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야스퍼스 · 틸리히 · 마르셀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바디우 · 지젝 · 네그리 · 가라타니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데리다 · 들뢰즈 · 가타리 · 리오타르 · 보드리야르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피셔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굿맨 · 로티 | ||||||||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콰인 · 촘스키 · 크립키 · 루이스 · 데이비드슨 · 더밋 / 피츠버그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설 · 퍼트넘 · 포더 · 차머스 · 김재권 · 데닛 · 처칠랜드 | ||||||||
20세기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핸슨 · 쿤 · 파이어아벤트 · 라카토슈 · 해킹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엘륄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매클루언 | ||||||||
정치철학 | 자유주의: 벌린 · 롤스 · 슈클라 · 노직 · 센 · 라즈 · 누스바움 · 레비 · 호페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푀겔린 · 랜드 · 아롱 · 커크 · 크리스톨 · 후쿠야마 | ||||||||
윤리학 | 규범윤리학: 톰슨 · 네이글 · 레건 · 파핏 · 싱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
인식론 | 게티어 · 골드만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풀러 · 하트 · 드워킨 | ||||||||
종교철학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베유 · 힉 · 지라르 · 큉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파이어스톤 · 오킨 · 맥키넌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롤스톤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olcolor=#fff><colbgcolor=#000> 솔 애런 크립키 Saul Aaron Kripke | |
출생 | 1940년 11월 13일 |
미국 뉴욕주 베이 쇼어 | |
사망 | 2022년 9월 15일 (향년 81세) |
미국 뉴욕주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하버드 대학교 (수학 / 1962년 학사) |
경력 |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 뉴욕시립대학원 교수 |
직업 | 철학자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철학자이자 논리학자. 가장 영향력있는 분석철학자 중 한 명이었다. 본인의 뛰어난 수학적 재능을 활용하여 논리학과 언어철학에 기여한 천재 철학자. 프린스턴 대학교의 명예교수였다.2. 생애
뉴욕 주 베이쇼어(Bay Shore) 출신으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랍비였던 아버지 마이어 크립키(Myer S. Kripke)와 어머니 도로시 크립키(Dorothy K. Kripke)의 1남 2녀 가운데 장남이다. 두 여동생의 이름은 매들린(Madeline)과 네타(Netta)였다.6세에 이미 고대 히브리어를 읽을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시절 크립키의 유명한 일화가 있다. 크립키의 어머니가 어린 그에게 "하나님은 어디에나 계시단다."라고 말한적이 있었다. 그리고 나서 어느날 꼬꼬마 크립키가 부엌에 일하고 있는 어머니에게 가서 하는 말이 "제가 지금 부엌에 들어왔으니까 하나님은 어디로 밀려난건가요? 이렇게 떡잎부터 남달랐던 크립키는 9세에 윌리엄 셰익스피어 전집을 독파하였으며,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이전에 이미 르네 데카르트의 수학적 저술을 읽었다. 17세에 양상논리의 완전성 정리를 증명하였고, 18세에 이를 출판하였다. 당시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크립키의 저작들을 알아보고 그를 교수로 초빙하려고 연락을 취했는데 크립키가 이런 답장을 보냈다고 한다. "교수가 되는거 진짜 좋은데 우리 엄마가 고등학교부터 먼저 졸업하라고 하시네요."[1]
1958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해 수학을 전공하였고, 최우등생(summa cum laude)으로 졸업하였다. 학부 2학년 때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논리학 대학원 과정을 강의하기도 하였다. 다른 학자들과는 달리 학부 졸업 외의 학위는 없는데, 다른 이유는 아니었고 그를 지도할만한 교수가 없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콰인은 고등학생 크립키의 논문을 보고 자기가 모르는 교수가 있나보다 생각했다고 했었고, 호주 출신의 한 철학자는 그와 수업을 진행하면서 오히려 자기가 크립키에게 철학을 배웠다고 회고한바 있다.
이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강의하다가 1967년 록펠러 대학교로 이전하였다. 1977년에 프린스턴 대학교 정교수로 임용되었고 2002년에는 뉴욕 시립대학교에서도 강의를 했다. 2003년에 철학 석좌 교수(distinguished professor of philosophy)가 되었으며 뉴욕 시립대학교에서는 크립키의 업적을 연구·보존하는 솔 크립키 센터(Saul Kripke Center)가 창립되었다.[2]
실제로 경험해본 철학자들에 의하면 역량과 인성이 반비례하는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꼽힌다. 데이비드 루이스가 물욕도 없이 외진 곳에 박혀 살면서 연구만 했던 것과는 달리, 크립키는 루이스나 다른 철학자들에 대한 경쟁의식이나 혐오감을 공공연하게 드러냈다. 실제로 프린스턴 재직 중에 학생들에게 "우리 과 최고의 교수는 누구라고 보냐? 나냐? 루이스냐?"라고 물어봤다는 일화, 이름과 필연에서 언급되는 '괴델과 슈미트'의 일화는 단지 크립키가 강연을 했던 학교의 교수였던 괴델이 싫어서 예로 든 것이었다는 일화가 대표적이다.
실제로 학회에서 크립키를 만나본 모 교수에 따르면 자신의 옷에 케첩을 묻히고도 의식하지 못하고 사람들을 만나고 다녔다고 한다. 주변 환경에 둔한 타입이었는 듯.
2022년 9월 15일(현지시각) 사망했다.[3]
3. 주요 업적
크립키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양상 논리와 직관 논리의 의미론의 바탕이 되는 크립키 의미론을 제시하였다.
- 《이름과 필연》(Naming and Necessity)에서 언어철학의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 29살 때 프린스턴에서 했던 강연을 정리한 것이다. 참고로 원고도 없이 한 것이라고 한다.
- 《비트겐슈타인: 규칙과 사적 언어》(Wittgenstein on Rules and Private Language)에서,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을 제시하였다. 이 해석은 통상적으로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관점과는 다르지만, 철학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관점으로 여겨지며, 비트겐슈타인과 구별하기 위해 보통 크립켄슈타인(Kripkenstein)으로 불린다. 이는 크립키과 비트겐슈타인의 합성어이다. 크립키 스스로도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적절한 해석이 아니며, 비트겐슈타인에 의해 영감을 받은 자신의 생각이다'라고 이야기한다.
- 《진리 이론의 개략》(영어: Outline of a Theory of Truth)에서 타르스키의 정의 불가능성 정리(Tarski undefinability theorem)를 피해, 스스로의 진리의 정의를 포함하는 형식적 언어의 예를 제시하였다.
- 집합론에서는 크립키-플레이텍 집합론(Kripke–Platek set theory)을 도입하였다.
4. 저서
- Naming and Necessity <이름과 필연>. 정대현·김영주 역. 필로소픽.
- Wittgenstein on Rules and Private Language: an Elementary Exposition <비트겐슈타인: 규칙과 사적 언어> 남기창 역. 철학과현실사.
5. 관련 영상
6. 관련 문서
[1] 더운 여름에 마트 주차장에 있는 차 옆에서 땀 뻘뻘 흘리면서 있는 그를 보고 누군가 "왜 이러고 있어요?"라고 물으니, "마누라가 차에 가서 기다리고 있으래서요"라고 답했다는 일화도 전한다.[2]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인데, 프린스턴에서 뉴욕시립대학교에서 강연을 시작한 것은 프린스턴 대학에서 학생들과 부적절한 관계가 있었던 것이 프린스턴을 떠난 이유였다고...[3] https://dailynous.com/2022/09/16/saul-kripke-1940-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