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외무경 (1869년~1879년) · 외무사무총재 (1873년) | |||||||||||
초대 사와 노부요시 | 2대 이와쿠라 도모미 | 3대 소에지마 다네오미 | 4대 데라시마 무네노리 | 5대 이노우에 가오루 | ||||||||
전전 외무대신 (1885년~1945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5대 이노우에 가오루 | 6대 이토 히로부미 | 7대 오쿠마 시게노부 | 8대 아오키 슈조 | 9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0대 무쓰 무네미쓰 | 11대 사이온지 긴모치 | 12대 오쿠마 시게노부 | 13대 니시 토쿠지로 | 14대 오쿠마 시게노부 | ||||||||
15대 아오키 슈조 | 16대 가토 다카아키 | 17대 소네 아라스케 | 18대 코무라 주타로 | 19대 가토 다카아키 | ||||||||
20대 사이온지 긴모치 | 21대 하야시 타다스 | 22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 23대 코무라 주타로 | 24대 우치다 고사이 | ||||||||
25대 가쓰라 다로 | 26대 가토 다카아키 | 27대 마키노 노부아키 | 28대 가토 다카아키 | 29대 오쿠마 시게노부 | ||||||||
30대 이시이 키쿠지로 | 31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 32대 모토노 이치로 | 33대 고토 신페이 | 34대 우치다 고사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34대 우치다 고사이 | 35대 야마모토 곤노효에 | 36대 이주인 히코키치 | 37대 마츠이 케이시로 | 38대 시데하라 기주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39대 다나카 기이치 | 40대 시데하라 기주로 | 41대 이누카이 쓰요시 | 42대 요시자와 겐키치 | 43대 사이토 마코토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44대 우치다 고사이 | 45대 히로타 고키 | 46대 아리타 하치로 | 47대 하야시 센주로 | 48대 사토 나오타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49대 히로타 고키 | 50대 우가키 가즈시게 | 51대 고노에 후미마로 | 52대 아리타 하치로 | 53대 아베 노부유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54대 노무라 기치사부로 | 55대 아리타 하치로 | 56대 마츠오카 요스케 | 57대 토요다 테이지로 | 58대 도고 시게노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59대 도조 히데키 | 60대 타니 마사유키 | 61대 시게미쓰 마모루 | 62대 스즈키 간타로 | 63대 도고 시게노리 | ||||||||
전후 외무대신 (1945년~현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64대 시게미쓰 마모루 | 65대 요시다 시게루 | 66대 가타야마 데쓰 | 67·68대 아시다 히토시 | 69·70·71대 요시다 시게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72·73·74대 오카자키 카츠오 | 75·76·77대 시게미쓰 마모루 | 78대 이시바시 단잔 | 79·80대 기시 노부스케 | 81·82대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83·84대 고사카 젠타로 | 85·86대 오히라 마사요시 | 87·88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 89·90대 미키 다케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91대 사토 에이사쿠 | 92·93대 아이치 기이치 | 94대 후쿠다 다케오 | 95·96대 오히라 마사요시 | 97대 키무라 토시오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98대 미야자와 기이치 | 99대 고사카 젠타로 | 100대 하토야마 이이치로 | 101·102대 소노다 스나오 | 103대 오키타 사부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04대 이토 마사요시 | 105대 소노다 스나오 | 106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107·108대 아베 신타로 | 109대 쿠라나리 타다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10대 우노 소스케 | 111대 미쓰즈카 히로시 | 112대 나카야마 타로 | 113·114대 와타나베 미치오 | 115대 무토 카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16대 하타 쓰토무 | 117대 가키자와 고지 | 118대 고노 요헤이 | 119·120대 이케다 유키히코 | 121대 오부치 게이조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22대 고무라 마사히코 | 123·124·125대 고노 요헤이 | 126대 다나카 마키코 | 127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 128·129대 카와구치 요리코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30·131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 132·133대 아소 다로 | 134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 135대 고무라 마사히코 | 136대 나카소네 히로후미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37·138대 오카다 가쓰야 | 139대 마에하라 세이지 | 140대 에다노 유키오 | 141대 마쓰모토 다케아키 | 142대 겐바 고이치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43·144대 기시다 후미오 | 145·146대 고노 다로 | 147-149대 모테기 도시미쓰 | 150대 기시다 후미오 | 151대 하야시 요시마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152대 가미카와 요코 | 153대 이와야 다케시 | }}}}}}}}}}}} |
일본 제국 제10대 외무대신 무쓰 무네미쓰 陸奥宗光 | Mutsu Munemitsu | |||
<colbgcolor=#003366><colcolor=#FFF> 출생 | 1844년 8월 20일 | ||
기이국 나구사군 (現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 |||
사망 | 1897년 8월 24일 (향년 53세) | ||
도쿄부 기타도시마군 다키노가와촌 (現 도쿄도 기타구) | |||
재임기간 | 제4대 효고현지사 | ||
1869년 7월 28일 ~ 1869년 8월 24일 | |||
제3대 가나가와현지사 | |||
1871년 10월 5일 ~ 1872년 8월 17일 | |||
제6대 농상무대신 | |||
1890년 5월 17일 ~ 1892년 3월 14일 | |||
제10대 외무대신 | |||
1892년 8월 8일 ~ 1896년 5월 30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366><colcolor=#FFF> 통칭 | 요노스케(陽之助) 다테 고지로(伊達小次郎) | |
아명 | 우시마로(牛麿) | ||
부모 | 부 다테 무네히로 모 마사코 | ||
배우자 | 전처 렌코 (? ~ 1872년) 후처 료코 (1872년 ~ 1897년) | ||
자녀 | 장남 히로키치 차남 후루카와 준키치 장녀 기요코 차녀 후유코 | ||
학력 | 고베 해군조련소 (해체)[1] | ||
작위 | 백작 | ||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지역구 | 舊 와카야마 제1구 | ||
의원 선수 | 1 (중) | ||
의원 대수 | 1 | ||
위계 | 정2위(正二位) | ||
약력 | 해원대 대원 외국사무국 어용계 제4대 효고현지사 제3대 가나가와현지사 지조개정국장 주미일본공사 겸 주멕시코일본공사 제6대 농상무대신 초대 중의원 의원 원로원 의관 제10대 외무대신 |
[clearfix]
1. 개요
일본 메이지(明治) 시대의 외교관이자 정치가.2. 생애
기슈번(지금의 와카야마현)출신으로, 사카모토 료마의 해원대(海援隊)에 참가하여 행동을 함께 했다. 메이지 시대엔 이토 히로부미 등과 함께 내각의 중추로서 활동하였다. 불평등 조약의 개정에 힘을 쏟는 한편, 청일전쟁을 외무장관으로서 주도하였다. 삼국간섭이 터지자 만약 지금 러시아, 프랑스, 독일에게 개겼다간 요동은 고사하고 대만이고 뭐고 청일전쟁의 전리품들이 다 날아갈 수 있으니 군말없이 수용하여 분쟁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현실주의적인 모습을 보였다.아무래도 일본에 의한 국권 피탈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전에 병사한 인물이다보니 이토 히로부미에 비해 한국에 잘 알려진 인물은 아니지만, 실제 일본에서 만든 역사물에서는 조선침략에 대해서 이토 히로부미보다 더했으면 더했지 못하진 않았다. 드라마 '언덕위의 구름'에선 당시 수상이었던 이토 히로부미가 러시아를 두려워하여 조선파병을 미루려하자, 그를 부추겨 조선파병을 하도록 한 인물로 등장하고, 만화 '왕도의 개'에서는 아예 청나라, 조선침략의 최종흑막으로 등장한다.(이토 히로부미는 1권에서 로쿠메이칸 외교로 까이는 쩌리.)
3. 여담
을미사변 당시 명성황후 살해에 무쓰 무네미쓰와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이 3명이 배후에서 개입했다는 증거가 공개되었다. 기사 링크 책 링크또한, 일본 역사 월간지 역사독본(歴史読本)에 위 내용을 뒷받침하는 글이 실렸던 적이 있는데, 사카모토 료마의 스승이자 막부 해군경이기도 했던 카츠 카이슈(勝海舟)가 쓴 편지에 무쓰 무네미쓰가 사건의 배후에 있다는 걸 간접적으로 비난하는 글이 실려있다는 내용이다.[2]
원래 성은 다테(伊達)로, '무쓰'는 일본 동북 지방(정확히는 아오모리 현 전체와 이와테 현 북부)을 가리키는 말. 만화 《수라의 각》에서는 사카모토 료마가 무쓰 이즈미에 관해 해준 이야기를 듣고 감명받아 성을 무쓰로 고쳤다고 각색하였다. 시바 료타로의 소설 《료마가 간다》에서는 '다테'라는 성을 쓰면 자신의 출신이 드러나기 때문에 자신의 출신을 숨기기 위해 성을 고쳤다고 묘사되어 있다. 다테 가문의 분가인 스루가 다테 가문의 분가 기슈 다테 가문 출신으로, 다테 마사무네 등 다테 종가와는 12세기에 갈라진 아주 먼 친척이라 사실상 남남이나 마찬가지이다. 그의 부인인 무쓰 료코는 본래 게이샤 출신으로 미인으로 유명했는데 남편과 함께 사교계에서 활약하면서 민간 외교관 노릇을 했다.
4. 매체에서
만화 《은혼》의 등장인물 무츠의 원형이기도 하다. 속된 말로 일본 근현대사에서 유일하게 부끄럼 없이 자랑스러워 할수 있다고 일본인 스스로는 생각하는 시대를 이끈 인물인데다 그 사카모토 료마의 부하였다는 이유로 일본 내에서는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듯. 왕도의 개처럼 본질적인 문제부터 비판하고 들어가는 작품이 아니면 언제나 나름 괜찮은 모습으로 그려진다.허나 잊지 마라!
이 무쓰 한 사람을 벤다 한들, 이제 와서 일본이 갈 길을 바꿀 수는 없을 것이다!
코무라[3]가! 하라가![4]
내가 가르친 이들이 계속해서 뒤를 이을 것이다! - 야스히코 요시카즈의 왕도의 개에서
야스히코 요시카즈의 왕도의 개에서는 꽤 부정적으로 나온다. 김옥균의 암살을 유도하여 청나라와의 전쟁 여론을 이끌어내고, 동학농민운동에 무기를 제공하고 청나라를 유인해 전쟁을 벌인다. 이때, 덴노를 무시하고 청일전쟁 이끌고 이모저모 활약하다가 메이지 덴노에게 "이게 짐의 전쟁이라고? 그대들의 전쟁이 아니던가?"라는 쓴소리(이것도 실화)를 듣는다. 이 만화에 나온 무쓰와 덴노의 갈등이라든지 여러 모로 나온게 실제 역사와 일치하는 내용이다. 마지막에 이르면 병으로 죽어가는데[5] 강한 일본을 만든다고 자부하지만 주인공 카노 슈스케는 너 같은 놈 때문에 우리 일본이 전쟁으로 미쳐돌아간다며[6] 그를 죽이려 하다가 되려 애증어린 친구인 카자마(그는 반대로 무츠를 따르고 있었기에 칼들고 싸우다가)가 죽고 만다.이 무쓰 한 사람을 벤다 한들, 이제 와서 일본이 갈 길을 바꿀 수는 없을 것이다!
코무라[3]가! 하라가![4]
내가 가르친 이들이 계속해서 뒤를 이을 것이다! - 야스히코 요시카즈의 왕도의 개에서
이를 본 무쓰는 심하게 기침을 하면서 "나는 가만히 내버려둬도 머지않아 죽는데 왜 앞길 쟁쟁한 젊은이를 죽였나..."라고 하는데 온갖 전쟁을 조종하고 기세좋던 그가 병으로 다 죽어가는 모습을 본 카노는 물러선다. 그리고 역사대로 얼마 안 가 병사한다.
KBS 드라마 명성황후에서는 배우 강태기[7]가 맡았다. 아이러니하게도 조선의 온건개화파의 거두였던 김홍집과 1인 2역을 맡았다.
NHK 드라마 료마전에서는 주인공 사카모토 료마 옆에서 돕는 훈훈한 청년으로 나온다. 작품 내내 이국(異國, 즉 다른 나라)으로부터 일본을 지키기 위해 바꿔야한다고 하는 료마의 말에 찬성하면서 그의 부하로서 열일한다.
[1] 이케다야 사건의 여파로 해체되었다. 사건 당시 존왕지사 측에 도사 번 출신 교육생이었던 모치즈키 가메야타가 있었던 것이 결정적인 이유가 되었다. 여담으로 무쓰는 이곳에서 사카모토 료마를 처음 만났다.[2] 아이러니하게도 무쓰 무네미쓰는 사카모토 료마의 후배이자 부하였고, 카츠 카이슈는 사마모토 료마의 스승이다.[3] 코무라 주타로(小村壽太郎, 1855~1911)[4] 하지만 역사에서는 하라 타카시는 문민통제와 다이쇼 데모크라시로 인해 무쓰 무네미쓰와 달리 정 반대로 행동했다.[5] 실제 무츠 본인도 폐결핵으로 사망.[6] 이게 바로 카노의 그 유명한 대사인 "삼국간섭은 그대와 그대의 망국적 외교가 불러온 것, 김옥균을 사지로 내몰고, 청나라를 상대로 의롭지 못한 전쟁을 벌였으며 과다한 영토를 요구하고, 독립 보호라는 미명하에 조선을 지배하에 둠으로써 일본에 대한 증오가 양국 민중 마음 속에 뿌리내리게 했으니, 그대가 가는 길은 왕도를 벗어났으며, 일본을 망하게 할 것이라 이 말이오!"이다.[7] 용의 눈물에서 야은 길재를 맡은 배우이다. 태조 왕건에서는 환각에 시달리던 궁예가 마신 약을 지은 도인과 견훤이 유폐되어 있을 당시의 금산사의 주지승으로 등장했다. 또한 1983년작 TV 문학관 벙어리 삼룡이의 인간 말종 주인집 아들과 연극 에쿠우스에서 1대 주연을 맡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2013년 3월 12일에 향년 63세로 사망한 채 발견돼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