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21:12:03

맛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각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70039> 배경 흑체복사 · 이중슬릿 실험 · 광전효과 · 콤프턴 산란 · 보어의 원자 모형 · 물질파 · 데이비슨-저머 실험 · 불확정성 원리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 프랑크-헤르츠 실험
이론 체계 <colbgcolor=#c70039> 체계 플랑크 상수(플랑크 단위계) · 공리 · 슈뢰딩거 방정식 · 파동함수 · 연산자(해밀토니언 · 선운동량 · 각운동량) · 스핀(스피너) · 파울리 배타 원리
해석 코펜하겐 해석(보어-아인슈타인 논쟁) · 숨은 변수 이론(EPR 역설 · 벨의 부등식 · 광자 상자) · 다세계 해석 · 앙상블 해석 · 서울 해석
묘사 묘사(슈뢰딩거 묘사 · 하이젠베르크 묘사 · 디랙 묘사) · 행렬역학
심화 이론 이론 양자장론(비상대론적 양자장론) · 양자 전기역학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게이지 이론(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위상 공간) · 양자색역학(SU(3))
입자·만물이론 기본 입자{페르미온(쿼크) · 보손 · (둘러보기)} · 강입자(둘러보기) · 프리온 · 색전하 · 맛깔 · 아이소스핀 · 표준 모형 · 기본 상호작용(둘러보기) · 반물질 · 기묘체 · 타키온 · 뉴트로늄 · 기묘한 물질 · 초끈 이론(초대칭 이론 · M이론 · F이론) · 통일장 이론
정식화 · 표기 클라인-고든 방정식 · 디랙 방정식 · 1차 양자화 · 이차양자화 · 경로적분(응용 · 고스트) · 파인만 다이어그램 · 재규격화(조절)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 양자화학(물리화학 틀)
현상 · 응용 양자요동 · 쌍생성 · 쌍소멸 · 퍼텐셜 우물 · 양자 조화 진동자 · 오비탈 · 수소 원자 모형 · 쌓음 원리 · 훈트 규칙 · 섭동(스핀 - 궤도 결합 ·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 선택 규칙 · 변분 원리 · WKB 근사법 · 시간 결정 · 자발 대칭 깨짐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솔리톤 · 카시미르 효과 · 아로노프-봄 효과 · 블랙홀 정보 역설 · 양자점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 준위
기타 군론 · 대칭성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밀도행렬 · 물질 · 방사선(반감기) · 라플라스의 악마 · 슈뢰딩거의 고양이(위그너의 친구) · 교재 }}}}}}}}}

기본입자
Elementary Particl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페르미온 보손
쿼크 렙톤 게이지 보손 스칼라 보손
[math(sf u)]
업 쿼크
[math(sf d)]
다운 쿼크
[math(sf e)]
전자
ν[math(sf {}_e)]
전자 중성미자
[math(sf g)]
글루온
중력자 [math(sf H)]
힉스 보손
[math(sf c)]
참 쿼크
[math(sf s)]
스트레인지 쿼크
μ
뮤온
νμ
뮤온 중성미자
γ
광자
[math(sf t)]
톱 쿼크
[math(sf b)]
보텀 쿼크
τ
타우온
ντ
타우 중성미자
[math({sf W}^+ {sf W}^- {sf Z}^{0})]
W/Z 보손
주요 성질 스핀 · · 맛깔 }}}}}}}}}


1. 개요2. 물리학적 특징

1. 개요

맛깔(flavor, 플레이버)은 입자물리학에서 기본 입자의 종류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1971년 머리 겔만과 그의 학생 해럴드 프리취(Harald Fritzsch)가 패서디나아이스크림 가게에서 맛깔의 개념을 고안해냈다. 그들은 하드론을 분류하기 위해 쿼크의 종류에 맛깔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후 렙톤에도 맛깔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2. 물리학적 특징

맛깔은 하드론(강입자)을 특정짓는 양자수이다. 전자기력강한 상호작용에서 보존되며 약한 상호작용에선 보존되지 않는다. 쿼크의 경우 색깔과 맛깔은 무관하다.

강한 상호작용에 대해 N개의 맛깔이 있으면 근사적으로 SU(N) 대칭이 존재한다. 힉스장이 맛깔마다 다른 질량을 부여하기 때문에 맛깔의 SU(N) 대칭은 깨져있다.

업 쿼크다운 쿼크 맛깔의 대칭은 특별히 구분하여 아이소스핀 대칭이라 부르며 이들의 SU(2) 대칭성 때문에 양성자중성자 사이의 근사적인 대칭이 존재한다. 실제로는 쿼크의 질량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아이소스핀 대칭은 깨져있는 상태이다.

N개의 맛깔 성분을 [math(\psi=\left(\psi_1,\dots,\psi_N\right))]라고 하자. [math(\psi\rightarrow U\psi)]의 변환에 대해 [math(\psi^\dagger\psi\rightarrow \psi^\dagger\psi)]를 만족하기 위해선 [math(U^\dagger U=1)]을 만족해야 한다. [math(U=e^{iH})]면 [math(H)]는 에르미트 행렬이므로 [math(\text{tr} H)] 는 실수이고 [math(\text{det} U=e^{i \text{tr} H} = e^{i\alpha})]이다. [math(\text{det} U_0=1)] 을 만족시는 [math(U_0)]를 이용하면 [math(U=e^{i(\alpha/N)\bm{1}_N} U_0)] 라고 쓸 수 있다. 여기서 [math(U_0)]는 SU(N) 대칭을 이루고 [math(e^{i(\alpha/N)\bm{1}_N})] 은 U(1) 대칭을 이룬다. 맛깔의 이러한 대칭으로 인해 N개의 맛깔로 이루어지는 강입자들 사이에는 SU(N) 대칭이 존재한다. SU(N) 대칭을 구성하고 남는 U(1) 대칭은 입자수 보존에 관련되어 있으며 이차양자화에 쓰인다.

표준 모형에서 맛깔의 변화는 전하의 변화를 동반한다. 맛깔이 바뀌는 중성 흐름(flavour changing neutral current,FCNC)은 원리적으로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여러개의 힉스장이 있거나 Z' 보손이 관여하면 FCNC가 표준모형에서보다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FCNC는 오늘날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사람들은 뮤온이 전자로 변환하는 반응등을 통해 FCNC를 찾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