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초대 조희연 | 제2대 신기선 | 제3대 안경수 | 제4대 조희연 | 제5대 이도재 | |||
제6대 조희연 | 제7대 이윤용 | 제8대 민영환 | 제9대 이종건 | 제10대 민영기 | |||
제11대 심상훈 | 제12대 민영환 | 제13대 심상훈 | 제14대 민병석 | 제15대 윤웅렬 | |||
제16대 민병석 | 제17대 민영철 | 제18대 신기선 | 제19대 이근택 | 제20대 이봉의 | |||
제21대 윤웅렬 | 제22대 민영철 | 제23대 이용익 | 제24대 윤웅렬 | 제25대 민영기 | |||
제26대 이윤용 | 제27대 이종건 | 제28대 권중현 | 제29대 이용익 | 제30대 심상훈 | |||
제31대 권중현 | 제27대 이근택 | 제28대 권중현 | 제29대 이병무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제29대 이병무 | |||||||
}}}}}}}}}}}} |
조희연 관련 틀 | ||||||||||||||||||||||||||||||||||||||||||||||||||||||||||||||||||||||||||||||||||||||||||||||||||||||||||||||||||||||||||||||||||||||||||||||||||||||||||||||||||||||||||||||||||||||||||||||||||||||||||||||||||||||||||||||||||||||||||||||||||||||||||||||||||||||||||||||||||||||||||||||||||||||||||||||||||||||||||||||||||||||||||||||||||||||||||||||||||||||||||||||||||||||||||||||||||||||||||||||||||||||||||||||||||||||||||||||||||||||||||||||||||||||||||||||||||||||||||||||||||||||||||||||||||||||||||||||||||||||||||||||||||||||||||||||||||||||||||||||||||||||||||||||||||||||||||||||||||||||||||||||||||||||||||||||||||||||||||||||||||||||||||||||||||||||||||||||||||||||||||||||||||||||||||||||||||||||||||||||||||||||||||||
|
| |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 |
<colbgcolor=#29176e><colcolor=#ffde09> 대한제국 군부대신 조희연 趙羲淵 | Cho Huiyŏn | |
이름 | <colbgcolor=#fff,#1f2023>조희연 (趙羲淵) |
오무라 지사부로 (大村智三郞) | |
본관 | 평양 조씨 (平壤) |
자 | 심원 (深源) |
호 | 기원 (杞園) |
출생 | 1856년 (철종 7) 5월 26일 |
경기도 통진군 (現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 |
사망 | 1915년 7월 20일 (향년 59세) |
직업 | 정치가, 관료, 군인 |
작위 | |
주요 경력 | 군부대신 궁내부 특진관 조선귀족 남작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
비고 |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
[clearfix]
1. 개요
개화기 대한제국의 개화파이자 무신, 친일반민족행위자.2. 생애
1882년 별시 무과에 급제#하였고, 동학농민운동 때 각종군수 물자를 지원했으며, 전주성이 함락되자 청군을 불러들여 난을 진압하자는 고종에게 극심한 내정 간섭을 불러올 것이라며 이를 반대하였다. 이후 을미개혁 때 김홍집 친일 내각에 들어가 개혁을 주도하였다. 그러다 아관파천 때 유길준, 장석주와 함께 체포 명령이 내려져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일본 망명 시기에는 일본의 군수공장 및 각종 군사 시설들을 견학하였다고 한다.
1907년 귀국하였고, 1910년 한일병합 때 일제에 조선귀족 남작 작위를 받았다. 또한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의장에도 임명되었다.
이전부터 채무가 많아 결국 재산을 탕진하였고 조선총독부가 작위를 반납할 것을 종용했다. 결국 1915년 5월 '원(願)에 따른 반납'이라는 형식으로 작위를 포기하여 자식에게도 세습되지 않았다. 사망 당시에는 적십자애국부인회 조선본부 평의원으로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