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수학자중 1931년부터 1940년까지 출생한 인물 목록을 다룬 문서.2. 목록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주요 수상 내역[1] |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아디안 | 1931 | 경계 번사이드 문제, 노비코프-아디안 정리, 아디안-라빈 정리 | |
엘리아스 메나헴 스타인 | 1931 | 스타인-스트롬베르(Strömberg ) 부등식, 스타인 여급수 표현(Complementary series representation), 코틀러-스타인 보조정리, 페퍼먼-스타인 이론, 스타인 극대 원리, 스타인 보간법, 스타인-토마스 제한 정리, 카케야 문제와 유사한(Analogues) 문제에 대한 추측[2]에 대해서 그러한 모든 집합이 n>3일 때 양의 측도를 가져야 함을 증명 | 1999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장 몰레 | 1931 | 웨이블릿 | |
라르스 발테르 회르만데르 | 1931 | 회르만데르 조건, 파면 집합(wavefront set), 유사 미분 연산자, 레비 문제 해결 | 1962년 필즈상, 1988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아즈리엘 로젠펠드 | 1931 | 디지털 위상(Digital topology) | |
존 윌러드 밀너[3] | 1931 | 7차원 이국적 초구의 존재 증명, 밀너 환, 페리-밀너 정리, 밀너 추측(매듭 이론), 밀너 추측(대수적 K 이론), 밀너-서스턴 반죽 이론, 밀너 정리, 밀너 사상, microbundle, 슈바르츠-밀너 보조정리, 밀너-우드 부등식, 수술 이론, 끌개(attractor)를 정의, 밀너-무어 정리, 밀너 불변량 | 1962년 필즈상, 1989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1년 아벨상 |
로이 리 아들러 | 1931 | 위상 엔트로피, 도로 색칠 추측(road coloring conjecture) | |
히로나카 헤이스케 | 1931 | 표수 0인 체 위의 대수적 다양체의 특이점 해소 및 해석 다양체의 특이점 해소, 켈러 다양체에 관한 히로나카의 예시 | 1970년 필즈상 |
안드라스 하즈날[4] | 1931 | 하즈날-세메레디 정리, 바움가트너-하즈날 정리 | |
리처드 셸던 팔레[5] | 1931 | 모스토-팔레 정리, 리(Lie)-팔레 정리, 모스-팔레 보조정리, 팔레-스메일 콤팩트성 조건 | |
허버트 사울 윌프 | 1931 | 윌프-자일베르거 쌍, 캘킨-윌프 나무, 제커스-윌프(Szekeres-Wilf) 수 | |
미셸 에농 | 1931 | 에농 사상(Hénon map) | |
로저 펜로즈 | 1931 | 트위스터 이론, 펜로즈-호킹 특이점 정리, 스핀 네트워크, 펜로즈 타일링, 바일 곡률 가설 이외의 다수[6] | 1988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 2020년 노벨 물리학상 |
모턴 브라운 | 1931 | 일반화 쇤플리스 정리 | 196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미하엘 오제르 라빈 | 1931 | 밀러-라빈 소수판별법, 라빈 암호체계, 아디안-라빈 정리, 확률적 알고리즘, 비결정론적 유한 오토마타 | 1976년 튜링상 |
브라이언 존 버치 | 1931 | 버치의 정리, 모듈러 기호(Modular symbol),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버치-테이트 추측, 헤그너 점 정의 | |
해리 케스텐[7] | 1931 | 종순군(amenable group)에 대한 케스텐 판정법, 케스텐 비율 극한(Kesten's ratio limit) 정리, 무리 회전(irrational rotation)의 불일치에 대한 에르되시와 Szűsz의 추측 해결, 케스텐-스티검(kesten-stigum) 정리, 유한 확산 집합체(Diffusion-limited Aggregation)의 d 차원에서 팔의 성장률이 [math(n^{2/(d+1)})] 보다 클 수 없음을 증명 | |
고바야시 쇼시치 | 1932 | 고바야시 계량, 고바야시-히친 대응 | |
얀 미치엘스키 | 1932 | 결정 공리 | |
잔카를로 로타 | 1932 | 근접대수, 12정도, 로타-백스터 대수, 선형 범함수를 사용하여 음계산법을 엄밀하게 유도 | |
에드워드 넬슨 | 1932 | 확률적 양자화,내부 집합론 | |
피에르 에밀 장 카르티에 | 1932 | 카르티에 연산자, 카르티에 인자 | |
즈보니미르 얀코 | 1932 | 얀코 군 | |
아라키 후지히로 | 1932 | 위그너-아라키-야나세 정리, 아라키-서처 보정, 폰 노이만 대수의 상태의 상대 엔트로피(relative entropy of states of von Neumann algebras) | |
엘리엇 허셸 리브[8] | 1932 | 리브 추측[9], 리브-옥스퍼드 부등식, 템퍼리-리브 대수(Temperley–Lieb algebra), 아라키-리브-티링(Araki–Lieb–Thirring) 부등식, AKLT 모델 외 다수[10] | 2022년 가우스상 |
루이 드브랑주 드 부루시아 | 1932 | 비버바흐 추측 증명(드 브랑주 정리) | 1989년 오스트로우스키상 |
쿠노 로렌츠 | 1932 | 게임 의미론 | |
해롤드 위덤 | 1932 | 트레이시-위덤 분포 | |
하이먼 배스 | 1932 | 스미스 추측 증명, 사영 덮개, 완전 환, 반완전 환, 준반사 가군, 배스-세르 이론, 배스 수 | 197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케네스 아펠 | 1932 | 4색정리[11] | 197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데이나 스콧 | 1932 | SP 집합론, 스콧 계교(Scott's trick), 스콧-몬터규 의미론, 비결정론적 유한 오토마타, 무한 논리 | 1976년 튜링상 |
존 그리그스 톰프슨 | 1932 | 파이트-톰프슨 정리, 톰프슨 산재군, 톰프슨 순서 공식, 톰프슨 유일성 정리, 톰프슨 부분군 | 196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1970년 필즈상, 1992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8년 아벨상 |
앨빈 플랜팅가 | 1932 | 가능세계론, 양상 존재론적 논증 | |
제럴드 에녹 색스 | 1933 | 색스 강제법, 색스 밀도 정리, 색스 성질 | |
천징룬 | 1933 | 천의 정리, 천 소수 | |
윌리엄 벨블 모턴 카한 | 1933 | 카한 합계 알고리즘, 데이비스-카한-와인버거 확대(dilation) 정리, IEEE 754 | 1989년 튜링상 |
다야난드 베르마 | 1933 | 베르마 가군 | |
프레더릭 저스틴 암그렌 주니어 | 1933 | 암그렌 정규성 정리, 바리폴드, 암그렌-피츠 최소 극대화 이론 | |
스티븐 호엘 섀뉴얼 | 1933 | 섀뉴얼 추측, 섀뉴얼 보조정리 | |
타케사키 마사미치 | 1933 | 도미타-타케사키 이론 | |
피에르 가브리엘 | 1933 | 가브리엘 정리, 화살집(quiver), 가브리엘-로젠버그 재구성 정리, 비가환 기하학, 가브리엘-지스먼 국소화, 가브리엘-포페스쿠 매장 정리 | |
제프리 골드스톤 | 1933 | 골드스톤 보손, 골드스톤 정리 | |
볼프강 슈미트 | 1933 | 데이븐포트-슈미트 정리, 부분 공간 정리, log r / log s가 유리수인 경우에만 base r의 모든 정규수(Normal number)가 base s에서 정상(normal)임을 증명 | 197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리처드 고든 스완 | 1933 | 세르-스완 정리, 스완 표현, 스톨링스-스완 정리 | 197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로빈 밀너 | 1934 | Logic for Computable Functions, π-calculus, 힌들리-밀너 유형 체계(type system), calculus of communicating systems | 1991 튜링상 |
폴 코언[12] | 1934 | ZFC 공리계와 연속체 가설의 거짓이 무모순함을 증명, 강제법 | 1964년 보셰 기념상, 1966년 필즈상 |
잭 에드몬드 | 1934 | 에드몬드-카프 알고리즘, 에드몬드 행렬, 꽃(Blossom) 알고리즘, Polymatroid, 에드몬드 알고리즘, 매트로이드 교차 정리, 갈라이-에드몬드 분해 | |
마이클 아틴 | 1934 | 아틴 스택, 아틴 근사 정리, 아틴 판정법, 아틴-메이저 제타 함수, 아틴-베르디에 쌍대성, 타원 K3 곡면과 유한체 위의 타원 곡선 다발(pencil)에서 테이트-샤파레비치 추측 해결, 아틴-프로세시(Procesi) 정리 | 2013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도널드 사무엘 오른스타인 | 1934 | 오른스타인 동형 정리 | 1974년 보셰 기념상 |
사이먼 베른하르트 코헨 | 1934 | 엑스-코헨 정리, 코헨-스페커 정리, 자유의지 정리 | 196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이고르 블라디미로비치 기르사노프 | 1934 | 기르사노프 정리 | |
대니얼 클라이트먼 | 1934 | 그린-클라이트먼 정리 | |
로드니 마티노 버스톨[13] | 1934 | 제도[14], NPL[15] | |
아놀드 쇤하게 | 1934 | 오들리즈코-쇤하게 알고리즘, 쇤하게-스트라센 알고리즘, 원분할 방법 | |
아즈리엘 레비 | 1934 | 레비 붕괴, 레비 위계, 붕괴 대수(Collapsing algebra) | |
하가 카즈오 | 1934 | 하가 정리[16] | |
리처드 매닝 카프 | 1935 | 에드먼드-카프 알고리즘, 카프의 21가지 NP 완전 문제[17], 호프크로프트-카프 알고리즘, 카프-립톤 정리, 라빈-카프 알고리즘 | 197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1985년 튜링상 |
로널드 브라운 | 1935 | 고차원 대수학(higher-dimensional algebra), 비아벨 대수 위상수학(nonabelian algebraic topology), 자이페르트-판 캄펀 정리를 기본 준군(fundamental groupoid)에 대하여 일반화함 | |
장루이 베르디에 | 1935 | 아틴-베르디에 쌍대성, 베르디에 쌍대성, 유도 범주, 삼각 분할 범주 | |
페트르 보펜카 | 1935 | 보펜카 기수, 보펜카 원리, semiset[18], 보펜카 강제법 | |
블라디미르 이오시포비치 레벤시테인 | 1935 | 레벤시테인 거리, 레벤시테인 코딩, 레벤시테인 자동화 | |
존 로버트 스톨링스 주니어 | 1935 | 군의 끝에 관한 스톨링스 정리, 6 이상의 차원에서 푸앵카레 추측 증명[19], 스톨링스-지먼 정리, 스톨링스-스완 정리, 스톨링스 올뭉치(fibration) 정리 | 197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다비드 피에르 뤼엘 | 1935 | 이상한 끌개, 뤼엘 제타 함수, 시나이-뤼엘-보웬 측도, 하크-뤼엘 산란 이론, 깁스 측도 | |
야코프 그리고리예비치 시나이 | 1935 | 시나이 정리, 시나이 당구, 콜모고로프-시나이 엔트로피, 시나이-뤼엘-보웬 측도, 블레어-시나이 재규격화 이론, 피고로프-시나이 이론 | 1996년~1997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4년 아벨상 |
힐렐 퓌르스텐베르크[20] | 1935 | 소수가 무한함을 위상수학으로 증명[21], 세메레디 정리를 에르고딕 이론으로 증명을, 에르고딕 램지 이론, 퓌르스텐베르크 경계,퓌르스텐베르크-사르코지 정리, 콤팩트 쌍곡 리만 곡면에서 호로사이클 흐름(horocycle flow)의 고유 에르고딕성 증명, 동역학계의 서로소(Disjointness) | 2006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0년 아벨상 |
예브게니 솔로모노비치 골로드 | 1935 | 골로드-샤파레비치 정리, 번사이드 문제 | |
로널드 그레이엄 | 1935 | 그레이엄-로스차일드 정리, 그레이엄 수, 그레이엄 스캔, 그레이엄-폴락 정리, 코프먼-그레이엄 알고리즘, 에르되시-그레이엄 문제 | |
아마리 슌이치 | 1936 | 정보 기하학의 창시자 | |
장 지로 | 1936 | 지로의 정리, 지로의 공리, 제르브 | |
로널드 뵤른 젠슨 | 1936 | NFU[22], 젠슨 피복 정리, 젠슨 위계, 수슬린 가설이 일반화 연속체 가설과 독립임을 증명 | 2015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
볼커 스트라센 | 1936 | 솔로베이-스트라센 소수 판정법, 쇤하게-스트라센 알고리즘 | |
페르 펠 린드스트롬[23] | 1936 | 린드스트롬 정리, 린드스트롬 양화사 | |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키릴로프 | 1936 | 키릴로프 궤도 방법, 키릴로프 모델, 키릴로프 지표 공식 | |
로버트 윌러비 플로이드 | 1936 | 비결정적 알고리즘을 정의함,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플로이드-스타인버그 디더링, 플로이드 주기 찾기 알고리즘 | 1978년 튜링상 |
리처드 에드윈 스턴스 | 1936 | 계산 복잡도 이론,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를 정의, 시간 계층 정리 | 1993년 튜링상 |
유디 펄 | 1936 | 베이지안 네트워크, 신뢰전파(Belief Propagation), causal calculus | 2011년 튜링상 |
로버트 필런 랭글랜즈[24] | 1936 | 랭글랜즈 프로그램, 랭글랜즈 쌍대군, 자케-랭글랜즈 대응, L-패킷 | 198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1995~1996 울프상 수학 부문, 2007년 쇼상 수학부문, 2018년 아벨상 |
조람 린덴스트라우스[25] | 1936 | 존슨-린덴스트라우스 보조정리 | |
프레데릭 윌리엄 갤빈 | 1936 | 디니츠(Dinitz) 추측 증명, 모든 보렐 집합이 램지 속성을 가짐을 증명, 선택 공리가 모든 그래프에 색칠수가 있다는 진술과 동일하다는 것을 보임 | |
로힛 지반랄 파리크 | 1936 | 파리크 정리, Bounded arithmetic | |
드미트리 빅토로비치 아노소프 | 1936 | 아노소프 미분동형사상, 아노소프 사상, 아노소프 흐름 | |
올렉산드르 미콜라요비치 샤르코우스키 | 1936 | 샤르코우스키 정리 | |
찰스 테런스 클레그 월 | 1936 | L 이론, 브라우어-월 군 | |
베른트 피셔 | 1936 | 피셔 군, 괴물 군 | |
이사야 칸토르 | 1936 | 칸토르-코이쳐-티츠 구성, 칸토르 더블 | |
나움 주셀레비치 쇼어[26] | 1937 | 타원체 방법(Ellipsoid method), Subgradient method[27] | |
제임스 버튼 엑스 | 1937 | 엑스-그로텐디크 정리, 엑스-코헨 정리, 형식적 멱급수에 관한 샤누엘 추측 증명 | 196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아나톨리 알렉세예비치 카라추바 | 1937 | 카라추바 알고리즘, 카라추바 현상[28] | |
프랜시스 윌리엄 로비어 | 1937 | 토포스, 로비어 공간, 쉼표 범주, 로비어-티어니 위상, 로비어 이론(Lawvere theory) | |
유리 이바노비치 마닌 | 1937 | ADHM 작도, 마닌-드린펠트 정리, 마닌 행렬, 가우스-마닌 접속, 양자 컴퓨터 개념 제안, 디외도네-마닌 분류 정리, 마닌-멈퍼드 추측, CH 유사군 | |
시드니 리처드 콜먼 | 1937 | 콜먼-맨듈라 정리, 콜먼 정리, 콜먼-와인버그 모형 | |
찰스 코핀 심스 | 1937 | 히그먼-심스 군, 히그먼-심스 그래프, 리옹 군, 오낸 군, 슈라이어-심스 알고리즘, 심스 추측 | |
프란시스 부켄하우트 | 1937 | Buekenhout 기하학, Quadratic set | |
조나단 라자르 알페린 | 1937 | 알페린-브라우어-고렌스타인 정리 | |
데이비드 브라이언트 멈퍼드 | 1937 | 기하 불변량 이론, 들리뉴-멈퍼드 스택, 멈퍼드 곡면, 멈퍼드-샤 함수, 안정점, 준안정점, 힐베르트-멈퍼드 판정법, 멈퍼드 콤팩트성 정리, 멈퍼드 소멸 정리, 호록스-멈퍼드 다발, 카스텔누오보-멈퍼드 정규성(regularity), 마닌-멈퍼드 추측 | 1974년 필즈상, 2006년 쇼상 수학부문, 2008년 울프상 수학부문 |
블라디미르 이고레비치 아르놀트[29] | 1937 | KAM 정리, 아르놀트 확산, 구드코프 추측, 힐베르트 13번 문제 해결, 아르놀트 스펙트럼 열, 리우빌-아르놀트 정리, 위상 갈루아 이론, 아르놀트-벨트라미-차일드리스 흐름, 아르놀트의 혀 | 2001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8년 쇼상 수학부문 |
리처드 앨런 헌트 | 1937 | 칼레손-헌트 정리[30] | 1968년 살렘상 |
에르네스트 보리소비치 빈베르크 | 1937 | 코이쳐-빈베르크 정리, 빈베르크 알고리즘 | |
베리 찰스 메이저 | 1937 | 메이저 꼬임 정리, s-보충 경계 정리, 메이저 다양체, 일반화 쇤플리스 정리, 메이저 제어 정리, 메이저 다양체, 메이저-와일스 정리 | 196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198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22년 천 메달 |
존 호튼 콘웨이 | 1937 | 가공할 헛소리(Monstrous moonshine), 초현실수[31], 콘웨이 다면체 표기법, 콘웨이 군, 마티외 준군, 알렉산더-콘웨이 다항식, 콘웨이 매듭, 읽고 말하기 수열, 콘웨이 판정법, 콘웨이 표기법, 자유의지 정리, 유한군의 아틀라스, 이코시안[32], 15 정리[33] | |
도널드 어빈 커누스 | 1938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커누스-모리스-프랫 알고리즘, 커누스-벤딕스 완성 알고리즘, 로빈슨-셴스테드-커누스 대응, 상승 계승과 하강 계승, TeX | 1974년 튜링상 |
피셔 셰피 블랙 | 1938 | 블랙-숄즈-머튼 모형, 블랙-숄즈 방정식, 블랙-76 모형, 블랙 근사,블랙-더만-토이 모형, 트레이너-블랙 모형, 블랙-카라신스키 모형, 블랙-리터만 모형 | |
이아니스 니콜라스 모스코바키스[34] | 1938 | 모스코바키스 코딩 보조정리, 효과적인 기술적 집합론(Effective descriptive set theory) | |
존 마이클 보드먼 | 1938 | 오퍼라드, 준 범주(Quasi-category) | |
윌리엄 버나드 레이몬드 리코리쉬[35] | 1938 | 리코리쉬-월리스 정리 | |
로비언 크롬웰 커비 | 1938 | 커비 계산, Torus trick, 커비-시벤만 클레스, 이국적 R4 발견, 커비 다이어그램 | 197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노비코프 | 1938 | 유리 폰트랴긴 특성류가 위상 불변량임을 증명, 애덤스 스펙트럼 열을 일반화(애덤스-노비코프 스펙트럼 열), 노비코프 환, 노비코프-슈빈 불변량, 노비코프 추측, 크리치에버(Krichever)-노비코프 대수, 모스-노비코프 이론, 노비코프-베젤로프 방정식, 베스-추미노-노비코프-위튼 모형 | 1970년 필즈상, 2005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제임스 해리스 사이먼스[36] | 1938 | 천-사이먼스 이론 | 197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매뉴얼 블럼 | 1938 | 블럼의 복잡도 공리, 블럼의 속도 향상 정리, 블럼-골드바서 암호체계 | 1995년 튜링상 |
데틀레프 그로몰 | 1938 | 분할(Splitting) 정리, 영혼 정리, 영혼 추측 | |
브래들리 에프론 | 1938 | 부트스트래핑(통계학) | 2019년 국제 통계학상 |
미셸 레노 | 1938 | 마닌-멈퍼드 추측 증명, 아비안카(abhyankar)추측 증명, 레노 아이소제니 정리 | 199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디트리히 브라에스 | 1938 | 브라에스 역설 | |
알렉산더 조엘 초린 | 1938 | 투영법[37], 무작위 소용돌이 방법(Random Vortex Method), 인공 압축률 방법(Artificial Compressibility Method), Implicit 샘플링 | |
필립 오거스터스 그리피스 4세 | 1938 | 그리피스 횡단성(transversality), 일반적으로 삼차 삼차원 다양체(cubic three-fold)가 유리 다양체(rational variety)가 아님을 증명, 호지 구조의 변동(variation of Hodge structure) 도입, 그리피스 유수 정리 | 2008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14년 천 메달 |
마리나 에브시브나 래트너 | 1938 | 래트너의 정리 | 1993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피터 폴 니콜라스 올리크 | 1938 | 올리크-솔로몬 대수, 초평면 배열의 선구자 | |
조지 닐 로버트슨 | 1938 | 로버트슨-시모어 정리, 로버트슨 그래프, 강한 완벽 그래프 추측 증명, k=6일 때 하트비거(Hadwige) 추측 증명 | 1994년, 2006년, 200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알프레드 워싱턴 헤일스 | 1938 | 헤일스-주에트 정리 | |
로버트 마틴 솔로베이 | 1938 | 솔로베이 정리, 솔로베이-스트라센 소수판별법, 반복 강제법, 마틴 공리, 증명 가능성 논리(Provability logic) | |
프리트헬름 발트하우젠 | 1938 | order가 2인 미분동형사상의 특수한 경우에 대해서 스미스 추측을 증명, 발트하우젠 범주, 발트하우젠 S-구성, 발트하우젠 정리 | |
게오르기 페트로비치 예고리체프 | 1938 | 모든 항목이 동일한 행렬이 이중 확률 행렬 중 가장 작은 퍼미넌트(Permanent)을 갖는다는 판데르바르던 추측 증명 | 198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난바 칸지[38] | 1939 | 난바 강제법 | |
바실리 이소코프스키[39] | 1939 | 3차원 매끄러운 파노공간의 17가지 기본형 분류, 3차원 4차 초곡면의 비유리성 증명 | |
레이몬드 라이터 | 1939 | 비단조 논리(Non-monotonic logic), 기본 논리(Default logic)[40], 닫힌 세계 가정[41], 상황 계산(Situation calculus)[42] | |
이브 메예르[43] | 1939 | 다중 해상도 분석, 메예르 집합, 메예르 웨이블릿, harmonious 집합 | 1970년 살렘상, 2010년 가우스상, 2017년 아벨상 |
해롤드 미드 스타크 | 1939 | 스타크-헤그너 정리, 가우스 유수 문제 | |
앨런 베이커 | 1939 | 초월수론의 대가, 베이커 정리, 가우스 유수 문제 | 1970년 필즈상 |
윌리엄 에드거 풀턴[44] | 1939 | 풀턴-한센 연결성 정리[45] | |
존 피터 메이 | 1939 | 메이 스펙트럼 열, 오퍼라드 | |
존 에드워드 호프크로프트 | 1939 | 호프크로프트-카프 알고리즘, 선형시간 평면성 테스트 알고리즘 | 1986년 튜링상 |
스티븐 아서 쿡 | 1939 | NP-완전 개념 제시, 쿡-레빈 정리, P-NP 문제, 증명 복잡도 이론 | 1982년 튜링상 |
장루이 크리빈 | 1939 | 바나흐 공간 이론에 초곱을 도입(Ultraproduct), stable Banach spaces 도입, 크리빈 머신 | |
로랑 칼 시벤만 | 1939 | 커비-시벤만 클레스 | |
에르브 자케 | 1939 | 자케-랭글랜즈 대응, 자케 가군 | |
로버트 리시 | 1939 | 리시 방법 | |
윌리엄 넬슨 라인하르트 | 1939 | 라인하르트 기수[46] | |
스리니바사 바라단 | 1940 | 큰 편차 이론(Large deviations theory), 바라단 보조정리, 위너 소시지, 스트록-바라단 받침(Support) 정리 | 2007년 아벨상 |
로버트 스톨네이커 | 1940 | 2차원주의[47], 가능세계론 | |
미겔 안헬 비라소로 | 1940 | 비라소로 대수 | |
킵 스티븐 손 | 1940 | 중력파 관측, 블랙홀 정보 역설, 후프 추측 | 2016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특별상), 2016년 쇼상 천문학 부문, 2017년 노벨 물리학상 |
니콜라스 테오도르 바로풀로스[48] | 1940 | 바로풀로스 정리 | 1968년 살렘상 |
대니얼 그레이 퀼런 | 1940 | 퀼런 플러스 구성, 퀼런 Q 구성, 퀼런 완전 범주, 유리수 호모토피 이론, 모형 범주, 애덤스 추측 증명, 세르 추측 증명(퀼런-수슬린 정리) | 197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1978년 필즈상 |
윌리엄 하워드 버스 자코 | 1940 | JSJ 분해(toral 분해) | |
세메레디 엔드레 | 1940 | 세메레디 정리, 세메레디 정규성 보조정리, 에르되시-세메레디 정리, 하즈날-세메레디 정리, 세메레디-트로터 정리 | 2012년 아벨상 |
조지 스티븐 불로스 | 1940 | 증명 가능성 논리(Provability logic), S(불로스가 제시한 공리적 집합론), 가장 어려운 논리 퍼즐 | |
스틸리아노스 피초리데스[49] | 1940 | 지수 합에 관한 리틀우드의 추측을 증명에 기여 | 1980년 살렘상 |
플로리스 타켄스[50] | 1940 | 이상한 끌개, 타켄스의 정리[51], 보그다노프-타켄스 분기(Bogdanov–Takens bifurcation) | |
솔 크립키 | 1940 | KP 집합론, 크립키 구조, 가능세계론, 크립키-주얄 의미론 | |
엔리코 봄비에리 | 1940 | 번스타인 문제가 8차원 까지만 참이 됨을 증명, 봄비에리-비노그라도프 정리, 봄비에리 부등식, 봄비에리 노름, 점근 체(asymptotic sieve) | 1974년 필즈상 |
한스 폴커 니마이어 | 1940 | 니마이어 격자 | |
도널드 앤서니 마틴 | 1940 | 마틴 공리, 마틴 측도, 모든 보렐 집합이 결정 집합임을 증명, 큰 기수 공리를 이용하여 사영 결정(projective determinacy)을 증명 | 1988년 카프상 |
나시르 아메드 | 1940 | 이산 코사인 변환, 이산 사인 변환 | |
유진 마이클 룩스[52] | 1940 | 그래프 동형성이 제한된 최대 차수를 갖는 그래프에 대해 다항식 시간에 테스트 될 수 있음을 보여줌[53] | 1985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1]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2] 모든 측도가 0인 점 주위에 구를 포함하는 집합이 존재한다는 추측이다[3] 학부생 시절 지금은 페리-밀너 정리라고 부르는 당시에 풀리지 않은 문제를 해결한 일화가 있다.[4] András Hajnal[5] Richard Sheldon Palais[6] 등각순환우주론, 펜로즈 과정, 조명 문제(Illumination problems)의 반례 발견, 리만-펜로즈 부등식, 갇힌 곡면(Trapped surface), 안드로메다 역설, 뉴먼-펜로즈 형식, 펜로즈 삼각형, 디오시-펜로즈(Diósi –Penrose) 모델[7] Harry Kesten[8] Elliott Hershel Lieb[9] https://en.wikipedia.org/wiki/Lieb_conjecture[10] 이외에 업적은 https://en.wikipedia.org/wiki/Elliott_H._Lieb를 참고 바람[11] 볼프강 하켄과 함께 컴퓨터를 사용하여 증명[12] 현재까지 유일한 수학 기초론 분야 필즈 메달리스트[13] Rodney Martineau "Rod" Burstall[14]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B%8F%84_(%EB%85%BC%EB%A6%AC%ED%95%99)[15] https://en.wikipedia.org/wiki/NPL_(programming_language)[16] https://en.wikipedia.org/wiki/Mathematics_of_paper_folding[17] https://en.wikipedia.org/wiki/Karp%27s_21_NP-complete_problems[18] https://en.wikipedia.org/wiki/Semiset[19] 4 이상의 차원에서 증명한 스티븐 스메일과는 독자적으로 증명[20] 힐렐 퓌르스텐베르크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https://horizon.kias.re.kr/15046/[21] 소수가 무한하다는건 고대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퓌르스텐베르크는 위상수학을 이용한 새로운 증명을 보였다[22] 새 기초론(New Foundations)에 원초(urelement)의 존재를 허용한 기초론이다.[23] Per "Pelle" Lindström[24] 로버트 랭글랜즈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https://horizon.kias.re.kr/6772/[25] 그의 아내 나오미 린덴스트라우스는 이론 컴퓨터 과학자이고 아들 엘론 린덴스트라우스는 2010년에 필즈상을 받았으며 그의 딸 아예렛 린덴스트라우스 또한 수학자이고 가족 모두 수학 리뷰에 논문이 기록 되어있다.[26] Naum Zuselevich Shor[27] https://en.wikipedia.org/wiki/Subgradient_method[28] https://en.m.wikipedia.org/wiki/Parity_problem_(sieve_theory)[29] 1974년 필즈상 후보에 올랐지만, 소련 정부의 간섭으로 인해 필즈 메달은 철회되었다.[30] 칼레손 정리를 p ∈ (1, ∞)일 때 Lp 함수에 대해서도 성립하는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하였다.[31] 바둑을 연구하던 중 영감을 받아 새로운 수의 구성방식을 만든 결과물이 초현실수이다, 도널드 커누스가 쓴 초현실수를 주제로한 단편소설 "Surreal Numbers: How Two Ex-Students Turned on to Pure Mathematics and Found Total Happiness"에서 초현실수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되었다[32] 윌리엄 로원 해밀턴이 만든것과는 다름https://en.wikipedia.org/wiki/Icosian[33] https://en.wikipedia.org/wiki/15_and_290_theorems[34] Yiannis Nicholas Moschovakis[35] William Bernard Raymond Lickorish[36] 르네상스 테크놀로지라는 헤지 펀드 회사를 설립했고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수학자이다, 그의 자산은 약 125억 달러(약 12조 원)에 이른다[37] https://en.wikipedia.org/wiki/Projection_method_(fluid_dynamics)[38] Kanji Namba[39] Vasily Iskovskikh[40] https://en.wikipedia.org/wiki/Default_logic[41] https://en.wikipedia.org/wiki/Closed-world_assumption[42] https://en.wikipedia.org/wiki/Situation_calculus[43] 이브 메예르의 업적을 소개한 글https://horizon.kias.re.kr/5586/[44] William Edgar Fulton[45] https://en.wikipedia.org/wiki/Fulton%E2%80%93Hansen_connectedness_theorem[46] https://en.wikipedia.org/wiki/Reinhardt_cardinal[47] https://en.wikipedia.org/wiki/Two-dimensionalism[48] Nicholas Theodore Varopoulos[49] Stylianos Pichorides[50] Floris Takens[51] https://en.wikipedia.org/wiki/Takens%27s_theorem[52] Eugene Michael Luks[53] Luks, Eugene M. (1982), "Isomorphism of graphs of bounded valence can be tested in polynomial time", Journal of Computer and System Sciences, 25 (1): 42–65, doi:10.1016/0022-0000(82)90009-5, S2CID 2572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