북동부
파일:07.립코보시_COA.png 07. 립코보 Липково
파일:17.쿠마노보시_COA.png 17. 쿠마노보 Куманово
파일:18.스타로나고리차네시_COA.png 18. 스타로나고리차네 Старо Нагоричане
파일:19.란코프체시_COA.png 19. 란코프체 анковце
파일:20.크리바팔란카시_COA.png 20. 크리바팔란카 Крива Паланка
파일:21.크라토보시_COA.png 21. 크라토보 Кратово
파일:폴로크지방.png
폴로크
파일:02.브랍치슈테시_COA.png 02. 브랍치슈테 Врапчиште
파일:09.예구노프체시_COA.png 09. 예구노프체 Јегуновце
파일:10.테아르체시_COA.png 10. 테아르체 Теарце
파일:11.테토보시_COA.png 11. 테토보 Тетово
파일:12.브르베니차시_COA.png 12. 브르베니차 Брвеница
파일:55.젤리노시_COA.png 55. 젤리노시 Желино
파일:56.보고비네시_COA.png 56. 보고비네 Боговиње
파일:57.고스티바르시_COA.png 57. 고스티바르 Гостивар
파일:58.마브로보로스투샤시_COA.png 58. 마브로보로스투샤 Маврово и Ростуша
파일:남서부지방.png
남서부
파일:13.마케돈스키브로드시_COA.png 13. 마케돈스키브로드 Македонски Брод
파일:53.플라스니차시_COA.png 53. 플라스니차 Пласница
파일:54.키체보시_COA.png 54. 키체보 Кичево
파일:59.데바르시_COA.png 59. 데바르 Дебар
파일:60.첸타르주파시_COA.png 60. 첸타르주파 Центар Жупа
파일:61.스트루가시_COA.png 61. 스트루가 Струга
파일:62.베브차니시_COA.png 62. 베브차니 Вевчани
파일:63.데바르차시_COA.png 63. 데바르차 Дебарца
파일:64.오흐리드시_COA.png 64. 오흐리드 Охрид
파일:바르다르지방.png
바르다르
파일:14.차슈카시_COA.png 14. 차슈카 Чашка
파일:15.벨레스시_COA.png 15. 벨레스 Велес
파일:33.그라드스코시_COA.png 33. 그라드스코 Градско
파일:34.로소만시_COA.png 34. 로소만 Росоман
파일:35.네고티노시_COA.png 35. 네고티노 Неготино
파일:48.데미르카피야시_COA.png 48. 데미르카피야 Демир Капија
파일:49.카바다르치시_COA.png 49. 카바다르치 Кавадарци, Kavadarci
파일:동부지방.png
동부
파일:22.스베티니콜레시_COA.png 22. 스베티니콜레 Свети Николе
파일:23.프로비슈티프시_COA.png 23. 프로비슈티프 Пробиштип
파일:24.코차니시_COA.png 24. 코차니 Кочани
파일:25.마케돈스카카메니차시_COA.png 25. 마케돈스카카메니차 Македонска Каменица
파일:26.델체보시_COA.png 26. 델체보 Делчево
파일:27.비니차시_COA.png 27. 비니차 Виница
파일:28.체시노보오블레셰보시_COA.png 28. 체시노보오블레셰보 Чешиново-Облешево
파일:29.카르빈치시_COA.png 29. 카르빈치 Карбинци
파일:30.즈르노프치시_COA.png 30. 즈르노프치 Зрновци
파일:31.슈티프시_COA.png 31. 슈티프시 Штип
파일:32.로조보시_COA.png 32. 로조보 Лозово
파일:38.페흐체보시_COA.png 38. 페흐체보 Пехчево
파일:39.베로보시_COA.png 39. 베로보 Берово
파일:남동부지방.png
남동부
파일:36.콘체시_COA.png 36. 콘체 Конче
파일:37.라도비시시_COA.png 37. 라도비시 Радовиш
파일:40.바실레보시_COA.png 40. 바실레보 Василево
파일:41.보실로보시_COA.png 41. 보실로보 Босилово
파일:42.노보셀로시_COA.png 42. 노보셀로 Ново Село
파일:43.스트루미차시_COA.png 43. 스트루미차 Струмица
파일:44.발란도보시_COA.png 44. 발란도보 Валандово
파일:45.도이란시_COA.png 45. 도이란 Дојран
파일:46.보그단치시_COA.png 46. 보그단치 Богданци
파일:47.게브겔리야시_COA.png 47. 게브겔리야 Гевгелија
파일:펠라고니아지방.png
펠라고니아
파일:50.프릴레프시_COA.png 50. 프릴레프 Прилеп
파일:51.돌네니시_COA.png 51. 돌네니 Долнени
파일:52.크루셰보시_COA.png 52. 크루셰보 Крушево
파일:65.레센시_COA.png 65. 레센 Ресен
파일:66.데미르히사르시_COA.png 66. 데미르히사르 Демир Хисар
파일:67.비톨라시_COA.png 67. 비톨라 Битола
파일:68.크리보가슈타니시_COA.png 68. 크리보가슈타니 Кривогаштани
파일:69.모길라시_COA.png 69. 모길라 Могила
파일:70.노바치시_COA.png 70. 노바치 Новаци
}}}}}}}}}
[ 지도 보기 ]
파일:Map_of_the_north macedonia0.png

파일:비톨라 전경.jpg
시가지 전경. 두 미나렛은 각각 이샤크 첼레비 모스크와 예니 모스크
파일:비톨라.jpg
쉬록 소카크 (중심가)
비톨라
Битола

파일:Flag_of_Bitola_Municipality,_North_Macedonia.svg.png

도시 정보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북마케도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북마케도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펠라고니아 비톨라
시장 토니 콘자노프스키
면적 2,637km²
인구 105,644명
인구 밀도 26/km²
시간대 UTC+1 (GMT)[1]
위치
<nopad>

1. 개요2. 어원3. 지리4. 역사
4.1. 중세4.2. 오스만 제국4.3. 근현대
5. 랜드마크6. 자매도시

1. 개요

북마케도니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그리스와 맞닿아 있다. 아드리아해에게해, 중유럽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차로에 위치해 있어서 오스만 제국 시절 부터 많은 유럽 국가들이 비톨라에 영사관을 두어서 영사관의 도시로 알려졌다. 비톨라는 북마케도니아의 수도인 스코페, 쿠마노보에 이어저 3번째로 큰 도시이기도 하다.

2. 어원

비톨라라는 이름은 고대 교회 슬라브어인 ѡ҆би́тѣл҄ь에서 유래했으며 그 뜻은 수도원 또는 회랑을 의미한다.

3. 지리

비톨라는 드라고르 강이 도시를 가로질러 흐르며 바바 산의 산기슭에 있는 해발 615m의 고도에 위치해 있다. 바바 산 혹은 펠리스터 산은 해발 2,610m이며 마케도니아 소나무로 알려진 희귀한 소나무 종이 자라고 있다.

4. 역사

파일:비톨라 유적.jpg
헤라클레아 린케스티스 유적

역사적으로 비톨라 일대는 마케도니아인들이 살았다. 하지만 마케도니아 왕국의 국왕인 필리포스 2세가 이 일대를 통일하고 비톨라 지역에 헤라클레아 린케스티스(Ἠράκλεια Λυγκηστίς)라는 도시를 건설하였다. 헤라클레아 린케스티스는 특유의 전략적 위치 때문에 매우 번영하였으며 이는 로마 제국동로마 제국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

4.1. 중세

비잔틴 제국이 쇠락하자 472년 동고트 왕국테오도리크 대왕의 침략을 시작으로 여러 부족들이 비톨라를 공격하였다. 결국 비톨라에 살았던 원주민들은 도시를 떠나고 그 자리를 슬라브인들이 차지하게 되었다. 슬라브인들이 비톨라에 정착하자 비잔틴 제국은 이들의 침략을 막기 위해 이 일대에 요새를 세우기 시작했고 이에 슬라브인들도 요새를 짓기 시작했다. 비톨라는 비잔틴 제국과 슬라브인들의 최전선이었고 10세기에는 불가리아 제1제국의 차르인 사무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비잔틴 제국은 비톨라를 탈환하기를 원했고 이에 1015년 불가리아군과 비잔틴 제국군이 비톨라에서 맞붙게 되었다. 결국 비톨라 전투에서 불가리아군이 승리하였고 결국 비잔틴 제국의 황제 바실리오스 2세는 불가리아의 수도 오흐리드에서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13세기 부터 힘을 키운 오스만 제국은 비잔틴 제국과 불가리아를 침략하였고 둘은 맥없이 멸망하였다.

4.2. 오스만 제국

파일:비톨라 모스크.jpg
1506년에 세워진 이사크 모스크

오스만 시기 비톨라는 모나스티르(Monastir)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모나스티르는 발칸 반도 남부 지역에서 테살로니키 다음으로 변영한 도시였으며 19세기에는 튀르크주의가 매우 번성하였다. 하지만 이 도시는 알바니아인들이 많이 살아서 알바니아 해방 비밀 위원회가 비톨라에 위치한 페힘 자발라니의 집에서 설립되기도 했다.

4.3. 근현대

19세기 후반부터 오스만 제국이 쇠락하자 주변 국가들은 비톨라를 호시탐탐노렸다. 제1차 발칸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하자 비톨라 일대를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가 나눠가졌다. 도시 부분은 세르비아가 가져갔다. 1991년 9월 8일 북마케도니아가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을 선언하자 비톨라는 자연스럽게 북마케도니아의 차지가 되었다.

5. 랜드마크

파일:예니 모스크 비톨라.webp
예니 코스크 (1558년 건립)와 시가지 전경
파일:비톨라 2.jpg 파일:비톨라 함자 베이.jpg
하이다르 카디 모스크 함자 베이 모스크
파일:비톨라 마흐무드.jpg
하지 마흐무드 베이 모스크
파일:프릴레프 2.jpg
헤라클레아 린케스티스 유적
  • 시로크 소카크 (Широк Сокак) : 비톨라에 위치한 보행자 전용 거리로 비톨라의 중심지로 여러 국가의 영사관이 위치해 있다.
  • 장교 홀 (Офицерски дом) : 오스만 제국 시절 만들기 시작해 세르비아 왕국이 완성한 건물로 유고슬라비아 국립군사청사가 들어섰다. 독립 후에는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군사청사가 들어섰다가 현재는 문화 정보 센터로 쓰이고 있다.
  • 성심 공동 대성당 (Црква Пресвето Срце Исусово) : 19세기 설립된 신 고딕 양식의 가톨릭 성당.
  • 시계탑 (Саат кула) : 1664년 이 일대를 다스리던 오스만 제국의 베이인 마흐무트 베이가 세운 시계탑으로 전설에 따르면 60,000개의 달걀을 모아서 껍질을 건축용 모르타르에 섞었다고 한다.
  • 하이다르 카디 모스크 (Ајдар Кади Џамија) : 오스만 제국을 대표하는 건축가 미마르 시난가 설계한 모스크로 1561년 완공되었다. 오스만 제국이 비톨라에서 물러나자 모스크는 버려졌으나 튀르키예 정부의 후원으로 2016년 11월 4일 다시 문을 열었다.
  • 오래된 바자르 (Стара Чаршија) : 16세기에 세워진 바자르로 현재 86개의 상점과 3개의 큰 철문이 있다.
  • 이샤크 셀레비 모스크 (Исак џамија) : 비톨라에서 가장 큰 모스크로 1506년에 세워졌다.
  • 매그놀리아 광장 (Плоштад Магнолија) : 비톨라의 중앙에 위치한 광장으로 오스만 제국 시절 주요 문화 중심지였다. 광장 중앙에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국왕이자 비톨라를 설립한 필리포스 2세의 동상이 있으며 마케도니아의 상징인 베르기나의 태양이 있는 분수가 있다.

6. 자매도시


[1] 서머타임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