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경기 ENEOS アジア 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 2017 2017.11.17. 19:00 | 도쿄 돔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중화 타이베이| ]][[틀:국기| ]][[틀:국기| ]] 대만 | 천관위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4 | 0 | 4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대한민국 | 임기영 | 0 | 0 | 0 | 0 | 0 | 1 | 0 | 0 | - | 1 | 4 | 0 | 6 | ||||||
승: 임기영 | 패: 천관위 | 세이브: 장필준 | ||||||||||||||||||||
양 팀 선발 라인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만 | 타순 | 대한민국 | |||||||||||||||||
포지션 | 선수명 | 선수명 | 포지션 | |||||||||||||||||
CF | 양다이강 | 1 | 박민우 | 2B | ||||||||||||||||
SS | 천제셴 | 2 | 정현 | 3B | ||||||||||||||||
LF | 왕보룽 | 3 | 구자욱 | RF | ||||||||||||||||
RF | 천쯔하오 | 4 | 김하성 | SS | ||||||||||||||||
1B | 주위셴 | 5 | 이정후 | CF | ||||||||||||||||
DH | 쑤즈제 | 6 | 김성욱 | LF | ||||||||||||||||
2B | 우녠팅 | 7 | 하주석 | 1B | ||||||||||||||||
C | 옌훙쥔 | 8 | 한승택 | C | ||||||||||||||||
3B | 궈푸린 | 9 | 최원준 | DH | ||||||||||||||||
SP | 천관위 | P | 임기영 | SP |
주요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결승타 | 이정후(6회말 2사 1루서 우측 3루타) | ||||||||||||||
3루타 | 이정후(6회) | |||||||||||||||
2루타 | 옌훙쥔(3회), 왕보룽(8회) | |||||||||||||||
도루자 | 정현(3회) |
투수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만 대표팀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ERA | |||||||||||||||
천관위 | 패 | 5.2 | 100 | 3 | 0 | 4 | 6 | 1 | 1 | 1.59 | |||||||||||||||
왕훙청 | 0.2 | 9 | 0 | 0 | 1 | 0 | 0 | 0 | 0.00 | ||||||||||||||||
펑스이 | 0.2 | 16 | 1 | 0 | 1 | 0 | 0 | 0 | 0.00 | ||||||||||||||||
왕야오린 | 1.0 | 11 | 0 | 0 | 0 | 1 | 0 | 0 | 0.00 | ||||||||||||||||
대한민국 대표팀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ERA | |||||||||||||||
임기영 | 승 | 7.0 | 109 | 2 | 0 | 3 | 7 | 0 | 0 | 0.00 | |||||||||||||||
박진형 | 0.2 | 16 | 1 | 0 | 1 | 1 | 0 | 0 | 0.00 | ||||||||||||||||
장필준 | 세이브 | 1.1 | 23 | 1 | 0 | 0 | 3 | 0 | 0 | 0.00 |
타자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만 대표팀 타자 기록 | ||||||||||||||||||||||||||
<rowcolor=#ffffff> 타순 | 선수 | 포지션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
1 | 양다이강 | CF | 유땅 | 유땅 | 중안 | 삼진 | |||||||||||||||||||||
결과 | 4타수 1안타 1삼진 | ||||||||||||||||||||||||||
2 | 천제셴 | SS | 우비 | 유땅 | 희번 | 볼넷 | |||||||||||||||||||||
결과 | 2타수 0안타 1볼넷 | ||||||||||||||||||||||||||
3 | 왕보룽 | LF | 우비 | 볼넷 | 볼넷 | 좌중2 | |||||||||||||||||||||
결과 | 2타수 1안타 2볼넷 | ||||||||||||||||||||||||||
4 | 천쯔하오 | RF | 우비 | 볼넷 | 유비 | 삼진 | |||||||||||||||||||||
결과 | 3타수 0안타 1볼넷 1삼진 | ||||||||||||||||||||||||||
5 | 주위셴 | 1B | 삼진 | 좌비 | 유비 | 3직 | |||||||||||||||||||||
결과 | 4타수 0안타 1삼진 | ||||||||||||||||||||||||||
6 | 쑤즈제 | DH | 1땅 | 우비 | 삼진 | 우안 | |||||||||||||||||||||
결과 | 4타수 1안타 1삼진 | ||||||||||||||||||||||||||
7 | 우녠팅 | 2B→3B | 3직 | 좌비 | 삼진 | ||||||||||||||||||||||
결과 | 3타수 0안타 1삼진 | ||||||||||||||||||||||||||
↑ | 린리 | PH | 삼진 | ||||||||||||||||||||||||
결과 | 1타수 0안타 1삼진 | ||||||||||||||||||||||||||
8 | 옌훙쥔 | C | 우2 | 삼진 | 삼진 | ||||||||||||||||||||||
결과 | 3타수 1안타 2삼진 | ||||||||||||||||||||||||||
↑ | 잔쯔셴 | PH | 삼진 | ||||||||||||||||||||||||
결과 | 1타수 0안타 1삼진 | ||||||||||||||||||||||||||
9 | 궈푸린 | 3B | 삼진 | 삼진 | |||||||||||||||||||||||
결과 | 2타수 0안타 2삼진 | ||||||||||||||||||||||||||
↑ | 천핀지에 | PH→2B | 유직 | ||||||||||||||||||||||||
결과 | 1타수 0안타 | ||||||||||||||||||||||||||
대한민국 대표팀 타자 기록 | |||||||||||||||||||||||||||
<rowcolor=#fff> 타순 | 선수 | 포지션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
1 | 박민우 | 2B | 좌안 | 투땅 | 유땅 | 중안 | |||||||||||||||||||||
결과 | 4타수 2안타 | ||||||||||||||||||||||||||
2 | 정현 | 3B | 좌비 | 볼넷 | 유땅 | 볼넷 | |||||||||||||||||||||
결과 | 2타수 0안타 2볼넷 | ||||||||||||||||||||||||||
3 | 구자욱 | RF | 볼넷 | 삼진 | 1땅 | 좌비 | |||||||||||||||||||||
결과 | 3타수 0안타 1볼넷 1삼진 | ||||||||||||||||||||||||||
4 | 김하성 | SS | 삼진 | 볼넷 | 볼넷 | 삼진 | |||||||||||||||||||||
결과 | 2타수 0안타 1득점 2볼넷 2삼진 | ||||||||||||||||||||||||||
5 | 이정후 | CF→LF | 3비 | 우비 | 우3 | 좌비 | |||||||||||||||||||||
결과 | 4타수 1안타 1타점 | ||||||||||||||||||||||||||
6 | 김성욱 | LF | 삼진 | 3땅 | |||||||||||||||||||||||
결과 | 2타수 0안타 1삼진 | ||||||||||||||||||||||||||
↑ | 류지혁 | PH | 볼넷 | ||||||||||||||||||||||||
결과 | 0타수 0안타 1볼넷 | ||||||||||||||||||||||||||
↑ | 안익훈 | PR→CF | 좌비 | ||||||||||||||||||||||||
결과 | 1타수 0안타 | ||||||||||||||||||||||||||
7 | 하주석 | 1B | 좌비 | 삼진 | 2땅 | ||||||||||||||||||||||
결과 | 3타수 0안타 1삼진 | ||||||||||||||||||||||||||
8 | 한승택 | C | 좌안 | 삼진 | 유직 | ||||||||||||||||||||||
결과 | 3타수 1안타 1삼진 | ||||||||||||||||||||||||||
9 | 최원준 | DH | 삼진 | 유땅 | 중비 | ||||||||||||||||||||||
결과 | 3타수 0안타 1삼진 |
득점 루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이닝 | 득점 루트 | 스코어 | ||||||||||||||
6회말 | 이정후의 우측 3루타로 1득점 | 대만 0 : 1 대한민국 |
경기 H/L |
▲승리투수 : 임기영(7이닝 무실점)
▲패전투수 : 천관위(5⅔이닝 1실점)
▲세이브 : 장필준(1⅓이닝 무실점)
▲결승타 : 이정후(6회말 1타점 3루타)
▲심판: 나코 카즈아키, 요시모토 후미로, 스기모토 다이세이, 고바야시 카즈히로
양팀 모두 극악의 빈타에 허덕였다. 한국이 낸 1점은 김하성의 볼넷 후 이정후의 3루타로 간신히 낸 점수로, 집중 안타 없이 산발적으로만 안타가 나왔다. 특히 구자욱의 부진이 뼈아팠다. 대만 역시 4회, 6회, 8회, 9회 등 계속해서 좋은 기회를 잡았으나 살리지 못하였다. 특히 8회 김하성의 엄청난 점프캐치 호수비가 없었다면 졌거나 최소한 승부치기까지 갔을 가능성이 높았다. 결승전에서는 집중력을 더 보여줄 필요가 있다.
====# 경기 내용 #====
1회초 양다이강, 천제셴, 왕보룽을 상대로 임기영이 공 9개로 깔끔히 막아내는데 성공했다.
1회말, 박민우가 내야안타를 때려내는데 성공하며 출루에 성공, 정현이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 났으나 그 사이에 박민우의 기가 막힌 주루플레이로 1사 2루가 되었다. 구자욱이 볼넷을 얻어내며 1사 1,2루의 찬스에서 김하성이 헛스윙 삼진으로 물러났고 이정후 타석때 와일드 피치가 나오며 2사 2,3루 득점권 찬스가 만들어졌으나 이정후가 뜬공으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2회초, 천쯔하오를 우익수 뜬공으로 돌려세우며 1아웃, 주위셴을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2아웃, 쑤즈제를 1루 땅볼로 처리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2회말, 김성욱이 스탠딩 삼진으로 물러났고, 하주석이 초구를 밀어쳤는데 워닝트랙 앞에서 잡히며 2아웃, 한승택이 안타를 때려내며 2사 1루가 되었다. 그러나 최원준이 높은볼에 허무한 스윙을 하며 삼진으로 이닝 종료.
3회초, 우녠팅이 초구를 공략했으나 정현이 하이점프캐치로 잡아내며 1아웃, 옌훙쥔이 2루타를 때려내며 1사 2루의 상황이 되었으나 궈푸린이 삼진 아웃, 양다이강이 3-0으로 볼넷을 준비했으나 5구째를 받아쳐 유격수 땅볼로 물러났다.
3회말, 박민우가 2-2에서 투수 정면타구로 1아웃, 정현이 볼넷으로 걸어나가며 1사 1루가 되었다. 히트앤 런 작전이 나왔으나 구자욱이 공을 방망이에 맞추지 못했고, 정현은 스타트가 너무 느렸기에 저지되며 2아웃이 되었다. 그리고 구자욱도 낫아웃을 당하며 이닝 종료.
4회초, 천제셴이 내야 땅볼로 1아웃되었으나 왕보룽이 볼넷으로 출루하는데 성공했다. 천쯔하오도 볼넷으로 출루하며 1사 1,2루가 되었다. 임기영이 흔들리자 선동렬 감독은 박진형을 불펜 대기를 시키며 만약의 사태를 대비했다. 주위셴이 친 타구가 큼지막하게 날라갔으나 김성욱이 잡아내며 2아웃, 쑤즈제가 친 타구가 우익수 뜬공이 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4회말, 천관위가 김하성을 볼넷으로 내보낸 후 이정후가 밀어쳤으나 펜스 앞에서 잡히며 1사 1루, 김성욱이 내야 땅볼로 2사 2루가 되었다. 하주석도 낫아웃 삼진으로 이닝이 종료되었다.
5회초, 우녠팅이 뜬공으로 물러나며 1아웃, 옌훙쥔이 삼진으로 물러나며 2아웃, 궈푸린도 헛스윙 삼진을 당하며 이닝 종료.
5회말, 한승택이 삼진으로 물러나며 1아웃, 최원준이 유격수 땅볼로 2아웃, 박민우가 유격수 땅볼로 물러나며 이닝 종료.
6회초, 양다이강이 초구를 공략해 김하성 옆을 빠지는 안타를 때려내며 무사 1루가 되었다. 천제셴이 희생번트를 성공시키며 1사 2루. 왕보룽이 고의사구에 가까운 볼넷으로 걸어나가며 1사 1,2루가 되었으나 천쯔하오와 주위셴이 땅볼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6회말, 정현이 유격수 땅볼, 구자욱이 1루수 땅볼, 김하성이 볼넷으로 출루하며 2사 1루. 이정후가 우익수 키를 넘기는 펜스 직격 3루타를 때려내며 선취점을 기록했다. 대만은 천관위를 내리고 왕훙청을 마운드로 올렸고 이에 한국은 김성욱 대신 류지혁을 올렸다. 류지혁은 풀카운트에서 볼넷으로 출루하며 2사 1,3루가 되었고 류지혁은 대주자 안익훈으로 교체되었다. 하주석이 땅볼을 치며 추가 득점은 하지 못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7회초, 쑤즈제가 삼진으로 물러났고, 우녠팅도 삼진으로 물러났고, 옌훙쥔도 삼진으로 물러나며 KKK로 이닝 종료.
7회말, 한승택이 유격수 땅볼로 물러나며 1아웃, 이후 대만은 왕훙청이 내려가고 펑스잉을 마운드에 올렸다. 최원준이 아웃되었으나 박민우가 안타를 때려내고 이어 정현이 볼넷으로 출루하며 2사 1,2루가 되었다. 구자욱이 뜬공을 때리며 이닝 종료.
8회초, 한국은 전날 등판해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던 박진형이 올라왔다. 대타 천핀제에게 정타를 맞았지만 김하성이 하이점프 캐치를 성공하며 1아웃, 양다이강이 삼진으로 물러나며 2아웃, 천제셴이 볼넷으로 걸어나가고 왕보룽이 유격수 키를 넘기는 안타를 때려내며 2사 2,3루가 되었다. 이후 박진형이 내려가고 장필준이 올라왔다. 천쯔하오가 풀카운트까지 만들어 냈지만, 결국 몸쪽공에 루킹삼진을 당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8회말, 대만은 마운드에 왕야오린을 올렸고 김하성을 삼진으로 돌려세우는데 성공한다. 이정후가 좌익수 정면타를 때려내며 2아웃, 안익훈도 뜬공으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9회초, 주위셴의 타구가 정현의 정면으로 가면서 1아웃, 쑤즈제가 안타를 때려내며 1사 1루가 되었다. 대만은 대타로 린리를 올렸으나 삼진으로 물러났고, 또다시 대타 잔쯔셴을 올렸으나 삼진으로 마무리 지으며 선동열 감독의 첫승이 달성되었다.
1. 여담
- TV조선은 김성근, 김정준 부자를 해설자로 초빙했다. 공교롭게도 이날 선발은 임기영(...)[1] 그 외 sbs 스포츠와 스포티비에서도 각각 특별 해설위원으로 이승엽과 이상훈을 초빙했다. 아쉽게도 평들은 그다지 좋지 못했다.
- 대만 CPBL 선발은 어웨이 유니폼을 입고 나왔는데[2] 사람들의 평은 전부 다 kt wiz인줄 알았다고...
경기가 끝난 후, 선수들이 모여 찍은 사진이 KBO 페이스북에 올라왔다. 일본과의 첫 경기에 지긴 했지만, 그래도 대만을 이겨 결승행은 확정지었으니... 어쨌든 모두 해맑아보이는 게 다행이라면 다행이라고 해야될 것이다.
[1] 김성근이 한화 감독으로 재임하던 2014년 말 임기영은 당시 KIA의 FA 선수였던 송은범의 보상선수로 기아로 이적했다. 임기영은 상무에서 전역한 후 2017년 KIA에서 아무도 기대하지 않은 4선발로써 어마어마한 활약을 했다. 그러나 정작 FA 당사자인 송은범은 기대에 못미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2] 대표팀 유니폼과는 별개의 유니폼이다. 자세한 내용은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