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12 16:33:19

선희왕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태조 후 혜종 후 [ruby(정종, ruby=定宗)] 후 광종 후
1
신혜왕후 류씨
2
장화왕후 오씨
3
신명왕후 유씨
4
신정왕후 황보씨
5
신성왕후 김씨
6
정덕왕후 류씨
1
의화왕후 임씨
1
문공왕후 박씨
2
문성왕후 박씨
1
대목왕후 황보씨
<rowcolor=#670000> 경종 후 성종 후 목종 후 현종 후
1
헌숙왕후 김씨
2
헌의왕후 류씨
3
헌애왕후 황보씨
4
헌정왕후 황보씨
1
문덕왕후 유씨
2
문화왕후 김씨
1
선정왕후 유씨
1
원정왕후 김씨
2
원화왕후 최씨
3
원성왕후 김씨
4
원혜왕후 김씨
5
원용왕후 류씨
6
원목왕후 서씨
7
원평왕후 김씨
<rowcolor=#670000> 덕종 후 [ruby(정종, ruby=靖宗)] 후 문종 후 순종 후
1
경성왕후 김씨
2
경목현비 왕씨
3
효사왕후 김씨
1
용신왕후 한씨
2
용의왕후 한씨
3
용목왕후 이씨
1
인평왕후 김씨
2
인예왕후 이씨
1
정의왕후 왕씨
2
선희왕후 김씨
<rowcolor=#670000> 선종 후 숙종 후 예종 후 인종 후
1
정신현비 이씨
2
사숙왕후 이씨
1
명의왕후 류씨
1
경화왕후 이씨
2
순덕왕후 이씨
3
문정왕후 왕씨
연덕궁주 이씨
복창원주 이씨
1
공예왕후 임씨
2
선평왕후 김씨
<rowcolor=#670000> 의종 후 명종 후 신종 후 희종 후
1
장경왕후 김씨
2
장선왕후 최씨
1
의정왕후 김씨
1
선정왕후 김씨
태자비 왕씨
1
성평왕후 임씨
<rowcolor=#670000> 강종 후 고종 후 원종 후 충렬왕 비
1
사평왕후 이씨
2
원덕태후 류씨
1
안혜왕후 유씨
1
정순왕후 김씨
경창궁주 유씨
1
제국대장공주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충숙왕 비 충혜왕 비 공민왕 비
1
계국대장공주
1
복국장공주
2
조국장공주
3
경화공주
4
공원왕후 홍씨
1
덕녕공주
2
희비 윤씨
1
노국대장공주
<rowcolor=#670000> 우왕 비 공양왕 비
근비 이씨
1
순비 노씨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순종의 제2왕후
선희왕후 | 宣禧王后
출생 연대 미상
김양검의 사저
사망 1126년 2월 22일
능묘 미상
재위기간 고려 태자비
미상
고려 연복궁주
미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경주 김씨
부모 부친 대경 김양검
(大卿 金良儉)
모친 미상
형제자매 미상
배우자 순종
종교 미상
거처 연복궁(延福宮)
작호 태자비(太子妃)
→ 연복궁주(延福宮主)
시호 화순공의선희왕후
(和順恭懿宣禧王后)
}}}}}}}}}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순종의 제2비. 시호는 순종 宣혜대왕과 宣 자 돌림이다.

경주 출신 대경(大卿) 김양검(金良儉)의 딸이다.

2. 생애

남편 순종이 태자일 때 결혼해 태자비가 되었다. 《고려사》 후비열전에 의하면 남편과 사이가 매우 좋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시아버지 문종이 심하게 그녀를 싫어하여 순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폐출되었다. 그런 까닭에 생전엔 왕후가 되지 못하고 대신 연복궁주(延福宮主)라 불리었다. 인종 4년인 1126년 2월에 사망하자 인종의 명에 의해 복권되었고, 태묘에서 제사를 지내고 순종의 묘실에 합사되었다.

남편인 순종과의 사이에 자식이 없어 태후시호를 받지 못했다. 인종이 宣 자 돌림 시호를 올리고 공의(恭懿)의 시호를 추가했고, 이후 고종이 화순(和順)의 시호를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