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10:06:21

삼무일종법난

삼무일종폐불에서 넘어옴
한자 三武一宗法難

1. 개요2. 원인3. 진행과 결과4. 여담5. 관련 항목

1. 개요

중국사불교 용어 중 하나.

삼무일종법난(三武一宗法難)이란 중국 중세시기에 일어났던 네 번의 대대적인 불교 탄압(법난)을 일컫는 용어이다. 폐불이라고도 한다. 그래서 삼무일종폐불, 혹은 줄여서 삼무일종이라고 한다.
  • 북위(北魏) (太武帝) - 446 ~ 452
    황제가 도교를 신봉하여 빚어졌다. 다른 황제들과는 달리, 이쪽은 승려에 대한 대대적인 학살까지 이루어졌다.
  • 남북조시대 북주(北周) (武帝) (북주파불北周破佛) - 574 ~ 577
    황제가 문무백관을 모아 유불도 삼교를 논의하게 한 뒤, 유교를 제일로 놓고 도교와 불교를 탄압했다. 다만 도교에 대해서는 형식적이었다고.
  • (唐) (武宗) (회창폐불 會昌廢佛) - 840 ~ 846
    당의 개방적이던 사회 분위기가 국력이 쇠퇴해짐에 따라 차츰 폐쇄적으로 변하였고, 한참 흥성했던 불교에 대해 한유와 같은 유학자들의 비판이 강해졌으며, 결국 당무종 때에 불교 탄압책이 실시되었다. 이때에 불교뿐만 아니라 서역에서 전래된 모든 종교, 즉 경교(네스토리우스교), 현교(조로아스터교), 마니교도 모두 탄압을 당했다.
  • 오대십국시대 후주(後周) (世宗) - 954~959
    국가의 재정을 충당하기 위해서 일어났다.

이 네 명의 황제에 의해 일어났다고 해서 삼무일종이라고 부른다.

2. 원인

이러한 대대적인 종교 탄압이 일어나게 된 계기는 외래 종교인 불교에 대한 거부감, 중국 전통 사상인 유학도교의 반발, 불교 교단의 병폐, 세수와 노동력 및 병역인구의 확보, 위정자들의 의도 등이 꼽히고 있다.

여담으로, 삼무일종의 법난을 일으킨 네 황제 중 당무종을 제외하면 전부 명군의 반열에 드는 황제들이라는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 심지어 당무종도 최소한 당나라 최후의 개혁군주 정도로 평가받는다. 보통은 이들 군주들이 지배체제의 개혁과 정비, 중앙집권화와 한화 과정에서 불교를 장애물로 여기게 되면서 탄압이 시작된 편이다.

3. 진행과 결과

종교 탄압에는 강력한 물리력이 동원되었으며 불교 외에도 외래에서 들어온 3이교, 즉 경교(기독교 네스토리우스파), 현교(조로아스터교=배화교), 화교(마니교)가 모두 대상이 되어 박해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삼무일종이란 단어가 등장한 것은 불교가 가장 세가 강성했기 때문에 그만큼 피해도 많았고, 3이교에까지 박해가 가해진 것은 당무종의 회창폐불 때 뿐이며, 거기다 불교를 제외한 다른 종교는 이 박해를 견뎌내지 못하고 중국 내에서 거의 소멸해 버렸기 때문이다.(그래도 네스토리우스파의 경우 유목민족들에게는 여전히 세가 컸고, 마니교는 민중들 사이로 녹아들어가 각종 밀교의 기원이 된다.)

탄압의 결과 초기에는 남쪽에 비해 우세했던 북중국 일대의 불교가 크게 쇠락하였고 교종계열 불교 대신 달마에서 시작된 선종계열 불교가 중국 불교의 주류가 되었다. 사실 선종 역시 달마의 의발을 이은 혜가, 승찬이 북주파불도 견디며 포교하는 등 북쪽에서 발전했으나, 당나라 초기를 거치며 혜능의 남선종과 대비되어 신수의 북선종은 점차 세를 잃었다.

4. 여담

조선정도전태종 등에게 주도된 숭유억불과 일맥상통하는 구석이 있다. 다만 어느 쪽이든 불교 사원에 대한 폐쇄, 강제환속 조치 등이 이루어졌으나 대규모 학살이 벌어지지는 않았다.[1] 이러한 성리학의 불교비판론은 남송시대 불교세력에게 비난받았던 성리학의 시초 주희(주자)의 개인적인 경험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돌고 도는 박해 하지만 무종 때의 한유 등 주희 이전의 유학자들도 불교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였다.

다만 중국의 법난은 도교의 주도가 더 크다. 특히 당나라때는 도교의 흥성으로 불교가 쇠퇴했고, (마치 불교가 중국에서 고구려로 전해졌듯이) 도사들이 연개소문시대의 고구려에 파견되기도 했다고 전한다. 이런 분위기속에 고구려의 승려들은 백제신라로 망명하는데, 삼국유사연개소문[2]에 비판적인 태도와 심지어 도사들이 당나라의 첩자였다는 등의 설화는 이러한 불교계의 시각을 반영한 것이다. 불교안티방법 서유기에서 도교와 불교의 대립 그리고 (비교적) 도사=악[3] 승려=선[4]으로 묘사되는 것 역시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5]

북주 무제는 "이런 짓을 하면 불지옥간다"라는 승려들의 비난에 "백성들이 편할 수만 있다면 내 몸 불지옥에 가도 상관 없다"라는 위엄찬 태도로 받아쳤다. 과연 후대 불교 설화들에서는 소원대로 북주 무제를 불지옥을 보내서(...) 지옥에서 "불교를 박해하지 말껄.."하고 후회하고 있다는 디스성 이야기들이 덧붙여진다(...) 불교판 불신지옥인가

태무제 역시 44세에 끔살을 당했고, 무제(35세), 무종(32세), 세종(38세)은 요절했기에 "벌을 받았다"라는 식의 말이 꼭 덧붙여진다. 실제로 무제와 세종의 경우 손자가 다음 왕조들에서 찬탈을 당하고 그 왕조에서 통일이 이어진지라 정말 팔자가 제대로 사나웠다고 볼 수 있다.[6]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식으로 군주들의 수명을 사례로 들어 종교비판에 써먹는건 후대에도 불교를 비판할 때 똑같이 벌어진다.[7]

후주 세종의 경우 불상을 녹여 화폐인 주원통보(周元通寶)를 만들게 했는데 세종이 요절하자 당시 세간에선 “주원통보전이 유통되는 한 세종은 지옥에서 구제받지 못할 것”이라는 말이 돌았다고한다.지금은 극락 갔겠네 불교계에 한정해 중세의 '문화대혁명'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문화대혁명 시기에도 불교가 큰 박해를 받고 사찰을 비롯한 수많은 문화재가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이때는 멸불이라 부르며, 삼무일종과 멸불이라 묶어 부르기도 한다. [8]

5. 관련 항목



[1] 아무리 강경한 반불의식을 가진 유학자들도 적어도 "중놈들을 싹 다 죽여버리죠?" 라는 소리는 하지 않았다(...)[2] 삼국유사에 따르면, 세발처럼 유,불,선(도)가 균형을 이뤄야하는데 도교가 부족하다면서 도사들을 청했다고 한다. 천하삼분지계?[3] 대개 도사로 위장한 요괴들에게 붙어먹으며(다만 본인들도 요괴가 위장한 것인 줄은 몰랐다.) 승려들을 탄압하고 부려먹는 이들로 나온다.[4] 당초 주인공인 손오공만 해도 승려인 삼장법사를 모시고 있는 데다가 스토리도 삼장법사가 서역으로 불경을 가지고 가는 것이니 어쨌든 승려를 악으로 묘사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나마 유일하게 여행길 초반부에 승려가 악인으로 나오는 것도 있긴 한데 이것도 결국 요괴가 주지승으로 변장한 것으로 나오고 해당 절의 승려들은 그렇게까지 악인으로 나오진 않는다.[5] 단 서유기가 쓰여진 시기는 오히려 명나라 시기였다. 당나라 때는 오히려 노자가 국성인 이씨라며 도교를 대단히 숭상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중국과 한반도에서는 특정시기만 빼면 유불선(유교, 불교, 도교) 삼교를 모두 중시했기에 예를 들어 차지국 파트에서 손오공은 도교를 중시하고 불교를 박해한 왕에게 도교만 숭배하지 말고 삼교를 모두 중시하라는 충고를 한다. 또한 도교에서 최고존엄급인 옥황상제의 경우 손오공을 어쩌지 못해 굴욕을 겪기도 하지만 옥황상제 역시도 생전에 엄청난 공덕을 쌓았기에 지금의 자리에 있다며 불교식 해석을 통해 설명했고 옥황상제도 석가모니 앞에서는 기는 입장이라 불교를 우위에 쳐줬어도 도교를 마냥 폄하하지는 않았다. 그 외에도 천계측 인물들은 모두 선역이다. 출신까지는 그렇진 않아도 현재 천계에 있는 이들은 모두 선역.[6] 물론 당연히 이는 불교탄압의 응보는 아니다. 북주 무제의 경우 라이벌 국가인 북제가 자기 통치 시기 멸망시켜 북위 몰락 후 분열된 화북을 통일했고 그 자신은 제법 명군이었다. 단지 자신이 단명한 것이 문제였지... 후주 세종도 당애제부터 송태조까지 약 50년동안 다섯 왕조가 들어선 혼란기였음을 잊으면 안된다. 태무제도 최후가 좋지 않았을 뿐 정작 북위의 군주들 중에서는 가장 오래 살았고 주변 국가들을 정복하고 다니며 북위를 전진 이래 다시 한번 화북을 통일한 국가로 만든 명군이다. 특히나 오래 못가 망한 전진과는 달리 그래도 북위는 수십년 정도는 더 이어졌다.[7] 예를 들어 조선 성종때 승려가 되는걸 금지하는 금승법을 제정할 때 인수대비가 반대했는데 이 때 신하들은 "세조께서 불교를 숭상하셨지만 그리 오래 살지 못하셨고(50세) 예종께서도 그러셨는데 더 단명하셨습니다.(19세)" 라고 말했다. 헌데 아이러니하게도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멀리하며 금승법을 만든 성종 역시도 오래 못 살았다.(37세)취사선택이 이래서 나쁘다.[8] 문화대혁명 때의 불교박해가 삼무일종 보다 더한게, 대중들 앞에서 알몸으로 남녀 승려 및 민간인 남녀 간의 성관계를 강제하고 아기의 출산을 확인하는 짓까지 벌일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