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4 21:38:43

아이소스핀

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70039> 배경 흑체복사 · 이중슬릿 실험 · 광전효과 · 콤프턴 산란 · 보어의 원자 모형 · 물질파 · 데이비슨-저머 실험 · 불확정성 원리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 프랑크-헤르츠 실험
이론 체계 <colbgcolor=#c70039> 체계 플랑크 상수(플랑크 단위계) · 공리 · 슈뢰딩거 방정식 · 파동함수 · 연산자(해밀토니언 · 선운동량 · 각운동량) · 스핀(스피너) · 파울리 배타 원리
해석 코펜하겐 해석(보어-아인슈타인 논쟁) · 숨은 변수 이론(EPR 역설 · 벨의 부등식 · 광자 상자) · 다세계 해석 · 앙상블 해석 · 서울 해석
묘사 묘사(슈뢰딩거 묘사 · 하이젠베르크 묘사 · 디랙 묘사) · 행렬역학
심화 이론 이론 양자장론(비상대론적 양자장론) · 양자 전기역학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게이지 이론(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위상 공간) · 양자색역학(SU(3))
입자·만물이론 기본 입자{페르미온(쿼크) · 보손 · (둘러보기)} · 강입자(둘러보기) · 프리온 · 색전하 · 맛깔 · 아이소스핀 · 표준 모형 · 기본 상호작용(둘러보기) · 반물질 · 기묘체 · 타키온 · 뉴트로늄 · 기묘한 물질 · 초끈 이론(초대칭 이론 · M이론 · F이론) · 통일장 이론
정식화 · 표기 클라인-고든 방정식 · 디랙 방정식 · 1차 양자화 · 이차양자화 · 경로적분(응용 · 고스트) · 파인만 다이어그램 · 재규격화(조절)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 양자화학(물리화학 틀)
현상 · 응용 양자요동 · 쌍생성 · 쌍소멸 · 퍼텐셜 우물 · 양자 조화 진동자 · 오비탈 · 수소 원자 모형 · 쌓음 원리 · 훈트 규칙 · 섭동(스핀 - 궤도 결합 ·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 선택 규칙 · 변분 원리 · WKB 근사법 · 시간 결정 · 자발 대칭 깨짐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솔리톤 · 카시미르 효과 · 아로노프-봄 효과 · 블랙홀 정보 역설 · 양자점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 준위
기타 군론 · 대칭성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밀도행렬 · 물질 · 방사선(반감기) · 라플라스의 악마 · 슈뢰딩거의 고양이(위그너의 친구) · 교재 }}}}}}}}}

강입자
메손 파이온 · 케이온
바리온 양성자 · 중성자 · 펜타쿼크
주요 성질
아이소스핀


1. 개요2. 특징

1. 개요

Isospin

쿼크와 다운쿼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양자수. 하드론을 분류하는 데에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원자핵을 분류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2. 특징

업쿼크와 다운쿼크의 맛깔 대칭은 스핀과 마찬가지로 SU(2) 대칭을 보이고 이를 아이소스핀이라고 부른다. SU(2) 아이소스핀 고유상태는 아이소스핀의 크기([math(I)])와 아이소스핀의 3번째 방향 성분([math(I_3)])이라는 두 개의 고유값으로 결정된다.

위와 아래 스핀을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eft| s=\frac12, s_3=\frac12 \right> &= \binom10 \\
\left| s=\frac12, s_3=-\frac12 \right> &= \binom01
\end{aligned} )]
와 같이 디랙 표기법으로 나타낼 수 있듯이, 양성자중성자의 아이소스핀도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eft| I=\frac12, I_3=\frac12 \right> &= p \\
\left| I=\frac12, I_3=-\frac12 \right> &= n
\end{aligned} )]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아이소스핀은 강한 상호작용 전후로 보존되는 양이며 약한 상호작용이나 전자기 상호작용을 통해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바리온이 강한 상호작용으로 붕괴할 때 N → ΛK는 아이소스핀이 1/2 = 0 + 1/2 이라서 가능하지만 Δ → ΛK는 아이소스핀이 3/2 ≠ 0 + 1/2 이라서 불가능하다.

업쿼크, 다운쿼크, 스트레인지 쿼크의 SU(3) 맛깔 대칭에 대하여는 아이소스핀(I-spin) 외에도 U-spin과 V-spin을 사용하기도 한다. U-spin은 다운쿼크와 스트레인지 쿼크로 이루어지는 대칭이고 V-spin은 업쿼크와 스트레인지쿼크로 이루어진 대칭이다. 이들 대칭은 아이소스핀보다 더 많이 깨져 있기 때문에 사용되는 빈도는 적다.

1932년, 하이젠베르크가 양성자중성자의 대칭성에 착안하여 고안하였다.[출처1] 양성자와 중성자는 같은 입자의 위 상태와 아래 상태에 해당된다고 본 것이다. 1937년 유진 위그너는 그러한 대칭성에 동위체 스핀(isotopic spin)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원자핵을 분류하는데 사용했는데 그로부터 아이소스핀(isospin)이란 이름이 만들어졌다.[출처2]

1953년 겔만, 나카노, 니시지마에 의해 아이소스핀의 개념은 기묘도를 가진 하드론에도 적용되도록 확장되었다.[출처3] 또한 1954년 양전닝과 로버트 밀스는 아이소스핀 개념을 응용하여 비가환 게이지 이론을 만들어낸다. 양-밀스 이론은 약력과 강력을 잘 설명했고, 이후 표준 모형의 핵심이 된다.

[출처1] W. Heisenberg, Über den Bau der Atomkerne. I, Z. Phys. 77, 1–11 (1932)[출처2] E. P. Wigner, On the Consequences of the Symmetry of the Nuclear Hamiltonian on the Spectroscopy of Nuclei, Phys. Rev. 51, 106 (1937)[출처3] M. Gell-Mann, Isotopic Spin and New Unstable Particles Phys. Rev. 92 833 (1953); T. Nakano and K. Nishijima, Charge Independence for V-particles Prog. Theor. Phys. 10 581 (1953)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