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별자리{{{#!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 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letter-spacing: -1px" | ※ 서양권 외의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비공인 별자리는 별자리/문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
아르고 P | }}}}}}}}}}}} | |
Z: 황도 12궁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포함)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 ||
틀:성군 · 천문학 관련 정보 |
세페우스자리 Cepheus / Cep | |
학명 | Cepheus |
약자 | Cep |
주요 별 수 | 7 |
가장 밝은 별 | Alderamin(α Cep, 2.45 등급) |
가장 가까운 별 | Kruger 60(13.1 광년) |
인접 별자리 | 작은곰자리, 백조자리, 도마뱀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기린자리 |
관측 가능 여부 | O(항상 관측 가능) |
[clearfix]
1. 개요
Cepheus/Cep북쪽 하늘의 별자리로 모든 계절에 볼 수 있지만 가을철 별자리로 분류된다. 밤하늘에서 카시오페이아자리와 기린자리 사이 가로로 찌그러진 오각형 모양의 별자리로 카시오페이아자리 서쪽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2. 상세
그리스 로마 신화의 에티오피아 왕 케페우스의 별자리. 안드로메다의 아버지이며, 페르세우스의 장인이다.그리고 서기 3000년경부터 8000년경까지 천구북극은 이 별자리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이 별자리의 감마별(3번째로 밝은 별) 알라이, 요타별(9번째로 밝은 별), 그리고 알파별(가장 밝은 별) 알데라민이 차례로 북극성이 된다.
남쪽으로 은하수가 지나가 코끼리 몸통 성운등의 성운과 성단들이 많이 존재하며 항성또한 2~3등급의 항성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주변의 카시오페이아자리나 백조자리, 작은곰자리에 비해선 덜하지만 어느 정도 인지도는 있는 편이다.
3. 발견된 천체
[[세페우스자리#발견된 천체|세페우스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알데라민 Alderamin | 베타성 알프리크 Alfirk | 감마성 에라이 Errai | 델타성 세페우스자리 델타 δ Cep | |
엡실론성 세페우스자리 엡실론 ε Cep | 제타성 세페우스자리 제타 ζ Cep | 에타성 세페우스자리 에타 η Cep | 세타성 세페우스자리 세타 θ Cep | |
이오타성 세페우스자리 이오타 ι Cep | 카파성 세페우스자리 카파 κ Cep | 람다성 세페우스자리 람다 λ Cep | 뮤성 허셜의 가넷성 Herschel's Garnet Star | |
누성 세페우스자리 누 ν Cep | 크시성 쿠르하 Kurhah | 오미크론성 세페우스자리 오미크론 ο Cep | 파이성 세페우스자리 파이 π Cep | |
로성 세페우스자리 로 ρ Cep | 시그마성 세페우스자리 시그마 σ Cep | 타우성 세페우스자리 타우 τ Cep | 웁실론성 세페우스자리 웁실론 υ Cep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세페우스자리 1 | 세페우스자리 2 | 세페우스자리 3 | 세페우스자리 4 | |
세페우스자리 5 | 세페우스자리 6 | 세페우스자리 7 | 세페우스자리 8 | |
그 외 세페우스자리에 속한 항성 | ||||
세페우스자리 VV | HD 1 | 크루거 60 | -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세페우스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별자리 남서쪽 부근을 은하수가 관통하기 때문에 수많은 항성들과 성운, 성단들이 위치해 있으며 일부 은하 또한 먼지에 의해 약간 가려진 채 분포해 있다. 게다가 별자리가 북극성 근처까지 뻗어있어 은하수로부터 멀리떨어진 북극성 근처에서는 몇몇 은하들이 위치해 있다.
3.1. 항성
알파부터 로까지 총 17개의 별이 바이어 지정되었으며 이중 ρ의 경우 ρ1과 ρ2로 구분되어진다.- α Cep(알데라민, Alderamin): 겉보기등급 2.51의 A형 주계열성으로 약 7500년 경 북극성이 될 예정이다. 현재 적색거성이 되는 과정에 있다고 한다.
- β Cep(알프리크/Alfirk): 겉보기등급 3.16~3.27의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으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의 어원이다. 지구에서 대략 620 광년 떨어져 있으며 약 5200년 경 이오타별[1]과 함께 북극성이 될 예정이다.
- γ Cep(에라이/Errai): 겉보기등급 3.21의 쌍성으로 지구에서 45광년 떨어져 있다. 약 3000년 경 북극성이 될 예정이다. K1III-IV의 적색거성과 M4의 적색왜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적색거성의 경우 시아노라디칼(CN)이 풍부해 연구가치가 있다고 한다. 서기 3000년 경 현재의 북극성(Polaris) 보다 북극에 더 가까워질 예정이다. 타드모르로 명명된 목성의 1.59배 질량의 외계행성이 발견되었다.
- δ Cep(세페우스자리 델타): 겉보기등급 6.3의 사중성계로 그 유명한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조이다. 현재 세페우스자리 델타A는 적색거성단계를 거치고 있으며 어마어마한 양의 가스를 지금도 항성 외부로 내보내고 있다.
- ε Cep(세페우스자리 엡실론): 겉보기등급 4.15~4.21의 F형 주계열성으로 현재 거성단계에 진입하기 직전의 상태라고 한다.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으로 분류되며 주기는 59.388분이다. 항성 주변에 62 AU 크기의 먼지디스크가 존재한다.[2]
- ζ Cep(세페우스자리 제타): 겉보기등급 3.35의 적색초거성으로 진폭이 매우 낮은 식쌍성이다. 다만 동반항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지구에서 대략 840 광년 떨어져 있으며 향후 수천만년 이내에 백색왜성이 될 예정이다.
- η Cep(세페우스자리 에타): 겉보기등급 3.426의 거성으로 지구에서 46.53 광년 떨어져 있다. 아직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목성질량 0.1~1.2배의 외계행성이 1개 이상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 θ Cep(세페우스자리 세타): 겉보기등급 4.22의 쌍성으로 지구에서 127 광년 떨어져 있다. 쌍성은 A형 주계열성과 K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ι Cep(세페우스자리 이오타): 겉보기등급 3.5의 K형 거성으로 지구에서 115광년 떨어져 있다. 상술했듯 약 3,000년 안에 알프리크와 함께 북극성이 될 예정이다.
- λ Cep(세페우스자리 람다): 겉보기등급 5.05의 청색 초거성으로 지구에서 무려 1,980 광년 떨어져 있다. 약 250만년 전에 동굴 성운이 포함된 세페우스자리 OB3 성협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마치 뱀주인자리 제타처럼 성간가스를 뚫고 지나가면서 근처에 충격파가 형성되고 있다.
- μ Cep(허셜의 가넷성/Herschel's Garnet Star, 에카리스/Ekaris, 세페우스자리 뮤): 겉보기등급의 3.43~5.10의 붉은 별로으로 지구에서 3,060 광년 떨어져 있다. 후술할 코끼리 몸통 성운의 중심에 있는 항성으로 허셜의 가넷성이라는 명칭은 윌리엄 허셜이 세페우스자리 뮤를 보고 석류석[3] 색깔이라고 묘사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지막지하게 멀리 있음에도 불구하고 겉보기등급이 4~5등급인 것에서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듯 해당 항성은 반지름이 최소 972 태양반경에 최대 1,430 태양반경에 육박하는 극대거성이다.
- ν Cep(세페우스자리 누): 겉보기등급 4.29의 백색 초거성으로 백조자리 알파형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지구에서 대략 4,700 광년 떨어져 있는 세페우스자리 OB2 성협에 포함되며 해당 성협에는 2000년대에 가장 큰 항성이었던 세페우스자리 VV또한 위치하고 있다.
- ξ Cep(쿠르하/Kurhah, 세페우스자리 크시): 겉보기등급 4.2의 사중성계로 지구에서 86 광년 떨어져 있다. A별은 준거성, B별은 알려지지 않은 구성원들로 구성된 쌍성, C별은 13등급의 적색왜성으로 추정되는 항성인 것이 밝혀졌다.
- {{{#!folding 상술되지 않은 4등성 별 보기 [ 펼치기 · 접기 ]
상술되지 않은 3.5~4.5등급 별 목록 | ||||
이름 | 겉보기 등급 | 분광형[4] | 지구와의 거리(광년) | 기타 정보 |
2 Umi | 4.24 | K2 II-III | 280 | [5] |
κ Cep(세페우스자리 카파) | 4.39 | B9III + A7V | 324.5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