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성간 효과 / interstellar effects성간 효과는 성간먼지에 의해 발생하는 효과를 의미한다. 크게 성간 소광(AV)와 성간 적색화[ E(B-V) ]가 있다.
2. 상세
2.1. 성간 소광
성간 소광은 성간먼지에 의해 발생하는 겉보기 등급의 감소를 의미한다. 성간 소광을 계산하지 않는다면 별의 절대등급이 실제보다 작은 값으로 나와서 다른 값들을 계산하는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성간 소광을 추정하는 방법은 성간 적색화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2.2. 성간 적색화
항성에서 방출된 빛이 성간먼지를 거치며 짧은 파장[1]은 흡수되고, 긴 파장[2]만 남아서 색지수가 적색쪽으로 기우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나중에 절대온도를 추정하는데에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3] 성간 적색화는 J-K로 절대온도를 구한 후 B-V를 통해 절대온도를 다시 계산하여 역산할 수 있다. 이후[math(A_V = R_V \cdot E(B-V))]로 소광을 구한다. 은하수에서 RV는 보통 3.1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