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00:11:47

미겔 데 우나무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7년 스페인의 방송국 안테나3가 스페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스페인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후안 카를로스 1세 미겔 데 세르반테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아돌포 수아레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 펠리페 6세 파블로 피카소 예수의 테레사 펠리페 곤살레스
11위~100위
11위12위13위14위15위
이사벨 1세 세베로 오초아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호세 사파테로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16위17위18위19위20위
살바도르 달리 안토니오 가우디 엘 시드 알폰소 10세 페르난도 알론소
21위22위23위24위25위
프란시스코 데 고야 프란시스코 프랑코 안토니오 마차도 미겔 인두리안 미카엘 세르베투스
26위27위28위29위30위
로라 플로레스 펠리페 2세 카를로스 1세 로시오 주라도 그레고리오 마라뇬
31위32위33위34위35위
디에고 벨라스케스 이사벨 판토하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 미겔 데 우나무노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36위37위38위39위40위
비센테 페레르 카밀로 호세 셀라 페드로 두케 다니 페드로사 파우 가솔
41위42위43위44위45위
다비드 비스발 라파엘 나달 카마롱 데 라 이슬라 아스투리아스의 펠라기우스 후안 라몬 히메네스
46위47위48위49위50위
산티아고 카리요 안토니오 반데라스 이냐시오 데 로욜라 페드로 알모도바르 후안 세바스티안 데 엘카노
51위52위53위54위55위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미겔 에르난데스 후안 마누엘 세라 로페 데 베가 엘 그레코
56위57위58위59위60위
아구스티나 데 아라곤 호아킨 사비나 로살리아 데 카스트로 앙헬 니에토 마누엘 아사냐
61위62위63위64위65위
조르디 푸졸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 알레한드로 산스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에르난 코르테스
66위67위68위69위70위
카를로스 사인츠 파퀴리 텔모 사라 몽세라 카바예 마누엘 데 파야
71위72위73위74위75위
이삭 페랄 플라시도 도밍고 미겔 길라 루이스 부뉴엘 엘 코르도베스
76위77위78위79위80위
프란시스코 피사로 마리아노 바울바시드 라울 곤살레스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프란시스코 페르난데스 오초아
81위82위83위84위85위
아만시오 오르테가 마놀레테 에두아르도 칠리다 페란 아드리아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86위87위88위89위90위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호아킨 로드리고 에밀리오 보틴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프란시스코 헨토
91위92위93위94위95위
세바 바예스테레스 이삭 알베니스 페데리코 바하몬테스 부에나벤투라 두루티 카르멘 아마야
96위97위98위99위100위
빈센트 블라스코 이바네스 마누엘 산타나 알리시아 코플로비츠 안토니오 루이스 솔러 자코네로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olbgcolor=#000><colcolor=#fff> 미겔 데 우나무노
Miguel de Unamuno
파일:577px-Miguel_de_Unamuno_Meurisse_c_1925.jfif.jpg
본명 Miguel de Unamuno y Jugo
출생 1864년 9월 29일
스페인 빌바오
사망 1936년 12월 31일 (향년 72세)
스페인 제2공화국 살라망카
직업 철학자, 시인, 소설가
관심분야 종교철학, 정치철학
성향 대륙철학, 실증주의, 실존주의
모교 마드리드 국립 대학교 (문학박사)
종교 가톨릭

1. 개요
1.1. 일생
2. 사상

[clearfix]

1. 개요

인간은 죽게 되어 있다. 그럴 수 있다 그러나 저항하면서 죽어가자.
우리 앞에 그저 무(無)만이 있다면, 이것이 정의가 되게 하지는 말자.
생의 비극적 감정에서 오베르망을 인용하면서[출처]

스페인의 철학자이자 시인, 소설가.

우나무노는 실존주의가 철학자들 사이에서 유행하기 전에 이미 인간의 실존적 고뇌와 부조리를 고뇌한 초기 실존주의자였다. 그의 저술들은 마르틴 하이데거, 장폴 사르트르 식의 철학적 서술을 하지 않는다. 오히려 쇠렌 키르케고르에 더 가깝다. 그의 말대로 '출구도 희망도 없는 그저 비극인 인간의 상태'를 날 것 그대로 드러내보이는 것이다.

우나무노는 키르케고르에 뒤이은 실존주의의 선구자였다. 하이데거와 사르트르가 아직 철학자로 입문하기도 전에 인간의 비극적 부조리에 대한 철학적 작업을 하였으니 말이다.

그의 저서 『생의 비극적 의미』가 1913년에 출판될 때 하이데거는 이제야 철학 박사 학위를 따냈으며 사르트르는 아직 고등학교도 졸업하지 않았다. 그 둘이 철학박사 학위를 땄을 때 우나무노는 이미 자신만의 독자적인 실존 철학을 완성하였던 것이다.

그는 철학계에서조차 키르케고르가 누군지 모르던 상황에서 혼자 덴마크어를 독학하여 키르케고르의 저서를 섭렵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생의 비극적 의미』,『아벨 산체스』,『안개』,『성 마누엘』등이 있다.

그의 저서들의 공통점은 출구도 없고 승리도 없으며 그저 시체들의 행진일 뿐인 인간의 비극적 상태와 희망없음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스페인 철학계와 문학계의 거장으로서 98세대의 대표였다. 그의 대표작인 『안개』는 작중 인물이 작가와 언쟁을 벌이다가 자신의 결말에 대해서 항의하는 것으로 한국에서도 유명하다. 그는 메타픽션의 선구자로서 또한 포스트모던의 선구자이기도 했다.

1.1. 일생

1864년 출생. 빌바오의 바스크족 부모에서 6남매중 셋째. 우나무노의 아버지는 그가 6살때 이미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우나무노는 딱히 빈곤하거나 부족한 삶을 살지는 않았다. 그는 중산층 가정에서 살았으며 어머니의 그늘 아래에서 자랐다. 우나무노는 유년부터 영민함을 보여 10대때 이미 칸트와 독일 철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졌다. 그는 16살에 마드리드 대학에 입학했으며 교수들의 지대한 관심 속에서 바스크족어에 대한 첫 논문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학자의 길을 걸었다.

1891년 살라망카 대학의 그리스어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이때 그의 평생의 반려자인 콘셉시온 리사라가와 결혼한다.

1897년 첫 소설 『전쟁 속의 평화』 저술. 카를리스트 전쟁 기간 동안 자신의 고향 빌바오를 의인화한 소설이었으머 1901년 살라망카 대학의 총장으로 임명. 살라망카 대학은 스페인의 유수의 대학이었지만 마드리드 대학교로 인해서 그 기세가 저물어 있는 상태였다. 그러나 우나무노로 인해서 살라망카 대학은 옛날의 위세를 다시 한번 떨칠 수 있었으며 1902년 삶의 전환점이 찾아왔다. 우나무노는 삶의 비극적 감정을 깨닫게 된다. 셋째 아들 라이문도가 뇌수막염으로 죽음의 위기에 처한 것이다. 그는 지극정성으로 아들을 치료했지만 어두운 운명을 막을 수 없었다. 아들의 장례식 후 신앙과 불멸의 문제에 대한 실존적인 위기를 겪게 된다. 혹자는 그때 우나무노가 신앙을 완전히 상실했다고 한다. 아무튼 이 사건으로 인해서 그가 실존주의를 본격적으로 지향하게 되었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같은 해 실증주의 교육을 비판한 『사랑과 교육』 발표했으며 1905년『돈키호테와 산초의 생애』 출판. 이 저술에서 특유의 반합리주의와 끝없는 불멸에 대한 인간의 열망과 그럼에도 절대로 성취될 수 없다는 삶의 비극적 감정의 대안으로 돈키호테를 제시한다.

1913년 대표작 『생의 비극적 의미』 출판. 이 저서에서 인간의 실존적 부조리와 맹목적인 신앙주의의 불가능성, 그로 인해서 촉발되는 인간의 고뇌를 다루었다. 실증적·과학적 이성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인간, 그와 반대로 끝없는 생의 의지로 인해서 종교와 불멸을 포기할 수 없는 의지의 끝없는 싸움, 그로 인한 끝없는 고뇌에 대해서 파고든다. 여기서 그는 이성과 의지를 둘 다 견지하는 모순적인 돈키호테적 싸움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1914년 메타픽션 대표작 『안개』 출판. 같은 해에 우나무노가 공화주의자 라고 생각한 스페인 당국에 의해서 살라망카 대학 총장에서 해직되고 만다.

1917년『안개』를 뛰어넘는 『아벨 산체스』 저술. 여기서 인간 심층의 추악한 질투를 해설한다.

1924년 스페인의 리베라 장군의 독재정권에 반항하다가 카나리아 군도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장남과 지인들의 도움으로 외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면서 1930년이 될 때까지 반독재 항거에 참여한다. 1930년 독재정권이 무너지며 공화정 정부가 우나무노의 재입국을 허가했으며 국민들은 그를 환영했다. 살라망카시는 우나무노를 종신시장으로 임명했으며 살랑망카 대학은 우나무노를 총장으로 재임명하였고 정부는 그를 명예 시민으로 임명했다.

1931년 공화당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1933년 최후 역작 『착한 성인 미누엘』 저술했으며 1934년 사랑하는 딸과 아내와 사별했다.

1936년 스페인 내전을 겪었다. 그는 프랑코가 돈키호테적 스페인을 건설하리라 믿었기에 프랑코를 지지했다. 그러나 프랑코의 군세가 살라망카를 점령한 후에 있었던 공식석상에서 연설했다가 가택연금을 당했다. 흔히들 국민진영의 만행을 비난했기에 미얀 아스트라이와 말싸움을 벌이다 가택연금 당했다고는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증언과 정황증거도 있기에 구체적으로 무슨 말을 했는지는 알 수 없다. 당시 프랑코 지지자들에게 살해 협박을 당했으나 프랑코의 아내인 카르멘 폴로가 지켜줘서 살아남았으며 그 후 2개월 만에 지병이었던 심장병으로 사망했다.[출처2]

2. 사상

나의 종교를, 내가 살아 있는 동안에 발견할 수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이것은 생에서 진리를 찾고, 진리에서 생을 찾는 것이다. 나의 종교는 피로를 모르고 신비와 부단히 투쟁하는 것이다. 나의 종교는 여명으로부터 일몰까지 신과 싸우는 것이다. 야곱이 신과 싸웠다고 말하는 것과 같이, 불가지론과는 타협할 수 없다. 나는 영원한 무지개는 거부한다. 어찌되었든 나는 불가능에 도전하고 싶은 것이다. 예수는 우리에게 하늘에 계신 아버지와 같이 완전하라고 하지만, 그런 완전은 쟁취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불가능한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노력을 더해, 성취하려 애쓸 것이다. 신학자들은 은총에 의하여 완전을 얻었다고 하나, 나는 진리와 무관하게 투쟁한다. 분명히 패할 전쟁을 수행하는 군대나 민족이 있지 않던가? 항복보다는 싸우면서 죽어가는 자들을 우리는 칭찬하지 않던가? 바로 이것이 나의 종교이다.
그의 저서 나의 종교에서[출처3]
그의 철학의 유일하고 가장 중요한 주제는 살과 뼈를 가진 인간이다. 살과 뼈를 가진 인간은 누구인가? 『생의 비극적 의미』에 따르면, 울고, 웃고, 질투하고, 욕망하는, 이 세상을 살아가는 인간들을 뜻한다.

그러니 그는 실존적 인간, 이 세상을 살아가는 인간 개개인의 문제를 철학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과거의 철학자들 루소, 아리스토텔레스, 맨체스터 등의 추상화되고 박제된 인간이 아닌 지금 이 세상에서 고통을 겪는 실존적 인간에 대해서 다루는 것이다.

그렇다면 실존적 인간들은 무엇을 원하는가? 아니 어떤 상태에 처한 것인가? 우나무노가 말하는 인간들의 상태는 이렇다. 세상의 의미와 목적을 찾지만 세상에는 아무런 객관적인 의미나 목적도 없다는 것, 세상의 진리를 찾지만 결국 찾지 못한다는것 결코 죽고 싶지 않지만 결국 죽을 수 밖에 없는 운명. 우나무노는 이런 상태를 비극 이라고 부른다.

진리를 찾지만 결국엔 모든 진리가 상대적이라는 그러니 진리가 없다는 포스트모던적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이성은 그 회의의 칼날을 결국 자신에게 겨누고 말았다. 이성의 최종적인 판단은 그것이 그토록 지향한 진리의 필연성과 가능성을 파괴하고 마는 것이었다.

회의적인 무신론적 관점에서는 의미와 목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니체가 주장했던 것이다. 의미와 목적은 주관적으로만 존재할 뿐이다. 그러나 객관적인 이성적 관점에서 의미와 목적은 한낱 망상일 뿐이다. 마치 진리와 신과 같은 망상 말이다.


[출처] 문학의 도를 찾아서 133 페이지[출처2] 아벨산체스 출판사 문파랑 버전에 실린 우나무노 연보 133[출처3] 문학의 도를 찾아서 134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