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0:51:04

서울 버스 노원03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5bb02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파일:노원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1 02 03 05 08
09 11 13 14 15
}}}}}}}}} ||
파일:03(서울노원).png
금창운수 소속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노원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노원03.png
기점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석계역1번출구) 종점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하계역)
종점
첫차 05:30 기점
첫차 05:45
막차 00:10 막차 00:25
배차간격 20~35분
운수사명 금창운수 / 한마음교통 인가대수 5대
노선 석계역 - 공릉1동삼익아파트 - 대주아파트 - 공릉역 - 원자력병원입구 - 서울과학기술대 - 청솔7단지 - 경춘선숲길방문자센터 → 하계2동주민센터 → 장미아파트 → 하계역 → 경춘선숲길방문자센터 → 이후 역순

2. 개요

금창운수와 한마음교통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고 있는 마을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노원구 5번 마을버스 노선이 전신이다.
  • 2000년대 초반까지 진아교통에서 이 노선이 운행한 적이 있다.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노원03번으로 바뀌었다.
  • 한마음교통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시기 미상) 아마도 노원13번을 신설하면서 차량이 부족하게 되자 노원09번을 감차해서 공동배차를 한 것으로 보인다.

4. 특징

  • 태릉사거리에서 올라오는 1224번과 같이 경기기계공고, 동산고 학생들의 등하교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 예전에는 과기대생 수요도 많았지만, 노원13번이 새로 신설되면서 이 쪽으로 분산되었다. 물론 등교시간에는 그런 거 없고 제 시간에 들어가려면 이거라도 타는 게 낫다.
  • 석계역 버스정류장 개편 이전에는 굴다리 아랫부분에 따로 마을버스 정류장이 존재해서 노원03번과 노원04번을 타려는 손님들만 따로 줄을 섰지만, 버스정류장을 방향별로 두 개씩 나눈 후로는 우루루 몰려타고 있다.
  • 2018년 말에 경기기계공고 마을버스 정류장을 없애고 일반버스 정류장과 병합했다.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서 그런 것.
  • 석계역 1, 2번출구 정류장의 안내방송은 출구 방송이 아닌 각각 1호선석계역, 6호선석계역으로 방송한다.
  • 공릉역에서 석계역을 갈 때 한천교를 건너는 1136번보다는 이 노선이 3~5분가량 더 빨리 가니 참고. 이 노선을 포함해 노원04, 13번도 포함된다. 섬밭로의 교통흐름이 매우 원활하기 때문에 건민약국~삼익아파트 구간은 빠르면 3분내에 주파가 가능하다.그러나 석계역 방면의 대동아파트 정류장~한진한화그랑빌아파트 정류장에서 내부순환로로 들어가는 차량 행렬과 석계역으로 가는 차량행렬 및 신호체계 때문에 잘 못 꼬이면 3~5분을 대기할 수도 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노원03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4,577명 -
2014년 4,144명 ▽ 433
2015년 3,835명 ▽ 309
2016년 3,466명 ▽ 369
2017년 3,213명 ▽ 253
2018년 2,994명 ▽ 219
2019년 2,841명 ▽ 153
2020년 1,798명 ▽ 1,043
2021년 1,577명 ▽ 221
2022년 1,655명 △ 78
2023년 968명 ▽ 687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