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color=#BC002D> 일본어의 인칭대명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오십음순 나열) | |
<colbgcolor=#BC002D> 1인칭 | 아타이(あたい) · 아타쿠시(あたくし) · 아타시(あたし) · 우치(内) · 오이라([ruby(己等, ruby=おいら)]) · 오레(俺) · 오레사마(俺様) · 지분(自分) · 친(朕) · 보쿠(僕) · 마로(麻呂·麿) · 요(余) · 와이([ruby(私, ruby=わい)]) · 와가하이(我輩·吾輩) · 와시([ruby(儂, ruby=わし)]) · 와타쿠시([ruby(私, ruby=わたくし)]) · 와타쿠시메([ruby(私奴, ruby=わたくしめ)]·[ruby(私, ruby=わたくし)]め) · 와타시([ruby(私, ruby=わたし)]) · 와타시메([ruby(私奴, ruby=わたしめ)]·[ruby(私, ruby=わたし)]め) · 와라와([ruby(妾, ruby=わらわ)]) · 와레([ruby(我, ruby=われ)]) · 소생(小生) · 셋샤([ruby(拙者, ruby=せっしゃ)]) | |
2인칭 | 아나타(あなた·貴方·貴女) · 안타(あんた) · 오타쿠(おたく·お宅) · 오누시([ruby(御主, ruby=おぬし)]) · 오노레([ruby(己, ruby=おのれ)]) · 오마에(お前·御前) · 키사마(貴様) · 키미(君) · 고젠([ruby(御前, ruby=ごぜん)]) · 소나타([ruby(其方, ruby=そなた)]) · 테메에(てめえ) · 난지(爾·汝·女) · 와이(私) | |
3인칭 | 카노죠([ruby(彼女, ruby=かのじょ)]) · 카레([ruby(彼, ruby=かれ)]) | }}}}}}}}} |
1. 개요
우치([ruby(内, ruby=うち)])는 일본어의 인칭대명사이다. 內의 본 뜻으로 쓰이는 경우와 구분하기 위해 복수형일 때는 히라가나(うち)로, 단수형 1인칭일 때는 가타가나(ウチ)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 복수대명사 うち
우치의 일반적인 용례. 옛날부터 성별과 지역을 가리지 않고 일본 전반에서 흔히 사용되어 온 단어로 1인칭 복수를 지칭한다.와타시타치(わたしたち)와 비슷한 표현 같지만 그 안에 담긴 의미는 다르다. わたしたち가 1인칭 복수의 의미를 표현하는 데만 충실하다면, 우치는 한국어의 '우리'와 유사하게 복수의 의미보다는 소속된 집단과 그 소속감을 드러내는 뉘앙스가 강하다. 예를 들면, 우리 집, 우리 학교, 우리 딸 등. 또한 일본은 나(私), 우치(內), 소토(外) 3단계를 철저히 구분하는 경향이 있으며, 우치(집단)에 속하지 않은 자들에게는 거리감을 두는 문화를 갖고 있다.
3. 단수대명사 ウチ
여성이나 어린아이가 쓰는 1인칭으로서, 주로 중학생 대의 청소년이 사용한다.원래는 표준어가 아닌 간사이 지방 사투리였다. 격식 있는 표현인 私(와타시)에 비해 완전히 여성용이고, 캐주얼한 표현인 아타시(あたし)와 비슷하다. 현재는 지역을 가리지 않고 친구 사이에서 여성이 흔히 사용하는 1인칭이 되었다.[1] 다만 만화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매체에서는 여전히 '간사이벤 화자가 쓴다'라는 이미지가 과장돼 있는 면이 있다.[2]
참고로 우치의 인토네이션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우↑치로 앞의 우가 높은 경우와 우↓치는 상당히 이미지가 다르다. 보통 귀엽다고 인식되는 여성은 전자를 쓰고, 후자는 걸걸한 남성적인 느낌이 강하다.
3.1. 이 1인칭을 사용하는 캐릭터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 - 스즈미 히요리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카라라[3]
- 그녀의 플래그가 꺾이면 - 토조쿠야마 메구무
- 길티기어 시리즈 - 브리짓
-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 - 아스카 모모코
- 나루토 - 카린, 타유야, 카루이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지로 쿄카
- 니세코이 - 타치바나 마리카[4]
- 내 이야기!! - 야마토 린코
- 논논비요리 - 미야우치 렌게, 미야우치 카즈호, 코시가야 나츠미
- 뉴럴 클라우드 - 셰일
- 단간론파 시리즈 - 유메노 히미코
- 단다단 - 아야세 모모
- 동물의 숲 시리즈 - 단순활발 성격의 주민
- 디지몬 유니버스 어플리 몬스터즈 - 미에누몬
- 란마 1/2 - 쿠온지 우쿄
- 러브 다이어리 - 코마츠 나오
- 러브 라이브! - 토죠 노조미
- 로봇 걸즈 Z - 그다지 모에하지 않은 여자아이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 아마네 츠카사, 유메 우라라
- 마법선생 네기마! - 코노에 코노카
- 명일방주 - 크루아상
- 명탐정 코난 - 오오카 모미지
- 문호 스트레이독스 - 코우다 아야
- 미래일기 - 히노 히나타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 시마다 미나미
- 부탁해! 마이멜로디 - 후지사키 마나
- 붕괴3rd - 송작
- 붕괴: 스타레일 - Mar. 7th(일본어 한정)
-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 하나야기 카오루코
- 슈퍼전대 시리즈
- 스도리카 - 소피 리[5]
- 스트리트 파이터 5 - 루시아 모건
- 시끌별 녀석들 - 라무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하야사카 미레이, 무라카미 토모에, 코바야카와 사에, 남바 에미, 우에다 스즈호
-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 츠키오카 코가네
- 앙상블 걸즈!! - 호시우미 코요이, 히이라기 루나, 이와토 산, 나츠메 히비키
-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 사가미 미나미
- 역전재판 시리즈 - 오사와기 나츠미
- 영원한 7일의 도시 - 가리에
- 원신(일본판) - 요이미야, 시그윈
- 월화의 검사 - 이치죠 아카리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타마모 크로스, 다이타쿠 헬리오스, 트랜센드
- 유루유리 - 이케다 치토세
- 은혼 - 하나코
- 이나즈마 일레븐 시리즈
- 이 세상의 한구석에 - 우라노 스즈(호죠 스즈)
- 자폭군 - 루시
- 전익의 시그드리파 - 코마고메 아즈즈
- 철권 시리즈 - 카자마 아스카
- 최유기 - 헤이젤 그로스
- 치하야후루 - 와카미야 시노부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일본판) - 샤벳상어맛 쿠키
- 페르소나 시리즈 - 라비리스
- 포켓몬스터 - 도정[6], 모란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마호, 스즈나
- 프린세스 스타의 모험일기 - 스타 버터플라이(일본판)
- 하얀 강철의 X THE OUT OF GUNVOLT - 인텔스
- 하이앤로우 - 무라야마 요시키
- 헤븐 번즈 레드 - 아이카와 메구미, 쿠로사와 마키
- 함대 컬렉션 - 우라카제(함대 컬렉션), 류조(함대 컬렉션)
- A채널 - 니시 유우코
- AIR - 카미오 하루코
- Fate 시리즈 - 메리 애닝
- hololive - 오오카미 미오, 타카나시 키아라(일본어로 회화 시)
- NEW GAME! - 이이지마 윤
- SHOW BY ROCK!! 시리즈 - 재클린, 호완
- VOICEROID - 코토노하 아카네, 츠이나 쨩
[1] 三枝優子. (2009). 日本語母語話者の自?人?代名詞について. 일어일문학, 44(), 97-109. 대상에서 간사이 지역을 제외한 조사임에도, 여성이 친구 관계에서 쓰는 1인칭은 우치가 나이와 관계없이 가장 높은 빈도로 쓰인다.[2] 노인 캐릭터가 거의 대부분 와시를 1인칭으로 쓰는 것처럼, 매체에서는 단어의 특징을 과장되게 사용하는 편이다.[3] 주로 와이(わい)를 사용하지만,가끔 우치를 사용할때도 있다.[4] 주 1인칭은 와타시.[5] 평소 1인칭은 와타시지만 가끔씩 서커스단을 소개할때 쓴다.[6] 혼잣말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