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태조실록 | 정종실록 | 태종실록 | 세종실록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문종실록 | 단종실록 | 세조실록 | 예종실록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성종실록 | 연산군일기 | 중종실록 | 인종실록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명종실록 | 선조실록 (선조수정실록) | 광해군일기 (중초본·정초본) | 인조실록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효종실록 | 현종실록 (현종개수실록) | 숙종실록 (보궐정오) | 경종실록 (경종수정실록)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영조실록 | 정조실록 | 순조실록 | 헌종실록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
철종실록 | 고종실록 | 순종실록 (순종실록 부록) | }}} }}}}}} |
<colbgcolor=#95153E><colcolor=#FFC224> 고종태황제실록 | |
분량 | 52권 52책 |
기록시기 | 1863년 12월 ~ 1907년 7월 |
[clearfix]
1. 개요
고종실록(高宗實錄)은 조선 제26대 국왕이자 대한제국의 황제인 고종 이형(李㷩) 재위(1863-1907) 45년 간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이다. 총 52권 52책이다.정식 명칭은 고종통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명공대덕요준순휘우모탕경응명입기지화신열외훈홍업계기선력건행곤정영의홍휴수강문헌무장인익정효태황제실록[원문]이다.
2. 내용
국사 편찬 위원회 고종 실록 전문1863년 12월부터 1907년 7월까지 고종 재위 45년 간의 역사를 담고 있는 조선 왕조 실록으로, 일제강점기인 1927년 4월에 편찬을 시작하여 1935년 3월에 최종 완성하였다. 이왕직(李王職) 주관 하에 경성제국대학 교수 오다 쇼고(小田省吾), 이왕직 장관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 등이 중심이 되어 제작하였다.
고종실록에는 조선이 각국과 주고받은 여러 약장, 관제의 개폐, 관직의 차제(差除), 각사각영(各司各營)의 회계부, 폐단과 질고, 재변(災變), 진대(賑貸), 갑오개혁 이후의 조서, 칙령, 법률, 각령(閣令), 부령(部令) 등을 거의 망라하므로 한국 근대사 연구의 1차 자료 중 하나이다. 그러나 고종 실록은 이전의 조선왕조실록과는 다른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기존의 조선 왕조 실록이 실록 찬수청을 설치하고 사관이 기록한 사초와 승정원일기를 비롯한 정부 기록물, 시정기, 개인 문집 등을 총망라하여 초초, 중초, 정초의 단계를 거쳐 사고에 보관한 반면,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은 이러한 전통방식을 거의 따르지 않았다. 또한 최종승인과 검수를 일제 관리가 하였기에 당연히 일제의 의도가 많이 반영되었다.[2]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다른 실록들이 국보로 지정될 때 제외되었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목록에도 빠졌다.
또한 당시 한국의 일반 백성들이나 민족 운동가들이 남긴 기록물과 내용을 대조하여 일본 제국이 한국의 역사를 어떠한 방식으로 왜곡하려 했는가 하는 연구에서도 중요하게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