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코피치 / 기타: 오르테가 · 볼노브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마르크스-레닌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황장엽 · 일리옌코프 · 아바키안 / 트로츠키주의: 트로츠키 · 벤사이드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자율주의: 네그리 · 베라르디 / 기타: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지젝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마수미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모턴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
수학철학 | 프레게 · 페아노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타르스키 · 처치 · 괴델 · 튜링 · 힌티카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오그던 · 콰인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스마트 · 퍼트넘 · 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잭슨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 장하석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카프 ·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이니스 · 매클루언 · 옹 · 플루서 · 비릴리오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헬러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 ||||||||
윤리학 | 덕 윤리학: 앤스콤 · 머독 · 풋 / 의무론: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스크러턴 / 공리주의: 헤어 · 파핏 · 싱어 / 메타윤리학: 맥키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기타: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베나타 | ||||||||
인식론 | 카시러 · 피아제 · 치좀 · 모랭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소사 · 아우디 · 프리커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드워킨 · 월드론 | ||||||||
종교철학 | 오토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반틸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와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워드 · 크레이그 · 웨스트 | ||||||||
탈식민주의 |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영 · 소머스 · 해스랭어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캅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 ||||||||
역사철학 | 트뢸치 · 크로체 · 듀런트 · 토인비 · 진 · 코젤렉 · 앤더슨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라인하르트 코젤렉[1] Reinhart Koselleck | |
[전체화면] | |
출생 | 1923년 4월 23일 |
바이마르 공화국 니더슐레지엔주 괴를리츠 | |
사망 | 2006년 2월 3일 (향년 82세) |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바트외인하우젠 | |
주요 업적 | 개념사 역사적 시간의 이론 |
[clearfix]
1. 개요
독일의 역사학자이다. 개념사(Begriffsgeschichte) 프로젝트로 매우 유명하며, 전후 독일을 대표하는 역사학자이자 역사이론가이다.2. 생애
코젤렉의 생애 초반은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역사적 파국과 긴밀하게 얽혀 있었다. 1941년 18세의 나이로 독일군에 입대하게 된 그는 동부 전선에서 보병으로 복무하였고, 종전 이후에는 소련군의 포로로 사로잡혀 카자흐스탄의 포로수용소에서 1946년 가을까지 있어야 했다. 그는 전쟁에서 그의 형과 동생을 비롯한 친지들과 상당수의 친구들을 잃었고, 포로수용소에서는 죽음의 경계선을 넘나들기도 하였다. 또한 포로수용소에서 아우슈비츠의 비극과 독일군에게 가족을 잃은 폴란드인 감독자들을 알게 되었고 이러한 경험은 그의 역사관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구사일생으로 독일로 귀환한 그는 1947년부터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로 진학하여 카를 야스퍼스,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카를 뢰비트, 헬무트 플레스너, 그리고 카를 슈미트와 같은 기라성 같은 학자들 밑에서 역사, 철학, 사회학, 공법을 공부하였다. 이윽고 1954년 기념비적인 박사논문 비판과 위기(Kritik und Krise)를 제출하면서 코젤렉은 독일 안팎으로 이름을 알리게 된다.
이후 코젤렉은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재직하던 베르너 콘체의 영향을 받아 사회사 연구에 몰두하였고, 1965년 교수자격논문으로 개혁과 혁명 사이의 프로이센(Preußen zwischen Reform und Revolution)을 제출한다. 이 저작의 핵심 테제는 나폴레옹 전쟁 시기 프로이센의 개혁이 독일 내에서 프랑스 혁명에 상응하는 부르주아 사회로의 변화를 유도했다는 내용으로, 오늘날까지도 19세기 초 프로이센 및 독일사를 다룬 중요한 모노그래피로 여겨진다.
교수자격논문 제출 이후 코젤렉은 1966년 보훔 대학교 정치학과 정교수와 1968년 하이델베르크를 거쳐 1974년 신생 대학인 빌레펠트 대학교의 근대사 및 이론 강좌의 정교수로 취임한다. 한스-울리히 벨러와 위르겐 코카를 비롯한 '역사적 사회과학'을 주창하는 사회사가들의 성지였던 빌레펠트 대학교에서 코젤렉은 1988년 정년퇴직할 때까지 재직하면서 벨러, 코카와 함께 '빌레펠트 학파'로 널리 알려지게 된다.
1972년부터 코젤렉은 콘체와 중세사가 오토 브루너와 더불어 역사적 기본개념들(Geschichtliche Grundbegriffe)로 알려진 '개념사' 프로젝트에 착수하게 된다. 1979년 출간된 에세이집 지나간 미래(Vergangene Zukunft)와 더불어 코젤렉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역사적 기본개념들'은 역사학자 뿐만 아니라 철학자, 신학자, 법학자, 경제학자와 같은 독일 학계의 전문가들이 총출동하여 작업한 결과물로, 코젤렉은 콘체와 브루너 사후에도 1997년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총 7권(부록 포함 8권)으로 완간하였다. '역사(Geschichte)', '근대(Moderne)', '문화(Kultur)', '자유(Freiheit)', 진보(Fortschritt)와 같은 119개의 기본개념들이 근대를 거치면서 어떻게 의미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추적한 개념사는 2차 대전 이후 독일 역사학의 작업 중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3. 사상
코젤렉의 역사관에서 가장 중점인 문제는 '근대성'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이다. 코젤렉은 박사논문 '비판과 위기'에서 그 부제인 시민사회의 발병기원(Eine Studie zur Pathogenese der bürgerlichen Welt)에서 드러나듯이 계몽사상에 기원하는 근대 역사 철학의 '비판'에서 비롯되는 근대 세계의 '위기'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근대를 기본적으로 '위기'로 규정한다는 점에서 코젤렉의 사상은 카를 슈미트를 비롯한 20세기 초반 독일 신보수주의의 비판적 근대관의 영향력이 강하게 보여지며, 또한 막스 호르크하이머와 테오도어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의 테제와도 상당부분 유사성을 보인다.근대성을 둘러싼 그의 고찰은 대표작 '지나간 미래'와 '역사적 기본개념들'에서 진행된 개념사 프로젝트를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그는 1750년과 1850년 사이의 시대를 말안장시대(Sattelzeit)[3]로 규정하면서, 이 시기에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자유', '진보', '역사'와 같은 개념들이 근본적인 의미의 변화를 겪게 되었다고 파악하였다. 또한 코젤렉은 경험공간(Erfahrungsraum)과 기대지평(Erwartungshorizont)이라는 개념을 통해 근대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근대에 이르면서 인간은 기존에 예측 가능했던 경험공간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기대지평과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 즉 근대 이전의 정태적 사회가 근대화의 물결에 휩쓸리면서 인간의 예측 범주를 벗어나게 된다는 것으로, 코젤렉은 근대화 과정을 경험공간과 기대지평의 분리로 설명하고자 한다.
4. 명예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아카데미 정회원
- 하이델베르크 아카데미 교신 회원(1979)
- 베를린 고등연구소 회원(1987-1988, 1988-1989)
- 독일 역사가상(1989)
- 영국 아카데미 외국인 회원(1996)
- 괴팅엔 아카데미 교신 회원(1997)
5. 대표 저서
- Kritik und Krise: Eine Studie zur Pathogenese der bürgerlichen Welt. Heidelberg, 1954 - 박사학위논문
- Preußen zwischen Reform und Revolution: Allgemeines Landrecht, Verwaltung und soziale Bewegung von 1791 bis 1848. Heidelberg, 1965 - 교수자격논문
- mit Louis Bergeron, François Furet: Das Zeitalter der europäischen Revolution 1780-1848 (= Fischer Weltgeschichte. Bd. 26). Fischer-Taschenbuch-Verlag, Frankfurt am Main 1969
- mit Werner Conze und Otto Brunner(Hrsg.), Geschichtliche Grundbegriffe: Historisches Lexikon zur politisch-sozialen Sprache in Deutschland. 8 in 9 Bänden. Klett-Cotta, Stuttgart 1972–1997
- Vergangene Zukunft: Zur Semantik geschichtlicher Zeiten. Suhrkamp, Frankfurt am Main 1979
- mit Hans-Georg Gadamer: Hermeneutik und Historik. Winter, Heidelberg 1987
- Der politische Totenkult: Kriegerdenkmäler in der Moderne. Fink, München 1994
- Zur politischen Ikonologie des gewaltsamen Todes: Ein deutsch-französischer Vergleich. Basel 1998
- Europäische Umrisse deutscher Geschichte: Zwei Essays. Manutius, Heidelberg 1999
- Zeitschichten: Studien zur Historik. Mit einem Beitrag von Hans-Georg Gadamer. Suhrkamp, Frankfurt am Main 2000
- The Practice of Conceptual History: Timing, History, Spacing Concepts (Cultural Memory in the Present). Stanford 2002
- Vom Sinn und Unsinn der Geschichte: Aufsätze und Vorträge aus vier Jahrzehnten. Hrsg. von Carsten Dutt. Berlin 2010
- Erfahrene Geschichte: Zwei Gespräche mit Carsten Dutt. Winter, Heidelberg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