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0 23:46:28

안드레아 스트라마초니

안드레아 스트라마초니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2014~2021).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감독(41대~80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373a3c,#ddd
1974년~2019년
41대
마시에로
(19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2대
수아레스
(1974-1975)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43대
키아펠라
(1976-197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4대
베르셀리니
(1977-198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스쿠데토.svg 파일:코카르다 트리콜로레.svg 파일:코카르다 트리콜로레.svg
45대
마르케지
(1982-198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6대
라디체
(1983-198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7대
카스타녜르
(1984-198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8대
코르소
(198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9대
트라파토니
(1986-199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스쿠데토.svg
50대
오리코
(199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51대
수아레스
(1992)
파일:스페인 국기.svg
52대
바뇰리
(1992-199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53대
마리니
(199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54대
비안키
(1994-199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55대
수아레스
(1995)
파일:스페인 국기.svg
56대
호지슨
(1995-199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57대
카스텔리니
(199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58대
시모니
(1997-199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59대
루체스쿠
(1998-1999)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60대
카스텔리니
(199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61대
호지슨
(199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62대
리피
(1999-200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63대
타르델리
(2000-200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64대
쿠페르
(2001-200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65대
베르델리
(200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66대
자케로니
(2003-200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67대
만치니
(2004-200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스쿠데토.svg 파일:스쿠데토.svg 파일:스쿠데토.svg 파일:코카르다 트리콜로레.svg 파일:코카르다 트리콜로레.svg
68대
무리뉴
(2008-201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스쿠데토.svg 파일:스쿠데토.svg 파일:코카르다 트리콜로레.svg
69대
베니테스
(2010)
파일:스페인 국기.svg
70대
레오나르두
(2010-2011)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코카르다 트리콜로레.svg
71대
가스페리니
(20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72대
라니에리
(2011-20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73대
스트라마초니
(2012-201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74대
마차리
(2013-201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75대
만치니
(2014-201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76대
더부르
(201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77대
베키
(201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78대
피올리
(2016-201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79대
베키
(201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80대
스팔레티
(2017-201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colbgcolor=#000>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감독(초대~40대)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감독(81대 이후)
파일:스쿠데토.svg: 세리에 A파일:코카르다 트리콜로레.svg: 코파 이탈리아: 수페르코파: UEFA 챔피언스 리그: UEFA 컵: FIFA 클럽 월드컵
}}}}}}}}}}}}}}} ||

이탈리아의 축구 감독
파일:Andrea_Stramaccioni_Press_Conferences,_20_June_2019_-_34.jpg
<colbgcolor=#eeeeee> 이름 안드레아 스트라마초니
Andrea Stramaccioni
출생 1976년 1월 9일 ([age(1976-01-09)]세)
이탈리아 로마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3cm
직업 축구 선수 (수비수 / 은퇴)
축구 감독
경력 <colbgcolor=#eeeeee> 선수 볼로냐 FC 1909 (1994~1995)
감독 인테르나치오날레 프리마베라 (2011~2012)
인테르나치오날레 (2012~2013)
우디네세 칼초 (2014~2015)
파나티나이코스 FC (2015~2016)[1]
AC 스파르타 프라하 (2017~2018)[2]
에스테그랄 테헤란 FC (2019)[3]
알 가라파 SC (2021~2022)
국가대표 없음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4. 기록5. 여담

1. 개요

이탈리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 2012년,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의 프리마베라(유소년)팀을 이끌고 아약스를 누르고 U-19 챔피언스리그(NextGen)를 우승하며 주목받았으나 이후 성인팀 감독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2. 선수 경력

수비수로 볼로냐 FC 1909에서 프로로 데뷔했으나, 경기도 뛰어보지 못한 채 심각한 무릎 부상을 당하면서 1995년 선수 생활을 빠르게 마감해야했다.

3. 감독 경력

이후 2005년부터 AS 로마 유소년팀 코치로 합류해 활약하다 2011년 인테르 유소년팀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UEFA 유스 리그의 전신인 넥스트젠 시리즈에서 2012년 아약스 유소년팀을 누르고 우승을 차지해 주목을 받았다.

3.1.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감독 시절

그렇게 인테르에서 커리어를 쌓아가고 있던 스트라마키오니에게 갑작스런 기회가 찾아왔는데, 2011-12 시즌 도중 부임했던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감독이 티아고 모타 매각 이후 무려 7연패를 당하는 등 최악의 모습을 보이다 팀 순위가 챔피언스 리그는 커녕 유로파리그 진출도 불가능한 8위까지 떨어지자 경질되어버린 것.

팀은 곧바로 새로운 감독을 찾기보다 넥스트젠 시리즈 우승을 이끈 스트라마키오니를 콜업에 감독 대행직을 맡긴다. 부임 후 첫 경기였던 제노아와의 경기에서 디에고 밀리토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5:4로 겨우 승리를 거둔 뒤 잔여 시즌 5승 2무 2패를 기록하며 팀 순위로 끌어올려 6위로 마무리, UEFA 유로파 리그 진출권. 특히 리그 37라운드 밀라노 더비에서도 밀리토가 다시 한번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4:2로 승리한 것이 백미.

인테르는 후임 감독으로 로랑 블랑,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등을 고려하고 있다가 스트라마키오니에게 정식 감독직을 제안했고 이를 수락하면서 인테르의 제73대 감독이 되었다.

임기를 맡으면서 어느 정도 인테르를 잘 수습하는 듯 보였으나, 다음 시즌 역대급 부상 스쿼드와 함께 나락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결국 경질되었다.

4. 기록

5. 여담

  • 2010년에 법대를 졸업했다.

[1] 2016-17 시즌 도중 경질.[2] 2017-18 시즌 도중 경질.[3] 자진 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