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17:14:31

을미사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3ba62><tablebgcolor=#e3ba62> 파일:대한제국 국장.svg명성황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3ba62,#2d2f34><colcolor=#b22222> 일생 <colbgcolor=#fff,#1f2023>생애
관련 문서 홍릉 · 어진
사건 · 사고 을미사변
평가 평가
기타 초상화와 사진 · 책봉 · 사치설 · 대중매체 }}}}}}}}}

대한제국 국권 피탈 과정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75년 9월 20일 운요호 사건 일본의 근대적 군사 도발
1876년 2월 27일 강화도 조약 최초의 근대적, 불평등 조약 체결
1882년 7월 23일 임오군란 군란을 제압한 청군 주둔
1882년 8월 30일 제물포 조약 군란을 이유로 일본공사관 경비 병력 주둔
1884년 12월 4일 갑신정변 일본의 지원을 받은 급진개화파의 정변, 청군에 의해 진압
1885년 1월 9일 한성조약 갑신정변으로 입은 피해에 대한 사과 및 배상을 요구하는 일본의 함대 무력 시위. 이로 인한 조선과 일본의 협상
제물포 조약에 의거한 경비 병력 주둔 재확인
1885년 4월 18일 톈진 조약 갑신정변 이후 조선에 대한 청일 양국의 논의
파병된 청일 양국 군대 철수 및 향후 조선 출병시 상호 통지
1894년 7월 23일 갑오사변 동학 농민 혁명 진압을 위해 청나라에 파병 요청, 제물포 조약톈진 조약을 빌미로 일본이 파병
전주 화약 후 조선의 양국 군대 철수 요청
이를 무시한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친일내각을 구성하고 갑오개혁 추진
1894년 7월 25일 청일전쟁 서해 아산만 풍도에서 일본군이 청군을 기습하며 전쟁 발발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에 반발한 동학의 2차 봉기
1895년 4월 17일 시모노세키 조약 청일전쟁에서 일본의 승리로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종주권 상실
1895년 4월 23일 삼국간섭 러시아, 독일, 프랑스의 압력으로 일본이 요동반도 반환
친일내각의 붕괴와 친러파의 대두
1895년 10월 8일 을미사변 일본이 명성황후 살해 후 친일내각을 재구성 하고 을미개혁 추진, 이에 항거한 을미의병의 발발
1896년 2월 11일 아관파천 고종이 감금돼 있던 경복궁을 탈출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망명
친일 내각 몰락, 친러 내각이 구성되고 근대화 추진과 대한제국 구상
1896년 5월 14일 베베르-고무라 각서 일본제국이 한반도 세력권은 러시아 제국에 포함됨을 공인함.
러일 양국이 각국의 군대를 조선에 파견하는 것을 동의함.
1896년 6월 9일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 일본제국과 러시아제국은 조선이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차관을 도입하고자 한다면 합의하에 제공하고, 러시아와 일본에 한반도 내 전신선의 보호권이 있음을 명시. 양국은 한반도에서 소요사태 발생시 군대를 투입할 권한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함.
1897년 10월 12일 대한제국 선포 경운궁으로 환궁했던 고종이 황제에 오르고 제국을 선포, 광무개혁 추진
1898년 4월 25일 니시-로젠 협정 러시아와 일본 간 협정. 대한제국에 대한 내정 불간섭, 대한제국의 군사적 지원 요청 시 상호협상 없이는 응하지 않을 것, 한일 양국 간 경제적 교류에 대해 러시아가 저해치 않을 것을 약속
1902년 1월 30일 1차 영일동맹 일본이 대한제국에 특별한 이익이 있다고 영국이 승인
1904년 1월 21일 대한제국 중립선언 대한제국은 러·일간 전쟁 시 중립임을 세계 각국에 선언
1904년 2월 8일 러일전쟁 일본군의 러시아군 기습 공격으로 전쟁 발발. 일본군의 인천, 부산, 마산, 원산 상륙과 서울경운궁 점령
1904년 2월 23일 한일의정서 일본군의 대한제국 거점 주둔
1904년 5월 31일 대한시설강령 발표 일본의 대한제국에 대한 이권 강화
1904년 8월 22일 한일 외국인고문 용빙에 관한 협정서
(제1차 한일협약)
외국인 고문을 두어 일본이 국정에 간섭(고문정치)
1905년 4월 1일 한일통신기관협정서 대한제국의 통신 주권 침해
1905년 4월 16일 대한제국군 감축 일본의 강요로 친위대 해산, 시위대진위대 감축
1905년 7월 29일 가쓰라-태프트 밀약 일본이 대한제국에 대해 종주권, 외교권을 대행할 것을 미국이 승인
1905년 8월 12일 2차 영일동맹 일본이 대한제국에 대해 정치상⋅군사상⋅경제상 특별한 이익이 있다고 영국이 승인
1905년 8월 13일 한국 연해 및 내하의 항행에 관한 약정서 대한제국의 연근해 주권 침해
1905년 9월 5일 포츠머스 조약 일본이 대한제국에 대해 관리, 감독, 보호할 것을 러시아가 승인
1905년 11월 17일 을사조약
(제2차 한일협약)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 일본인 통감이 외교권 행사(통감정치), 한국의 보호국
을사의병 발발
1907년 7월 20일 고종 황제 퇴위 헤이그 특사를 파견한 고종 황제가 이토 히로부미의 협박으로 강제 퇴위, 순종 황제 즉위
1907년 7월 24일 정미 7조약
(제3차 한일협약)
일본인 차관의 내정 간섭(차관정치)
부속각서에 대한제국군 해산 명시
1907년 8월 1일 대한제국군 해산 시위대 해산을 시작으로 8~9월 진위대 해산
남대문 전투, 정미의병 발발
1909년 7월 12일 기유각서 대한제국의 사법권⋅교도 행정권 박탈, 일본이 대행
한국의 속령
1909년 9월 1일 남한대토벌 10월 말까지 두달에 걸친 일제의 남한 내 모든 의병 소탕, 항일의병의 만주 이동
1909년 9월 4일 간도협약 조선과 대한제국의 간도영유권 시도 전면 수포화, 일본의 만주 철도부설권 확보
1910년 6월 24일 한일약정각서 대한제국의 경찰권 박탈, 일본이 대행
1910년 8월 29일
(체결일 8월 22일)
경술국치
(한일병합조약)
대한제국 멸망, 한반도의 식민지화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제2조 (a) 일본은 한국의 독립을 인정하고, 제주도, 거문도 및 울릉도를 비롯한 한국에 대한 일체의 권리와, 소유권 및 청구권을 포기한다.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 제2조 1910년 8월 22일 및 그 이전에 대한제국과 대일본제국간에 체결된 모든 조약 및 협정이 이미 무효임을 확인한다.
}}}}}}}}} ||
을미사변
乙未事變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파일:external/news.chosun.com/2007101800908_0.jpg
▲ 사건 현장인 경복궁 건청궁 곤녕합 옥호루
일시
1895년 10월 8일
장소
조선 한성부 북서 경복궁
교전 세력
조선군 시위대
조선군 무예청
일본군 주조선일본공사관 수비대
일본 육군 경성 수비대
한성신보
조선군 훈련대
지휘관
대조선국 대군주 고종
궁내부대신 이경직
조선군 훈련대 연대장 홍계훈
조선군 시위대 교관 윌리엄 다이
주조선일본공사 미우라 고로
주경성일본총영사 우치다 사다쓰치
한성신보사 사장 아다치 겐조
조선군 훈련대 제1대대장 이두황
조선군 훈련대 제2대대장 우범선
피해
사망 3명 이상[1]
부상 불명
사망 불명
부상 불명
결과
명성황후 사망
김홍집 내각 출범
을미개혁 단행
후속 사건
을미의병, 춘생문 사건, 아관파천, 경운궁으로 이어(移御)

1. 개요2. 명칭3. 배경4. 진행5. 사건 이후6. 흥선대원군의 가담7. 황후에 대한 능욕8. 황후의 생존 오보9. 당대 기록10. 일본 사회의 인식11. 대중 매체에서12. 여담13. 관련 인물들의 행보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KBS 특별기획 110년 만의 추적, 명성황후 시해사건
우리는 세계사에 전례가 없는 범죄 사실과 마주하고 있다.
카를 베베르


일본어: [ruby(乙未事変,ruby=いつびじへん)]

1895년 10월 8일 당시 조선 주재 일본 공사인 미우라 고로를 중심으로[2][3] 일본군 공사관 수비대와 경관, 일본군 경성 수비대 일부[4], 일본인 낭인들[5], 조선군 훈련대[6]경복궁에 무력으로 침입하여 명성황후를 포함한 조선인 궁중 인사들을 집단 살해 한 사건.

국내 학계의 다수 견해는 을미사변의 배후가 이토 히로부미 당시 일본 총리[7] 내각의 각료 및 원로들이었고 미우라 고로 직전에 조선 공사였던 이노우에 가오루가 구체적인 계획을 만들었다는 것이다.[8] #

일본은 이 사건으로 러시아 제국을 통해 일본 제국의 침략을 막으려 했던[9] 고종의 가장 큰 조력자인 명성황후를 살해하고 다시 친일 대신으로 내각을 구성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이 사건으로 일본에 대한 민중의 반감은 극에 달해 을미의병이 발발하고 경복궁에 감금되었던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탈출했다.

일본은 흥선대원군[10]을 앞세워 을미사변을 조선의 내부 분쟁 사건이고 살해범은 우범선으로 꾸미려 했지만 미군 다이 대령과 러시아 건축 기사 사바틴 등 외국인들이 현장을 목격하고 공사관과 외신에 사실을 알렸고 각국의 공사관이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여 우범선이나 조선인이 아닌 일본인 장교와 낭인들이 명성황후를 살해했음이 밝혀졌다.[11]

2. 명칭

당시에는 '을미의 변(乙未之變)'으로 주로 불렀으며 현대에는 을미사변(乙未事變), 명성황후 살해 사건, 명성황후 시해 사건 등으로 불리고 있다.

이 중 '시해(弑害)'라는 표현은 잘못된 용어라고 보는 사람들이 많다. 원래 시해의 표현은 신하가 임금이나 왕비를 죽이거나 자식이 부모를 죽이는 것으로 쓰여왔는데 외국인이 타국의 왕을 죽인 사례를 시해라 쓴 사례는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 당시 이를 보고한 일본 문서에서도 살해라고 표현하였으나[12] 일제는 우범선 등이 명성황후를 죽였다고 순종이 증언한 것으로 조작, 이를 선전하여 '민비 시해'라는 표현을 썼다. 현대에 와서 교과서 등에서 민비는 명성황후로 고치고 살해로 표기하나 시해도 아직 쓰이고 있다.

을미사변에는 조선인 협력자도 분명히 있었지만 이들은 광화문을 돌파한 후 강녕전에 대기하던 흥선대원군을 호위하며 대기했고 건천궁 내에는 진입하지 않았다. 살해 현장인 건천궁에 진입한 이들은 일본 장교와 낭인들이었고 재판과 보고서에서도 일본군 장교와 낭인들이 칼로 찔렀다고 하지 조선인이 칼로 찔렀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다.

명성황후 '시해' 표현은 조선인이 죽였다는 뜻
‘시해’ 사건이 아니라 ‘살해’ 사건이 정확한 표현이다.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아니라 '참살'로 바꾸어야
'명성황후 시해'라고 적으면 조선인이 조선의 왕비를 죽였다는 뜻

3. 배경

영화 한반도 중에서
서기 1894년 청일전쟁을 일으키며 경복궁을 점령한 일본은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을 파기하고 조선 정부에 친일 내각을 구성시켰다. 전쟁에서 북양군을 와해시킨 후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여 조선의 '자주, 독립' 및 요동 반도타이완 섬 할양, 그리고 전쟁 배상금을 받아냈다. 그러자 러시아독일, 프랑스를 끌어들여 일본에게 요동반도를 청나라에 반환할 것을 요구했고 3개 열강의 압박으로 일본은 요동반도를 반환하였다.

그동안 러시아와 우호적인 외교를 해 왔던 고종과 명성황후는 러시아를 통해 일본을 견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러시아 공사 카를 베베르를 자주 불러 조-러 간의 공조를 논의했다. '인아거일(引俄拒日, 아라사와 가까이하고 일본을 멀리한다)' 노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친일 내각에 대한 축출을 단행했다. 일본 공사관 및 일본인 고문단의 지지를 받던 어윤중, 김윤식 등 친일 성향의 관료들이 고종과의 마찰, 박영효가 주도한 조의연 파면 등에 책임을 물어 축출되었고 이완용[13] 중심으로 한 친러 성향의 관료들이 중용되었다.

그러자 친일 대신이었던 박영효명성황후가 자신의 숙청을 계획하고 있다는 정보를 얻은 뒤 명성황후의 암살을 모의하지만 이후 을미사변에 가담하는 유길준의 내부 고발로 인해 실패하자 일본으로 도주했다.[14] 박영효가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혐의로 수배되면서 상당수 친일 관료들이 중앙에서 쫓겨나게 되어 일본의 입지는 한없이 좁아졌다.

망명한 박영효의 말에 따라 일본은 조-러 간의 비밀 협약 의혹을 점점 신빙성 있게 여겼다.[15] 이에 따라 일본의 향후 외교 방침 전환을 위해 이토 내각과 정계, 육해군부 내에선 갑론을박이 오갔는데 이때 유신 지사이자 당시 조선 공사 이노우에 가오루의 오랜 정적이었던 다니 다테키의 추천을 받아 새로이 조선 공사로 부임한 퇴역 육군 중장 미우라 고로[16]가 조-일 외교의 전면에 등장하고 배후로 추정되는 일본 당국 관계자들은[17]은 미우라로 하여금 명성황후를 해함으로써 국면을 전환하고자 했다.

4. 진행

긴급입수! 러시아 비밀문서 명성황후 최후의 날
연이어 친일 관료가 실각되자, 미우라의 전임인 일본 공사 이노우에 가오루가 직접 입궐하여 고종과 황후에게 상당한 거액의 자금을 바치고 부임 직후 약속했던 것처럼 일본은 언제나 조선 왕실의 안전과 통치권을 보장한다며 협조를 부탁했다. 하지만 고종 내외는 거절하였고, 은밀히 러시아에 원조를 요청하는 동시에 박영효를 비롯한 친일 내각을 실각시키고 새로운 친러 내각을 구성했다. 이에 대해 일본 측은 조선에서의 영향력 회복을 위해 명성황후를 살해할 계획을 논의했다.

1895년 7월 8일, 야마가타 아리토모 육군대신은 무쓰 무네미쓰 외무대신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냈다.[18]

파일:야마가타 편지 원본.jpg
별첨한 글을 보고 실로 경악해 마지않았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확실한 것은 세외(世外·이노우에 가오루 공사) 백작을 즉각 도한(渡韓)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19]

내외(內外·고종 부부)에 대해 방관 좌시 하는 것은 도저히 참을 수 없는 일입니다.

묘의(廟議·각의)에서 결정(決定)되는 대로 단행(斷行)하시기를 희망(希望)합니다'

야마가타 아리토모 #

한국 학계에서 을미사변 배후설의 증거라고 평가받는 이 편지[20]가 쓰인 7월 8일 이후 조선 공사는 유신 지사 이노우에 가오루에서 존재감 없는 미우라로 교체되었다.[21][22]

6월 25일부터 7월 1일까지 이노우에 가오루가 사이온지 외무대신 대행 및 주요 관계자들에게 조선 자금 지원, 재정, 철도, 전신, 그리고 논란이 된 주둔군 교체 여부 등에 대해 의견서를 제출했다. 대부분 6월 4일 각의 결정 사항과 비슷한 유화책이 주요 골자였다.[23]

7월 17일 훈련대의 충성심을 의심한 고종은 자신과 명성황후가 신임하던 홍계훈을 새 훈련대 연대장으로 임명했다.

9월 1일 , 이노우에를 대신해 일본 육군 중장 출신인 미우라 고로가 새로운 조선 주재 일본 공사로 부임했다. 하지만 미우라는 이노우에와 같이 입궐해서 고종을 만났고 독실한 불교 신자인 척 연기를 하였다.[24] 조선 왕실의 경계를 돌리려는 위장술이었다.[25]

부임한 미우라는 명성황후 암살을 위해 공사관 1등 서기관 스리무라 후카시[26], 조선국 군무 고문 겸 주재 무관 구스노세 유키히코 중좌 등 일부 측근들과 협력하며 우치다 경성 총영사를 소외시키고 새로운 실무 라인을 구성했다.

9월 24일 무쓰 무네미쓰의 병환 악화와 이노우에 가오루의 2선 후퇴로 외무대신 대행을 맡게 된 사이온지 긴모치가 멋대로 육군 경성 수비대의 통제권을 장악하려던 미우라의 행동에 불쾌감을 표시했다.

10월 3일 일본 공사관 지하실에서 황후 암살 계획이 구체적으로 짜였다. 흥선대원군과 친밀한 관계에 있던 궁내부 고문이자 일본 공사관 무관인 오카모토 류노스케 육군 대위가 대원군을 데리고 경복궁에 들어가기로 했다.

동원된 낭인들은 주로 일본의 몰락한 사무라이 출신자였는데, 주로 한성신보[27]의 직원들로 사장인 아다치 겐조를 비롯해 편집장과 기자들, 그리고 구마모토현 출신 인사들이 참여했다.[28] 그리고 그 나머지는 (도쿄)제국대학[29] 출신의 극우 엘리트 학생들이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삼은 것은 나중에 일이 잘못되더라도 일본 정부와는 무관한 일로 발뺌하기 위한 속셈이었다.[30] 또한 사건을 조선 내부의 분쟁에 의한 결과로 만들려는 속셈에 따라 해산될 예정이었던 훈련대 대대장 3명을 끌어들였다. 훈련대 2대대장 우범선[31]이 이렇게 포섭된 인물로, 사전에 훈련대 해산 계획을 알게 된 뒤 훈련대를 양성한 일본인 교관들을 통해 미우라 공사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1대대장이었던 이두황은 우범선과 일본 공사관에 찾아왔다가 처음엔 거절했다가 미우라가 그러면 체포 구금 하고 중대장 이범내로 바꾸겠다고 협박해 가담자로 만들었다.[32] 3대대장은 이진호.

일본의 작전명은 '여우사냥'. 당초 계획으로는 10월 10일에 진행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10월 7일 일본 교관에게 훈련받은 훈련대는 사전 모의에 따라 순검을 상대로 고의로 충돌 사태를 일으켰고[33] 이에 고종은 훈련대 해산 결정을 내렸다. 급작스럽게 해산 절차를 밟게 되는 바람에 실행일을 10월 8일로 앞당겼다. 변경된 일자는 10월 8일 새벽 4시였지만, 이것 역시 틀어져 버렸다. 계획대로라면 흥선대원군은 적어도 새벽 3시에는 경복궁에 들어와 있어야 했지만 흥선대원군이 늑장을 부렸는지 아니면 강제로 끌고 오느라고 늦어졌는지는 몰라도 새벽 3시에야 공덕리(지금의 공덕동) 아소정(애오개역 부근)을 출발한 것이다.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에 도달한 것은 이미 전투가 한창 진행 중이었던 새벽 5시를 넘겨서였다. 그렇게 이미 아침이 가까운 시간이 되어 버린 탓에 예정과는 달리 많은 목격자가 생겨나게 되었다. 흥선대원군이 잠자던 중에 낭인들에게 납치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전후 사정을 미루어 볼 때 황후 해까지는 몰라도 폐위까지는 분명 가담했다.

일각에서는 흥선대원군이 일본의 의도를 따를 수밖에 없던 것은 일본이 대원군의 손자인 이준용[34]을 두고 협박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이는 전혀 근거가 없는 이야기고 흥선대원군이 이준용을 선호했던 것은 맞지만 이준용은 어디까지나 자신의 권력을 위한 꼭두각시로 세울 존재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저 당시 대원군과 고종, 명성황후의 사이가 그렇게 콩가루는 아니었고 대원군은 자신의 권력을 위해 외세와 손을 잡는 사람이 아니었다고 믿고 싶은 현재 사람들의 바람이 만들어낸 설 중 하나다.[35]

치밀했던 사전 계획과는 달리 사건은 상당히 엉성하게 진행되었다. 흥선대원군을 기다리는 사이에 일본 공사관 수비대 1중대는 장소를 착각해 낭인들과 우범선이 지휘하는 훈련대 제2대대와의 합류가 늦어졌다. 이들은 겨우 춘생문 앞에 집결한 뒤, 명성황후가 거처하는 건청궁을 향해 돌격했다.

오전 4시가 되자 일본 공관 수비대와 조선군 훈련대는 춘생문과 추성문 등을 포위했다. 이때 고종은 한바탕 소란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황후도 건청궁에서 벗어나 은신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하지는 않다. 상황이 급박해지자 고종은 이범진을 보내 미국러시아 공사관에 도움을 요청하게 했다. 이범진은 4m~5m나 되는 궁궐의 담장을 뛰어넘은 뒤 먼저 미국 공사관에 찾아가 도움을 요청하고 이어서 러시아 공사관으로 향했다.

4시 30분, 일본 공사관 일본군 수비대와 조선인 훈련대 병력 등 수백여 명, 이들과 합류한 일본인 낭인 3~40여 명, 그리고 미우라에게 을미사변을 부추긴 도카이 산시(東海散士) 당시 일본 중의원[36]의 숙소에서 나온 낭인 십수 명이 광화문에 집결해 전열을 다지고 한 번에 궁내로 돌격했다. 사다리를 타고 궁으로 침입하는 일본군과 반란군을 조선군 시위대[37]미국인 교관 윌리엄 다이의 지휘를 받으며 맞섰지만 무기와 탄약이 빈약하여 순식간에 무너지고 말았다.[38][39] 이때 훈련대 연대장 홍계훈[40]이 달려와 반란에 가담한 훈련대 병사들을 꾸짖고 제지하다가 일본군에게 사살당했다.[41] 시위대가 무너지는 와중에 끝까지 저항하던 무예청 무사들과 충성적인 경비 병력 200여 명은 흥선대원군이 입궐하자 혼란스러워하며 전투를 중단했다.

건청궁에서는 의화군이 총소리를 듣고 도망치자고 왕비께 간청했지만 왕비는 대비를 홀로 남겨 놓고 갈 수는 없다며 거절했다. 이에 정병하가 "두 분 전하는 안전할 것"이라고 안심시키며 그대로 머물게 했다.[42]

경비 병력의 저항이 멈추자 훈련대는 흥선대원군이 대기하고 있는[43] 강녕전 앞뜰에서 대기하고 낭인들은 건청궁으로 몰려가서 왕비를 찾으며 닥치는 대로 궁녀들을 잡아 행방을 캐물으며 머리채를 쥐어잡고 마구 구타를 가했다. 이때 고종의 외국인 고용자들도 일본 낭인들의 만행에 피해를 입었으며 세자빈 민씨(순명효황후)는 복부를 낭인에게 가격당하여 이후 병상에 누워 지내다가 세상을 떠났고 세자(순종)가 머리채를 잡혔다.

건청궁 곤녕합에 도착한 일본인 폭도들 앞에 궁내부 대신 이경직이 가로막았지만 권총에 맞았고 이어 낭인들의 칼에 두 팔이 잘려나가고 사망했다.[44] 그 뒤편 옥호루에는 황후와 궁녀들이 같은 복장으로 구분이 힘들도록 앉아 있었다.

이에 황후와 주위에 있던 황후로 의심되는 궁녀들을 전부 발가벗겨서 임신했던 흔적을 찾아 확인했다고 한다.[45][46]

폭도들은 황후를 찾아내기 위해 궁녀들의 상의를 벗겨 가슴 검사를 하고 이후 궁녀들의 머리채를 잡아 2m가 넘는 옥호루의 창문 너머로 한 명씩 던졌다.[47] 수많은 궁녀들이 죽어나가자 황후는 옥호루를 뛰쳐나와 장안당으로 달려갔다. 일본군 장교가 뒤쫓았고 복도에 대기하고 있던 낭인이 발로 차 황후를 넘어뜨렸다. 황후는 재차 뛰어 장안당 밖으로 나갔지만 그곳에서 붙잡혀 칼에 찔렸다.[48] 그리고 폭도들은 황후를 옥호루로 옮긴 후 미우라가 도착하기 전 국부 검사를 했다. 대체로 그 시각은 새벽 5시 50분에서 6시, 6시 정각 직후 등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시신을 두고 황후가 맞는지 확인을 거쳤다. 매천야록은 황후의 양녀가 된 고무라의 딸이 그 얼굴을 확인해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고 처음부터 초상화 혹은 사진을 들고 와서 궁녀들의 얼굴과 대조했을 것이라는 설, 혹은 마마 자국을 보고 확인했다는 설도 있다. 을미사변에 가담한 우범선의 진술을 기록한 《우범선 최후사》에서는 낭인들이 우범선을 데려와서 황후의 얼굴을 확인하게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을미사변에 가담했던 고바야카와는 왕비가 숨진 모습을 목격한 당사자로 훗날 이런 기록을 남겼다.
마침 그때, 시위대의 연대장인 현흥택(玄興澤)이 군복을 입은 채 다만 허리에 찬 칼만을 버리고 겁에 질린 걸음으로 나타났다. 어찌 이를 그대로 놓칠쏘냐?! 낭인들의 철권(鐵券)이 그에게 마구 내리 쏟아졌다. 그러나, 현흥택은 겨우 숨을 건져 도망하여 러시아 공사관으로 숨어버렸다. 재수 좋은 사나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고 있는 사이 곤녕합 방 안에 쓰러져 있는 부인이 민비라고 하는 사실이 누군가로부터 퍼뜨려졌다. 나는 직접 방안으로 들어가 그 쓰러져 있는 부인을 보았다. 이 부인은 아직 침소에서 나온 그대로였는지, 상체엔 짧은 속적삼을 입었을 뿐이고, 허리로부터 아래로는 백색 속옷을 입고 있었으나, 무릎으로부터 그 아래는 흰 살이 그대로 드러나 있었다. 잘 보니, 가냘픈 몸매에 유순하게 생긴 얼굴과 하얀 살결은 아무리 보아도 스물대여섯 살로밖에는 보이질 않았다.

죽었다기보단 인형을 눕혀 놓은 것 같은 모양으로 아름답게 영원한 잠이 들어 있었다. 가냘픈 손으로 8도(八道)를 움직여 군호(群豪)를 조종했던 민비, 그 사람의 주검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을 정도이다. 웅혼(雄魂)은 가서 돌아오지 않고, 방 안엔 주검을 지키는 단 한 명의 그림자도 없었다. 실로 처참을 극한 광경이었다. 민왕비(閔王妃)의 치명상은 이마 위에 교차된 2개의 칼날 자국에 있었던 모양이다. 누가 어떻게 손을 내리쳤을까? 오전 8시경이 되어서 모두들 제각기 들고 있었던 일본도(日本刀)를 담요에다 말아싸고, 나와 식자생(植字生) 두 사람의 것은 쿠마베(隈部)라고 하는 장한(壯漢)한테 지워서 광화문을 나왔다. 문을 나서니, 구경을 나온 한국인들이 문전(門前) 한 길에 구름처럼 모여서 놀란 눈으로 우리를 지켜보고 있었다. 우리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시치미를 떼며 지나가고 있었다. - 고바야카와 히데오(小早川秀雄)

일본 문서들을 보면 명성황후를 살해한 주범은 일본군 장교로 나온다.

을미사변 당일 우치다 사다쓰치 경성 총영사가 일본의 하라 다카시[49] 외무 차관에게 보낸 문서에 그 내용이 나온다.
살해당한 부녀 중 한 명은 왕비라고 하는 바, 이를 살해한 자는 우리 수비대의 어느 육군 소위로서..... 이러한 사실은 공문으로 보고 드리는 것도 결코 타당치 않아 극비리에 보고 드리는 바입니다. 부디 일람하신 후에는 태워 주시기 바랍니다.#

또 사건 1달 뒤 우치다 경성 총영사는 히로시마 지방 재판소 검사장에게 보낸 공전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적었다.
왕비는 먼저 우리 육군 사관의 칼에 맞고...
당시 경성 수비대에는 모두 4명의 소위가 있었는데 그중 살해 현장인 건청궁에 들어간 소위는 미야모토 소위가 유일했다.# 다만 이 재판은 세계가 주목하는 상황에서 일본 정부가 책임자로 장교를 내세웠을 것이기에 처음으로 칼로 찌른 자인지는 불확실하다고 보는 주장도 있다.

미우라 고로 공사는 아침에 경복궁에 들어와 고종을 알현하고 도중 밖으로 나와 직접 왕후의 시체를 확인한 뒤 낭인들에게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시체를 불태워 없애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후 미우라가 고종, 흥선대원군과 함께 3자 회담을 진행하는 동안 낭인들은 경복궁 뒤편 건청궁 동쪽 녹원으로 가서 시체에 기름을 끼얹고 불태웠다.

남은 유골은 훈련대에 소속된 윤석우가 몰래 빼돌려 산속에 묻었다가 나중에 다시 세상에 내놓았다고 한다.[50] 그러나 윤석우는 훗날 황후의 시신을 멋대로 처리했다는 누명을 쓰고 교수형에 쳐해졌는데 다시 복권되어 유족이 보상금을 지급받기도 하였다.

을미사변 직후 오전 11시 미우라는 사이온지 외무대신 대행에게 흥선대원군쿠데타를 일으켰다는 허위 보고를 보낸 뒤 하루 종일 조작된 내용의 보고로 일관하다가 그날 저녁에 보낸 마지막 보고에서야 사실을 실토했다. 그 직후 사이온지는 외무성 정무 차관이 이끄는 조사단을 파견해 정확한 사건 파악을 지시했다.

5. 사건 이후

드라마 명성황후 중에서
미우라 고로는 이후 고종과의 회담에서 노골적인 협박을 가하여, 김홍집으로 하여금 내각을 구성하게 했다. 그리고 《한성신보》는 흥선대원군이 입궐했다는 대문짝만한 기사를 내서 간밤의 사건이 흥선대원군명성황후 사이의 알력으로 벌어진 것으로 유도하려 했다. 또한 미우라 고로는 조선 외부와 군부에게 이번 사건에 일본은 관여하지 않았다는 증명을 요구해 이를 받아내는 데 성공했다. 김홍집은 자기가 서명하고 고종의 명의로 명성황후를 폐서인한다는 조칙을 발표했지만 이것이 되레 역풍을 불러일으켰다.

왕태자(훗날의 순종)는 폐서인 조칙에 반발하며 태자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거세게 항의했고 이에 놀란 김홍집은 폐서인 조치를 바꿔서 명성황후으로 승격시킨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민심이 급격하게 악화되었고 러시아 공사 카를 베베르를 중심으로 서양 각국도 명성황후 살해 사건의 책임을 추궁하여 국제 여론도 일본에 불리하게 돌아갔다.

이때 일본은 책임을 추궁당하자 '조선인 말을 어찌 그대로 믿냐'고 반박했지만 '이건 조선인이 말한 게 아니라 서양인이 본 거다!'라고 재반박당했다. 목격자가 좀 많았어야지(…).[51]

결국 명성황후 살해를 조선 내부의 권력 투쟁으로 속이려 했던 일본은 상황이 불리해지자 미우라 고로 등 사건 가담자 48명을 히로시마 감옥에 수감하고 재판에 회부했으나 일본 법정은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주장했고 이완용을 비롯한 친미파 관료들과 서구의 선교사, 외교관이 대거 개입된 고종 탈출 작전인 춘생문 사건이 터지자 '봐라, 구미도 조선에 개입하는데 왜 우리라고 개입 못 하냐?'며 사건 가담자 전원을 석방했다. 석방된 이들은 일본에서 애국자로 칭송받았고 이후에 출세 가도를 달리며 승승장구했는데, 혹자는 이를 보더라도 명성황후 살해의 배후에는 일본 정부의 입김이 개입했다고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52]
"유진 벨은 또 하룻밤을 궁중에서 보냈습니다. 왕은 밤에 두려움을 느끼고 선교사들을 부릅니다. 은 매일 밤 두 사람씩 고종의 침소 앞에서 권총을 들고 불침번을 서며, 내일도 그는 경호하러 갈 겁니다."
선교사 유진 벨의 아내 로티벨(Lottie Bell)이 1895년12월2일 어머니께 쓴 편지 출처

고종은 미국 영국계 선교사가 경호를 하는 것이 신변에 더 안전하다 느낄 만큼 신뢰하며 동시에 일본의 암살을 두려워했다. 식사도 철가방에 담은 후 자물쇠로 봉인된 선교사들이 제공하는 음식만 먹었다.[53]

이후 고종은 춘생문 사건을 거쳐 아관 파천으로 경복궁을 탈출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망명하였고 을미사변에 가담한 이들과 김홍집 내각을 잡아들였다.
고종의 경복궁 탈출 계획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 배경 <colbgcolor=#FFF,#1f2023>갑오사변 · 을미사변 · 삼국간섭 · 을미개혁
전개 1차 시도 (춘생문 사건) · 2차 시도 (아관파천)
관련 인물 정동파 이범진 · 이완용 · 이재순 · 이윤용 · 안경수 · 윤웅렬 · 윤치호 · 이하영 · 민상호 · 김홍륙 · 임최수 · 이도철 · 남만리 · 이규홍
친일 내각 김홍집 · 유길준 · 어윤중 · 김윤식 · 조희연 · 장석주 · 정병하 · 서광범 · 김종한
기타 인물 카를 베베르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 이진호
관련 장소 아라사공사관 (주한러시아공사관) · 미국공사관 (주한미국공사관) · 경복궁
기타 한러관계 · 조선 · 대한제국 · 러시아 제국 · 미국 · 일본 제국 · 독립협회 }}}}}}}}}


6. 흥선대원군의 가담

명성황후 축출을 원했던 흥선대원군은 일본과 손을 잡았다. 을미사변 전 8월 16일 일본인 궁내부 고문관 오카모토 류노스케는 공덕리에 있는 흥선대원군의 별장을 방문했다. 그는 별장 사랑에서 흥선대원군에게 자신들이 명성황후 일파를 축출해 주는 대신 '거사 후 대군주를 보필해 궁중을 감독하되, 정사는 내각에 맡겨 일절 간섭하지 말라'는 것, 그리고 이준용을 3년 기한으로 일본 유학을 보내라는 등 4가지 조건의 사실상 대원군의 정계 은퇴를 강요하는 각서를 제시하고 자필 확인을 받아냈다.[54] 실행 일자는 적당한 날을 택해 흥선대원군에게 통보해 주기로 했다.

일본은 출발에 앞서 명분 확보를 위해 흥선대원군으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 취지를 밝히는 고유문을 발표하게 하였고 그것을 한양 시내에 붙였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근일 소인배들이 어진 사람을 배척하고 간사한 무리를 기용하여, 유신의 대업을 중도에 폐지하고 5백 년 종사도 하루가 급하게 위기에 처해 있으니, 나는 종친으로서 이를 좌시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이번에 입궐하여 대군주(고종)를 보익하고, 사악한 무리들을 쫓아내 유신의 대업을 이루고, 5백년 종사를 지키려 하니, 너희 백성들은 안심하고 생업을 지킬 것이며 섣불리 경거망동하지 말라. 만일 너희 백성과 군사 가운데 나의 길을 막는 자가 있다면, 이는 큰 죄를 짓는 것이니 너희들은 후회하는 일이 없도록 해라.

을미사변 동안 흥선대원군경복궁강녕전에서 휴식을 취하며 사태의 진전을 봤다.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가 을미사변을 주도했고 실행 역시 일본인들이 했지만 흥선대원군은 명분 면에서 도움을 줬다.

미국인 선교사외교관이었던 호머 헐버트는 '한국의 죽음(The Passing of Korea, 1906년)'에서 이렇게 기술했다.
이런 까닭에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가 조선에서 맨 먼저 상의하고자 했던 사람이 전임 섭정(흥선대원군)이었다는 사정은 이해하기 쉽고, 흥선대원군은 문제 해결에 대해 단 한마디밖에 할 말이 없었다는 것도 확실하다. 20년 동안의 그(흥선대원군)의 경험은, 공사가 겨냥한 목표를 이루는 길은 하나뿐임을 그는 확신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미우라 고로 자작은 당연히 그 방법을 택하는 것을 꺼렸지만, 그도 마침내 그것이 유일한 현실적 계획임을 확신하게 된 듯하다.

그리고 1896년 1월 히로시마에서 열린 판결을 인용해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10월 8일 새벽 3시, 장사(壯士)들을 포함하는 일본인 대집단이 조선인 몇 사람들과 함게 한강에 가까운 흥선대원군의 거소로 가서 그와 함께 한성으로 향했다. 그들이 출발할 때, 그들의 우두머리가 사정에 따라 '여우'를 처리하라고 그들을 독려했다. 그 말의 분명한 뜻은, 황후가 죽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동이 틀 무렵, 그 무리는 광화문을 통해 궁궐에 들어갔고, 바로 대군주의 거처로 향했다.

캐나다 출신의 영국인 기자 프레더릭 매켄지는, '한국의 비극(The Tragedy of Korea)'에서 흥선대원군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드러냈다.
그들의 죄에 더해서, 일본인들은 그들의 입 노릇을 한 흥선대원군을 통해 살해된 명성황후의 기억을 더럽히고 낮추기 위해 온갖 짓들을 다했다.

그래서였는지 1898년 흥선대원군의 사망 때에도 아들인 고종은 장례식에 불참하여 부자간의 관계가 파국으로 치달았음을 알 수 있다.[55]

흥선대원군은 그전에도 권력을 탈환하기 위해서라면 일본뿐만 아니라 여러 세력과 손을 잡으려 했다. 임오군란 이후 청나라에 납치되기 전에도 대원군은 청나라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 임오군란 당시 일본 대사관이 습격당했기에 일본이 외교적으로 조선을 압박을 해 오면 청나라를 이용해 견제하겠다는 생각을 가진 게 대원군이었다. 그러나 대원군이 난의 주동자라는 고종 세력의 밀고로 그는 청나라로 압송되었고 이홍장고종을 택했다. 이후 고종이 일본을 통한 개화를 추진하자 도리어 청은 이를 견제키 위해 대원군을 조선에 돌려보냈다. 그러다 이번에는 반대로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났을 때 일본은 경복궁을 점령하고 김홍집 내각을 세운 후 민심을 잠재우기 위하여 대원군에게 손을 뻗었고 대원군은 주저 없이 그 손을 받았다. 더구나 그는 이때 고종을 폐위하고 손자 이준용을 왕으로 세우려고 했다. 그런데 실권은 김홍집 내각이 쥐고 있었고 자신은 그저 허수아비였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동학군, 청군과 함께 일본군을 협공하려고 했지만 평양성 전투에서 일본이 압도적인 대승을 거둬 실패로 돌아갔다. 이렇게 권력을 위해서 누구도 가리지 않고 손을 잡는 그의 행보를 보았을 때 자신의 가장 큰 정적인 명성황후를 제거해 준다는 일본의 제안은 달콤하게 들렸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미 고종과는 을미사변 이전에도 그가 주도한 폐위 시도로 인해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관계가 악화된 상태였다. 권력 때문에 사이가 틀어진 부자 관계가 조선 시대만 해도 상당한 편이긴 하지만[56] 흥선대원군이 비판받아야 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이전에 비슷한 기만을 당한 경험이 있음에도 일본과 결탁해 참여했다는 것이다.[57]

7. 황후에 대한 능욕

일본의 역사학자 야마베 겐타로(山辺健太郎, 1905~1977)는 1964년 《코리아 평론》 10월 호에 〈민비 사건에 대하여〉라는 논문을 발표하였고 1966년 2월 《일한 병합 소사(日韓倂合小史)》, 1966년 9월 《일본의 한국 병합(日本の韓國倂合)》을 발간했다. 그는 일한 병합 소사에서 '사체 능욕'이라는 표현을 처음으로 썼고, 이 책을 신학자 안병무가 번역하여 《한일합병사》로 1982년 한국에 출판되었다.
1895년 10월 7일 밤부터 다음 날 이른 아침에 걸쳐서, 대원군이 훈련대에게 호위되어 있는 동안 일본 수비대와 대륙 낭인의 무리가 칼을 빼들고 경복궁으로 밀고 들어가서 민비를 참살하고, 그 사체를 능욕한 뒤에 석유를 뿌려 불을 질러버린 것이다. - 한일병합사(1982)

야마베 겐타로가 무엇을 보고 《일한 병합 소사》에서 사체 능욕이라고 서술했는지 나오진 않지만 야마베 겐타로가 《일본의 한국 병합》을 서술하면서 에이조 보고서를 언급하였기에 에이조 보고서를 토대로 서술한 것으로 보인다.

쓰노다 후사코는 1988년 1월 발간한 《민비 암살(閔妃暗殺)》에서 '민비의 유체 곁에 있던 일본인들 중 나는 동포로서 도저히 글로 쓸 수 없는 행위를 한 것이 보고되었다.'고 서술하였다.

나카츠카 아키라(中塚明)는 1992년 《건건록의 세계(『蹇蹇錄』の世界)》에서 '사체를 능욕하고 불태워 버렸다'고 서술하였다.

해당 자료인 에이조 보고서의 작성자는 공무원이었던 이시즈카 에이조(石塚英藏)이다. 사이온지[58]의 지시를 받은 쓰에마쓰는 에이조에게[59] 사건의 전말을 보고하게 하였고 에이조는 을미사변 다음 날 이 보고서를 쓰에마쓰에게 보냈다.

이 '에이조 보고서' 에 국부 검사라고 하는 대목이 있다.[60]
四 実行者

コノ荒仕事ノ実行者ハ訓練隊ノ外守備隊ノ後援アリ。(後援ハ或ハ当ラザルガ如シ。) 尚守備隊ノ外ニ日本人二十名弱アリ。熊本県人多数ヲ占ム。(漢城新報社連)中ニ新聞記者數名又醫師商人モアリ 隨テ洋装和装相混ぜリ 岡本ハ大院君ト同時入城シ實行ノ任ニ當レリ 守備隊ノ将校兵卒ハ門警護ニ止マラズ門内ニ侵入セリ。殊ニ弥次馬連ハ深ク内部ニ入リ込ミ王妃ヲ引キ出シ二,三ヵ所刃傷ニ及ビ、且ツ裸体ニシテ局部検査(可笑又可怒)ヲ為シ最後ニ油ヲ注ギ焼失セル等誠ニ之レ筆ニスルニ忍ビザルナリ。 ソノ他宮内大臣ハ頗ル残酷ナル方法ヲ以ツテ殺害シタリト言ウ。右ハ士官モ手伝イタリシモ王トシテ兵士外日本人ノ所以ニ係ルモノノ如シ。大凡三時間ヲ費ヤシテ右荒仕事ヲ了ラシタル後、右日本人ハ短銃又ハ刀剣ヲ手ニシ、徐徐トシテ光化門(王城正門)ヲ出テ群衆ノ中ヲ通リ抜ケタリ。時巳ニ八時過ニシテ王城前ノ広小路ハ人ヲ以ツテ充塞セリ。

이 사건의 실행자로는 훈련대 이외 수비병의 후원이 있었다. (혹은 후원이 없었던 것 같다.) 다만 수비병 외에 일본인 20명쯤 있었다. 구마모토현 출신자가 다수를 차지하며 (한성신보사와 연관된)그들 중 신문 기자 몇 명과 의사, 상인도 있었다. 그래서 양장, 화장(일본 옷)이 서로 섞여 있었다. 수비대의 장교 및 병졸들은 궁궐 문의 경비 병력의 제지에도 멈추지 않고 문 안쪽으로 침입하였다. 특히 이들 무리들은 깊이 안으로 들어가 왕비를 끌어내 두세 군데 칼질을 하고(칼로 상처를 입히고 나서) 나체로 만들고 국부 검사(우습고 화가 치민다)를 하고 마지막으로 기름을 뿌려서 태워버렸다든가 하는 참으로 이를 쓰기가 염려된다. 차마 쓰기 어렵다. 기타 궁내대신은 몹시 잔혹한 방법으로 살해했다고 한다. 위는 사관도 돕기는 했지만 주로 병사 외 일본인들이 저지른 짓인 것 같다. 대략 3시간 남짓을 소비하여 위 막된 짓을 저지른 후 위 일본인들은 단총 또는 도검을 손에 쥐고 서서히 광화문(왕성 정문)을 나가 군중 가운데를 뚫고 나갔다. 그때가 벌써 8시가 지났고 왕성 앞에는 사람으로 가득 차 막혀있었다.[61]

칼로 상처를 입힌 뒤 나체로 만들고 국부 검사를 하고라고 되어 있다. 야마베 겐타로는 이를 두고 '사체 능욕'이라고 하고 쓰노다 후사코는 '민비의 유체 곁에 있던 일본인들 중 나는 동포로서 도저히 글로 쓸 수 없는 행위를 한 것이 보고되었다.'고 서술한 것이다. 이 표현을 두고 간음의 순화된 표현으로 본다면 살아 있었다면 강간으로도 볼 수 있고 죽었다면 시간으로 보기도 한다.

여기에 대해서 일본에서 국부(局部)가 다리 사이의 신체 부위를 지칭하는데 기록된 것은 1936년 아베 사다 사건이 시초이며 을미사변 당시에는 현재의 의미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반론도 있다.

혹은 '국부 검사'라는 것이 강간이나 시간까지는 아니고 간음하는 시늉을 했거나[62] 성기를 관찰하거나 만져서 능욕하였거나 임신 여부를 검사하였다는 해석으로 보기도 한다. 어느 쪽으로 보든 간에 에이조 보고서에 따르면 추악한 짓거리를 벌였다는 말이 된다.

소설가 김진명은 야마베 겐타로의 책을 본 뒤 당시 일본에서 외교사를 전공하던 권용석 씨를 통해 일본 국회 도서관 헌정 자료실에 있던 에이조 보고서 전문을 입수하고 소설 《황태자비 납치사건》에서 명성황후가 강간 살해 당한 것으로 묘사하였다.

파일:에조보고서.jpg

#

한편 서지학자 김종욱, 서울대 신용하 교수는 김진명의 강간 주장에 대해서 "상식에 위배되는 거짓 낭설"이라고 주장했다.#

8. 황후의 생존 오보

2013년 7월 1일, 정상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 인문학 연구소 연구교수는 독일 외교부 정치문서 보관소와 영국 국립 문서 보관소에서 '황후가 을미사변 때 죽지 않고 탈출했다'는 내용의 외교 문서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정 교수가 발견한 문서는 1896년 2월 6일 러시아 주재 독일 공사 후고 라돌린이 총리 앞으로 보낸 암호 문서 해독문인데 '러시아 외무대신 로바노프가, 자신의 정보에 따르면 죽었다고 이야기되는 조선의 황후가 아직 살아있다고 나에게 말했다.'고 한다. '한국 주재 러시아 공사(베베르)는, 황후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할 수 있는지를 한 명의 한국인으로부터 매우 비밀리에 요청받았다고 한다'고 적혀 있었다고 한다.

또한 한성 주재 영국 총영사 월터 힐리어가 보낸 문서도 발견했는데 이 문서에는 "대군주와 왕태자(순종)는 피살을 모면한 것 같다. 그리고 '대군주는 황후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말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는 것. 힐리어는 을미사변 직후 작성한 문서에서도 '일본인들이 궁녀 서너 명을 죽였으며, 황후는 사라졌는데 탈출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으며 이후 힐리어는 베베르의 방문을 받았는데 베베르가 황후의 생존 가능성이 있음을 말했다는 보고서도 작성했다고 한다.

과연 정 교수가 발견한 문서가 실제 사실을 말하고 있는 건지는 물음표가 달리기는 한다. 만약 황후가 탈출했다면 왜 이후에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았는지 쉽게 납득하기는 힘들다. 황후가 살아 있었다면 오히려 자신의 생존을 이후에라도 드러내서 일본을 궁지로 몰 수도 있었는데 왜 고종이나 명성황후가 그런 카드를 활용하지 않았을까? 명성황후는 이전 임오군란 때도 큰 난리통에 궁녀 옷으로 변장하고 궁을 탈출해 숨었고 조정에서는 황후 실종을 '사망'으로 공식 선포하여 황후의 국상(國喪)을 선포한 적이 있다. 만일 황후가 살았다면 임오군란의 해프닝이 그대로 재연된 셈인데 그때는 사태가 진정된 후 황후가 직접 돌아왔지만 이때는 그러지 않았다.

또 일각에서는 일본외교가에 역선전을 살포한 걸 독일영국이 착각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정 교수와 일부에서는 "당대 최강 대국인 독일과 영국이 일본의 역선전을 아무 확인도 않고 덜컥 믿고 본국에 보고했겠느냐??", "황후는 일본의 재암살 시도를 피하기 위해 숨어 살다가 곧 사망했을 것이다"라는 반론도 나왔다.

9. 당대 기록

1895년 10월 8일 아침에 우리는 대궐에서 나는 총소리를 들었다. 그때는 평화로운 때였기 때문에 그 소리가 틀림없이 불길한 징조임을 알 수 있었다.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알 수가 없었고 모든 것이 혼란스러웠다. 다만 일본 군대가 새벽 세 시에 대원군(임금의 아버지이며 왕비의 가혹한 적이다)을 호위하고 대궐에 도착하여 지금 대궐문을 지키고 있다는 것만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오후까지는 아무것도 알 수 없었다. 오후에 한 조선 양반을 만나자 그는 기절할 듯이 놀란 얼굴로 지금 막 왕비가 살해되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그 뒤 몇 시간 동안 좀 더 상세한 소식이 들려왔는데 이 소식은 확실한 것으로 굳어졌다. 그즈음에 대원군은 대궐에서 쫓겨나 시골집에 연금되어 있었는데, 그것은 그가 손자 편을 들어 임금에게 반대하는 음모에 가담했기 때문이다. 아무튼 그는 왕비에게 반대하는 음모꾼들의 지도자가 되어 그 무리의 앞장을 서서 대궐로 들어가 두 분 전하를 사로잡은 뒤에 왕비를 쫓아내는데 이미 그들과 합의를 한 것이었다.... 그런데 전해진 소식들은 갈피를 잡을 수 없는 것들이 꽤 있었는데 외국인 두 사람 곧 러시아 사람인 사바틴 씨와 미국인인 다이 장군이 그대 일어난 일을 거의 모두 보았던 사람들인데 이 두 사람은 다음과 같이 서로 맞아떨어지는 말을 하였다. 곧, 일본인 장교 휘하의 군대가 대궐 마당과 왕족의 처소를 에워쌌다는 것, 일본인 장교들이 대궐 마당에 저질러진 난폭한 짓을 눈으로 보고 있었다는 것, 그 모든 것을 일본인 '소시(壮士, 낭인)'나 직업적인 칼잡이들이 저지른 것임을 그들 모두가 알고 있었다는 점들이다. 서른 명쯤 되는 이 암살자들은 "왕비, 왕비 어디 있어" 하고 외치면서 왕족의 숙소에 들이닥쳤다.

공격 부대는 총을 쏜 뒤 아무런 저항 없이 대궐 안으로 쳐들어왔다. 의화군(의친왕)이 총소리를 듣고 도망치자고 왕비에게 간청했지만 대비를 홀로 남겨놓고 갈 수는 없다며 거절했다. 정병하가 "두 분 전하(고종, 명성황후)는 안전할 것"이라고 안심시켰다. 저자는 천한 사람이 왕비 덕에 출세하고 큰 은혜를 입었는데 의리라고는 눈곱만큼도 없이 암살자의 하수인이 됐다고 했다.

일본인 하나가 임금의 어깨를 잡고 밀어 제쳤다. 궁내부 대신 이경직은 전하의 눈앞에서 일본인에게 죽임을 당했다. 세자 저하도 일본인에게 붙들렸다. 그들은 저하의 모자를 찢어발기고 머리채를 끌어당겼다. '소시'는 왕비가 어디 있는지를 대라고 하면서 칼로 저하를 위협했다. 마침내 그들은 가련한 왕비를 찾아내서는 칼로 찔러 죽였다. 시체를 덮어 두었다가 궁녀들을 데려 와서 갑자기 그것을 보여주었다. 그러자 그들은 공포에 질려 '중전마마! 중전마마!' 하고 소리쳤다. 이것으로 충분했다. 이런 계략으로서 이 암살자들은 자기들이 원했던 사람들을 제대로 쓰러뜨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뒤에 곧 거기서 그다지 머지않은 작은 숲으로 시체들을 옮겼고 그 위에 등유를 부었다. 그리고 불을 붙였고 뼈 몇 줌만이 남았다.

이 사건 이후 고종은 독살의 공포를 느껴 음식을 거의 들지 않았다. 언더우드 부인이 음식을 만들어 임금에게 보냈다. 음식은 통에 담은 뒤 자물쇠로 잠갔다. 언더우드는 매번 자물쇠를 왕에게 전달했다. 그러던 그가 흥선대원군을 만났다. 을미사변의 주모자인 흥선대원군은 "그 좋은 음식을 왜 전하에게 드리오? 늙은 내게 그 음식이 더 필요하오"라고 했다.
릴리어스 호턴 언더우드 '상투 튼 사람들과 함께한 15년(Fifteen Years Among the Top-knots)' # # #
오전 4시에 이순근(李巡根)이 나를 깨웠다. 길거리에서 주웠다는 서신을 내게 보여주었는데, 이두황(李斗璜)과 일본인 교관 무라이(村井) 휘하에 있는 대대 병력이 부대를 떠나 아무도 모르는 곳을 향해 갔다고 하는 것을 제1연대장에게 알리는 내용이었다. 그 서한은 군 장교 이민굉(李敏宏)이 서명한 것이었다. 이순근에게 그 편지를 경무사에게 가져가 보이라고 했다.
5시에 의화군이 궁으로부터 찾아왔다. 그가 밖으로 나오는 데 일본 군인들이 큰 무리를 지어 영추문 즉 궁의 서쪽 문으로 이동하고, 조선군 훈련대가 건춘문과 춘생문으로 가는 것을 목격했단다. 밖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살피기 위해 전하가 왕자를 내보냈던 것이다.

5시 30분쯤 날카로운 총소리가 몇 분 동안 들렸다. 사방이 고요했다. 일본군이 궁중으로 쳐들어갔다. 그 공격에 가담하기를 거부한 조선군 훈련대는 달아났다. 홍 장군(洪載熙)이 피살되었다. 일본군이 대원군을 옹위해 궁으로 쳐들어갔다. 일본군이 각 문을 경계했다. 김홍집·김윤식·조희연만이 입궐이 허용되었다.

오후 1시 의화군이 와서 이렇게 전해 주었다. 그가 궁을 떠난 직후 칼 찬 일군의 일본인이 전하와 세자가 거처하던 침소를 공격했다. 그들은 황후를 찾아다녔다. 그들을 시녀 두세 명을 황후가 틀림없다고 여겨 아주 잔인하게 살해했다. 그들은 세자비의 머리를 잡아채어 발로 차고 구타하고 질질 끌면서 황후가 어디 있는지를 말하도록 강요했다. 대답하기를 거부하자 그들은 세자비를 죽어가고 있거나 이미 죽은 군인들 사이로 던져버렸다. 한 일본인이 세자의 머리를 잡아채고 발로 걷어찼다. 그 사이에 100명에 이르는 궁녀가 서로 껴안고 눈물을 흘렸다. 이때 황후가 나타났다. 일본인 하나가 황후를 붙잡아 발로 차서 쓰러뜨렸다. 황후는 자신이 황후가 아니라 먹을 것을 찾으러 들어왔을 뿐이라고 외쳤다. 자객들이 황후가 인사불성이 되도록 걷어찼다. 그러고 나서 암살자들은 그녀를 한 방으로 끌고 가서 홑이불로 그녀를 덮었다. 그러고 나서 황후인지를 확인하고자 일본인 통역 스즈키(鈴木)가 궁을 가리키면서 한 상궁에게 말하기를 황후가 '그 방'에 누워있다고 말했다. 그 상궁은 방으로 들어갔고 유혈이 낭자한 광경에 충격을 받아 공포에 질려 달려 나오면서, “오, 황후께서 승하하셨다!”고 울부짖었다. 이 소리를 들은 암살자들은 달려 들어와 황후의 시신을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꽃밭으로 끌고 갔다. 거기서 그들은 황후의 시신을 내려놓고 불을 질렀다. 이 모든 얘기는 너무 공포스러워 상상하기도 어렵다
국역 윤치호의 일기 1895년 10월 8일(음력 20일)
일본인 폭도들은 10~12명의 궁녀들을 황후의 침전에서 2m가 넘는 창 밖의 뜰에 내던졌다... 머리채를 잡혔을 때도 창밖으로 던져졌을 때도 시종일관 묵묵히 침묵을 지키며 무서운 고통을 참고… 궁녀들은 옥호루에 있었으며 뜰에 내쳐진 궁녀들은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보였으나 확실히 알 수는... 폭도들은 두 명의 궁녀의 머리채를 잡고 끌고 와 내가 서있던 곳에서 겨우 5~6보 던져진 곳에 던지고 갔으나… 궁녀들이 살아서 호흡하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내 앞에 버려진 궁녀들은 입을 꾹 다물고 있었다… 한 궁녀는 넘어져 눈을 뜨고 숨을 거칠게 몰아쉬고 있었다.
건축 기사 사바틴의 증언을 담은 러시아 공사관 보고서
(중략) 모든 일이 끝나기까지에는 한 시간도 걸리지 않았다. …처소 2층에 몇 명의 시녀들과 함께 있던 왕비는 머리채를 잡힌 채, 칼을 맞고 쓰러졌다. 궁내부 대신인 이경직은 왕비를 보호하려 함으로써 오히려 그가 왕비인 것을 그들에게 알려준 셈이 되었다. 그는 두 팔을 잃은 등 부상을 입고도 베란다까지 기어가 왕비를 바라보는 가운데 장렬하게 죽었다.

왕비는 침입자들을 피해 달아나다 넘어져 칼에 찔려 상처를 입었다. 그때 한 일본인이 그에게 덤벼들어 가슴을 마구 찔렀다. … 일본인들은 왕비를 널빤지에 올려놓고 비단으로 싸서 녹원의 소나무 숲으로 옮겨가 나뭇단에 등유를 부은 뒤 시신을 불태웠다. 남은 것이라고는 뼈 몇 마디뿐이었다.

44세 나이의 왕비는 한 우방국 공사의 피비린내 나는 음모에 자극을 받은 자객들의 손에 그렇게 죽어갔다. 그녀는 영리하고 야망이 있으며 음모적이고 매력 있고 아름다웠던 왕비였다.
이사벨라 버드 비숍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10. 일본 사회의 인식

과거 많은 일본인들은 이 사건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다. 이 같은 인식은 일본인 중장년층의 여러 증언으로 알 수 있다.
"명성황후 시해 사건은 일본 교과서에 전혀 나오지 않는다. 일본 사람들도 정확히 공부해야 한다.”
가이 토시오 전 일본 중학교 교사 #
가이 토시오는 “중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던 젊은 시절, 한 여학생이 명성황후 사건을 아느냐고 질문을 해 충격을 받았다”며 “일본인들도 정확한 사실을 알아야 한다는 생각에 퇴직 후 전직 교사 중심의 모임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명성황후를 생각하는 모임'은 살해 가담자 48명 중 21명이 태어난 규슈 구마모토현에서 전·현직 교사들로 구성했다.#

110년 만에 후손들이 사죄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이 모임은 1대 협회장 가이 도시오가 교사로 재직하던 당시 조선인 제자의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 아시나요?'라는 질문을 계기로 일제의 만행을 파헤쳤고, 국가적인 범죄임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는 기술되지 않은 것을 알고 경악한 것이었다. 그래서 "일본인들에게 이 끔찍한 역사를 알리고 한국에 사죄해야겠다"고 마음먹고서 '명성황후를 생각하는 모임'을 교사들과 설립한 것이었다. 게다가 을미사변에 가담한 범인들의 후손 약 20명을 찾아내고 명성황후 해에 사용된 칼 등을 발견한 후 경찰, 군인 등 주범의 정체를 밝혀냈다고 한다. 가와노 다쓰미는 2012년 유언으로 '대를 이어 참회하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일본 사람들은 과거를 진짜 모릅니다. 여성분들은 눈물까지 흘리면서 남의 나라 황후를 이런 식으로 잔인하게 죽였다는 것에 대해서, 과거를 알게 되면 깊은 반성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호사카 유지(세종대학교 교수)#
호사카 유지 교수는 청년 시절 도쿄대학 금속 공학과에서 재학 중 우연히 잡지에서 명성황후 살해 사건에 대해 알게 됐는데, 일본에서는 이런 내용을 전혀 교육하지 않아 무척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한국어한국인들과 이 사건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겠다는 생각을 가진게 계기가 되어 1988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 유학했고 이후 귀화까지 했다고 밝혔다.# # # #

이같이 많은 일본인들이 을미사변에 대해 몰랐던 것은 1948년 이래 일본 교과 과정에서 가르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구나 1989년 학습 지도 요령 개정으로 일본사는 필수 과목에서 선택 과목이 되기도 했다.

일본 사회에서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1988년 이래로, 당시 쓰노다 후사코가 출판한 《민비 암살》이 화두가 되었기 때문이다.

2002년 전후로 사용된 교과서만 하더라도 거의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언급이 없었으나 역사 바로 알리기 등의 운동이 벌어지며 2000년대 중반부터 일부 역사 교과서에서 기술되기 시작한다.
조선에서는 일본 공사 일당이 조선의 황후를 암살했으나, 친일 정권을 만드는 데는 실패했다.
朝鮮では、日本公使らが朝鮮の皇后を暗殺したが、日本よりの政権をつくることには失敗した。
일본서적신사 '우리들의 중학 사회' (2005).
이후 을미사변은 대입 시험 문제에서 가끔 출제되며 # 이를 강의하는 일본인 강사 중에는 일본 정부의 입장이나 일본교과서의 서술과는 다르게 일본 정부가 을미사변을 주도한 것으로 인정하는 이들도 있다. #[63][64] 이를 봤을 때 대학을 가기 위해 출제 범위 전반을 공부해야 하는 학생들에게는 어느 정도의 인지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8년 고교 과정에서는 대부분의 역사 교과서에서 을미사변을 기술하였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2010년대부터 성행하기 시작한 일본의 우경화 경향이 점점 심해지면지면서 을미사변의 기술은 삭제되거나 축소되는 추세이다. 2018년에는 일본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 8종 중 7종이 을미사변이 삭제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마나비샤[65] 1종만이 아래와 같이 기술하였다.#
1895年、日本公使らは、ロシア寄りの政策をすすめる朝鮮王妃を殺害した。日本に対する非難と反発は強く、日本の影響力は弱まった。
1895년, 일본 공사 일당은 친러시아 정책을 추진하는 조선 왕비를 살해했다. 일본에 대한 비난과 반발은 강했고, 일본의 영향력은 약화되었다.

그동안 일본사는 선택 과목이었으나 2022년 4월부터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세계사와 일본사를 합친 '역사 총합'이라는 고등학교 필수 이수 과목이 신설되었다.# 하지만 역사 총합을 편찬한 총 12개의 출판사 중 7개 출판사가 명성황후 관련 서술을 하지 않았다. 서술한 출판사도 대부분 명성황후를 '민비'로 표기했고 명성황후라고 병기한 곳은 소수였다.[66]

11. 대중 매체에서

명성황후가 나오는 조선 후기 사극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소재인데 예를 들자면 영화 <청일전쟁과 여걸 민비(1965)>를 비롯해 드라마 <풍운(1982, KBS1)> 51회, <조선왕조 오백년: 대원군(1990, MBC)> 31회, <찬란한 여명(1995~1996, KBS1)> 99회, <명성황후(2001~2002, KBS2)> 120회, 조수미의 <나 가거든> 뮤직비디오 등이 있다. 이 중 <명성황후>에서 명성황후 역의 최명길이 죽기 직전 "내가 조선국모이니라"는 대사를 외침으로써 을미사변의 새로운 클리셰를 창조해 냈다.

2022년에 개봉한 영화 <영웅>의 넘버 '당신을 기억합니다 황후마마여'에서 명성황후(이일화 扮)를 해한 낭인들이 그녀의 시체에서 심장을 도려내어 꺼내는 섬뜩한 연출도 나왔다. 영웅의 같은 넘버에서 명성황후가 해당하는 모습은 그림자로 표현되었다.

영국-미국 소설인《코레아 황제 시카고 공주(Corea Emperor Chicago Princess)》라는 에밀리 브라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로버트 바 소설에서도 등장하는데, 명성황후가 죽자 여주인공은 "명성황후가 좀 더 권력 지향적[67]이었다면 암살당하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명성황후를 디스한다.[68] 이 사건으로 고종이 여주인공을 정식 황후로 들이려고 시도하는게 이 소설의 클라이맥스. 여기서도 일본인들이 죽였다고 정확히 나온다.

굽시니스트의 역사 만화 본격 한중일 세계사 만화에서는 이노우에가 실패한 후 이토와 야마가타가 조선에서 흥선대원군을 등에 업고 쿠데타를 다시 한번 일으키라는 것까지는 미우라와 합의되었지만 명성황후 살해까지는 이토도 미처 생각하지 않았는데 미우라가 폭주한 것으로 묘사하고, 흥선대원군도 명성황후 폐위까지는 미우라 측과 합의했지만 사변 당일 황후 살해라는 말을 듣고는 자기에게 책임을 뒤집어씌우려는 일본의 속셈을 그때서야 알고 동참하지 않으려고 몇 시간 동안 버티다가 반강제로 일본군과 동행한 것으로 묘사한다. 명성황후의 죽음은 몇몇 사료에 기술된 것처럼 정체를 들키자 방문을 박차고 도주하려다가 칼에 맞은 것으로 묘사되어 관계자 모두에게 어느 정도 동정표를 주는 것으로 보인다.

2024년 웹 소설 <을미년, 민비 대신 고종이 죽었다>에서는 제목 그대로의 전개로 사건을 반전시킨다. 을미사변 발발 96시간 전, 여흥 민문의 먼 후손인 육사 출신 여군 대령 민정아[69]가 명성황후에게 빙의하여, 단기간에 궁인과 시위대를 훈련시켜 일본 낭인들을 격퇴하나, 궁에서의 교전으로 고종이, 아관 파천 과정에서 암살로 순종이 연달아 죽고, 결국 의친왕이 왕, 자신은 섭정이 된다. 이후 신묘한 외교 전략으로 국제적 입지를 다지고 일본에는 승전하고 국체를 분열시키며 도쿄 고쿄에 난입해 복수까지 해낸다.

12. 여담

  • 이사벨라 버드 비숍의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은 1898년 간행되자마자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을미사변에 대해서는 서양에도 소식은 퍼져 있었으나 일부 외교 관계자들을 제외하면 '그러한 일이 있었다'는 건조한 사실 외에 배경이 되는 조선이란 나라 자체에 대한 정보는 널리 퍼지진 않았는데 이 책이 당대 조선과 조선을 둘러싼 국제 정세에 대한 일종의 교양서 역할을 겸했기 때문이다.
  • 도 가쓰아키(藤勝顯)는 명성황후 살해 사건 당시 왕비의 침전에 난입한 세 사람 중 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문인 쓰노다 후사코의 《명성황후- 최후의 새벽》에는[70] 사건 당시 살해 용의자들의 수기와 증언들을 적어 놓았다. 그중에 실린 데라사키의 편지에는 '나카무라 다테오, 도 가쓰아키, 나(데라사키) 세 사람은 국왕의 제지를 무시하고 왕비의 방으로 들어갔다'고 적어 놓았다. 이 책에는 '나카무라 다테오가 왕비의 침전인 곤녕합(坤寧閤)에 숨어 있던 명성황후를 발견하여 넘어뜨리고 처음 칼을 대었고, 곧 이어 달려온 도 가쓰야키가 2번째로 칼을 대어 절명시켰다'는 대목도 기재되어 있다. 도 가쓰아키는 왕비의 침전으로 최초 난입한 세 사람 중 하나였고 명성황후를 향해 이 칼을 휘둘러 절명시킨 가장 유력한 사람인 것이다. 훗날 도 가쓰아키는 그날의 범행을 참회하고 칼을 신사에 맡기며 '다시는 이 칼이 세상에 나오는 일이 없어야 할 것입니다'라고 당부했다고 한다.# 현재 일본 후쿠오카현 구시다(櫛田) 신사에 그가 사용한 칼[71]이 보관되어 있는데 이 칼의 나무 칼집에는 그가 직접 새겨 넣은 '일순전광자노호(一瞬電光刺老狐, 늙은 여우를 단칼에 찔렀다)'라는 문구가 그대로 있다. 이 칼은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
  • 재일 교포 2세인 나라여자대학 김문자 교수는 을미사변 당시 명성황후를 해한 게 민간 신분의 일본 낭인이 아닌 일본 육군 경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 소위였다고 밝혔다. 한국 학계에서도 일본 낭인이 아닌 일본군 장교의 범행이었다는 주장이 우세해지는 추세다. #
  • 명성황후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들은 다른 방향에서 이 을미사변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이 일로 인해 명성황후가 '나라를 위해 노력했으나 무참히 살해된 비운의 왕비'로 미화되었기 때문. 그것과는 별개로 을미사변으로 당시 저항하던 시위대와 관리, 궁녀들도 대거 희생당한 시점 그리고 일국의 왕비가 무참히 살해당했다는 점에서 을미사변은 명성황후를 비판하는 이들도 만행으로 보는 사건이다.
  • 2021년에 외교관이 조선에 영사관보(補)로 머물던 호리구치 구마이치(堀口九万一·1865~1945)가 발송인으로 돼 있는 편지 8통을 발견되었다.# 모두 8통의 편지 중 명성황후 해 다음 날인 1895년 10월 9일 자 편지에는 사건 현장에서 자신이 했던 행동을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보니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일본에서 반전시로 유명한 <님이여 죽지 말지어다>를 쓴 요사노 아키코의 남편 요사노가 을미사변에 가담했다는 의혹이 있다. 그는 사건 직후 조선이 아닌 일본에 보내져 히로시마의 지방 검찰청에서 재판을 받았다. 당시 뎃칸은 조선의 일본인 학교 교사로서 체류하고 있었는데, 사건 당일에는 서울에 없었다는 (의심스러운)알리바이에 의해 무죄로 풀려났다.

13. 관련 인물들의 행보

우범선, 이두황, 권동진, 정난교는 을미사변 이후 일본으로 망명했고 권동진의 형 권형진은 1900년 조선으로 돌아왔으나 죽었고 우범선은 1903년 고영근에게 죽었으며 이두황과 정난교는 친일 반민족 행위자가 되었으나 권동진은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다. 미우라 고로는 다이쇼 덴노 시기 호헌 삼파를 주도했다.

14.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살인 사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9em"
A: 방화 살인 · C: 연쇄살인 · F: 외국인 연루 · H: 가정폭력 살인 · I: 보험 살인 · K: 납치 살인 · L: 아동 살해 · M: 대량살인 · N: 국가행정조직 연루 · R: 강도살인 · S: 성폭력 살인 · St: 스토킹 살인 · V: SNS 연루 · Y: 청소년 범죄 · ?: 미제사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 min-height:2em"
{{{#!folding [ 고조선 ~ 대한제국 ]
섭하 사건 (B.C. 109) · 저고여 피살 사건N ? (1225) · 다루가치 살해사건 (1232) · 임오화변H (1762) · 평안 박여인 살인사건 (1784) · 김은애 사건H (1790) · 민승호 암살 사건M N ? (1874) · 을미사변M N S (1895) · 치하포 사건N (1896)
}}}}}}
[ 일제강점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제암리 학살사건A M N (1919) · 백백교 사건M (1920~1941) · 이판능 사건M (1921) · 주문학 살인사건 (1921) · 김립 피살 사건N (1922) · 진남포 소아 참살 사건L S ? (1924) · 빈주 사건M N (1925) · 고무신 살인사건 (1926) · 전주 소학생 유괴 살인사건K L S (1926) · 불륜처 변사사건 (1927) · 머슴 살인사건 (1928) · 이관규 연쇄살인 사건C L S (1929) · 청양 소년 살인사건? (1930) · 부산 마리아 참살사건? S (1931) · 이승만 살인사건? (1932) · 평남 모친 살해 사건H (1932) · 사천 복수극 사건 (1932) · 옥관빈 피살사건N (1933) · 신의주 비행장 여성 시체 사건 (1933) · 순안 유부녀 알몸 살인 사건 (1936) · 강원도 유부녀 독살범 사건C (1939)||
[ 광복 ~ 196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윤명선 피습 사건N R (1946) · 여운형 암살사건 (1947) · 백범 김구 암살 사건? (1949) · 문경 양민 학살사건A L M N (1949) · 고양 금정굴 학살 사건N M (1950) · 서울 홍제리 집단총살 사건N M (1950) · 열차 내 강간 살인 사건S ? (1953) · 불륜처 타살사건N (1954) · 이금순 피살 사건 (1957) · 진보당 사건N (1958) ·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N (1959) · 장기 훈수 살인 사건 (1960) · 최영오 일병 살인 사건N (1962) · 창신동 치정 살인 사건 (1962) · 고재봉 살인 사건M N (1963) · 수원 지지대고개 살인 사건 (1963) · 춘천호 여인 토막 살인사건 (1965) · 평창동 불륜처 살해 사건 (1965) · 김근하 유괴 살인 사건K ? (1967) · 마산 소년 토막 살인 사건L ? (1967) · 이천 여교사 알몸 피살 사건? (1968) · 육군 하사 수류탄 투척 사건M N (1968) · 종암동 여관방 유부녀 살인 사건S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N (1968) · 교북동 자매 살인 사건 (1969)||
[ 197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1970 ||정인숙 살해사건N ? · 탤런트 유연우 피살 사건 · 양구 다방 인질극 사건 · 양주 두 어린이 유괴 살인 사건K L ||
1971 공덕동 유부녀 반나체 피살 사건?
1972 춘천 강간살인 조작 사건N S ? · 구로동 카빈 강도사건C K R (~1974)
1974 박정희 대통령 저격 미수 사건N · 김상범 유괴 살인 사건K L ? · 임병석 법정증인 살인사건 · 인천 일가족 살인사건 · 박분례 보험 살인사건I (~1975) ·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N R
1975 김대두 사건C S R · 부산 어린이 연쇄살인 사건C L ? · 월배 가출소녀 강간 살인 사건S · 이팔국 아내 살인 사건
1976 방영근 사건R
1977 박흥숙 살인 사건M · 왜관역 토막 살인 사건L ?
1978 백화양조 여고생 살인 사건Y
1979 금당 골동품상 부부 납치 살해사건K R · 부산 송도 40대 여인 토막 살인 사건H · 완주·목포·남양주 연쇄살인사건C L Y (~2023) · 이양길 토막 살인 사건 · 여의도 반도호텔 현지처 살인 사건 · 10.26 사건M N

[ 198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1980 ||<width=1000>5.18 민주화운동/학살M N · 이윤상 유괴 살인 사건K (~1981) · 주남마을 버스 총격 사건M N ||
1981 원효로 윤노파 피살사건?
1982 우순경 사건M N · 사진작가 이동식 살인사건S
1983 강동 카바레 독살 사건? · 청산가리 우유 독살 사건I · 공주 연쇄살인 사건C S R (~1987)
1984 홍석진 유괴 살인 사건K L ?
1985 제28보병사단 화학지원대 총기난사 사건M N
1986 서진 룸살롱 집단 살인 사건M · 김선자 연쇄 독살사건C (~1988) ·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C S R (~1991)
1987 수원 여고생 강간 살인 사건S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N K · 전용운 연쇄살인 사건C S R · 원혜준 유괴 살인 사건K L
1988 화성 연쇄살인 8차 사건N S · 남양파출소 경관 피살사건 · 미국인 학원강사 피살사건? · 부산 백양산 연쇄살인 사건C ? (~1991) · 화양동 세 남매 살인 사건L M · 중곡동 세 모자 살인 사건L M
1989 오이균 미성년자 연쇄살인 사건C L S Y · 신창원 강도치사 사건R · 5.3 동의대학교 사태A K M N · 유엔군사령부 소속 필리핀군 사병 한국인 살해 사건N · 화성 초등학생 실종사건K L N S · 심영구 사건C R · 설인종 고문치사 사건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1990 ||샛별룸살롱 살인 사건C S R · 부산 엄궁동 2인조 살인사건S R ? · 경부·호남고속도로 트럭 연쇄 피습 사건C R ? · 곽재은 유괴 살인 사건K L · 혈액형 살인사건L M · 부산 새마을금고 권총 강도 살인 사건R · 서울 노량진 살인 사건 · 지춘길 사건C A R · 영천 갈마골 토막 살인 사건? · 유명 공인회계사 피살사건? · 김희성 유괴 살인 사건K L · 이완희 유괴 살인 사건K L · 양평 일가족 생매장 사건C · 선산군 여고생 토막 살인 사건 · 인천 송림동 토막 살인 사건 · 구미 애인 강간범 살해사건S ||
1991 청주 여공 강간 살인사건S · 대구 성서 초등학생 살인 암매장 사건K L M ? · 이형호 유괴 살인 사건K L ? · 김부남 사건 · 대구 갈산동 강간살인 사건S ? · 대구 팔공산 팔공CC 캐디 토막살인 사건? · 김준영 순경 총기난동 사건M · 이득화 유괴 살인 사건K L · 거성관 방화 사건A M · 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 · 대전 세천동 토막 살인 사건? · 김동준 유괴 살인 사건K L · 대천 영유아 연쇄유괴살인 사건C K L ? (~1994) · 대흥동 국교생 살인 누명 사건N ? · 울산 약수터 가정주부 엽기 살해 및 방화 사건A K S ?
1992 김보은 양 사건 · 청원군 학천리 여성 암매장 살인 사건? · 주한미군 윤금이씨 살해사건S · 원주 왕국회관 화재 사건A M
1993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 · 지존파 사건C S K R (~1994) · 이수일 연쇄살인 사건C R · 합천 통닭집 부부 살인 실종 사건K ? · 장위동 일가족 살인 사건M
1994 박한상 존속살해 사건A · 강릉 토막 살인 사건? · 부산 초등학생 유괴 살인사건K L Y · 배병수 살해 사건 · 뉴월드 호텔 앞 살인사건 · 월곡동 황금장 여관 모녀 토막 살인사건C · 강태민 유괴 살인 사건K L · 청주 처제 살인사건S · 하동 섬진강변 토막 살인 사건? · 온보현 사건C R S · 유곡동 유괴 살인 사건
1995 치과의사 모녀살인사건? · 순천 일가족 폭살 사건 · 사채업자 토막 살인 사건 · 대전 아들 토막 살인 사건H · 김성복 교수 살인사건 · 이대영 연쇄살인 사건C S R (~2001) · 남양주 여교사 토막 살인 사건? · 대구 3남매 살인 사건M
1996 막가파 사건R · 후암동 방화 살인사건A · 대구 양궁선수 살인사건 · 페스카마호 선상 살인 사건 · 잠실파출소 경관 피살사건? · 안두희 피살 사건 · 영주 공기총 살인사건?
1997 신안 예비신부 살인사건 · 대구 동구 연쇄살인 사건C · 박초롱초롱빛나리 유괴 살인 사건K L · 관덕정 살인사건? · 서귀포 호프집 여주인 살인사건? · 이한영 암살 사건N ? · 이태원 살인 사건Y F · 화순 택시기사 강도살인 사건R · 대현동 아파트 주차장 살인사건? · 화순 서라아파트 모녀 살인 사건R Y · 경남 고성군 하일면 소녀 유기사건? · 1997년 대구 중구 연쇄살인 사건R ? · 제천 노인 살인사건 · 이석 고문치사 사건 · 이종권 치사 사건 · 대전천변 초등학생 종이상자 살인사건L Y
1998 이현세 노모 살인사건R Y · 노원 가정주부 살인 사건S R · 울산 살충제 요구르트 사건? · 사바이 단란주점 살인사건? · 1998년 경기 택시기사 연쇄살인 사건R ? · 대전 갈마동 월평산 여중생 살인사건S ? · 영훈이 남매 사건 · 황영동 사건C R S · 부천 비디오 가게 살인사건A · 김해 개구리슈퍼 어린이 유괴 살인사건L K · 광명 30대 여성 살인사건 · 화곡동 다세대주택 살인사건?
1999 삼례 나라슈퍼 강도치사 사건R ? · 대구 어린이 황산 테러 사건L ? · 경북 고교생 총기탈취 난사사건Y · 박정자 살인 사건? · 삼척 신혼부부 살인 사건 · 부산 금정산 40대 여인 토막 살인 사건 · 영웅파 사건 · 제주 변호사 피살 사건? · 제천 컨테이너 방화 살인 사건A ? · 정두영 사건C R (1986~2000) · 대구 청테이프 살인사건? · 용인 사이비 교주 감금 살인 사건 · 양천 채무자 폭행치사 및 강도살인사건K R · 1999년 파주 택시기사 살인사건R ? · 강영민 보험살인 사건C I · 자양면 영천호 토막 살인사건? · 통영시 광도면 매립지 살인사건? · 황호진 연쇄 강간 살인 사건C S R A (~2000)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2000 ||서울 종로구 여중생 살인사건Y · 김해선 사건C S · 부산 미용사 살인사건S ? · 부산 온천동 오락실 강도살인사건R · 안산 부녀자 연쇄살인 사건C S R · 무기수 김신혜 사건? · 이은석 존속살해 사건H · 인천 계양구 놀이터 살인 사건L ? · 익산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N R Y · 만봉천 예비간호사 살인 사건? · 청주 미용강사 살인 사건? · 분당 여자 변사체 전소사건? · 전주 택시회사 경비원 살인 사건? · 엄 여인 보험 살인사건C A I (~2005) ||
2001 드들강 여고생 살인 사건S · 산골 소녀 영자 사건 · 부천 탈영장교 살인사건N R S · 청주 일호장여관 살인사건R ? ·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N ? · 서울 성동구 여아 토막 살인 사건K L S · 김해 9세 여아 독극물 살인 사건C (~2003) · 친동생 도끼 살인사건Y · 영동 여고생 살인 사건? · 부산 배산 여대생 피살사건? · 용인 교수부인 살인 사건 · 부산 온천동 커피숍 여주인 피살사건? · 속초시 콘도살인 암매장사건? · 제7호 태창호 사건 · 대전 세 모녀 인질극 사건 · 광주 내방동 임산부 살해 사건? · 부산 동명고등학교 살인사건Y · 홍성열 살인사건 · 울산 단란주점 살인 사건? · 잠실 아파트 일가족 살인사건 · 대전 국민은행 강도살인 사건R · 대구 총포사 살인 사건? · 안산 강도살인 사건R ?
2002 부산 괘법동 태양다방 종업원 살인사건? · 인천 만수동 여아 유괴 살인 사건K L S ? · 아산 갱티고개 연쇄살인 사건? · 여대생 청부 살인 사건 · 상계 세 모자 살인 사건A ? · 분당 존속살해 사건A · 용인 연쇄살인 사건C S R · 춘천 후평동 택시기사 살인 사건? · 창원 사림동 단독주택 여중생 살인사건? · 청주 물탱크실 주부 살인 사건? · 제천 독신녀 토막 살인사건 · 백선기 경사 피살 사건R
2003 대구 지하철 참사A M · 안동 택시기사 살인사건? · 의성 뺑소니 청부살인 사건I · 거여동 밀실 살인 사건 · 포천 여중생 살인 사건? · 김지연 군 살인 사건 · 인제 광치령 토막 살인 사건? · 울산 우정동 청산가리 살인 사건? · 인천 작전동 이발소 여주인 살인사건? · 둘째딸 독극물 살인 사건C · 인제대교 사체 유기 사건S ? · 영주 택시기사 살인사건R ? · 동작대교 유아 투기 살인사건 · 부산 대교동 여관 살인사건? · 유영철 연쇄살인 사건C S K A (~2004) · 전주 싸전다리 도끼 살인사건C (~2004) · 제주 연쇄 강도살인 사건C R · 봉천동 주택가 살인사건? · 부천 원미동 존속살해 사건 · 광명 초등학생 유괴살해 사건K L ? · 춘천 남편 살인사건 · 무등산 교통사고 살인사건
2004 광주 여대생 테이프 살인 사건? · 이학만 경찰 살해 사건R · 화성 여대생 살인 사건S ? · 서천 카센터 살인사건A M ? · 마산 대학교수 살인사건 · 대전교도소 교도관 피살 사건 · 서울 향수업체 살인사건? · 대구 달성공원 독극물 요구르트 사건? · 반포동 빌라 지하방 살인사건 · 석촌동 연쇄살인 사건C S R (1995~) · 평택 영아 청부납치 모친 살해사건K L · 대구 노래방 여주인 살인사건 (~2009) · 정남규 사건A C R S (~2006) · 청주 택시 연쇄강도 살인 사건C K R S (~2010) · 충북 영동 40대 주부 살인사건? · 영암 부인 흉기 살인사건? · 서울·익산 2인조 연쇄살인 사건C R (~2005) · 대구·경산 연쇄 방화 사건 A R
2005 강호순 사건A C I K R S (~2008) · 강릉 노파 쪽지문 살인 사건? · 한전기공 1급 기술자 나기봉씨 살인사건? · 개성중학교 폭행치사 사건Y · 구의동 고등학생 피살사건Y ? · 서초동 오피스텔 살인사건S · 울산 무거동 야산 토막살인사건? · 청주 진천 연쇄살인 사건C S R · 돈암동 미입주 아파트 살인사건? · 스튜어디스 납치 살해사건K R · 대전 갈마동 빌라 살인사건? · 강릉 여교사 살인 사건? · 2005년 천안 연쇄살인 사건C R · 전주 택시기사 살인사건A · 대전 문화동 일가족 살인사건A I · 광주 주유소장 살인 사건? · 양구 전당포 노부부 살인사건? · 돌산도 컨테이너실 살인사건? · 신정동 연쇄폭행 살인사건C S ? (~2006) · 인천 보복 살인사건 · 530GP 사건M N
2006 강화도 모녀 납치 살해 사건C K R S · 용산 초등학생 성폭행 살인사건A L S · 동해 학습지 여교사 살인사건? · 대전 송촌동 택시기사 살인사건? · 김포 가정주부 피살사건? · 서래마을 영아 살해 사건F L · 무안 저수지 살인 사건? · 2006년 천안 연쇄살인 사건C S R A · 대전 자양동 여교사 살인사건R ? · 대구 송현동 여고생 강간 살인사건S K · 청와대 행정관 아내 살인 사건N · 울산 초등생 방화 살인 사건A L ? · 중랑구 아내 토막 살인 사건 · 인천 십정동 부부 살해사건? · 제주 소주방 여주인 피살사건? · 영등포 노들길 살인 사건S ? · 한국해양대학교 맨홀 변사 사건? · 군산 농수로 살인 사건? · 김윤철 연쇄살인 사건C S R A · 천안 토막 살인 사건? · 대구 식당 살인사건 · 암사동 모녀 살인 사건 · 안양 박달동 살인사건 · 제주 노형동 원룸 살인사건R · 충주 엽총 살인사건 · 가평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 · 경산시의원 살인사건
2007 육군 중사 토막 살인 사건H · 대전 백합다방 종업원 살인사건C · 인천 호프집 여주인 살인사건 · 보성 어부 살인사건C S · 수원역 노숙 소녀 살인 사건? · 모텔 정화조 살인 사건? · 드들강 임산부 살인사건I V · 춘천 남산면 식당 주인 피살 사건? · 안산역 토막시체 유기사건F (2004~) · 안양 초등생 유괴 살인 사건C S K L · 안양 환전소 여직원 살인사건R · 화순 독거노인 연쇄살인사건C R ? 양지승 어린이 살인 사건L S · 성민이 사건 · 화천 할머니 피살 사건 · 송파 도박빚 살인사건R ? · 서귀포 40대 주부 피살 사건? · 울산 무거동 인터넷 카페 살인사건V S · 강화도 해병대 총기 탈취 사건 · 천안 중식당 살인사건 · 성남 전 동거녀 살인 사건 · 부산 서면 칠성파 살인사건 · 광명 채무자 살인사건 · 인천 남촌동 택시기사 살해사건 · 이기영 고속도로 연쇄살인 사건C R
2008 화성시 우정읍 엽총 살인사건 · 대구 초등생 납치 살인 사건K L ? · 부산 청테이프 살인 사건? · 센트럴 시티 살인사건? · 인천 유흥업소 종업원 납치 살인사건K · 강남 나이트클럽 사장 피살사건 · 박경조 경위 살해사건 · 양주 여중생 살인 사건S F · 이호성 살인 사건M · 광주 대인동 살인사건? · 논현동 묻지마 방화 살인사건M A · 부여 노파 살인 사건? · 시흥시 정왕동 슈퍼마켓 강도 살인사건R · 흥해 토막 살인사건? · 수원 신대저수지 토막 살인 사건? · 의정부 여중생 살인사건S ? · 홍제동 묻지마 살인사건 · 인천 병방동 60대 여성 엽기 살해사건 · 2008년 울산 계모 살인 사건 · 양산 택시기사 살인 사건? · 안양 관양동 존속살해 사건R I · 거제 동거녀 살해 암매장 사건
2009 부천 여고생 집단성폭행 사망 사건S A Y · 광주 초등생 공기총 살인 사건L · 익산 모친 성폭행 살해 사건S · 17억 보험 친구 집단 살인 사건I · 제주 보육교사 피살사건? · 청주 비닐봉지 살인 사건S ? · 경산 임산부 스토킹 살인사건St · 순창 손목없는 백골 사체 사건? · 정읍 화물차 사무실 살인사건? · 광주 교회 살인사건 (3월?/5월~7월C) · 광양 중마동 주차장 살인사건? · 영암 연쇄살인 사건C S · 순천 청산가리 막걸리 사건 · 성남 지적장애 소녀 살해 암매장 사건S Y · 신림동 노파 살인사건R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2010 ||김길태 살인사건S K L · 대구 아내 살인사건? · 남양주 아파트 밀실 살인사건? · 목포 여대생 살인 사건? · 부산 부전동 모텔 여주인 살인사건? · 부산 시신 없는 살인 사건 · 진주 연쇄 살인사건C R · 경기도 양주 친모 성폭행 살인사건S · 울산 부곡동 살인 사건? · 잠원동 묻지마 살인사건 · 하왕십리동 방화 살인 사건A Y · 함안 방앗간 노파 살인 사건? · 홍은동 여중생 살해 시신 유기 사건Y · 화성 여고생 살인 사건 ||
2011 가방모찌 살인 사건 · 대전 중학생 집단 구타 사망 사건R Y · 이은미 피살사건St · 경찰 간부 모친 보험 사망 사건I · 구의동 고3 존속살인 사건H Y · 만삭 의사부인 사망사건 · 박근혜 5촌 살인사건N ? · 부천 여월동 살인 사건? · 안산 리어카 토막 살인 사건? · 유명 블로거 살인 사건V · 일산 여중생 자매 백골 시신 사건 · 이청호 경사 살해사건 · 필리핀 관광객 연쇄 표적납치 살인사건C · 포천 농약 살인 사건C I (~2014) · 청주 아동 암매장 살인 사건 (~2016) · 강화도 해병대 동료 총격 사건M N
2012 서울 신촌 대학생 살인사건Y · 수원 토막 살인 사건S K R F · 용인 50대 부부 피습 사건 · 울산 다방 여주인 살인 사건 · 강릉 보복살인 사건 · 수원 장안구 흉기난동 살인사건S · 수원 묻지마 살인 사건 · 통영 초등생 유괴 살인 사건L S K · 울산 자매 살인사건 · 제주 여성 피살 사건S · 중곡동 주부 살인 사건S · 칠곡 묻지마 살인사건 · 홍천강 살인사건 · 음성 동거녀 살해 암매장 사건 · 부천 초등학생 토막 살인 사건L (~2016)
2013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살인 사건 · 전주 일가족 살인사건 · 통영 무용학원 변사사건 · 군산 경찰관 내연녀 살인 사건N · 군산 정화조 백골 사건H · 용인 10대 엽기 살인사건S Y · 대구 여대생 살인 사건S · 강남 여직원 보험 살인 사건I · 하남 묻지마 살인사건 · 보은 콩나물밥 독극물 사건? · 정치, 사회 갤러리 피살사건V · 인천 모자 살인 사건 · 2013년 인천 중학생 집단폭행 살인사건Y · 구례 편의점 여주인 살인사건R · 칠곡 계모 아동학대 사망사건L · 국군춘천병원 도끼 살인사건 · 2013년 울산 계모 살인 사건 · 지향이 사건 · 프로농구선수 처형 살인사건H
2014 서울 강서구 재력가 살인 사건N · 굴삭기 암매장 사건 · 광주 세 모녀 살인사건 ·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N S · 김해 여고생 살인 사건S Y · 대구 중년부부 살인 사건S St R · 부산 영아 투기 살인사건L · 포항 단란주점 여주인 살인사건S R · 수원 토막 시체 유기 사건F · 트랜스젠더 살인사건 · 군산 성폭행 무고 및 보복살인 사건 · 파주 전기톱 토막살인 사건 · 울산 삼산동 묻지마 살인사건 · 안산 남성 변사 사건? · 전북대병원 로비 여중생 살인사건 · 포천 빌라 고무통 살인사건 · 울산 입양아 살인 사건L · 양양 일가족 방화 살인 사건A · 진돗개교 3세 아동 살인 사건 (~2017) · 광주 아내 살인사건 · 김해 호스트바 여손님 살해사건R · 인천 가방 시신 사건S ·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M N
2015 청산가리 소주 살인 사건 · 상주 농약 사이다 사건 · 세종시 편의점 총기 난사 사건 · 금호강 살인 사건I · 김포 20대 주부 피살사건 · 수원역 여대생 납치 살인 사건K · 부천 여중생 백골 시신 사건 (~2016) · 시화호 토막 살인 사건 · 영산강 백골 시신 사건? · 아산 트렁크 살인사건K A R · 수원역 PC방 묻지마 살인사건 · 공릉동 살인사건N · 서초동 세 모녀 일가족 살인사건 · 안산 인질극 사건S · 울진 백골 유기사건? · 제천 여자친구 시멘트 암매장 살인사건 · 용인 아파트 벽돌 투척 사망 사건Y · 울산 모텔 살인사건 · 천안 피해망상 이웃살해 사건 · 무학산 살인사건 · 화성시 총기 난사 사건 · 대구 주부 살인사건 · 제주 한경면 야산 살인사건S R · 제천 청산가리 가족 살인사건 ·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 · 봉천동 성매매 여중생 살인사건 · 구파발 검문소 총기사건N · 전주 작업대출 살인사건 · 화성 육절기 살인사건A · 10대 여자친구 살인사건 · 임동준 살인 사건
2016 화성 공장 정화조 백골 시신 사건? · 마포 가방 시신 사건 · 경남 고성 초등학생 암매장 살인 사건L ·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 사건H L · 부천 영아 아동학대 사망사건H L · 광주 케냐인 난민신청자 PC방 종업원 젓가락 살인사건R · 광주 남매 존속살인 사건 · 조성호 살인사건 · 강남 묻지마 살인사건 · 하남시 층간소음 살인사건 · 시흥 딸 살인사건 · 제주 성당 묻지마 살인 사건 · 포천 6세 입양딸 살인 사건L · 증평 할머니 살인사건 · 오패산터널 총격 사건 · 인천 굴포천 마대자루 시신 사건? · 김포 아동 폭행 살인사건H L · 남양주 니코틴 살인사건I · 완도 아령 살인 사건? · 낙동강 어린이 살해사건L · 부평 콘크리트 암매장 사건? · 송파 아파트단지 주차장 살인사건St · 원주 3남매 사건 (~2019)
2017 인천 동춘동 초등학생 유괴 살인사건K L Y · 신혼여행 니코틴 살인사건I · 양산 아파트 밧줄 절단 살인 사건 · 충주 인터넷 설치기사 살인사건 · 부산 영아 시신 냉장고 유기 사건L · 창원 골프연습장 납치 살인사건K R · 왁싱샵 살인 사건S R · 송선미 남편 피살 사건 · 어금니 아빠 살인사건L S K · 엔씨소프트 윤송이 사장 부친 피살사건 · 용인 일가족 살인사건R · 전주 5세 여아 살해 사건L · 속초 영랑동 백골 사건? · 청도 존속살해 사건
2018 종로 여관 방화 사건M A · 제주 게스트하우스 살인사건K · 강서구 6세 여아 살인사건L · 떡볶이 배달청년 사망사고 · 군산 유흥주점 방화 사건M A · 강진 여고생 살인사건 · 화곡동 어린이집 영아 사망사건L · 변경석 살인 및 사체유기 사건 · 옥천 일가족 살해사건 · 공군 상사 아동학대 사건L N · 제주도 여교사 금품갈취 및 폭행치사 사건 · 울산 천곡동 살인사건 · 구리시 강변북로 음주 사망 사건 · 서울 강서구 PC방 살인사건 · 서울 강서구 아파트 살인사건 · 합천군 여행용 가방 백골 시신 사건? · 부산 사하구 일가족 살인사건 · 봉화군 소천면사무소 총기 난사 사건 · 거제 신오교 살인사건 · 춘천 예비신부 살인사건 · 인천 중학생 추락사 사건Y · 안산 원곡공원 영아 시신 유기 사건L ? ·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살인 사건 · 김제 목검 폭행 사건 · 부천 링거 살인사건영광 여고생 살인사건S Y · 영양 경찰관 살인사건 · 제주도 여교사 살인사건 · 서천 존속살인 사건C R (~2019)
2019 양산 영아 아동학대 사망사건L · 이희진 부모 살해 사건R · 남양주 노래방 도우미 살인 사건 · 군산 아내 살인 사건S · 진주 아파트 방화·흉기난동 살인 사건M A · 광주 의붓딸 살인사건 · 정치인 아내 살인사건N · 의정부 일가족 살인 사건 · 부산 남구 여대생 피살사건 · 가산동 연쇄살인 사건C · 가평계곡 살인 사건I · 관악구 모자 살인사건 · 고유정 전 남편 살해 사건 · 순천 아파트 강간 살인사건S · 오산 야산 백골시신 사건Y V · 오산 모텔 살인사건 · 부산 사하구 친누나 살인사건 · 군포 존속살해 사건 · 인천 영아 사망 사건L · 인천 계부 아동학대 사망사건L · 광주 10대 집단 폭행 살인 사건Y · 한강 몸통시신 사건 · 구리 초등학생 동급생 살해 사건L Y · 광주 사업가 납치 살인사건K · 대전 아동 살해 사건L · 부산 중고거래 살인사건R V · 계룡 금 중고거래 강도살인 사건R V
[ 202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2020 ||광진구 클럽 살인사건 · 종로구 주점 살인사건 · 효창동 묻지마 살인사건 · 진주 일가족 살해사건 · 최신종 사건C K R S · 동작구 장롱 시신 살인사건L · 창원 고깃집 여주인 살해사건 · 천안 계모 아동학대 사망사건L · 평택파주고속도로 음주운전 뺑소니 사건 · 용인 토막 살인 사건 · 인천 미추홀구 50대 남성 살해사건? · 경인아라뱃길 훼손 시신 사건? · 원주 아파트 일가족 살인사건A · 제주 오일장 살인사건R · 당진 자매 살인사건R · 무의도 가방 시신 사건 · 대구 새마을금고 살인 사건 · 인제 등산객 살인사건 · 양산 60대 여성 살인 및 사체유기 사건 · 인천 강화군 친누나 살인사건 (~2021) · 김해 응급구조사 살인사건 · 수원 영아 아동학대 사망사건L · 속초 폭행 사망 사건 · 양천구 입양아 학대 사망 사건H L · 해남 이혼부부 살인사건H ||
2021 2021년 인천 미추홀구 8세 아동 살해사건L ·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남녀 살인사건 · 용인 조카 학대 사망 사건H L S · 익산 영아 아동학대 사망사건L · 2021년 인천 중구 8세 아동학대 사망사건L · 구미 3세 여아 사망 사건L · 노원 세 모녀 살인사건St V · 부산 시약산 살인 사건? · 천호동 묻지마 살인사건 · 인천 노래방 손님 살해사건 · 남양주 존속살해 사건 · 분당 택시기사 살인사건 · 대구 수성구 간병살인 사건 · 전주 전남친 살인사건St · 마포 오피스텔 감금 살인 사건 · 화성 입양아 학대 사망 사건L · 대전 20개월 영아 강간 살해 사건L H S · 김포 지적장애인 살해 암매장 사건 · 제주 중학생 살인사건 · 의정부 30대 폭행치사 사건Y · 인천 3세 여아 사망 사건L · 울산대학교 연인 살인사건 · 송파 전자발찌 훼손 연속살인 사건C S R · 대구 서구 존속살해 사건Y · 강서구 일본도 살인사건 · 여수 아파트 살인 사건 · 완주 노래방 살인사건 · 서울 서초구 생수병 독극물 사건 · 제주 아내 살인 사건 · 부산 구포역 살인사건 · 서초 아파트 19층 살인 사건 · 서울 중구 오피스텔 살인사건St · 서울 3세 남아 사망 사건L · 합천 폭행 살인사건 · 인천 미추홀구 강도 연쇄살인 사건C R · 송파 신변보호 여성 가족 살인사건St · 오산 의류수거함 신생아 유기 사건L · 공주교도소 살인 사건 · 서울 어린이스포츠센터 직원 막대기 살인사건 · 서울 은평구 인터넷 방송인 모친 살인사건V
2022 천안 원룸 살인사건St · 동두천 헬멧 살인사건 · 양천 존속살인 사건 · 인천 모친 살인 사건I · 청주 삼단봉 살인사건 · 광양 편의점 아르바이트생 살인사건 · 수원 중국인 연인 살인 사건 · 마포 주택가 살인사건 · 구포 주택가 살인사건 · 고양 오피스텔 살인사건 · 사천 주택 살인사건C · 칠곡 원룸 감금 살인사건 · 울산 3세 여아 사망 사건L · 서울 등촌동 아파트 살인 사건 · 부산 금정구 의사 살해 암매장 사건 · 천안 성환 흉기난동 살인사건 · 구로 묻지마 살인사건R F · 정읍 전처·처남댁 살인사건H · 인천 발달장애 딸 살해 사건 · 대구 변호사 사무실 방화 사건M A · 청주 40대 여성 살인사건 · 안동 유흥가 칼부림 살인 사건 · 안동시청 공무원 살인 사건 · 제주 행인 상해치사 사건 · 신당역 살인 사건S St · 신림동 고시원 건물주 살인사건R · 광명 세 모자 살인사건 · 부산 양정동 모녀 살인사건R · 제주 유명식당 대표 살인사건 · 이기영 살인 사건C R · 고흥 방화 살인 사건A I · 유튜버 여자친구 살인사건 · 거제 중학생 강도살인 사건Y R
2023 태안 아내 살인사건H · 인천 2살 아들 방치 사망 사건L · 익산 존속살인 사건 · 2023년 인천 남동구 11세 아동학대 사망사건L · 인천 편의점 강도살인 사건R · 고양 존속살인 사건A · 인천 미추홀구 일가족 사망사건L M · 강남 납치 살해 사건K R · 서천 숙박업소 살인사건 · 금천 연인 보복 살인 사건 · 정유정 살인 사건V · 경주 황성동 주택가 칼부림 살인사건 · 양천구 층간누수 살인 사건A · 김해 노래방 살인 사건 · 경기 광주시 일본도 살인 사건 · 잠진도 아내 살인사건H · 인천 스토킹 살인 사건St · 광주 7개월 영아 사망 사건L · 대구 며느리 살인 사건 · 대전 여고생 살인 사건Y · 남양주시 모녀 살인사건 · 2023년 신림역 칼부림 사건 · 부천 고강동 빌라 칼부림 살인사건 · 영월 동거녀 살인사건H · 영등포 존속살인사건Y · 양구 이웃 여성 살인사건 · 여수 졸음쉼터 허벅지 사망 사건 · 서현역 칼부림 사건 · 목포 해경 연인 살인 사건 · 광주 택시기사 살인 사건R · 육군 부사관 아내 교통사고 위장 살해 사건I · 신림동 공원 강간살인 사건S · 영천시 주점 흉기난동 사건 · 김해 남매 살인사건 · 칠곡 종합병원 흉기난동 사건 · 시흥 식당 여주인 살인사건R F · 대구 모텔 종업원 살인사건S · 인천 연수구 아내 살인사건 · 청주 중학생 모친 살인사건Y · 분당 고교생 살인 사건Y V · 로펌 변호사 아내 살인 사건H · 울산 일가족 살해 사건A M · 청주 노래방 강도살인 사건R · 영등포 건물주 살인 사건 · 고양·양주 다방 연쇄살인 사건C S R (~2024)
2024 태안 일가족 사망 사건L · 영등포구 대림동 채무자 살인사건 · 제부도 영아 시신 유기 사건L · 영통구 임대주택 조카 살인사건 · 인천 모텔 쌍둥이 영아 사망 사건L · 고양 모친 살인 사건 · 사천시 층간소음 살인 사건 · 제천 아파트 폭행 살인사건 · 익산 여산면 아내 살인사건H · 은평구 오피스텔 BJ 살인사건 · 양산 간병 아내 살인사건 · 김포 아파트 전처 살인 및 경비원 살인미수 사건 · 화성 오피스텔 여자친구 살인사건 · 전주 만삭 전처 살인사건H · 화성 수산업체 대표 살인사건 · 파주 호텔 남녀 4명 사망 사건 · 삼척 학교폭력 가해자 살인사건Y · 태국 한국인 관광객 납치 살해 사건 · 강남 의대생 여자친구 살인사건 · 부산 법조타운 칼부림 사건V · 대치동 오피스텔 모녀 살인 사건 · 하남 여자친구 살인 사건 · 대전 탄방동 여자친구 살인사건 · 36주 태아 낙태 사건L · 부산 빌라 칼부림 사건 · 양주 태권도장 아동학대 사망사건L· 광주 폐업 모텔 강도살인 사건R · 은평구 일본도 살인사건 · 하남 여자친구 자살 위장 살인사건 · 숭례문 지하보도 살인사건 · 신림역 지인 살인사건 · 중랑구 아파트 이웃주민 살인사건· 광주 대나무 흉기 지인 살인사건 · 순천 묻지마 살인사건 · 청주 외국인 남성 전처 살인 사건 · 화천군 북한강 토막 살인 사건 · 파주 모텔 여자친구 살인사건 · 강서구 오피스텔 살인 사건 · 구미 스토킹 살인사건St · 서산 주차장 강도살인 사건A R · 여수 지인 살인 사건 · 창원 채무자 살인사건 · 홍천군 후배 살인사건 · 여수 쌍둥이 영아 살해 사건L · 청주 장애 아동 살인사건L · 김천 오피스텔 살인 사건R · 인천 남자친구 살인 사건 · 광주 50대 부부 흉기 살인사건 · 상주 연인 부모 살해 사건 · 사천 여고생 살인사건Y
2025 서산 빌라 부친 살인사건 · 부산 지인 살인 사건 · 영등포 고시원 살인 사건 · 화성 장지동 남편 살인사건
}}}}}}}}} ||

[1] 명성황후, 궁내부대신 이경직, 훈련대 연대장 홍계훈[2] 일단 미우라가 조선 공사에 부임한 데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는데 이전 공사이자 유신 원로인 이노우에 가오루가 같은 조슈번 출신임에도 비주류이며 자신과는 인연이 없어 꼬리 자르기에 용이한 예비역 육군 중장 미우라를 후임 전권 특명 공사로 내각에 천거하고 그에게 군사 작전의 성격을 띤 명성황후 시해의 감독 역할을 맡겼다는 주장, 이노우에 가오루와 대립하며 미우라 고로에게 공직 복귀를 설득한 다니 다테키, 도카이 산시 등이 방향 전환을 위해 이노우에를 낙마시키고 무쓰 무네미쓰의 지지를 받아 미우라를 이토 히로부미에게 추천했다는 주장, 이노우에가 경쟁자들에 의해 일시적으로 실각하고 조선 공사관에 공백이 생기자 육군 일각에서 미우라 고로를 추천했다는 주장 등 누가 관여했고 미우라 낙점과 을미사변 발생까지 어떤 과정으로 일이 진행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자들마다 크고 작은 차이를 보인다. 을미사변의 배후로는 한국 학계는 주로 이토 내각 배후설을, 일본 학계는 주로 만주 사변과 같이 일부 일본 측 인사의 경거망동이나 미우라 단독 범행설을 지지하는 편이다. 와다 하루키처럼 한국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진보적인 학자들부터 위안부 강제 연행을 부정하는 하타 이쿠히코 같은 학자들까지 미우라 고로 공사 지명과 을미사변에 이르기까지 1895년 7~9월 사이 오고 간 서신들을 배후설의 결정적 증거로 여기는 한국의 주장과는 해석상의 괴리감이 크다.[3] 동아역사연구소 이민원 소장의 관계자 회고록 해석에 의하면 미우라의 조선 공사 부임에 대해 미우라의 추천인이라고 알려진 이노우에 가오루는 자신이 아닌 이토의 의향이었다고 증언했다. 그에 비해 이토 히로부미는 이노우에에게 추천받았다고 증언하며 미우라 본인은 이노우에와 이토가 자신을 떠밀었다고 주장했다. 미우라 고로가 공사로 부임한 날은 을미사변 37일 전인 9월 1일. 이노우에 가오루는 미우라 고로와 한성에서 17일간 같이 지냈으나 업무 인계 과정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이노우에 가오루는 을미사변 20일 전에 일본으로 돌아갔다. #[4] 공사의 지휘를 받는 공사관 수비대, 공관 경찰과 달리 육군 경성 수비대는 이들과 업무 성격이 다르고 공사관이 아닌 육군성 지휘계통에 속해 있었다. 이 때문인지 을미사변 당일 경성 수비대는 제대로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한동안 우왕좌왕하다 사태가 거의 끝난 뒤에야 조선인 장교들의 지원 요청으로 괴한(?) 진압을 위해 궁궐에 도착했다. 조선인 장교들의 요청으로 출동한 건 초기 한성의 일본군 주둔을 못마땅하게 여기던 러시아와 외국 공사들이 경성 수비대 주둔을 인정하는 조건으로 이들의 주 임무에 고종과 조선 왕실의 보위를 명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선군 훈련대와 연관된 몇몇 경성 수비대 소속 군인들은 구스노세 중좌와 함께 행동하며 을미사변에 깊숙히 관여했는데 유력한 명성황후 해범인 미야모토 다케타로 소위 등 조선군 훈련대 교육에 참여한 그룹이 바로 이들이다.[5] 일본인 사장 아다치 겐조에 일본어로 원문을 쓰던 한성신보 직원, 대륙낭인, 겐요샤 등 40여 명의 민간인 신분 가담자. 일본군과 함께 명성황후 살해에 직접적인 역할을 했다. 한성신보는 을미사변 이전부터 노골적으로 반러-친일 성향의 논조를 유지하며 쟁점 사안에 있어 줄곧 고종 내외를 비난하는 사설을 게재해 오다가 사건 이후에는 흥선대원군에게 을미사변의 책임을 덮어씌웠다. 을미사변 직후 일본 본국의 주요 신문들은 한성신보를 인용하며 '대원군과 조선인들이 한성에서 친위 쿠데타를 일으켰다'는 투로 사건을 보도해 일본과 국제 여론을 호도했다.[6] 당시 조선에서 고문으로 활동하던 일본 육군 장교들을 교관으로 둔 부대였고 고종이 훈련대 해산을 준비하자 훈련대 대대장 우범선은 훈련대 교관이던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武太郎) 소위, 이시모리 요시나오(石森義直) 대위 등 조선 주재 무관들에게 훈련대 해산 정보를 전달해 일본 측이 범행을 앞당기는 데 기여했다. 을미사변 당일에는 300여 명의 훈련대 병사들이 동참했는데 이는 당시 동원된 일본군 공사관 수비대보다 더 큰 규모였다.[7] 안중근 의사는 하얼빈 의거 이후 열린 재판에서 이토를 죽인 이유로 국모 살해의 죄를 언급했다. 이는 당시 지식인들도 을미사변의 배후를 이토로 봤다는 것이다.[8] 야마가타 아리토모 육군대신이 1895년 7월 8일 무쓰 무네미쓰 당시 일본 외무대신에게 보낸 편지에 (1)세외(世外·이노우에 가오루 공사) 백작을 즉각 도한(渡韓) 시켜야 한다 (2)내외(內外·고종 부부)에 대해 방관 좌시하는 것은 도저히 참을 수 없는 일 (3)묘의(廟議·각의)에서 결정(決定)되는 대로 단행(斷行)하시기를 희망(希望)한다' 등의 글이 적혀 있다. 더 쉽게 얘기하면 '고종과 명성황후 일파의 행동을 이상 방관할 수 없으니 공사인 이노우에 백작을 현지로 보내고 이후 각료 회의에서 어떤 결정이 내려지는 대로 그에 맞는 행동에 나서기를 희망한다'는 내용인데, 정황상 해당 내용이 을미사변 사전 모의를 의미한다는 것이 주로 한국 학자들의 견해이며 이를 이토 내각 배후설의 결정적 증거라고 해석한다.[9] 인아거일(引俄拒日, 아라사(러시아)와 가까이 하고 일본을 멀리한다)'의 외교[10] 을미사변 당시 반역을 저지르며 일본 측에 협조한 조선인들은 조선군 훈련대 대대장 3명인 이두황, 우범선, 이진호권동진, 유혁로, 정난교 등으로 대부분 친일파 혹은 갑신정변에 참여한 적이 있는 급진 개화파였다. 단, 흥선대원군은 친일파도 급진 개화파도 아니었고 단순히 명성황후의 정적이었다.[11] 러시아 공사관의 공동 책임자인 스페에르, 베베르를 필두로 외국 공사들은 주도자 미우라와 사태 수습을 위해 급파된 고무라 차관을 비판하면서 일본의 움직임에 대해 강한 압력을 행사했고 조선에서 일본의 외교적 위기는 춘생문 사건 이전까지 절정에 달했다.[12] 주한 일본 공사관 수비대 소속 니이로(新納) 해군 소좌는 본국 육군 참모부에 '국왕 무사 왕비 살해(國王無事 王妃殺害)'라는 문구에 '극비(極秘)'라는 붉은 낙인이 찍힌 전문 한 장을 보냈다.#[13] 이 당시엔 친러파였는데 나중에 친일파로 변절했다.[14] 당시 박영효철종의 딸 영혜옹주의 남편으로, 금릉위라는 직책도 가지고 있었고 일본에서 귀국한 후에는 오히려 반일 행위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때문인지 고종은 일본으로 도망가는 박영효의 피난로를 느슨하게 했다고 하는 설도 존재한다. 하지만 당시 일본 측 공문서가 증명하듯 박영효는 이노우에를 포함해 공사관은 물론 일본 민관계의 유력자들과 조선 개혁을 문제를 두고 실각 직전까지 긴밀하게 협조했으며 개인적으로도 친분이 두터웠기에 설득력이 있다고 보긴 어렵다.[15] 하지만 실제로 1884년 조러 통상 조약 체결 이후 고종은 지속적으로 조선에서 기존 종주국 청과 신흥 세력 일본 쌍방의 영향력을 제거하기 위해 러시아에 지원을 요청했고 필요 시 러시아와 합의해 러시아의 보호령이 되는 것까지 고려했다. 이는 청일전쟁 후 더욱 러시아에 의존하는 결과를 낳았다. 고종과 명성황후가 독립국의 군주로서 지나치게 러시아에 굴종적인 자세를 보였다는 비판도 있으나 장기간 침체기에 빠져 있다가 늦게서야 개혁 논의를 시작한 조선으로서는 자국의 미약한 재정 상황과 전근대적 행정력만으로는 당장 외세의 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할 수 없었고 힘을 키울 때까지 외부의 위협을 막아 줄 신뢰할 수 있는 후견국이 필요했다는 평가도 있다. 실제로 당시 조선 조정에서는 외부에서 신식군 1개 연대만 단독으로 파견해도 한양까지 단숨에 무너질 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국방이 취약한 상황이었고 개혁에 필요한 자금이나 전문가, 안보적 지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국경상의 유일한 열강은 한반도의 부동항과 기타 이권 확보에 관심이 많긴 하였으나 차선책이라고 볼 수도 있는 셈. 그러나 한반도만주를 교두보로 삼아 극동에서 패권을 쥐려는 러시아의 행동을 영국이 가만히 둘 리 없었고 이는 영국의 거문도 점령 사건영일동맹이 체결되는 배경이 되었다.[16] 미우라의 추천인이 이노우에 본인이라는 설과 달리 이노우에는 자신이 아니라 이토 히로부미의 결정이었다고 증언했다. 이토와 미우라는 이를 부정하지만 다니의 추천서나 이노우에에 대한 비판 여론이 어느 정도 공사 교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유추해 볼 수도 있다. 미우라의 부임이 확정된 뒤 그동안 이노우에가 야마가타, 무쓰, 요시카와 등 각료들의 동의를 설득했던 새로운 대조선, 대러 방침은 거의 백지화되었다.[17] 한국에서 주요 혐의자로 자주 언급되는 이토 히로부미와 기타 내각 중진들 혹은 미우라와 가까운 도카이 산시, 육군의 실세였던 가와카미 소로쿠 등 주로 일본학 계에서 사태의 배후라고 지목되는 개별 혐의자들.[18] 당시 이토 내각의 대신들은 물론 내각 밖의 영향력 있던 인사들도 러일 관계 및 조선 문제와 이노우에 공사의 의견서에 대해 서로 논의하며 해당 편지를 비롯한 여러 서신들을 주고받았다.[19] 조선 정부에서 친일 대신 간의 알력 다툼과 김홍집 등의 사표 제출로 소란이 일고 있을 무렵 무쓰 외무대신에 의해 몇 차례 반려된 이노우에의 귀국 요청이 받아들여져 이노우에는 5월 31일 본국의 귀국 지시를 받고 6월 11일 인천을 출발해 일시 귀국했다.[20] 이외에도 요시카와 아키마사 사법대신이 이토 히로부미에게 보낸 편지 (중 문제되는 부분인 '미봉책을 포기하고 결행의 방침을 채택해야') 등 일부 서신들에 쓰인 표현들이 명성황후 암살을 의미한다고 해석한 것. 그에 비해 주로 일본 학계에서는 해당 편지들이 논의한 건 누군가의 암살 계획이 아니라 '이노우에안'에 대한 토의와 6월부터 9월까지 복합적인 사안들에 대해 여러 차례 대신들 사이에서 논쟁이 일어났고 때때로 입장 전환이 이루어졌던 과정의 증거라고 보는 편이다. 이런 양측의 견해 차이는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21] 이노우에 가오루의 을미사변 관여 여부, 즉 이노우에가 미우라를 추천하고 명성황후 암살 계획을 구체화시킨 장본인인지 아니면 이토 내각과 정계, 육군의 다른 파벌들에게 밀려나 결국 하급자인 미우라에게 자리를 빼앗긴 부외자인지의 여부는 아직까지 확실치 않으며 한국에서도 논쟁 중인 사항이다.[22] 다만 이노우에는 본국으로 일시 귀국한 뒤 부흥하던 국내 농상업이 1894~95년 전란으로 큰 타격을 입어 다시금 경제난에 빠진 조선에게 청일 전쟁 배상금 중 500만 엔을 혜여하는 안 등을 포함해 원조-내정-전신-철도 등 다방면에서 상당히 온건한 정책 방침을 제시했다. 일본에게 불리해진 상황 속에서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조선의 독립국 지위를 보다 존중하는 방향으로 조선 문제를 다루려 했으나 반대파에게 박영효 실각과 러시아의 강화된 대일 압력 문제로 책임을 추궁당하며 자신의 새로운 구상을 각료들과 협의하던 중 불분명한 경위를 거쳐 공사 교체가 정해졌다. 그가 조선 외교에 있어 비교적 온건파에 속했던 인물인 건 맞으나 이노우에 역시 열강들의 눈치, 당대 동아시아의 정세를 고려해 가며 외교를 수행했을 뿐이고 그는 제국주의적 관점에서 한반도를 취급하며 (그 당시 식민화까진 아니더라도) 조선을 메이지 일본의 앞마당으로 만들고자 했다.[23] 해당 사안들은 원래부터 구체적인 접근법에 있어 이노우에가 무쓰 무네미쓰 외무대신 및 육군 내 강경파와 대립하던 사안들이었고 삼국 간섭의 여파로 육군성, 해군성, 외무성 모두가 데꿀멍 상태가 되면서 일시적이었지만 이노우에안에 힘이 실리게 되었다.[24] 염주를 돌리고 불경을 외며 두문불출하여 '염불 공사'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25] 일단 전임 공사였던 이노우에 가오루이토 히로부미야마가타 아리토모와 같이 조슈파의 거두로서, 초대 외무대신이기도 하였던 사람인 것과는 다르게 미우라 고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듣보잡에 가까웠다.[26] 자신의 회고록인 재한 고심록에 사변의 핵심 설계자는 미우라가 아닌 자신이었으며 조선 당국의 민씨 일파와 친러 세력을 일소하기 위해 대원군을 이용했다고 기술했다.[27] 일본인이 설립하고 일본어로 원문을 쓰던 신문으로, 을미사변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고종 내외를 비난하는 논조를 보였다.[28] 히로시마 지방 재판소에 회부된 비군인 신분 관계자 47명 중 구마모토 출신이 21명이었다.[29] 이때의 도쿄대학은 제국대학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다. 지금의 도쿄대학은 도쿄대학이라는 이름으로 개교했다가 을미사변 발생 10년 전 무렵에 제국대학이라는 이름으로 개편되었으며, 1897년 교토제국대학의 개교로 제국대학 간의 구별이 필요해지자 이때부터 도쿄제국대학으로 개칭되었다. 지금의 도쿄대학이라는 이름을 얻은 건 1947년. 그래서 초창기 제국 시절의 도쿄대학을 '구제 도쿄대학', 현재의 도쿄대학을 신제 도쿄대학으로 구별해서 부른다.[30] 실제로 살해의 주범들은 전부 치외 법권으로 인해 일본에서 재판을 하여 증거 불충분이란 명목으로 풀려났다.[31] 그 유명한 우장춘 박사의 아버지이다.[32] 이두황은 일본으로 망명했을 때 다른 망명객들과 함께 후쿠자와 유키치로부터 자기 나라 국모를 살해하고도 은인자중할지 모르는 놈이라고 손가락질을 받았고, 청일 전쟁에서 평양성 전투 때 조선인들을 동원해 전사한 일본군 시신을 수습하였으며, 일본이 순종 때 이두황을 사면 복권 하라고 압력을 넣어 순종은 자기 어머니를 죽이는 데 가담한 이두황을 정미특사로 풀어줬으며, 이후 이두황은 중추원 참의 및 전라북도 관찰사와 도장관을 지냈으며, 남한 대토벌 작전에도 참가하여 항일 의병들을 무참히 학살한 친일 반민족 행위자다. 전주에는 광복 전까지 그가 만들어놓은 메이지 천황과 조슈번 출신들을 모시는 신사까지 세워져 있었다.[33] 《한성신보》의 명성황후시해사건 보도 태도와 사후조치#[34] 청일 전쟁 당시 대원군의 밀사로 활동하며 대원군이 일본에게 버림받은 뒤 동학군, 청군과 접촉해 대일 공동 전선 구축을 논의하다 일본에게 발각됐다. 원래부터 흥선대원군 일파의 핵심 인물로 정부 요직들에 두루 임명되었고 당시에는 법무대신 김학우를 암살한 죄로 10년 유형을 받은 상태였다. 이때 박영효는 앞장서서 이준용의 사형을 주장했으나 박영효의 경쟁자들은 물론 이노우에마저 그건 너무 심하다고 반대해 이준용은 사형을 면하게 되었다.[35] 확실히 납치된 것은 아니었겠지만 대원군이 일본 측과 적극적으로 연계해서 이러한 일을 벌였다는 기록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또한 대원군이 늦은 것 역시 일부러 시간을 끌었다라는 설도 있는 만큼 대원군 포섭은 일본이 철저하게 조선 내부의 분쟁 사건으로 몰아가기 위한 작전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36] 본명은 시바 시로(柴四朗)로 미우라 고로의 친구이자 박영효 등 개화파 조선인들과 가까웠던 조선통. 이노우에를 떨어뜨리고 미우라가 신임 조선 공사직에 오르는 데 큰 기여를 했으며 미우라가 공사로 부임한 뒤 조선에 입국해 있었다. 본업은 언론인으로 국수주의 사상을 고취하는 책을 내 의원이 되었다. 동생인 시바 고로(柴五郎)는 후일 육군 대장까지 이르렀다가 1945년 일본 패망 이후 자살했는데 러일 전쟁 때에 러시아에서 활동하던 이위종의 행적을 염탐한 적이 있다. 이 집안은 무진 전쟁에서 막부 편을 들다가 일가가 거의 몰살하고 형제만 살아남은 케이스라 충성심을 보여주기 위해 더욱더 나댄 듯하다.[37] 훈련대와는 별도로 궁궐을 지키던 부대로 일본군 교관의 지도를 받은 훈련대와는 달리 미국인 교관의 훈련을 받았다.[38] 그 전해의 경복궁 점령 당시 경복궁을 장악한 일본군은 궁궐을 지키는 조선군의 무기, 탄약을 죄다 향원정 연못에 빠뜨렸다. 이 총들이 아직도 정비가 안 된 상태였다. 또한 탄약이 상당히 부족한 상태였다.[39] 탄약의 부족의 원인이 다름 아닌 청일 전쟁으로 당시 주력이었던 레밍턴 소총탄들을 청군이 약탈하고 기기창의 관련 설비를 부셨던 탓이 컸다. 거기에 새로 중이었던 마우저 소총마저 독일과의 트러블로 수입에 차질이 생겼다 보니 1인당 10발만 보유하고 있던 터라 도리어 수비대가 1시간이나 저항했던 게 용할 수준이었다. #[40] 을미사변 직전에 훈련대 연대장이 되었다.[41] 무기만의 문제가 아니다. 시위대 병력의 절반가량은 궐 밖에 나가 있었고 궐 안에 있던 300명의 인원으로는 잔류하던 병력의 무기가 멀쩡했어도 무장이 훨씬 양호하던 훈련대와 일본군을 모두 막기는 힘들었을 것이다.[42] 사건 이후 고종은 정병하가 일본과 결탁한 것으로 판단했다.[43] 당시 궁에 침입한 일본군보다 조금 더 수가 많았던 무예청과 항전파 경비 병력들은 흥선대원군에게 대단히 충성적이었고 흥선대원군의 명을 따랐다. 다시 말해 을미사변 도중 일본이 흥선대원군을 멋대로 감금할 만한 여력은 없었던 셈.[44] 궁내부 대신은 오늘날로 치면 대통령 비서실장과 부총리를 겸직하는 정도의 실권을 가진 직책으로, 관료 서열상으로도 총리대신 다음으로 높은 관직이었다. 이런 고위 관료도 허무하게 살해될 정도로 상황이 막장이었다는 것.[45] 궁녀들은 평생 처녀로 지내야 하고 임신 경험이 있는 건 황후뿐이기 때문이다.[46] 황후의 용모가 실제 나이보다 훨씬 젊어 보여 유방의 처짐으로 확인했다는 설도 있다.[47] 베베르 보고서에 나오는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의 증언[48] 윤치호 일기의화군의 증언을 인용하면서 '왕후는 자신은 왕후가 아니며 먹을 것을 찾아 들어왔을 뿐이다'라고 적었다.[49] 다음 해인 1896년 조선 공사로 부임하기도 했다. 훗날 최초의 정당내각을 이끄는 총리대신이 되어 소위 문화통치를 입안, 사이토 마코토를 조선총독으로 보내나, 총리재직 도중 도쿄역에서 극우파 청년에게 암살당한다.[50] 상관인 우범선이 이를 태우라고 지시했다.[51] 을미사변 당시 왕과 왕비는 불안해했기에 인근에 서양인들을 숙직시켰다. 을미사변은 크게 보면 경복궁에서 일어났지만 왕과 왕비는 경복궁 북쪽에 있는 건청궁(지금 경복궁을 가면 청와대 가까운 곳에 단청을 하지 않은 양반가 건물 같은 건물이 있는데, 이곳이 건청궁이다.)에 머물고 있었기에 일본군과 낭인들은 이곳으로 쳐들어와서 왕과 세자를 겁박하고 왕비를 참살하였다. 그런데 이곳 인근에 집옥재라는 건물이 있는데, 당시 이곳에서 서양인들 몇 명이 숙직하고 있다가 이러한 참변을 목격하였다.[52] 전임 공사 이노우에는 당대 거물 정치인 이토와 육군 최대 계파에 수장 야마가타와 함께 묶을 수 있는 거물급 인물이였고 무츠에게 밀려나긴 했으나 초대 외무경, 외무대신을 역임하며 외무성에 큰 영향력을 끼친 사람이기도 하였다. 후임자 미우라는 한때 국내에서 전공을 쌓았던 제야의 무인 정치꾼 정도로 취급받은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편.[53]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100406218300004[54] 흥선대원군 파벌이 적잖은 민중의 지지는 물론 군부와 경무청 등에 강력한 기반을 가지고 있던 시점이라 일본 측은 민씨-친러파 일망타진 이후 대원군 일파가 또 다른 반대 세력으로 부상하는 걸 경계해 이런 조치를 취했다. 하지만 서명을 요구한 일본이나 일본을 경멸하던 대원군의 지지 세력 모두 각서 정도로 대원군의 궁정 정치가 순순히 막을 내릴 거라고 믿지는 않았다.[55] 고종의 친정 이후 흥선대원군은 임오군란, 청일 전쟁, 을미사변 등에 개입하여 지속적으로 정계에 복위하려 시도했고 임오군란 이후부터 부자간의 관계는 매우 안 좋았다.[56] 조선 초대 왕인 태조부터 태종과 갈등이 있었고 이외에는 선조-광해군, 인조-소현세자, 영조-사도세자 등이 있었다.[57] 대원군은 여러 세력과 손잡으려고 했다. 그러나 이야기에 나온 것과 동일하게 외세를 이용해서 중전을 죽이고 왕을 겁박하겠다는 생각을 가진 것은 을미사변 즈음이었다. 참고로 대원군은 자신이 집정하던 고종 초기에 연해주를 얻은 러시아의 위협을 막기 위해서 천주교도들과 접촉하여 프랑스와 연결하고자 한 적이 있었다. 대원군은 이이제이 방식을 자주 사용하던 사람으로 중전의 정치적인 생명을 제거하려고 한 적은 있지만 생명까지 빼앗고자 한 것은 을미사변이 처음이다.(임오군란 때에는 군란의 이유가 중전과 척족에게 있었고 대원군이 입궐하기 전에 중전이 도망갔으며 전국에 추격령을 내리지 않았다.)[58] 훗날 12, 14대 일본 총리가 된다.[59] 당시 한성에 거주 중이었고 을미사변에는 가담하지 않은 인물이다.[60] 출처: 일본 국립국회도서관(國立國會圖書館) 헌정자료실(憲政資料室) 장(藏) <헌정사편찬회문서(憲政史編纂會文書)> (憲政史編纂会収集文書目録 (憲政資料室所蔵目録 ; 第1)), 546번 조선왕비사건 관련 자료 (五四六、 朝鮮王妃事件関係資料)[61] 여담으로 1965년 12월 3일에 일본 정치인 구로야나기 아키라(공명당 소속)가 일본 참의원 '일한 조약 등 특별 위원회(日韓条約等特別委員会)'에서 에이조 보고서의 이 구절 일부를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해당 기록)[62] 《명성황후 시해의 진실을 밝힌다.》 최문형. 239쪽. '술에 취한 이들이 시신을 능욕하는 시늉까지 해가며 만행을 서슴지 않았다는 것이다.' #[63] 이 강사는 '일본군(미우라 고로)에 의한 민비 살해'라고 칭하며 강사는 '민비를 중심으로 친러 정권이 성립했는데, 한국을 지배하려고 획책하는 일본에 있어서는 한국이 러시아에 접근하는 움직임이 유리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자기네 이득을 위해 민비를 살해했고 민비는 이들에 의해 안타까운 운명을 맞이했다'고 언급하였다.[64] 흥선대원군과 미우라 고로 둘을 을미사변의 주체로 보는 시각을 가진 강사도 있다.[65] 마나비샤는 혁신 성향의 출판사로 평가받고 있으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하여 일본 교과서 중 가장 자세하게 기술했다가 우익 성향의 산케이 신문으로부터 어느 나라 교과서냐고 공격받고 검정에서 수정을 강요받은 적이 있다. 이것은 대체 어느 나라의 교과서인가… 새 "마나비샤" 역사교과서, 검정 전 무시무시한 내용과 정체[66] 일본 고등학교 검정교과서 '역사총합'의 식민지기 한국 관련 기술 내용 검토-3・1운동과 관동대지진을 중심으로 (서종진) #[67] 명성황후는 여기서는 조각 같은 미모를 가진 고종에게 순종적인 여자로 나온다. 무례한 백인 여주인공을 보고도 그냥 웃어주는 게 등장의 전부.[68] 작중 여주인공이 유별나게 별종이자 적극적인 여자이긴 하다. 오죽하면 남자들도 여주인공을 보고는 말괄량이 길들이기를 떠올릴 정도다.[69] 장군이 되지 못한 장포대로 말년을 한직에서 보내다 씁쓸하게 전역한 날에 빙의한다. 하지만 스펙은 매우 우수한데, 육사 여군 수석에 특전사 지역대장(특수 작전), 사단 작전참모(제병 협동 작전), 독일 교환 교관(독일어), 이라크 파병(민사 작전), 러시아 국방무관(러시아어 및 군사 외교) 등을 역임하고 말년을 군사사 편찬 연구소에서 근대사 연구로 보냈기에 민비 빙의 후로 근대의 난세에 완벽하게 대응하는 전천후 능력자가 되었다.[70] 일본명 《민비 암살》.[71] 이 칼의 이름이 히젠토(肥前刀)라고 한다. 길이 120cm에 칼날이 90cm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