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2:02:10

아나타

아나따에서 넘어옴
1. 일본어 인칭대명사2. 불교에서 무아팔리어 원어3. VOCALOID 시유의 오리지널 곡이자 BMS

1. 일본어 인칭대명사

일본어의 인칭대명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84,#963> 1인칭 아타이(あたい) · 아타쿠시(あたくし) · 아타시(あたし)# · 우치(内) · 오이라(己等) · 오레(俺)# · 오레사마(俺様) · 지분(自分) · (朕) · 보쿠(僕)# · 마로(麻呂·麿) · (余) · 와이(私) · 와가하이(我輩·吾輩) · 와시(儂) · 와타쿠시(私) · 와타쿠시메(私奴·私め) · 와타시(私)# · 와타시메(私奴·私め) · 와라와(妾) · 와레(我) · 소생(小生) · 셋샤(拙者)
2인칭 #s-1(あなた)# · 안타(あんた)# · 오타쿠(おたく·お宅) · 오누시(御主) · 오마에(お前)# · 키사마(貴様) · 키미(君)# · 소나타(其方) · 테메에(てめえ) · 난지(爾·汝·女) · 와이(私)
3인칭 카노죠(彼女) · 카레(彼)
자주 쓰는 인칭대명사는 # 표기 }}}}}}}}}
  • 가나 あなた
  • 한자 貴方, 貴女, 貴男
아나타는 일본어에서 2인칭 대명사로 쓰이는 단어다. 주로 부부 사이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되며 한국어로는 '당신/그대', ''[1] '여보(부부 사이 한정), 자네' 정도로 번역되는데 즉 상황에 맞게 한국어에 맞는 2인칭 대명사로 바꿔야한다는 것이다.

보통 동등한 지위의 사람에 대한 경칭으로 쓰이며, 아내남편을 부르는 호칭으로도 쓰인다. 극존칭의 가치의 인플레이션 때문에 이제는 오히려 상대방을 낮춰 부르는 방식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예전부터 가장 일반적인 존칭이었다.

낮춰 부르는 명칭은 아니며 약간 높여 부르는 호칭이라고 볼 수 있다

손아랫사람을 호칭하는 기미, 오마에 라는 호칭
또는 싸움상대를 호칭하는 킷사마 라는 호칭과 구분된다.

한자로 표기할 때는 貴方, 貴男(지칭하는 대상이 남성일 때), 貴女(지칭하는 대상이 여성일 때)라고 쓴다. 일본에서 작성된 문서를 보면 제일 많이 쓰이는 아나타의 한자 표기는 貴方이다.

가끔 彼方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카나타(かなた)나 아치라(あちら)라고 읽고 인칭이 아닌 '저쪽, 저편' 등 방향을 나타날 때 쓰인다. 따라서 境界の彼方에서 彼方의 후리가나가 かなた(카나타)가 아니라 'あなた(아나타)'라고 쓰여 있더라도 '경계의 저편'이라고 번역할 수는 있지만 '경계의 당신' 혹은 '경계의 너'라고 번역하면 오역이 된다. '경계의 당신'이라는 뜻으로 쓰고 싶다면 境界の貴方가 제일 무난하다. 지칭하는 대상의 성별에 따라 貴男, 貴女라고 써도 된다.

이것보다도 정중한 표현으로 貴殿(きでん, 상대가 남성), 貴女(きじょ, 상대가 여성)가 있는데 일반적인 상황이나 회화에서는 쓰지 않고, 비즈니스 용어로 사용된다.

아나타의 변형으로는 あんた가 있다.

호칭의 가치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이 표현이 무례하거나 하대하는 표현이라는 주장도 있다.

복수로 쓸 때에는 あなたたち, あなたがた라고 한다.

중국에서도 阿娜答라고 음차해서 쓴다.

일본어 성경[2]에서 신과 인간이 서로를 부를 때도 아나타로 한다.[3]

2. 불교에서 무아팔리어 원어

Anatta(अनात्मन्)

불교의 근본 가르침 중 하나. 자세한 설명은 무아 항목 참조.

3. VOCALOID 시유의 오리지널 곡이자 BMS

항목 참고


[1] 일반적으로 공적인 상황에서 높임말로 쓰이면 당신, 사적인 상황에서 대등한 관계이거나 약간 높거나 낮은 관계이면 그대/자네, 반말로 쓰이면 '너'로 해석하면 된다. 물론 후술할 시비가 붙었을 때 등은 예외지만 말이다.[2] 신공동역, 성서협회공동역[3] 예시(성서협회공동역): 『私は主、あなたの神、あなたをエジプトの地、奴隷の家から導き出した者である。(나는 주, 당신의 신, 당신을 이집트 땅, 노예의 집에서 이끌어낸 자다/신명기 5장 6절)』;『主よ、神々のうちで誰かあなたのような方がいるでしょうか(주여, 신들 가운데 누가 당신 같은 이가 있겠습니까?/출애굽기 15장 11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