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4:41:27

선악의 저편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프리드리히 니체
,
,
,
,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0000>파일:F.니체.png 프리드리히 니체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오해와 논란 · 명언 · 사상 및 영향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CC0000>사상신은 죽었다 · 힘에의 의지 · 위버멘쉬 · 영원회귀 · 아모르 파티 · 거리의 파토스 · 데카당스
저작물 비극의 탄생 · 반시대적 고찰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 아침놀 · 즐거운 학문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선악의 저편 · 도덕의 계보 · 바그너의 경우 · 우상의 황혼 · 안티크리스트 · 이 사람을 보라 · 니체 대 바그너 · 권력에의 의지
관련 인물 바그너 · 쇼펜하우어 · 부르크하르트
}}}}}}}}} ||
선악의 저편
Jenseits von Gut und Böse
파일:Erstausgabe-des-Werkes-von-1886.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작가 프리드리히 니체
장르 철학
언어 독일어
발매일 1886년

1. 개요2. 상세3. 어록

[clearfix]

1. 개요

1886년 프리드리히 니체가 쓴 철학책. 원제는 『선악의 저편 : 미래 철학의 서곡 (Jenseits von Gut und Böse : Vorspiel einer Philosophie der Zukunft)』이다. 후기 철학의 시작을 알리는 책이며, 니체는 이 책에서 힘에의 의지를 주장한다.

2. 상세

니체는 자신의 대표작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지은 후, 자신이 그 책을 너무 문학적으로 썼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워졌고 그래서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좀 더 학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의 학문적인 글을 쓸 필요성을 느꼈고, 그렇게 쓴 책이 『선악의 저편』이다.

3. 어록

대중에 잘 알려진 대표적인 문장은 다음과 같다.
Wer mit Ungeheuern kämpft, mag zusehn, daß er nicht dabei zum Ungeheuer wird. Und wenn du lange in einen Abgrund blickst, blickt der Abgrund auch in dich hinein.[1]
괴물과 싸우는 사람은 그 싸움 속에서 스스로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당신이 심연을 오랫동안 들여다본다면, 심연 또한 당신을 들여다볼 것이다.

이 말에서 심연의 의미는 종교나 도덕 등 '절대적인 가치'를 말한다. 즉, 종교나 도덕과 싸우다가, 도리어 자기 자신이 신앙의 대상이 되어선 안 된다는 것을 말한다.[2]
[1] 영어로는 Beware that, when fighting monsters, you yourself do not become a monster... for when you gaze long into the abyss. The abyss gazes also into you. 또는 Battle not with monsters, lest ye become a monster, and if you gaze into the abyss, the abyss gazes also into you. 정도가 있고 일어로는 怪物と戦う者は、その過程で自分自身も怪物になることのないように気をつけなくてはならない。深淵をのぞく時、深淵もまたこちらをのぞいているのだ。 등이 있다.[2] 이것은 종교를 인민의 아편이라며 계도해야할 대상이라고 봤던 마르크스의 공산주의가 종교를 제거한후 사실상 새로운 광신적 믿음의 대상이된 것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