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18 04:42:07

성종실록

조선왕조실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태조실록 정종실록 태종실록 세종실록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문종실록 단종실록 세조실록 예종실록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성종실록 연산군일기 중종실록 인종실록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명종실록 선조실록
(선조수정실록)
광해군일기
(중초본·정초본)
인조실록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효종실록 현종실록
(현종개수실록)
숙종실록
(보궐정오)
경종실록
(경종수정실록)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영조실록 정조실록 순조실록 헌종실록
제25대 제26대 제27대
철종실록 고종실록 순종실록
(순종실록 부록)
}}}
}}}}}}

<colbgcolor=#95153E><colcolor=#FFC224> 성종강정대왕실록
파일:성종 실록.jpg

1. 개요2. 내용3. 여담4.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성종실록(成宗實錄)은 조선 제9대 국왕인 성종 이혈(李娎) 재위(1469년 ~ 1494년) 25년 2개월 간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 총 297권 47책으로 구성되었다. 대한민국의 국보 제151호에 해당한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국가기록원에 소속된 역사기록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2. 내용

국사편찬위원회 성종실록 전문

정식 명칭은 성종강정대왕실록(成宗康靖大王實錄)이다.

1469년 11월부터 1494년 12월까지 성종의 재위 25년 2개월 간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으로, 성종이 사망한 지 4개월 후인 1495년(연산군 1년) 4월에 편찬을 시작하여 1499년 3월에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주요 편찬자는 신승선(愼承善), 성준(成俊), 이극돈(李克敦), 안침(安琛) 등이다.

조선 최초의 사화무오사화(戊午史禍)의 원인이 된 실록으로, 편찬 도중인 1498년에 성종 대에 사관을 지냈던 김일손(金馹孫)이 실록청에 제출한 사초에 전대왕 세조가 아들 덕종의 후궁 귀인 권씨와 귀인 윤씨를 강간하려 했다는 거짓말을 적은 것을 이극돈이 발견하고 추궁하던 중 그의 스승 김종직세조단종을 폐하고 왕위를 찬탈한 사실을 비난하여 쓴 조의제문(弔義帝文)과 화술주시(和述酒詩)까지 실려 있는 것이 원인이 되어 일어났다.

우리나라에서는 실록을 모두 완성한 후 거기에 사용된 사초들을 모두 씻어서 없애는 세초라는 작업을 하였는데, 성종실록은 이 세초 과정과 전말을 적은 기록물이 자세하게 남겨져 있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실록으로 유명하다. 1499년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완성한 후 이를 기초한 297권분의 사초(史草) 초고를 물에 씻어 없앤 전후 경위를 모두 적어 남긴 한국 최초의 세초록인 성묘보전세초록(成廟寶典洗草錄)이 현재까지 남아있다.

3. 여담

당시 영의정을 지내던 정창손과 호조 좌랑 이두의 집에 귀신이 나타난다는 소문에 대해 성종과 대신들이 논하는 장면이 기록되어 있다. 이 때 나온 기가 막힌 구마 방법(...)에 대해서는 조선왕조실록/에피소드 문서의 성종실록 부분을 참조.

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