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2 21:16:18

알 아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3b5a3b 0%, #008000 20%, #008000 80%, #3b5a3b);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정통 칼리파
제2대
정통 칼리파
제3대
정통 칼리파
제4대
정통 칼리파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제5대
정통 칼리파
1
제6대
우마이야 왕조
제7대
우마이야 왕조
제8대
우마이야 왕조
하산 이븐 알리 무아위야 1세 야지드 1세 무아위야 2세
제9대
우마이야 왕조
제10대
우마이야 왕조
제11대
우마이야 왕조
제12대
우마이야 왕조
마르완 1세 아브드 알 말리크 왈리드 1세 술라이만
제13대
우마이야 왕조
제14대
우마이야 왕조
제15대
우마이야 왕조
제16대
우마이야 왕조
우마르 2세 야지드 2세 히샴 왈리드 2세
제17대
우마이야 왕조
제18대
우마이야 왕조
제19대
우마이야 왕조
제20대
아바스 왕조
야지드 3세 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 마르완 2세 아부 알 아바스
제21대
아바스 왕조
제22대
아바스 왕조
제23대
아바스 왕조
제24대
아바스 왕조
알 만수르 알 마흐디 알 하디 하룬 알 라시드
제25대
아바스 왕조
제26대
아바스 왕조
제27대
아바스 왕조
제28대
아바스 왕조
알 아민 알 마문 알 무타심 알 와시크
제29대
아바스 왕조
제30대
아바스 왕조
제31대
아바스 왕조
제32대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 알 문타시르 알 무스타인 알 무타즈
제33대
아바스 왕조
제34대
아바스 왕조
제35대
아바스 왕조
제36대
아바스 왕조
알 무흐타디 알 무타미드 알 무타디드 알 무크타피
제37대
아바스 왕조
제38대
아바스 왕조
제39대
아바스 왕조
제40대
아바스 왕조
알 무크타디르 알 카히르 알 라디 알 무타키
제41대
아바스 왕조
제42대
아바스 왕조
제43대
아바스 왕조
제44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탁피 알 무티 알 타이 알 카디르
제45대
아바스 왕조
제46대
아바스 왕조
제47대
아바스 왕조
제48대
아바스 왕조
알 카임 알 무크타디 알 무스타지르 알 무스타르시드
제49대
아바스 왕조
제50대
아바스 왕조
제51대
아바스 왕조
제52대
아바스 왕조
알 라시드 알 묵타피 알 무스탄지드 알 무스타디
제53대
아바스 왕조
제54대
아바스 왕조
제55대
아바스 왕조
제56대
아바스 왕조
알 나시르 알 자히르 알 무스탄시르 1세 알 무스타심
제57대
아바스 왕조
제58대
아바스 왕조
제59대
아바스 왕조
제60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시르 2세 알 하킴 1세 알 무스탁피 1세 알 와시크 1세
제61대
아바스 왕조
제62대
아바스 왕조
제63대
아바스 왕조
제64대
아바스 왕조
알 하킴 2세 알 무타디드 1세 알 무타와킬 1세 알 무스타심
제63대2
아바스 왕조
제65대
아바스 왕조
제64대2
아바스 왕조
제63대3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 1세 알 와시크 2세 알 무스타심 알 무타와킬 1세
제66대
아바스 왕조
제67대
아바스 왕조
제68대
아바스 왕조
제69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타인 알 무타디드 2세 알 무스탁피 2세 알 카임
제70대
아바스 왕조
제71대
아바스 왕조
제72대
아바스 왕조
제73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지드 알 무타와킬 2세 알 무스탐식 알 무타와킬 3세
제72대2
아바스 왕조
제73대2
아바스 왕조
제74대
오스만 왕조
제75대
오스만 왕조
알 무스탐식 알 무타와킬 3세 셀림 1세 쉴레이만 1세
제76대
오스만 왕조
제77대
오스만 왕조
제78대
오스만 왕조
제79대
오스만 왕조
셀림 2세 무라트 3세 메흐메트 3세 아흐메트 1세
제80대
오스만 왕조
제81대
오스만 왕조
제80대2
오스만 왕조
제82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1세 오스만 2세 무스타파 1세 무라트 4세
제83대
오스만 왕조
제84대
오스만 왕조
제85대
오스만 왕조
제86대
오스만 왕조
이브라힘 1세 메흐메트 4세 쉴레이만 2세 아흐메트 2세
제87대
오스만 왕조
제88대
오스만 왕조
제89대
오스만 왕조
제90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2세 아흐메트 3세 마흐무트 1세 오스만 3세
제91대
오스만 왕조
제92대
오스만 왕조
제93대
오스만 왕조
제94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3세 압뒬하미트 1세 셀림 3세 무스타파 4세
제95대
오스만 왕조
제96대
오스만 왕조
제97대
오스만 왕조
제98대
오스만 왕조
마흐무트 2세 압뒬메지트 1세 압뒬아지즈 무라트 5세
제99대
오스만 왕조
제100대
오스만 왕조
제101대
오스만 왕조
제102대
오스만 왕조
압뒬하미트 2세 메흐메트 5세 메흐메트 6세 압뒬메지트 2세
^^ 1 :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이지만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
아바스 왕조 제6대 칼리파
알 아민
الأمين
파일:Abbasid_Dinar_-_Al_Amin_-_195_AH_(811_AD).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이름 아부 무사 무함마드 이븐 하룬 알 라시드
أبو موسى محمد بن هارون الرشيد
출생 787년 4월
아바스 왕조 바그다드
사망 813년 9월 27일 (향년 26세)
아바스 왕조 바그다드
재위 기간 아바스 칼리파
809년 3월 24일 ~ 813년 9월 27일 (4년 6개월)
전임자 하룬 알 라시드
후임자 알 마문
부모 아버지 : 하룬 알 라시드
어머니 : 주바이다 빈 자파르
종교 이슬람 수니파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아바스 왕조 6대 칼리파. 이복형 알 마문과 4차 피트나를 치른 끝에 패망했다.

2. 생애

787년 4월 바그다드에서 아바스 왕조 5대 칼리파 하룬 알 라시드무함마드 알 마흐디의 아들 자파르의 딸인 주바이다의 아들로 출생했다. 그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아바스 왕조의 혈통을 물려받았기 때문에 정통성이 매우 강력했다. 이복형 알 마문이 있었지만 첩 마라질의 소생이었기 때문에 일찌감치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다만 하룬은 알 아민과 알 마문 모두 똑같은 방식으로 키웠고, 당대 최고의 가정교사를 초빙하여 두 아들을 철저히 가르치게 했다.

하룬은 혹여 두 아들간의 갈등이 심화되어 내전이 발생할 것을 우려해 사전에 조치를 취했다. 799년 일가족과 함께 메카 순례를 떠난 그는 카바 앞에서 알 마문을 알 아민의 뒤를 이을 두 번째 후계자로 지명했고, 또다른 아들인 알 카심을 세번째 후계자로 지명했다. 또한 자신이 죽으면 알 마문이 호라산 지방을 다스리고 알 아민은 나머지 지역을 다스리도록 했다. 그러던 809년 3월 24일 호라산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러 가던 하룬이 중병에 걸려 사망하자, 알 아민이 예정대로 칼리파에 등극했다.

하룬으로부터 알 아민의 보좌 임무를 맡은 알 파딜은 호라산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가져온 군인 급료를 바그다드로 돌려보내서 그가 직접 군대에 사려금으로 지급하게 했다. 알 마문은 그에게 하룬의 개인 유산을 자신에게 양도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알 파딜은 "지금은 때가 좋지 않다"며 거절했다. 이 일로 알 마문의 미움을 사자, 알 파딜은 만약 알 마문이 칼리파에 등극하면 자신을 가만두지 않을 거라고 여기고 알 마문의 왕위 계승권을 박탈하고자 음모를 꾸몄다.

알 아민은 처음에는 아버지가 카바 앞에서 한 서약을 준수했다. 알 마문을 트란스옥시아나로 보내 그곳에 주둔한 군대를 이끌게 했다. 하지만 그는 알 파딜의 참소를 듣고 알 마문을 의심하여 정보국 관리를 메르브로 보내 알 마문의 동태를 매일 알리게 했다. 이후 알 마문에게 라이, 쿠미스, 타바리스탄 정부를 자신에게 넘기라고 지시하며, 해당 지역의 세금 수입은 호라산에 주둔한 군대를 지원하기에는 너무 적지만 바그다드에 주둔한 군대를 지원하는 데에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알 마문은 이를 거부하고 호라산에서 주조되는 동전에 칼리파의 이름을 생략하고 "알 이맘 알 후다(올바른 길)"이라는 문구를 추가하게 해, 메카에서 맺은 서약을 준수하라는 뜻을 공공연히 밝혔다. 이복형이 자신의 명령에 거부하자, 그는 알 마문의 왕위 계승권을 박탈하고 아들 무사를 차기 후계자로 지명했다.

알 타바리에 따르면, 그는 알 마문을 징벌하고자 5만 병력을 파견했고, 알 마문은 이에 맞서 2만에서 2만 5천 명을 동원했다고 한다. 2배 이상의 전력이었지만, 토벌대는 레이에서 알 마문에게 참패했다. 알 마문은 이 때부터 자신이 속한 영토에서 자신을 "무슬림의 지휘관이자 이맘"이라고 칭했다. 한편, 알 아민은 시리아에서 반란이 발생했다는 보고를 접하자 아브드 알 말리크 이븐 살라흐를 그곳에 보내 질서를 회복하게 했다. 그러나 아브드 알 말리크는 반란군과의 전투 도중 전사했다. 이후 알 마문을 토벌하기 위해 아흐마드 이븐 마즈야드와 압둘라 이븐 후마이드를 보냈지만, 두 장군이 불화를 일으키고 서로 싸우면서 무용지물이 되어버렸다. 게다가 알리 이븐 이사의 아들 후세인이 바그다드에서 반란을 일으켰을때, 바그다드 정규군은 방관했고 시민들이 민병대를 결성해 대신 진압했다.

이렇듯 알 아민이 군대의 신망을 잃고 위신이 땅에 떨어진 틈을 타, 알 마문은 811년부터 813년까지 이라크 각지를 공략하고 812년부터 바그다드를 포위 공격했다. 바그다드에 잔존한 알 아민 지지자들은 1년간 완고하게 저항했다. 그러나 도시에 기근이 들면서 수비대는 차츰 기력이 쇠진했고, 813년 가을 알 마문의 병사들이 점차 바그다드의 여러 요충지를 공략했다. 게다가 감옥을 탈출한 죄수들이 거리 곳곳을 불태우며 난동을 부렸다. 결국 더 저항해 봐야 소용없다는 걸 깨달은 그는 안전한 탈출을 위해 협상을 시도했다. 알 아민은 칼리파의 홀, 인장 및 여러 상징물을 넘겨주는 조건으로 자신을 사면해달라고 청했고, 알 마문은 받아들였다.

그러나 그는 칼리파의 상징물들을 선박에 싣고 티그리스 강을 통해 빠져나가려 했다. 그러나 도중에 발각되어 알 마문의 장교들에게 체포되었고 곧 처형되었다. 그의 수급은 한동안 안바르 성문에 전시되었다. 이후 알 마문이 새 칼리파로 등극했다.